[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4046B1 -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46B1
KR102294046B1 KR1020200019356A KR20200019356A KR102294046B1 KR 102294046 B1 KR102294046 B1 KR 102294046B1 KR 1020200019356 A KR1020200019356 A KR 1020200019356A KR 20200019356 A KR20200019356 A KR 20200019356A KR 102294046 B1 KR102294046 B1 KR 10229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terizer
cap
variable cap
variable
endoscope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46B1/ko
Priority to PCT/KR2020/018731 priority patent/WO20211672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61B17/3496Protecting sleeves or inner probes; Retractable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3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with a protective sleeve, e.g. retractable or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27Prevention of cont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로 대상물을 소작할 때에만 소작기를 노출시키고, 소작하지 않을 때에는 소작기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튜브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투명고정캡과; 상기 투명고정캡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출력하는 탄성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의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수용하거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노출시키는 가변캡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는, 점막하층의 하부로 진입할 때는 오므라지고 조직을 절개할 때는 벌어져 시야를 확보해주므로, 점막하층의 박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Variable cap devic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을 위해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끼워 사용하는 가변형 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용이한 박리와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내시경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수술의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은 종전의 개복수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며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내시경을 이용한 여러 가지 수술 중, 내시경 점막절제술이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은, 내시경튜브에 형성되어 있는 워킹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다양한 처치기구를 이용해 진행된다. 상기 처치기구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가령, 조직의 점막을 절제하는 소작기, 지혈을 목적으로 하는 코어귤레이터, 점막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해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니들, 종양을 잡아 떼어내는 스네어 등이 포함된다.
한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은, 위나 식도 또는 대장에 발생한 초기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내시경 끝으로 돌출된 소작기를 이용해 점막에 붙어 있는 종양 주변을 절제하고 점막하층으로부터 종양을 떼어내는 수술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와 같이, 종양조직(이하, 암이라 칭함)의 주변에 마킹을 한다. 즉 소작기(13)를 이용해 암의 주변을 따라 절제할 영역을 미리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마킹이 완료되었다면, 암 주변의 점막하층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마킹된 부분의 안쪽 영역을 팽윤시킨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의 주입에 의해 암 부분이 부풀어 오른다.
이어서, 소작기로 암 주변을 한 바퀴 돌려, 주변 조직으로부터, 암이 위치한 조직을 절개한다. (도 1c 참조)
상기 절개과정이 완료되었다면, 소작기를 이용해 점막하층에 대한 박리와 소작을 시작한다. 즉, 점막하층 조직을 소작 후 소작된 부분을 들어 올리고, 들어 올려 진 부분의 아래쪽 조직을 다시 절단하고, 절단된 조직을 다시 들어 올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도 1d 및 도 1e 참조) 상기 과정을 통해, 도 1f와 같이 암이 정상조직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박리 및 소작 단계를 진행함에 있어서, 절단된 부분을 들어 올리는 동안, 소작기(13)가 정상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또한 떼어낼 부분과 점막하층의 경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내시경튜브(11)의 선단부에는 투명한 원통형 캡(미도시)이 끼워진다. 상기 캡은 투명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내시경튜브(11)에 고정된 상태로 소작기(13)를 수용한다.
하지만, 상기 캡은, 소작기를 조직의 하부로 침투 시킬 때, 선단부가 다른 조직에 걸려, 소작기의 진입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불편은, 점막하층의 섬유화가 심하여 절개된 부분이 충분히 벌어지지 않는 경우 더욱 심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65958호 (내시경)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46712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점막하층의 하부로 진입할 때는 오므라지고 조직을 절개할 때는 벌어져 시야를 확보해주므로, 점막하층의 박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는,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로 대상물을 소작할 때에만 소작기를 노출시키고, 소작하지 않을 때에는 소작기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튜브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투명고정캡과; 상기 투명고정캡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출력하는 탄성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의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수용하거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노출시키는 가변캡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변캡은; 상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의 테이퍼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는,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투명고정캡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상기 소작기를 커버하고 있다가 후방으로 밀려 이동된 상태의 가변캡을, 투명고정캡 내에 고정시키는 가변캡지지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투명고정캡의 내주면에는, 폐회로를 이루며,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갖는 순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캡지지부는; 지지핀을 통해 가변캡에 연결되며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순환홈에 끼워지고, 상기 가변캡의 슬라이딩 운동 시,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에 번갈아 걸리는 걸림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림핀은; 가변캡이 투명고정캡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홈부에 걸리고, 투명고정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소작기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2걸림부에 걸린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는,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로 대상물을 소작할 때에만 소작기를 노출시키고, 소작하지 않을 때에는 소작기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튜브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투명고정캡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수용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노출시키는 가변캡과; 상기 가변캡을 왕복운동시키는 가변캡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변캡구동부는; 상기 가변캡의 후단부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투명고정캡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영구자석과 대향하고, 전력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착자 되어, 상기 영구자석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가변캡은; 상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의 테이퍼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는,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는, 점막하층의 하부로 진입할 때는 오므라지고 조직을 절개할 때는 벌어져 시야를 확보해주므로, 점막하층의 박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에 적용되는 가변캡지지부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가변형 캡장치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에 사용되는 도구로서,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를 사용할 때에만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내시경튜브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요성 관으로서, 내부에 다수의 워킹채널을 갖는다. 워킹채널은 수술에 필요한 도구를 체내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소작기도 수술에 필요한 도구의 하나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2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가변형 캡장치(20)에 적용되는 가변캡지지부(45)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캡장치(20)는, 투명고정캡(30), 탄성부, 가변캡(50), 가변캡지지부(45)를 포함한다.
