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57B1 -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Google Patents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1157B1 KR102291157B1 KR1020200030490A KR20200030490A KR102291157B1 KR 102291157 B1 KR102291157 B1 KR 102291157B1 KR 1020200030490 A KR1020200030490 A KR 1020200030490A KR 20200030490 A KR20200030490 A KR 20200030490A KR 102291157 B1 KR102291157 B1 KR 102291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type support
- pile member
- support structure
- po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 발명은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으로의 운반이 편리한 파일부재를 항타장치를 이용해 지중에 깊숙이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 높낮이 조절 및 시공성능이 우수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pile member, which is convenient to transport to a work site, is driven deep into the ground using a driving device to support the post of the fence. It relates to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with excellent height control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일반적으로 펜스는 일정 크기(2,000mm x 2,000mm)의 다수개의 철망(메쉬)과, 철망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철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 및 각각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기초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펜스는 공장, 건물, 태양광 설비, 전원주택, 야외 주요시설 등의 경계용 울타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fence includes a plurality of wire meshes (mesh) of a certain size (2,000mm x 2,000mm), a plurality of posts disposed between the wire meshes to connect a plurality of wire meshes to each other, and each post supporting the ground. It is composed of several concrete foundation stones. These fences are widely used as border fences for factories, buildings, solar power facilities, country houses, and major outdoor facilities.
한편, 콘크리트 기초석은 다양한 형상 및 규격을 갖도록 일괄적으로 제작 생산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석을 사용한 울타리의 시공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석을 매설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어 지주에 철망 등을 연결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걸쳐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concrete foundation stones are used that are collectively manufactured and produc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specifications. A brief look a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fence using such a concrete foundation stone is that after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is buried in the ground, the post is vertically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and then the fence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wire mesh to the post. construction will be completed.
일반적인 콘크리트 기초석은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제작하되, 지주를 지면에 지지해줄 수 있도록 고중량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석을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거나 시공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A general concrete foundation stone is manufactur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but is manufactured with a high weight to support the posts on the ground.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ransporting or constructing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to the work site.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매설함에 있어서는 땅을 일정 깊이로 판 후 그 곳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이나 상황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매설하거나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콘크리트 기초석은 그 곳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지주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매설되어야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주를 원하는 높낮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을 정확한 깊이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 등을 고려해 볼 때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펜스는 평탄한 지면을 비롯하여 경사진 곳에도 많이 설치된다.In addition, in burying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in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dig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and then bury it there. That is,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must be buri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order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pole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formed there,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post to be located at a desired height, the concrete foundation stone must be buried at an accurate depth, which is difficult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site. For reference, fences are often installed on sloping places including flat ground.
또한, 지주가 콘크리트 기초석에 견고하게 지지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가 끼워져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지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지주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과 지주 사이의 틈새에 나무 조각이나 플라스틱, 철재 등으로 된 쐐기를 억지끼움하여 지주를 고정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093호 및 제2015-0055928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쐐기 고정방식이나 조임 고정방식으로 지주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주의 고정방식은 안정적이지 못하거나 그 구성관계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post to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ncrete base stone, the post should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ncrete base stone. So, in the prior art, after installing the post by forming a through hol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st, a wedge made of a piece of wood, plastic, iron, etc. Fixing, or fixing the holding in the wedge fixing method or tightening fixing metho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0105093 and No. 2015-0055928. However, the fixing method of the hold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table or the compositional relationship is complicated.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작업현장으로의 운반이 편리한 파일부재를 항타장치를 이용해 지중에 깊숙이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 높낮이 조절 및 시공성능이 우수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is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driving the pile member, which is convenient to transport to the job site, deep into the ground using the driving device, and supporting the post of the fence, horizontal adjustment, heigh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having excellent control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과, 상기 다수개의 철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철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 및 각각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개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은 일정 길이를 갖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깊숙이 박혀 고정되는 파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는 상기 지주와 체결 가능한 구조와, 항타장치에 의해 타격되는 지그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지그의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와 연통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this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wire meshes of a certain size, and a plurality of post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re meshe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wire meshes to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s for supporting each pole against the ground, wherein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is formed in a hollow cylinder or polygonal column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s deeply embedded in the ground by the blow of the driving device and fixed Including a pile member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so that a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with the pole, a part of the jig hit by the driving device is inserted,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of the jig spans the ri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은 상기 파일부재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와 연통하고 지그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지는 연통구와, 상기 플랜지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integra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pile member to support a flange formed under the post, the support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and a part of the jig is inserted,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a communication hole that spans the edge,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fastening the flange and the bolt.
