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927B1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Google Patents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9927B1 KR102289927B1 KR1020200164334A KR20200164334A KR102289927B1 KR 102289927 B1 KR102289927 B1 KR 102289927B1 KR 1020200164334 A KR1020200164334 A KR 1020200164334A KR 20200164334 A KR20200164334 A KR 20200164334A KR 102289927 B1 KR102289927 B1 KR 102289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ixel
- unit
- driving circuit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접점 수가 감소한 픽셀구동회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of a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a reduced number of contacts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prior art.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워치(Smart watch) 또는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형이면서도 고해상도가 요구되는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μ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마이크로 LED가 상용화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being used. Recently, a display device used in a smart watch or VR (Virtual Reality), AR (Augmented Reality), MR (Mixed Reality) device is small and high resolution is required, a display using a micro light emitting diode (μLED) Interest in the device is growing. In addition, micro LEDs are being commercialized in large display devices.
한편, 마이크로 LED를 사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할 경우, 막대한 소비 전력을 필요로 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식으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소비 전력량이 적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다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display device using a micro LED is driven in a passive matrix method, a large amount of power is required, which is not suitable as a driving method of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ly, an active matrix method with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is more suitable for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픽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pixel.
도 1을 참조하면, 3개의 발광소자(R, G, B) 및 발광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픽셀구동회로(11)를 포함된 픽셀(10)을 확인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하는 픽셀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구동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픽셀(10)은 픽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과 관련된 2개의 접점(Vcc, GND), 디지털 구동을 위한 2개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접점(Row signal, Column signal)이 필수적이다. 추가적으로, 픽셀의 구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접점(Mode selection) 및 PWM 구동 시에 Cycle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한 프레임(Frame)동안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를 유지하고, 새로운 비디오 데이터 입력 전에 이전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clear)하기 위해 리셋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접점(Reset)이 필요하다.Referring to FIG. 1 , a
한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 TFT Backplane 사용하는 방식과 반도체 웨이퍼에 픽셀구동회로를 구성하고 마이크로 LED를 부착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특히, 반도체 웨이퍼에 픽셀구동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전사(Pick & Place)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다수의 접점은 핀(Pin) 수 증가로 전사(Pick & Place) 공정에서 난이도를 증가시키고, 픽셀구동회로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가격 경쟁력을 감소시키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manufacture an active matrix type display device, a method using a conventional TFT backplane and a method of configuring a pixel driving circuit on a semiconductor wafer and attaching a micro LED are possible. In particular, when configuring a pixel driving circuit on a semiconductor wafer,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umber of contacts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ick & place. However,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contacts increases the difficulty in the pick & place proces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ns,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reduces price competitiveness.
본 명세서는 외부 접점 수가 감소된 픽셀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pixel driving circuit in which the number of external contacts is reduced.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셀을 가진 셋팅레지스터부;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셀을 가진 픽셀내장메모리부; 로우 신호 입력단자 및 컬럼 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저주파필터;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2 저주파필터;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상기 셋팅레지스터부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etting regist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for storing a setting value related to driving a pixel; a pixel-embedded memory unit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for storing video data; a signal sensing unit having a row signal input terminal and a column signal input terminal; a first low-frequency filter fo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a preset first cut-off frequency for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ing unit; a second low-frequency filter fo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a preset second cut-off frequency from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to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 first switching unit outpu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low frequency filter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or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or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셋팅레지스터부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regis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tting data memory cells for storing setting values related to driving of pixels; and one flag memory cell for storing the mode valu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셋팅레지스터부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할 수 있다.The setting regis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output the mode value stored in the flag memory cell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t this time, the first switching unit outputs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when the mode value is the first mode, and from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when the mode value is the second mode. The input signal may be output to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ing unit outputs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when the mode value is the first mode, and receives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when the mode value is the second mode output to the pixel-embedded memory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칭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의 데이터 단자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의 데이터 단자에 입력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의 클럭 단자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의 클럭 단자에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witching unit is input to the data terminal of the setting register unit and the data terminal of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the setting register It may be input to a negative clock terminal and a clock terminal of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 플래그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video data memory cells for storing video data; and one flag memory cell for storing the mode fla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신호 감지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3 모드일 때 상기 컬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4 모드일 때 상기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output the mode value stored in the flag memory cell to the signal sensing unit. In this case, the signal detector may output the column signal when the mode value is the third mode, and output the row signal when the mode value is the fourth mo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저주파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ow frequency filter may be input to a reset terminal for deleting data stored in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초 구동 신호가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nitial driving signal may be input to a reset terminal for deleting data stored in the setting register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각 발광소자의 PWM 구동 종료를 위한 복수의 PWM 종료 메모리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WM termination memory cells for terminating PWM driving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PWM 종료 메모리셀은 각 발광소자의 비디오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와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PWM termination memory cell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video