투명고정캡(3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부재로서, 내시경튜브(11)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30a)을 제공한다. 수용공간(30a)에는 탄성부로서의 스프링(40)과, 가변캡지지부(45)와, 가변캡(50)이 수용된다. 투명고정캡(30)는 내시경튜브(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사용 중 전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본 설명에서의 전방은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즉, 소작기(13)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투명고정캡(30)의 내부에는 스프링지지턱(32)과 이탈방지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지지턱(32)은 스프링(40)의 일단부를 지지하여 스프링(40)이 가변캡(50)을 전방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탈방지턱(34)은 가변캡(50)의 걸림턱(53a)을 걸어 가변캡(50)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스프링(40)은 탄성부의 일 예로서, 가변캡(50)의 슬라이딩부(53)와 스프링지지턱(3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가변캡(50)을 탄력 지지한다.
가변캡(50)은, 내시경튜브(11)의 선단부를 감싼 상태로 투명고정캡(30)의 수용공간(30a)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내시경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가령 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화살표 b방향의 외력에 의해 투명고정캡(30)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화살표 b방향의 외력은, 내시경튜브(11)를, 가령, 대장벽이나 위벽의 적당한 지점(두터운 부분)으로 밀 때 발생하는 반작용력이다.
가변캡(50)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작기(13)를 노출시키거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작기(13)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소작기(13)를 노출시키는 이유는 소작기(13)가 점막하층 조직을 절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변캡(50)으로 소작기(13)를 커버하는 것은, 소작기(13)가 주변 정상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가변캡(50)은, 투명하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슬라이딩부(53)와 다수의 탄성편(51)을 갖는다. 슬라이딩부(53)는 내시경튜브(1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는 부분으로서 투명고정캡(3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탄성편(51)은 슬라이딩부(53)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의 테이퍼부로서 다수의 탄성편(51)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딩부(53)의 외주면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53a)은 이탈방지턱(31)에 걸리는 부분이다.
탄성편(51)은 슬라이딩부(53)에 일체를 이루며, 다수의 분할슬릿(52)에 의해 분할된 부분으로서,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을 취한다. 탄성편(51)은 4개 내지 10개가 적용될 수 있다. 분할슬릿(52)은 탄성편(51)을 서로에 대해 분리하여, 이를테면, 탄성편(51)이 내시경튜브(11)의 후방으로 밀려들어갈 때, 내시경튜브(11)의 선단면 모서리부로부터 반작용력을 받아 벌어지게 한다.
이러한 탄성편(5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작기(13)를 수용한 상태로 오므라져 있다. 탄성편(51)이 오므라져 있으므로, 내시경튜브(11)를 점막 하층으로 밀어 넣을 때, 다른 조직에 걸리지 않고 점막하층의 절개된 부분 밑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탄성편(51)이 점막하층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내시경튜브(11)를 움직여 절개된 부분을 더욱 높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이 들어 올려진 다음, 내시경튜브(11)를 점막하층으로 더 밀어 넣으면, 탄성편(51)은 점막하층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받아 후방으로 밀려 이동하며 소작기(13)를 노출시킨다. 노출된 소작기(13)는 점막하층을 절개하고, 탄성편(51)이 점막하층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점막하층에 대한 절제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변캡지지부(45)는 가변캡(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소작기를 커버하고 있다가 후방으로 밀려 이동된 상태의 가변캡을 투명고정캡(30) 내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가변캡지지부(45)는, 스프링(40)의 작용 하에서, 가변캡(50)이 도 2와 같이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거나,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말하자면, 도 2의 상태에서 가변캡(50)을 후방으로 눌렀다 떼면 가변캡(50)이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도 3의 상태에서 가변캡(50)을 후방으로 완전히 밀었다 떼면 가변캡(50)이 투명고정캡(30)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캡지지부(45)를 위해 투명고정캡(30)의 내주면에는 순환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순환홈(3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하트모양의 폐회로를 이루며, 제1걸림홈부(33a), 제2걸림홈부(33b), 연결홈부(33c)를 갖는다.