상기 지주의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통구에 대응하는 연통구를 더 가지며, 상기 파일부재의 하단부에는 지중속으로 원활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한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일부재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가 고정될 수 있다.The flange of the holding further has a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support member,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inted protrusion so as to be smooth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rotations around the pile member The preventive wing may be fixed.
상기 파일부재는 상기 지주와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부 일부구간이 상기 지주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나머지 구간은 상기 지주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 일부구간에는 상기 지주와의 체결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pile member has a thickness such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tion can be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post for fitting and coupling with the post, the remaining section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pos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pos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and fastening with the posts may b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지주가 위치할 곳의 땅에 항타장치를 이용해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파일부재를 지중에 깊숙이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를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에 고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지주의 양 쪽에 상기 철망을 고정해 일체화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지그의 일부분이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지그의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항타장치가 지그의 상단을 타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fence having a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 pile member of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by using a driving device on the ground where the holding is to be located. A first step of firmly fixing by driving deep into the ground, a second step of fixing the post to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by fastening the upper part of the pile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 and the wire mesh on both sides of the post a third step of fixing and integrating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hitting.
상기 지그는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의 걸림턱 부분이 상기 파일부재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타격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격부는 항타장치의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도록 상단에 타격홈을 더 가질 수 있다. The ji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inside of the file member, and a size larg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spread over the top of the file member to a certain height upward. Consists of a protruding striking portion, the striking portion may further have a striking groove at the upper end to enable accurate striking of the driving device.
이 발명은 항타장치를 이용해 파일부재를 지중에 깊숙이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작업현장에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파일부재가 하단부가 개방되거나 뾰족한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다.In this invention, by driving the pile member deep into the ground using the driving device to support the posts of the fence, it is easy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height as well as convenient construction at any work site. In addition, as the pile member has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polygonal pillar with an open lower end or a sharp point, it is convenient to transport to the work site.
또한, 이 발명은 파일부재의 하단부가 개방되거나 뾰족하여 효과적으로 땅을 뚫고 진입하고, 파일부재의 하단부의 근처에 형성되는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시공후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빗물로 인한 부식이나 해빙시에 뾰족한 돌기부의 용접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해 파일부재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effectively penetrates the ground because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is open or sharp, and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after construction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formed near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By smoothly draining the soil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elding part of the sharp protrusion during corrosion or thawing due to rainwater, thereby prolonging the service life of the pile member.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망과 지주 간의 접속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변형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 일례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항타장치를 이용해 지중에 깊숙이 박을 때 이용되는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지그를 이용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지중에 깊숙이 각각 박는 개념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wire mesh and the pos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a) and a plan view (b)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ure 3,
5 and 6 are a front view (a) and a plan view (b) respective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used when driving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S. 3 to 6 deeply into the ground using a driving device;
8 to 11 are conceptual views of driving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S. 3 to 6 deeply into the ground using the jig shown in FIG. 7, respectively.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들은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망과 지주 간의 접속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wire mesh and the posts shown in FIG. 1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메쉬)(100)과, 철망(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철망(100)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200), 및 각각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개의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rranged between a plurality of wire mesh (mesh) 100 and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망(메쉬)(100)은 일반적인 펜스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대략 2,000mm x 2,000mm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철망(100)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 재질로 제작하되, 그 표면은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해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다.1 and 2, the wire mesh (mesh) 100 is used for a general fence, and has a size of approximately 2,000 mm x 2,000 mm. Meanwhile,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0)는 다수개의 철망(100)을 서로 간에 연결함과 더불어 철망(100)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통상 원통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지주(200) 또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재질로 제작하되, 그 표면은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해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다. 한편, 지주(200)는 그 상단은 캡으로 마감 처리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거나 항타형 지지구조물(300)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플랜지 등을 갖는다. 이때, 지주(200)의 하단 및 플랜지는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지 않아 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00)은 한 쌍의 밴드(110)와 볼트(120), 너트(130)에 의해 지주(200)에 고정된다. 즉, 한 쌍의 밴드(110)가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워지고 볼트(120)가 지주(200) 및 한 쌍의 밴드(110)를 관통하여 너트(130)로 조여짐으로써, 철망(100)이 지주(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nd, as shown in FIG. 2 ,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은 각각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 the drivin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변형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은 펜스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깊숙이 박혀 고정되는 파일부재(310)와, 파일부재(310)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front view (a) and a plan view (b)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upports the