data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는, 픽셀구동회로; 및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A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 회로는, 복수의 픽셀 회로가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 행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로우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스캔라인들을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스캔구동회로;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컬럼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컬럼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A pixe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 circuits are arranged; a scan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a row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scan lines connected to row signal input terminals of pixel circuit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and a data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column signals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es connected to column signal input terminals of pixel circuit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우 신호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입력을 위한 제1 스캔 신호, 비디오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스캔 신호 및 PWM 구동을 위한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aw signal may include a first scan signal for inputting a set value related to pixel driving, a second scan signal for inputting video data, and a clock signal for PWM driv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캔구동회로는, 최초 구동 신호가 발생된 이후 각 스캔라인마다 제1 스캔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과 연계되어 상기 제2 스캔 신호 및 클럭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can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utputs a first scan signal first for each scan line once after an initial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nd is associated with each frame to provide the second scan signal and the clock signal A low signal including repeatedly may be outpu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캔구동회로는, M-싸이클링 동작 모드에 따라 하나의 제2 스캔 신호마다 M개의 클럭 신호가 반복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can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output a low signal in which M clock signals are repeated for each second scan signal according to an M-cycling operation mo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럼 신호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데이터 신호,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진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복수의 발광 소자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lumn signal may include a set value data signal related to driving a pixel, a video data reset signal having a length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video data signal related to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구동회로는, 최초 구동 신호가 발생된 이후 각 데이터라인마다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과 연계되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컬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data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utputs the set value data signal once for each data line after an initial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nd is associated with each frame to include the video data reset signal and th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lumn signal repeatedly including a video data signa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설정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set value data signal may be a mode value, and the remaining bits may be a set valu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계조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video data signal may be a mode value, and the remaining bits may be video data values related to grayscales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저주파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상기 제1 저주파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deo data value is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cut-off frequency of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and a signal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the cut-off frequency of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within the preset reference time. may includ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셀구동회로의 외부 접점 수가 감소되어 반도체 웨이퍼에 픽셀구동회로를 구성하고 전사(Pick & Place)하는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number of external contacts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reduced, the efficiency of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ixel driving circuit on a semiconductor wafer and transferring (Pick & Place) may be improved.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픽셀구동회로의 외부 점점 수가 감소되어 전사 공정의 난이도가 낮아지며, 픽셀구동회로의 사이즈가 감소하여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the number of external pixels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gradually reduced, the difficulty of the transfer process is lowered, and the size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price competitivenes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픽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팅레지스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내장메모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로우 신호 및 컬럼 신호의 타이밍 참고도이다.
도 7은 모드 1에서 동작 참고도이다.
도 8은 모드 2에서 동작 참고도이다.
도 9는 모드 3에서 동작 참고도이다.
도 10은 모드 4에서 동작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모드 1 내지 모드 4가 동작하는 순서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의 참고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메모리셀이 데이터 '1'과 '0'을 저장하는 참고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따른 PWM 종료 메모리셀의 참고도이다.
도 15는 싸이클링 동작에 대한 참고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pixel.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tting regis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ixel embedded memory unit (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timing reference diagram of a row signal and a colum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n operation reference diagram i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an operation sequence of
12 is a reference diagram of video data and a video data rese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3 is a reference diagram in which a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stores data '1' and '0'.
14 is a reference diagram of a PWM terminated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cycling oper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 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논리회로 및 전자회로의 소자들을 사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1'은 로직하이(logic high), '0'은 로직로우(logic low)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겠다. 그러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This specification describes embodiments using elements of logic circuits and electronic circuit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data '1' corresponds to logic high and '0' corresponds to logic low. However, the reverse case is also possib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스캔구동회로(120), 데이터구동회로(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복수의 픽셀 회로(pixel, P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픽셀 회로(PX)들은 m X n(m, n은 자연수)개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되는 패턴은 지그재그 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LED) 디스플레이, ECD(Electrochromic Display), DMD(Digital Mirror Device), AMD(Actuated Mirror Device), GLV(Grating Light Valv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 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겠다.The
각각의 픽셀 회로(PX)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80um이하의 크기를 가진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일 수 있다. 하나의 픽셀 회로(PX)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진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해 다양한 색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픽셀 회로(PX)는 적색, 녹색, 청색으로 구성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색 발광 소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면, 백색 발광 소자가 적색, 녹색, 청색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를 대체할 수도 있다. 하나의 픽셀 회로(PX)에 포함된 각 발광 소자를 '서브픽셀(sub pixel)'이라고 부른다.Each pixel circuit PX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a micro LED having a size of 80 μm or less. One pixel circuit PX may output various colors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one pixel circuit PX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composed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As another example, if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the white light emitting device may replace any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evices. Each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d in one pixel circuit PX is called a 'sub pixel'.