제1걸림홈부(33a)와 제2걸림홈부(33b)는 후술할 걸림핀(55b)이 걸리는 홈이다. 또한, 연결홈부(33c)는 제2걸림홈부(33b)와 제1걸림홈부(33a)를 연결하는 선형공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핀(55b)은 제1걸림홈부(33a)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졌을 때) 화살표 m방향을 따라 연결홈부(33c)를 통과한 후 제2걸림홈부(33b)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제2걸림홈부(33b)에 걸려 대기하던 걸림핀(55b)은 가변캡(50)을 도 3의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도 5의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홈(33a)으로 옮겨간다. 제1걸림홈부(33a)는 제2걸림홈부(33b)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가변캡지지부(45)는, 연결로드(55)와 걸림핀(55b)을 포함한다. 연결로드(55)는 지지핀(55a)을 통해 가변캡(50)에 연결되며 지지핀(5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이다.
또한 걸림핀(55b)은 연결로드(55)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며 상기한 순환홈(33)에 끼워진다. 걸림핀(55b)은 가변캡(50)의 슬라이딩 운동 시, 제1걸림홈부(33a)와 제2걸림홈부(33b)에 번갈아 걸린다.
다시 말하면, 걸림핀(55b)은, 가변캡(5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고정캡(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홈부(33a)에 걸리고,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투명고정캡(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소작기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2걸림부(33b)에 걸리는 것이다.
시술자는, 점막하층의 소작을 진행하는 동안, 가변캡(50)을 대장벽이나 위벽의 적당한 지점으로 밀어, 가변캡(5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캡장치(20)는, 투명고정캡(30), 가변캡(50), 가변캡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투명고정캡(30)의 내부에는 영구자석(61)과 전자석(63)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자석(61)과 전자석(63)은 가변캡(50)을 전후방으로 왕복운동 시키는 가변캡구동부이다.
상기 영구자석(61)은 가변캡(5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링의 형태를 취한다. 영구자석(61)의 극성은, 가변캡(50)과 접하는 절반은 S극 또는 N극이고, 전자석(63)을 향하는 절반은 N극 또는 S극이다.
전자석(63)은 투명고정캡(30)의 내부에 장착되며 영구자석(61)과 대향하고, 전력선(64)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착자되어, 영구자석에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한다. 전력선(64)은 내시경튜브(11)에 형성되어 있는 워킹채널(미도시) 내에 배선되며 전자석(64)을 외부의 전원과 연결시킨다. 전자석(64)에 가해지는 전류는 외부의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영구자석(61)이 척력을 받으면 가변캡(5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작기(13)를 수용한다. 또한 영구자석(61)에 인력이 가해지면, 가변캡(50)이 후퇴하여 소작기(13)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적용함으로써 가변캡(50)의 위치 조절이 더욱 신속히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내시경튜브 13:소작기 20:캡장치
30:투명고정캡 30a:수용공간 31:이탈방지턱
32:스프링지지턱 33:순환홈 33a:제1걸림홈부
33b:제2걸림홈부 33c:연결홈부 40:스프링
45:가변캡지지부 50:가변캡 51:탄성편
51a:분할슬릿 53:슬라이딩부 53a:걸림턱
55:연결로드 55a:지지핀 55b:걸림핀
61:영구자석 63:전자석 64:전력선

Claims (10)

  1.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로 대상물을 소작할 때에만 소작기를 노출시키고, 소작하지 않을 때에는 소작기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튜브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투명고정캡과;
    상기 투명고정캡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출력하는 탄성부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의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수용하거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노출시키는 가변캡이 포함된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은;
    상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의 테이퍼부를 갖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고정캡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상기 소작기를 커버하고 있다가 후방으로 밀려 이동된 상태의 가변캡을, 투명고정캡 내에 고정시키는 가변캡지지부가 구비된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고정캡의 내주면에는, 폐회로를 이루며,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갖는 순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캡지지부는;
    지지핀을 통해 가변캡에 연결되며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순환홈에 끼워지고, 상기 가변캡의 슬라이딩 운동 시,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에 번갈아 걸리는 걸림핀을 구비하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가변캡이 투명고정캡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홈부에 걸리고, 투명고정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소작기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2걸림부에 걸리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7. 체내에 삽입되는 내시경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내시경튜브의 선단부 전방으로 노출된 소작기를 수용하되, 소작기로 대상물을 소작할 때에만 소작기를 노출시키고, 소작하지 않을 때에는 소작기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튜브의 선단부를 감싸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투명고정캡와;