상기 파일부재(310)는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깊숙이 박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타격시 잘 휘어지지 않는 강철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강도가 보장된다면, 알루미늄 스틸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항타장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해머 타격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들 수 있는 타격망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The
한편, 파일부재(310)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하단부에는 지중속으로 원활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한 돌기부(311)를 갖는다. 여기서, 뾰족한 돌기부(311)는 파일부재(3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 또는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뾰족한 돌기부(311)는 항타장치로 타격시 지면의 저항에 의해 단부가 잘 휘지 않도록 반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뾰족한 돌기부(311)는 강도가 높은 특수강을 파일부재(310)의 단부에 별도로 가공하고 용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파일부재(310)는 그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파일부재(310)의 상부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횡단면에 해당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And,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부재(310)는 하단부가 뾰족한 중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효과적으로 땅을 뚫고 진입하고,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31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멍(312)은 파일부재(310)의 항타시에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파일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항타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구멍(312)이 없을 경우, 파일부재(310)의 시공후 빗물이 파일부재(310)의 내부에 저장되어 파일부재(310)를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얼어 팽창하였다가 해빙시에 녹으면서 뾰족한 돌기부(311)의 용접부위가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구멍(312)은 시공후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파일부재(3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또한, 파일부재(310)의 외주면에는 지중에 설치 고정한 후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설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330)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방지용 날개(330)는 파일부재(310)의 타격시 흔들림 없이 수직방향으로 지중에 박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파일부재(310)가 안정적으로 지중에 진입하도록 방향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회전방지용 날개(330)는 지중으로의 진입을 도와주도록 하부쪽에 경사면이 형성된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이러한 회전방지용 날개(330)는 파일부재(310)가 지면에 박힌 후 상측에 설치된 지주를 통해 파일부재(310)에 지속적으로 좌우 흔들림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사방에서 파일부재(310)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파일부재(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해준다. 한편, 회전방지용 날개(330)는 파일부재(310)가 원형 횡단면을 갖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이상 또는 이하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파일부재(310)가 사각 횡단면을 갖는 경우에는 각 면에 1개씩 모두 4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se
상기 지지부재(320)는 파일부재(310)의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고 지주의 하단과 체결되어 지주를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320)는 지주(200) 하단의 플랜지를 떠받칠 수 있는 일정 너비를 가지며, 또한 지주(200) 하단의 플랜지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21)을 갖는다. 여기서, 지지부재(320)는 지주(200)의 플랜지를 떠받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사각판 형태로 구성된다.The
한편, 지지부재(320)는 상부가 개방된 파일부재(310)의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됨에 따라, 파일부재(31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연통구(322)를 더 갖는다. 상기 연통구(322)는 후술할 지그(400)의 일부분이 그 내부에 삽입되고 지그(400)의 걸림턱 부분이 그 테두리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그(400)는 그 일부분이 연통구(322) 및 파일부재(31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그 걸림턱 부분이 연통구(322)의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을 지중에 깊숙이 박을 때 이용되는 도구이다. 한편, 지주(200)의 플랜지는 지지부재(320)의 연통구(322)에 대응하는 연통구를 더 갖도록 구성되어 지주(200)와 파일부재(310)가 서로 간에 연통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통구조를 통해 지주(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5 및 도 6은 다른 일례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5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A)은 돌기부가 없는 파일부재(310A)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B)은 지지부재가 없는 대신에 지주와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are a front view (a) and a plan view (b) respective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The driving-
도 5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A)은 돌기부가 없기 때문에 파일부재(310A)의 하부 또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B)은 지주(200)와의 끼움 결합을 위해 파일부재(310A)의 상부 일부구간이 지주(200)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나머지 구간은 지주(200)와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다. 한편, 파일부재(310A)의 상부 일부구간에는 지주(200)와의 체결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 구멍이 더 형성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300A, 300B)은 도 4에 도시된 회전방지용 날개(330)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Since the driving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항타장치를 이용해 지중에 깊숙이 박을 때 이용되는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지그를 이용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지중에 깊숙이 각각 박는 개념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used when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S. 3 to 6 is driven deep into the ground using a driving device, and FIGS. 8 to 11 are FIGS.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driving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6 deeply into the ground, respectively.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400)는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을 지중에 깊숙이 박을 때 이용되는 도구로서, 지지부재(320)의 연통구(322) 및 파일부재(310, 310A, 310B)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삽입부(41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부(410)와의 걸림턱 부분이 연통구(322)의 테두리 또는 파일부재(310B)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타격부(4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그(400)는 삽입부(410) 및 타격부(420)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단차짐에 따라 그 사이에 걸림턱 부분이 형성된다. 한편, 타격부(420)는 그 상단에 항타장치의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도록 타격홈(421)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7 to 11, the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200)가 위치할 곳의 땅에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정해진 위치에 항타장치를 이용해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의 파일부재(310)를 지중에 깊숙이 박아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를 위해, 지주(200)가 위치할 곳의 땅에 파일부재(310)를 위치시키고 지지부재(320)의 상부에서 지그(400)를 삽입하고 위치시킨다. 이때, 지그(400)의 삽입부(410)는 지지부재(320)의 연통구(322) 및 파일부재(31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삽입부(410)와 타격부(420) 간의 걸림턱 부분이 연통구(322)의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항타장치로 지그(400)의 타격부(420)를 타격하여 파일부재(310)를 지중에 깊숙이 막아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1, 3, 7 and 8, in order to install the fence, first, the driving-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지지부재(320)의 상단에 지주(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플랜지(2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지주(200)를 항타형 지지구조물(300)의 상단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지주(200)의 양 쪽에 철망(1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밴드(110)와 볼트(120), 너트(130)를 이용해 철망(100)을 지주(200)에 고정한다. 즉, 한 쌍의 밴드(110)를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우고 볼트(120)를 지주(200) 및 한 쌍의 밴드(110)를 관통한 후 너트(130)로 조여짐으로써, 철망(100)을 지주(2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When the construction of the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는 항타장치를 이용해 파일부재를 지중에 깊숙이 박아 펜스의 지주를 지지함에 따라 수평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작업현장에서도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파일부재가 하단부가 개방되거나 뾰족한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ence having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not only easy to adjust horizontally and height as it supports the posts of the fence by driving the pile member deep into the ground using the driving device, but also convenient construction at any work site. This is possible. In addition, as the pile member has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polygonal pillar with an open lower end or a sharp point, it is convenient to transport to the work site.