각각의 픽셀 회로(PX)는 복수의 서브픽셀들을 구동시키는 픽셀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구동회로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로우 신호(Row signal) 및/또는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된 컬럼 신호(Cloumn signal)제어 신호에 의해 서브픽셀의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구동회로는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적층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ach pixel circuit PX may include a pixel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plurality of sub-pixels. The pixel driving circuit turns on or turns off the sub-pixels according to a row signal output from th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행(Row) 방향으로 배열된 스캔 라인들(SL1~SLm) 및 열(Column) 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라인들(SL1~SLm) 및 데이터 라인들(DL1~DLn)의 교차 지점에 픽셀 회로(PX)들이 위치할 수 있다. 각 픽셀 회로(PX)는 어느 하나의 스캔 라인(SLk) 및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k)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캔 라인들(SL1~SLm)은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스캔구동회로(120)는 행(Row)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로우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스캔라인들(SL1~SLm)을 통해 로우 신호(Row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캔구동회로(120)는 상기 스캔 라인들(SL1~SLm)에 순차적으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캔 구동 기간 동안 제1 스캔 라인(SL1)에 연결된 픽셀들이 구동하고, 제2 스캔 구동 기간 동안 제2 스캔 라인(SL2)에 연결된 픽셀들이 구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스캔구동회로(120)의 동작은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The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는 열(Column)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컬럼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컬럼 신호(Column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는 각 픽셀 회로에게 계조(gradation)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데이터 라인은 종 방향으로 다수의 픽셀 회로들과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 의해 선택된 스캔 라인과 연결된 픽셀 회로에게만 컬럼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데이터구동회로(130)의 동작은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The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 및 데이터구동회로(130)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캔구동회로(120) 및 데이터구동회로(130)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200)는 신호 감지부(210), 제1 저주파필터(220), 제2 저주파필터(230), 제1 스위칭부(240), 제2 스위칭부(250), 셋팅레지스터부(260) 및 픽셀내장메모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신호 감지부(210)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로우 신호(Row signal)이 입력되는 로우 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된 컬럼 신호(Column signal)이 입력되는 컬럼 신호 입력단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입력된 로우 신호(Row signal) 또는 컬럼 신호(Column signal)는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 제2 저주파필터(230) 및 제2 스위칭부(25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입력된 로우 신호(Row signal) 또는 컬럼 신호(Column signal) 중 어느 신호가 출력될 것인지는 동작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신호 감지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회로소자와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는 상기 신호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240)에 출력하는 저주파필터(Low Pass Filter)이다.The first low-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는 상기 신호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출력하는 저주파필터(Low Pass Filter)이다.The second low-
상기 제1 차단 주파수는 상기 제2 차단 주파수에 비해 주파수값(Hz)이 높을 수 있다. 반대로, 제2 차단 주파수는 상기 제1 차단 주파수에 비해 주파수값(Hz)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로직하이(logic high)의 유지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신호(long signal)은 제2 저주파필터(230)를 통과할 있고, 로직하이(logic high)의 유지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신호(short signal)은 제2 저주파필터(230)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1 저주파필터(220)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주파수 및 제2 차단 주파수는 설정하고자 하는 로직하이(logic high)의 유지 시간 차이에 따라 당업자 수준에서 설계 가능하다.The first cut-off frequency may have a higher frequency value (Hz) than the second cut-off frequency. Conversely, the second cutoff frequency may have a lower frequency value (Hz) than the first cutoff frequency. Accordingly, a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ng logic high retention time may pass through the second low-
상기 제1 스위칭부(240)는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250)는 상기 신호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상기 제2 스위칭부(250)는 각각 디멀티플렉서(DeMux)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팅레지스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tting regis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설정 데이터 메모리셀(261) 및 한 개의 플래그 메모리셀(262)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데이터 메모리셀(261)의 크기는 19비트, 12비트 등 설정값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플래그 메모리셀(262)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해당하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setting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62)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제2 스위칭부(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제2 스위칭부(250)에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제2 스위칭부(250)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DeMUX Select Signal)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62)에 저장된 모드값이 '0'일 때는 '제1 모드',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62)에 저장된 모드값이 '1'일 때는 '제2 모드'라 명명하겠다.The
상기 제1 스위칭부(240)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로부터 입력된 신호(data_s)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240)는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로부터 입력된 신호(data_s)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부(2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데이터 단자(data_s0)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데이터 단자(data_s1)에 입력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스위칭부(250)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clock_s)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250)는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clock_s)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칭부(250)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클럭 단자(clock_s0)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클럭 단자(clock_s1)에 입력될 수 있다.The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 플래그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ixel embedded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embedded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271)과 한 개의 플래그 메모리셀(272)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271)은 다시 복수의 