    상기 수용공간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수용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작기를 노출시키는 가변캡과;
    상기 가변캡을 왕복운동시키는 가변캡구동부를 구비하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구동부는;
    상기 가변캡의 후단부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투명고정캡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영구자석과 대향하고, 전력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착자 되어, 상기 영구자석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은;
    상기 내시경튜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진 형상의 테이퍼부를 갖는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KR1020200019356A 2020-02-18 2020-02-18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Active KR10229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56A KR102294046B1 (ko) 2020-02-18 2020-02-18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PCT/KR2020/018731 WO2021167224A1 (ko) 2020-02-18 2020-12-21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56A KR102294046B1 (ko) 2020-02-18 2020-02-18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46B1 true KR102294046B1 (ko) 2021-08-25

Family

ID=7739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56A Active KR102294046B1 (ko) 2020-02-18 2020-02-18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4046B1 (ko)
WO (1) WO202116722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8149A2 (en) * 2006-09-01 2008-03-06 Voyage Medical, Inc. Electrophysiology mapping and visualization system
JP2012040108A (ja) * 2010-08-17 2012-03-01 Morita Mfg Co Ltd 内視鏡先端カバーおよび内視鏡
US20120071724A1 (en) * 2009-04-10 2012-03-22 Sumitomo Bakelite Co., Ltd. Endoscope hood and endoscope with the same mounted thereon
US20130231531A1 (en) * 2011-09-14 2013-09-05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device
KR101565958B1 (ko) 2014-03-24 2015-1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102046712B1 (ko) 2018-04-30 2019-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548B1 (en) * 1999-11-18 2002-08-06 Russell F. Durgi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US20020161387A1 (en) * 2000-06-22 2002-10-31 Blanco Ernesto E. Safety trocar with progressive cutting tip guards and gas jet tissue deflector
KR101550373B1 (ko) * 2014-01-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JP6165083B2 (ja) * 2014-03-04 2017-07-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機器用キャップ
SE541805C2 (en) * 2017-12-22 2019-12-17 Multi4 Ab An endosurgica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8149A2 (en) * 2006-09-01 2008-03-06 Voyage Medical, Inc. Electrophysiology mapping and visualization system
US20120071724A1 (en) * 2009-04-10 2012-03-22 Sumitomo Bakelite Co., Ltd. Endoscope hood and endoscope with the same mounted thereon
JP2012040108A (ja) * 2010-08-17 2012-03-01 Morita Mfg Co Ltd 内視鏡先端カバーおよび内視鏡
US20130231531A1 (en) * 2011-09-14 2013-09-05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device
KR101565958B1 (ko) 2014-03-24 2015-1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102046712B1 (ko) 2018-04-30 2019-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224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803B1 (ko) 고주파 나이프 및 내시경 장치
CN101272744B (zh) 内窥镜用处置工具
US6527753B2 (en) Endoscopic treatment system
AU2007292481B2 (en) Apparatus suitable for performing mucosal resection
US9872600B2 (en) Tissue resection bander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4870710B2 (ja) 高周波ナイフおよび高周波ナイフシステム
JPH07265329A (ja) 穿刺高周波処置具
CN106456146B (zh) 内窥镜用粘膜提起器具及内窥镜处置系统
JP6997788B2 (ja) 内視鏡用処理装置、内視鏡、及び拡張型ステント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JP2022528891A (ja) 処置装置
JP2010213946A (ja) 高周波処置具
US10765444B2 (en) Medical instrument for ablation of tissue
WO2020002988A2 (en) Medical instrument f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N111358547A (zh) 一种经尿道前列腺微创手术操作手柄
KR102294046B1 (ko)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US10058344B2 (en) Apparatus for tissue dissection with suction ring
KR100596554B1 (ko)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JP5401739B2 (ja) 内視鏡用穿刺針
KR20190012946A (ko) 타석 제거용 카테터
KR102624728B1 (ko) 조직 제거 장치
KR102624729B1 (ko) 조직 제거 장치
JP2006325812A (ja) 高周波処置具
CN219250278U (zh) 一种用于胃肠道黏膜的牵引装置
JP2006325810A (ja) 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