이상에서 이 발명의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fence having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r modification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100 : 철망 110 : 밴드
120 : 볼트 130 : 너트
200 : 지주 210 : 플랜지
300, 300A, 300B : 항타형 지지구조물
310, 310A, 310B : 파일부재 311 : 돌기부
312 : 구멍 320 : 지지부재
321 : 구멍 322 : 연통구
330 : 회전방지용 날개 400 : 지그
410 : 삽입부 420 : 타격부
421 : 타격홈100: wire mesh 110: band
120: bolt 130: nut
200: post 210: flange
300, 300A, 300B: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310, 310A, 310B: pile member 311: protrusion
312: hole 320: support member
321: hole 322: communication hole
330: anti-rotation wing 400: jig
410: insertion part 420: striking part
421: hitting groove
Claims (8)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은 일정 길이를 갖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항타장치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깊숙이 박혀 고정되는 파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는 상기 지주와 체결 가능한 구조와, 항타장치에 의해 타격되는 지그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지그의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와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일부재의 하단부에는 지중속으로 원활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뾰족한 돌기부는 단부가 반구형상으로 라운드지게 가공된 특수강으로 제작되어 상기 파일부재의 하단부에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파일부재의 상기 하단부 근처에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구멍은 상기 파일부재의 항타시에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항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파일부재의 시공후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A plurality of wire meshes of a certain size, a plurality of post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re meshe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wire meshe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s for supporting each post against the ground,
The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pile member that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s deeply embedded in the ground by the blow of the driving device and fixed,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has a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with the pole and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so that a part of the jig hit by the driving device is inserted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of the jig spans the rim, the file The lower end of the member has a pointed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smoothly embedded into the ground,
The pointed protrusion is made of special steel whose end is processed to be roun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and integrated,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re provided near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The plurality of holes enables smoother driving a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il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during driving of the pile member, and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after construction of the pile member Fence having a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smoothly drains the external underground.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은 상기 파일부재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와 연통하고 지그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지는 연통구와, 상기 플랜지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integra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pile member to support a flange formed under the post,
The support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pile member, a part of the jig is inserted, and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gaging sill part is over the edge, and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holes for fastening the flange and the bolt. having a fence.
상기 지주의 플랜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통구에 대응하는 연통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ence with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of the support further has a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파일부재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회전방지용 날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tation-preventing blades are fixed around the pile member.
상기 파일부재는 상기 지주와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부 일부구간이 상기 지주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나머지 구간은 상기 지주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 일부구간에는 상기 지주와의 체결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 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e member has a thickness such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tion can be fitted inside the post for fitting with the post, and the remaining section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post,
A fence having a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the post are further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상기 지주가 위치할 곳의 땅에 항타장치를 이용해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의 파일부재를 지중에 깊숙이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파일부재의 상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를 상기 항타형 지지구조물에 고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지주의 양 쪽에 상기 철망을 고정해 일체화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지그의 일부분이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지그의 걸림턱 부분이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항타장치가 지그의 상단을 타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시공방법.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fence having a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of firmly fixing the pile member of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by driving it deep into the ground using a driving device in the ground where the holding is to be located;
A second step of fastening the upper part of the pile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 to fix the post to the driving type support structure, and
Including a third step of fixing the wire mesh on both sides of the post and integrating it,
The first step is a driving typ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device is performed by striking the upper end of the jig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jig is inserted to a certain depth inside the pile member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of the jig is over the edge. A method of constructing a fence with a structure.