발광소자(R, G, B)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메모리셀(271-R, 271-G, 271-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셀(271)의 크기는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 즉 계조의 크기(예: 11bit)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플래그 메모리셀(272)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제3 모드 또는 제4 모드에 해당하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video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72)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출력된 신호는 신호 감지부(210)에 포함된 멀티플렉서(MUX)의 입력 단자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MUX Select Signal)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72)에 저장된 모드값이 '0'일 때는 '제3 모드',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72)에 저장된 모드값이 '1'일 때는 '제4 모드'라 명명하겠다.The pixel embedd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 감지부(210)는 상기 모드값이 제3 모드일 때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를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4 모드일 때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한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 및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의 특성은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셀이란 1비트 데이터(1bit data)를 저장하기 위한 회로소자를 의미하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메모리셀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플립플롭(Flip-Flop, FF)을 이용하여 메모리셀을 구현한 예시를 제시하지만,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emory cell means a circuit device for storing 1-bit data, and the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emory devic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an example in which a memory cell is implemented using a flip-flop (FF) is presented, but the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reset)로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의 출력단에는 긴 로직하이(logic high)를 가진 신호(data_l)를 펄스 신호(clear)로 변환하는 플립플롭(DFF)이 연결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한편, 최초 구동 신호(Power On Reset, POR)가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reset)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최초 구동 신호(POR)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력이 공급될 때 함께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Meanwhile, an initial driving signal (Power On Reset, POR) may be input to a reset terminal (reset) for deleting data stored in the
이하에서는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 및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의 구성과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는 본 명세서에 따른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이고,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는 본 명세서에 따른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 및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의 출력 타이밍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iming of the row signal and the column signal will be described. The row signal is a signal output from the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로우 신호 및 컬럼 신호의 타이밍 참고도이다.6 is a timing reference diagram of a row signal and a colum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POR 신호는 전력이 공급될 때 함께 입력되어 계속 로직하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프레임 싱크 신호(V_sync)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싱크 신호(V_sync)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 및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가 픽셀구동회로(20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가장 첫 프레임 구간은 본 명세서에 따른 모드 1을 위한 프레임 구간이다. 이후 프레임 구간은 모드 2 내지 모드 4를 위한 프레임 구간이다. 상기 모드 2 내지 모드 4를 위한 프레임 구간은 반복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POR signal may be input together when power is supplied and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logic high state. In addition, the frame sync signal V_sync of the screen may be periodically output according to a preset interval. The row signal and the column signal may be input to the
도 6에 도시된 신호의 타이밍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열된 복수의 픽셀 회로 중 1x1 위치에 배치된 픽셀구동회로에 입력되는 컬럼 신호(Col. 1)와 로우 신호(Row 1)이다. 그 외 나머지 픽셀구동회로들은 배치된 위치에 따라 입력 타이밍에만 차이가 있을 뿐, 각 로우 신호(Row signal) 및 각 컬럼 신호(Column signal)의 구성은 동일하다.The timing of the signal shown in FIG. 6 is the column signal Col. 1 and the
상기 로우 신호(Row signal)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입력을 위한 제1 스캔 신호, 비디오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스캔 신호 및 PWM 구동을 위한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구동회로(120)는 최초 구동 신호(POR)가 발생된 이후 각 스캔라인마다 제1 스캔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와 연계되어 상기 제2 스캔 신호 및 클럭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row signal may include a first scan signal for inputting a set value related to pixel driving, a second scan signal for video data input, and a clock signal for PWM driving. The
상기 컬럼 신호(Column signal)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데이터 신호,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진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복수의 발광 소자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는 최초 구동 신호(POR)가 발생된 이후 각 데이터라인마다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와 연계되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컬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설정값일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계조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값일 수 있다.The column signal may include a set value data signal related to driving a pixel, a video data reset signal having a length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video data signal related to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이하에서는 상술된 로우 신호(Row signal) 및 컬럼 신호(Column signal)에 의해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구동회로(200)가 동작하는 순서 즉, 모드 1 내지 모드 4가 동작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각각의 모드에서 입력된 신호가 출력되는 경로를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픽셀구동회로(200)는 도 3에 도시된 픽셀구동회로(200)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order in which the
도 7은 모드 1에서 동작 참고도이다.7 is an operation reference diagram i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최초 구동 신호(POR)가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리셋 단자(reset)로 입력된다. 이로 인해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에 포함된 모든 메모리셀에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되고, 초기값은 "0"으로 리셋된다.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플래그 메모리셀(262)에 저장된 모드값 역시 '0'으로 리셋되고, 상기 모드값 '0'은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제2 스위칭부(250)에 출력된다. 이로써 모드 1 상태가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7 , first, an initial driving signal POR is input to a reset terminal of the