상기 지그는 상기 파일부재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의 걸림턱 부분이 상기 파일부재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타격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격부는 항타장치의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도록 상단에 타격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의 시공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ji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side of the file member, and a size larg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spread over the top of the file member to a certain height upward. It consists of a protruding striking part,
The striking part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fence having a driving-type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striking groove on the upper end to enable accurate striking of the driv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0490A KR102291157B1 (en) | 2020-03-12 | 2020-03-12 |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0490A KR102291157B1 (en) | 2020-03-12 | 2020-03-12 |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157B1 true KR102291157B1 (en) | 2021-08-19 |
Family
ID=7749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0490A Active KR102291157B1 (en) | 2020-03-12 | 2020-03-12 |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157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440A (en) * | 1997-07-16 | 1999-02-18 | 김이남 | Landfill Fixed Shore |
KR20100001981U (en) * | 2008-08-14 | 2010-02-24 |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 Wildlife protection fence |
KR101055531B1 (en) * | 2011-03-21 | 2011-08-08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Construction device for composite micro piles with horizontal load resistance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120105093A (en) | 2011-03-15 | 2012-09-25 | 주식회사 천지콘텍 | Fence prop fixing structure concrete for fence installation |
KR101229250B1 (en) * | 2012-05-03 | 2013-02-04 | 김원일 | Pile type fence support device of fence |
KR20140126059A (en) * | 2013-04-22 | 2014-10-30 | 이병남 | Driving pipe apparatus for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s support using driving pipe apparatus |
KR20150055928A (en) | 2013-11-14 | 2015-05-22 | 주식회사 천지콘텍 | Bas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Fixing Connector for Fense Post |
-
2020
- 2020-03-12 KR KR1020200030490A patent/KR1022911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440A (en) * | 1997-07-16 | 1999-02-18 | 김이남 | Landfill Fixed Shore |
KR20100001981U (en) * | 2008-08-14 | 2010-02-24 |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 Wildlife protection fence |
KR20120105093A (en) | 2011-03-15 | 2012-09-25 | 주식회사 천지콘텍 | Fence prop fixing structure concrete for fence installation |
KR101055531B1 (en) * | 2011-03-21 | 2011-08-08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Construction device for composite micro piles with horizontal load resistanc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229250B1 (en) * | 2012-05-03 | 2013-02-04 | 김원일 | Pile type fence support device of fence |
KR20140126059A (en) * | 2013-04-22 | 2014-10-30 | 이병남 | Driving pipe apparatus for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s support using driving pipe apparatus |
KR20150055928A (en) | 2013-11-14 | 2015-05-22 | 주식회사 천지콘텍 | Bas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Fixing Connector for Fense Pos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54872B2 (en) | Concrete post anchor | |
US5704188A (en) | Post structure | |
US20070200046A1 (en) | Anchor for securing an object to ground | |
US6298618B1 (en) | Constructional support | |
US9657493B2 (en) | Post reinforcement | |
NZ620475A (en) | High-protein beverages comprising whey protein | |
US6526722B1 (en) |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 |
KR102291157B1 (en) | Fence with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US6178651B1 (en) | Reusable batter board support | |
JP2004143867A (en) | Supporting device for post and rop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JP6033806B2 (en) | Prop fixing method and fixing device used therefor | |
US7594782B2 (en) | Integral retaining foot for rammed post or pole | |
KR102252904B1 (en) | Driving pile type support structure for fence post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KR102059373B1 (en) | Support structure for fen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GB2314860A (en) | Post support | |
AU752228B2 (en) |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 |
CA3171566A1 (en) | Fence post repair device | |
KR102236919B1 (en) | Concrete found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Solar cell equipped | |
US7025176B1 (en) | Bolt greaser unit | |
US20090064633A1 (en) | Telescopic Post and Bracing System for Bedrock Locations | |
JP2021092074A (en) | Support structure | |
KR102059374B1 (en) | Fence with improv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AU751023B2 (en) |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 |
CN222183868U (en) | A control device for the top steel bar protective layer of a beam-shaped component | |
KR101123950B1 (en) | Post for wire netting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