최초 구동 신호가 발생된 이후, 로우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제1 스캔 신호가 입력되고, 컬럼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된 설정값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 도 7에는 가장 큰 자리 비트(MSB)에 모드값인 '1', 나머지 비트는 설정값인 'R'로 표시된 설정값 데이터 신호가 표시되어 있다.After the initial driving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scan signal output from the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스캔 신호가 로직하이(logic high)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상기 신호 감지부(210), 제1 저주파필터(220) 및 제1 스위칭부(240)를 거쳐서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데이터 단자(data_s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서 제2 스위칭부(250)를 거친 설정값 데이터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클럭 단자(clock_s0)로 입력되어 클럭 신호로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값 데이터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메모리셀들(261, 262)에 저장된다.The set value data signal passes through the
도 8은 모드 2에서 동작 참고도이다.8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셋팅레지스터부(260)의 플래그 메모리셀(262)에 모드값 '1'이 저장된 상태이다. 상기 모드값 '1'은 상기 제1 스위칭부(240) 및 제2 스위칭부(250)에 출력되고, 모드 1에서 모드 2 상태로 변경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mode value '1' is stored in the
로우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제2 스캔 신호가 입력되고, 컬럼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가 입력된다.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from the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의 참고도이다.12 is a reference diagram of video data and a video data rese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2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T)에 표시된 비디오 데이터 'H'와 'L'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data 'H', data 'L')의 1비트를 구분하기 위한 시간 구간(1T)보다 'n'배 더 긴 시간 구간에 표시된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video data Clear)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video data Clear)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길이(예: n=7)를 가진 신호로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data 'H', data 'L')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의 제2 차단 주파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video data Clear)는 통과시키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data 'H', data 'L')는 차단하는 주파수값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video data Clear)는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를 통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video data 'H' and 'L' displayed in a preset time period T may be check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video data reset signal (video data clear) displayed in the time period 'n' times longer than the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는 상기 제2 스캔 신호가 로직하이(logic high)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상기 신호 감지부(210) 및 제2 저주파필터(230)를 거쳐서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리셋 단자(reset)로 입력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포함된 모든 메모리셀에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되고, 초기값은 "0"으로 리셋된다.Referring back to FIG. 8 , the video data reset signal passes through the
도 9는 모드 3에서 동작 참고도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플래그 메모리셀(272)에 모드값 '0'이 저장된 상태이다. 상기 모드값 '0'은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포함된 멀티플렉서(MUX)에 출력되고, 모드 2에서 모드 3 상태로 변경된다.Referring to FIG. 9 , the mode value '0' is stored in the
로우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제2 스캔 신호가 계속 입력되고, 컬럼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The second scan signal output from the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저주파필터(230)에서 차단된다. 반면,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차단 주파수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스캔 신호가 로직하이(logic high)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상기 신호 감지부(210), 제1 저주파필터(220) 및 제1 스위칭부(240)를 거쳐서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데이터 단자(data_s1)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서 제2 스위칭부(250)를 거친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클럭 단자(clock_s1)로 입력되어 클럭 신호로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메모리셀들(271, 272)에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2 , the video data signal is cut off by the second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메모리셀이 데이터 '1'과 '0'을 저장하는 참고도이다.13 is a reference diagram in which a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stores data '1' and '0'.
도 12과 도 13를 함께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T) 내에서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의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1'은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도록 로직하이의 유지 시간(A)이 상대적으로 길고, 데이터 '0'은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의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도록 로직하이의 유지 시간(C)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비디오 데이터 신호가 제1 저주파필터(220)를 지나간 이후 신호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저주파필터(220)를 통과하기 전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1' 및 '0' 모두 로직하이를 가지고 있지만, 제1 저주파필터(220)를 통과한 후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로직로우('0')와 로직하이('1')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메모리셀(271, 272)에 비디오 데이터가 '1'과 '0'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서 제1 저주파필터(2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2 스위칭부(250)를 거친 신호는 펄스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입력되기 때문에 클럭 신호로 동작할 수 있다.12 and 13 together, the video data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signal having a lower frequency than the cut-off frequency of the first low-
도 10은 모드 4에서 동작 참고도이다.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operation i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플래그 메모리셀(272)에 모드값 '1'이 저장된 상태이다. 상기 모드값 '1'은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포함된 멀티플렉서(MUX)에 출력되고, 모드 3에서 모드 4 상태로 변경된다.Referring to FIG. 10 , the mode value '1' is stored in the
로우 신호 입력단자에는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출력된 PWM 구동을 위한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컬럼 신호 입력단자에는 열 방향으로 배열된 다른 픽셀구동회로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지만, 상기 신호 감지부(210)에 포함된 멀티플렉서(MUX)가 로우 신호 입력단자에서 입력된 신호만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컬럼 신호 입력단자에 입력된 신호는 모드 4에서 영향을 주지 않는다.A clock signal for PWM driving output from the
상기 스캔구동회로(120)에서 클럭 신호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특성을 가진 펄스 신호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저주파필터(220)에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신호 감지부(210) 및 제2 스위칭부(250)를 지나서,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클럭 단자(Clock_S1)에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메모리셀(272)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가 클럭 신호의 타이밍에 맞추어 발광소자(LED)의 PWM 구동을 위한 동작을 할 수 있다.In the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모드 1 내지 모드 4가 동작하는 순서에 대한 참고도이다.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an operation sequence of
도 11을 참조하면, 최초 모드 1이 동작하고, 모드 2, 모드 3 및 모드 4가 순차적으로 동작한다. 이후 비디오 프레임에 맞추어 모드 2 내지 모드 4가 반복 실행된다. 상기 모드 2 내지 모드 4의 반복 실행은 도 8 내지 도 10에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우 신호(Row signal) 및 컬럼 신호(Column signal)의 특성에 의해서 반복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정에 따라 한 프레임 동안 PWM 구동을 1회 실시하는 경우와 PWM 구동을 2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PWM 구동을 M회 반복 실시하는 동작 모드를 'M-싸이클링 동작 모드'라고 명명하겠다. 종래 PWM 구동을 1회만 실시하는 경우, 시프트레지스터를 전부 리셋(reset)하여 계조 데이터의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의 값에 상관없이 PWM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었다. 반면, M-싸이클링 동작 모드에서 M회의 PWM 구동을 마치고 시프트레지스터를 전부 리셋(reset)시킨다. 그러나 계조 데이터의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의 값이 '1'인 경우, 다음 PWM 구동을 위한 계조 데이터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가 입력되기 전까지 발광소자(LED)를 계속 턴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PMW 구동은 마지막 계조 데이터를 출력하고 종료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PWM driving is performed once and a case in which PWM driving is repeatedly performed twice or more during one frame. In this specification, an operation mode in which PWM driving is repeatedly performed M times will be referred to as an 'M-cycling operation mode'. When the conventional PWM driving is performed only once, the PWM driving can be terminated regardless of the value of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grayscale data by resetting all shift registers. On the other hand, in the M-cycling operation mode, the shift registers are all reset after M times of PWM driving. However, when the value of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grayscale data is '1', the light emitting element (LED) is continuously turned on until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grayscale data for the next PWM driving is input. problems may arise. Therefore, each PMW driving needs to be finished after outputting the last grayscale data.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각 발광소자의 PWM 구동 종료를 위한 복수의 PWM 종료 메모리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ixel embedded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내장메모리부(27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발광소자(LED)의 개수에 대응하는 K개의 시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RGB에 대응하는 3개의 시프트레지스터(271-R, 271-G, 271-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 시프트레지스터(271)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각 발광소자의 비디오 데이터 즉, 계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L개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을 포함한다. 도 5에는 각 발광소자의 계조 데이터가 11비트인 예시이다. 그리고 상기 각 시프트레지스터(271)는 상기 발광소자의 PWM 구동 종료를 위한 1개의 PWM 종료 메모리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5 ag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embedded
상기 PWM 종료 메모리셀은 각 발광소자의 계조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 또는 가장 큰 자리 비트(MSB)를 저장하는 메모리셀과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The PWM termination memory cell may be located adjacent to a memory cell storing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r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among grayscale data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도 14는 본 명세서에 따른 PWM 종료 메모리셀의 참고도이다.14 is a reference diagram of a PWM terminated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4를 참조하면, 1개의 PWM 종료 메모리셀과 4개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시에는 1개의 PWM 종료 메모리셀이 계조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를 저장하는 메모리셀의 다음 자리에 위치한 것을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발광소자(LED)의 계조 데이터가 '0101'일 때, 1비트의 '0'이 더 추가되어 '0101 0 '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LED)의 계조 데이터가 '1010'일 때, 1비트의 '0'이 더 추가되어 '1010 0 '이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one PWM end memory cell and four video data memory cells can be identifi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it is shown that one PWM termination memory cell is positioned next to the memory cell storing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among grayscale data. And an example of input data is also shown. When the grayscale data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is '0101', a '0' of 1 bit is further added to input '0101 0 '. In addition, when the grayscale data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is '1010', '0' of 1 bit is further added to input '1010 0 '.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픽셀내장메모리부(270)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Referring again to FIG. 5 , the remaining components shown in the pixel embedded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270)는, 상기 각 시프트레지스터(271)의 일단에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각 대응하는 발광소자에게 출력하는 K개의 출력 스위칭소자 및 상기 각 시프트레지스터(271)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타단으로 재입력하는 K개의 사이클링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 'K=3'이다.The pixel-embedded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272)은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K개의 출력 스위칭소자와 K개의 사이클링 스위칭소자에게 선택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그 메모리셀(272)에 모드값으로 '1'이 저장될 때, 상기 출력 스위칭소자와 사이클링 스위칭소자에 의해 싸이클링 동작 모드가 작동할 수 있다.The
한편 싸이클링 동작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구동회로(130)가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각 발광소자의 계조에 해당하는 L비트의 계조 데이터와 1비트의 '0' 데이터를 PWM 종료 데이터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WM 종료 데이터는 각 발광소자의 계조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 또는 가장 큰 자리 비트(MSB)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다.Meanwhile, in the cycling operation mode, the video data signal output by the
한편 싸이클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스캔구동회로(120)는 M-싸이클링 동작 모드에 따라 하나의 제2 스캔 신호마다 M개의 클럭 신호가 반복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ycling operation mode, the
도 15는 싸이클링 동작에 대한 참고도이다.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cycling operation.
도 15를 참조하면, 6비트 PWM을 이용하여 50% 온듀티(on-duty)로 동작하는 예시이다. Referring to FIG. 15 , it is an example of operating at 50% on-duty using 6-bit PWM.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스캔구동회로(120), 데이터구동회로(130) 및 제어부(140)는 신호 출력, 산출 및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상기 스캔구동회로(120), 데이터구동회로(130) 및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is C/C++, C#, JAVA, Python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 may include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a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스캔구동회로
130 : 데이터구동회로 140 : 제어부
200 : 픽셀구동회로 210 : 신호 감지부
220 : 제1 저주파필터 230 : 제2 저주파필터
240 : 제1 스위칭부 250 : 제2 스위칭부
260 : 셋팅레지스터부 270 : 픽셀내장메모리부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scan driving circuit
130: data driving circuit 140: control unit
200: pixel driving circuit 210: signal detection unit
220: first low-frequency filter 230: second low-frequency filter
240: first switching unit 250: second switching unit
260: setting register unit 270: pixel built-in memory unit
Claims (20)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셀을 가진 픽셀내장메모리부;
로우 신호 입력단자 및 컬럼 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저주파필터;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2 저주파필터;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상기 셋팅레지스터부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 또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픽셀구동회로.a setting regist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for storing setting values related to pixel driving;
a pixel-embedded memory unit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for storing video data;
a signal sensing unit having a row signal input terminal and a column signal input terminal;
a first low-frequency filter fo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a preset first cut-off frequency for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ing unit;
a second low-frequency filter fo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a preset second cut-off frequency from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to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 first switching unit outpu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low frequency filter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or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and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or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상기 셋팅레지스터부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픽셀구동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ing register unit,
a plurality of set data memory cells for storing set values related to pixel driving; and
A pixel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one flag memory cell for storing a mode value.
상기 셋팅레지스터부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1 저주파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1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2 모드일 때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출력하는, 픽셀구동회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tting register unit outputs the mode value stored in the flag memory cell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mode value is the first mode,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is output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and when the mode value is the second mode,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is transferred to the pixel embedded memory output to the department,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the mode value is the first mode,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is output to the setting register unit, and when the mode value is the second mode, 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is applied to the pixel built-in memory unit. Output, pixel driving circuit.
상기 제1 스위칭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의 데이터 단자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의 데이터 단자에 입력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의 클럭 단자 및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의 클럭 단자에 입력되는, 픽셀구동회로.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witching unit is input to the data terminal of the setting register unit and the data terminal of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input to a clock terminal of the setting register unit and a clock terminal of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셀; 및
모드 플래그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플래그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픽셀구동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xel built-in memory unit,
a plurality of video data memory cells for storing video data; and
A pixel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one flag memory cell for storing a mode flag.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상기 플래그 메모리셀에 저장된 모드값을 상기 신호 감지부에 출력하고,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모드값이 제3 모드일 때 상기 컬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드값이 제4 모드일 때 상기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픽셀구동회로.6. The method of claim 5,
the pixel-embedded memory unit outputs the mode value stored in the flag memory cell to the signal sensing unit;
The signal detection unit,
outputting the column signal when the mode value is a third mode,
and outputting the low signal when the mode value is a fourth mode.
상기 제2 저주파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로 입력되는, 픽셀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ow-frequency filter is input to a reset terminal for erasing data stored in the pixel embedded memory unit.
최초 구동 신호가 상기 셋팅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리셋 단자로 입력되는, 픽셀구동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ixel driving circuit in which an initial driving signal is input to a reset terminal for deleting data stored in the setting register unit.
상기 픽셀내장메모리부는,
각 발광소자의 PWM 구동 종료를 위한 복수의 PWM 종료 메모리셀;을 더 포함하는, 픽셀구동회로.6. The method of claim 5,
The pixel built-in memory unit,
A pixel driving circuit further comprising a; a plurality of PWM termination memory cells for terminating PWM driving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각 PWM 종료 메모리셀은 각 발광소자의 비디오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자리 비트(LSB)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픽셀구동회로.10. The method of claim 9,
Each PWM termination memory cell is located adjacent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video data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the pixel driving circuit.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A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pixel circui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행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로우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스캔라인들을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스캔구동회로;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픽셀 회로들의 컬럼 신호 입력단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컬럼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 circuits according to claim 11 are arranged;
a scan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a row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scan lines connected to row signal input terminals of pixel circuit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a data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a column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es connected to the column signal input terminals of the pixel circuit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상기 로우 신호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입력을 위한 제1 스캔 신호, 비디오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스캔 신호 및 PWM 구동을 위한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w signal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scan signal for inputting a set value related to pixel driving; a second scan signal for inputting video data; and a clock signal for PWM driving.
상기 스캔구동회로는,
최초 구동 신호가 발생된 이후 각 스캔라인마다 제1 스캔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과 연계되어 상기 제2 스캔 신호 및 클럭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can driving circuit is
A display apparatus for outputting a first scan signal once for each scan line after an initial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ting a row signal repeatedly including the second scan signal and the clock signal in association with each frame.
상기 스캔구동회로는,
M-싸이클링 동작 모드에 따라 하나의 제2 스캔 신호마다 M개의 클럭 신호가 반복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can driving circuit is
A display apparatus for outputting a low signal in which M clock signals are repeated for every one second scan signal according to an M-cycling operation mode.
상기 컬럼 신호는,
픽셀 구동과 관련된 설정값 데이터 신호,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진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복수의 발광 소자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lumn signal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t value data signal related to driving a pixel; a video data reset signal having a length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video data signal related to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상기 데이터구동회로는,
최초 구동 신호가 발생된 이후 각 데이터라인마다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먼저 1회 출력하고, 각각의 프레임과 연계되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 리셋 신호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반복 포함하는 컬럼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ata driving circuit is
After the initial driving signal is generated, the set value data signal is first output once for each data line, and a column signal including the video data reset signal and the video data signal is repeatedly outputted in connection with each frame. Device.
상기 설정값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설정값인, 디스플레이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set value data signal is a mode value, and the remaining bits are set values.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가장 큰 자리 비트(MSB)는 모드값이고, 나머지 비트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계조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값인, 디스플레이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video data signal is a mode value, and the remaining bits are video data values related to grayscales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상기 비디오 데이터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저주파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상기 제1 저주파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video data value is within the preset reference time.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cut-off frequency of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and a signal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the cut-off frequency of the first low-frequency filt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334A KR102289927B1 (en) | 2020-11-30 | 2020-11-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KR1020210086029A KR20220076280A (en) | 2020-11-30 | 2021-06-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334A KR102289927B1 (en) | 2020-11-30 | 2020-11-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029A Division KR20220076280A (en) | 2020-11-30 | 2021-06-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9927B1 true KR102289927B1 (en) | 2021-08-19 |
Family
ID=77492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4334A Active KR102289927B1 (en) | 2020-11-30 | 2020-11-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KR1020210086029A Withdrawn KR20220076280A (en) | 2020-11-30 | 2021-06-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029A Withdrawn KR20220076280A (en) | 2020-11-30 | 2021-06-30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899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5130B1 (en) | 2022-08-12 | 2024-09-11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and display apparatus digitally controlling reset of memory in pixel and register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5729A (en) * | 2007-02-13 | 2008-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
KR20120030771A (en) * | 2010-09-20 | 2012-03-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thereof |
KR20170111788A (en) | 2016-03-29 | 2017-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
KR20180076783A (en) * | 2016-12-28 | 2018-07-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20200052618A (en) * | 2018-11-07 | 2020-05-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riving voltage sen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it |
KR102137635B1 (en) * | 2019-12-13 | 2020-07-27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and analog driving method thereof |
KR102137636B1 (en) * | 2019-12-18 | 2020-07-27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and digital driving method thereof |
KR102147402B1 (en) * | 2019-07-03 | 2020-08-24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and Display comprising pixels |
-
2020
- 2020-11-30 KR KR1020200164334A patent/KR102289927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6-30 KR KR1020210086029A patent/KR20220076280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5729A (en) * | 2007-02-13 | 2008-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
KR20120030771A (en) * | 2010-09-20 | 2012-03-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thereof |
KR20170111788A (en) | 2016-03-29 | 2017-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
KR20180076783A (en) * | 2016-12-28 | 2018-07-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20200052618A (en) * | 2018-11-07 | 2020-05-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riving voltage sen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it |
KR102147402B1 (en) * | 2019-07-03 | 2020-08-24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and Display comprising pixels |
KR102137635B1 (en) * | 2019-12-13 | 2020-07-27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and analog driving method thereof |
KR102137636B1 (en) * | 2019-12-18 | 2020-07-27 |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 Pixel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and digital driv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6280A (en)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6270B1 (en) | Sub-pixel driving circuit capable of operating in a low-quality mode and a high-definition mode using the same pixel memor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137636B1 (en) | Pixel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and digital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220960B1 (en) | Pixel circuit reducing static power consump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1776462B2 (en) |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ynamic false contour of display device | |
KR20210092120A (en) | Brightness controlable display apparatus | |
KR102238445B1 (en)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
JP2024528762A (en) |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289927B1 (en) | Pixel driving circuit having less contacting point | |
KR102270511B1 (en) | Pixel driving circuit capable of stopping pwm driving | |
KR20210095536A (en) | Minimulized pixel circuit | |
KR102378251B1 (en) | Pwm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dynamic false contour of display | |
KR102710653B1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2-pin pixel circuit with improved signal detection capability | |
KR102705130B1 (en) | Pixel and display apparatus digitally controlling reset of memory in pixel and register | |
CN114787903B (en) | Pixel with reduced contact number and digital driving method | |
CN114255690A (en) | Display panel an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 |
KR102732582B1 (en) | Display device controlling brightness using a plurality of pwm source signals | |
KR102378259B1 (en) | Pwm signal output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dynamic false contour of display | |
KR102625095B1 (en) | Pixel and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est function | |
KR102773774B1 (en) | Pixel and display apparatus reducing static power consumption | |
US12080227B2 (en) | Pixel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 |
US20250218392A1 (en) | Level shif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
KR20230133557A (en) | Pixel circuit, display apparatus reducing static power consump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17275398A (en) |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
KR20240033458A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pix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