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749B1 - Tube for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Tube for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9749B1 KR102289749B1 KR1020170057955A KR20170057955A KR102289749B1 KR 102289749 B1 KR102289749 B1 KR 102289749B1 KR 1020170057955 A KR1020170057955 A KR 1020170057955A KR 20170057955 A KR20170057955 A KR 20170057955A KR 102289749 B1 KR102289749 B1 KR 102289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pressing
- channel forming
- channel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 F28F2210/08—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 F28F2275/12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by crimping, caulking or cli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용 튜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튜브는: 판 형상의 부재가 굽어져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와, 튜브의 내측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튜브의 내측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채널형성부 및 튜브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튜브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채널형성부를 가압하는 결속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for a tube for a heat exchanger is disclosed. The tube for a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in which a plate-shaped member is ben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moves, and a channel formed in a curved shape installed inside the tube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tube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rt and the tube, and is bent to the inside of the tube to be coupl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inding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channel forming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핀이 삽입된 튜브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e for a heat exchanger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easily manufacturing a tube having a fin inserted therein.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중 열교환기는 열교환매체의 상태를 변화하거나,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의 기능을 구현한다.In general, a heat exchang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mplements a function of cooling or heating by changing a state of a heat exchange medium or heat exchange with external air.
열교환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및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핀을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pair of header ta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d in parallel, and a tube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header tank and forming a flow path of a heat exchange medium, and a heat dissipation fin installed between the tubes.
튜브는 압출 방식과 판재를 접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종류와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된다.The tube can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or folding plate, and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exchanger and required specifications.
종래에는 튜브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할 때, 내부에 삽입된 핀의 쏠림으로 인하여 가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튜브의 양단이 접혀져서 고정되는 작업이 난해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Conventionally, when cutting a tube to a required leng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ocessing defect occur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pin inserted therei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because the work in which both ends of the tube are folded and fixed is difficul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8424호(2017.01.24 공개, 발명의 명칭: 실외열교환기)에 게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08424 (published on January 24, 2017, title of the invention: outdo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핀이 삽입된 튜브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e for a heat exchanger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easily manufacturing a tube having a fin insert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는: 판 형상의 부재가 굽어져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와, 튜브의 내측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튜브의 내측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채널형성부 및 튜브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튜브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채널형성부를 가압하는 결속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in which a plate-shaped member is ben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moves, and a channel installed in a curved shape inside the tube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tube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orming portion and the tube, and is bent to the inside of the tube to be coupled, and includes a binding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channel forming portion.
또한 튜브는, 판 형상의 부재가 채널형성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지며 양 단부는 결속가압부에 연결되는 튜브몸체를 포함하며, 채널형성부의 단부와 마주하는 튜브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채널형성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가압되어 채널형성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ube includes a tube body in which a plate-shaped member is bent in a shape surrounding the channel forming part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binding and pressing part, and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tube body facing th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is a chann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forming portion to form a pressing fixing portion con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channel forming portion.
또한 가압고정부는, 튜브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채널형성부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fixing par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ube body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on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또한 가압고정부는, 튜브몸체의 타측에 위치하며 채널형성부의 타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fixing par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body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ixing par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ther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또한 채널형성부는, 결속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채널과, 고정채널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굽어진 형상에 의해 튜브의 내측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연장채널 및 연장채널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결속가압부에 고정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nnel forming unit includes a fixed channel that is pressed by the binding pressure unit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tube, an extension channel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fixed channel and forming a plurality of channels on the inside of the tube by a curved shape, and the extension chann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straint member extending from the end is fixed to the binding pressing unit.
또한 결속가압부는, 튜브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튜브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지는 제1가압부 및 튜브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튜브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져서 제1가압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채널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pressure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and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tube to surround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channel.
또한 제2가압부는, 튜브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제1가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굽힘몸체 및 굽힘몸체에서 연장되어 제1가압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채널을 튜브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unit is bent inside the tube and install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bending body and extending from the bending body to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to surround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unit and pressing the fixed channel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또한 가압돌기는 "V"자 형상이나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V" shape or a "U" shape.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는, 튜브의 양단이 끼움식 결합 구조를 사용하는 결속가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튜브의 풀림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time because both ends of the tube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binding pressure unit using a fitting-type coupling structure,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by preventing the tube from loosening.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결속가압부와 가압고정부에 의해 채널형성부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튜브의 절단 작업시 채널형성부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가공불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channel forming unit is restricted by the binding pressing unit and the pressing fixing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nel forming unit from moving to one side during the tube cutt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processing de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가공 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가 채널형성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ube befor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가공 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가 채널형성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ube befor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to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는 헤더(5)와 방열핀(7)과 열교환기용 튜브(10)를 포함한다. 2개의 헤더(5)가 한 쌍을 이루며 나란히 설치되며, 헤더(5)를 연결하는 열교환기용 튜브(10)는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상측과 하측에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굽어진 방열핀(7)이 설치되어 방열면적을 증가시킨다.As shown in FIG. 1 ,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0)는, 판 형상의 부재가 굽어져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20)와, 튜브(20)의 내측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튜브(20)의 내측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채널형성부(30)와, 튜브(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튜브(20)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채널형성부(30)를 가압하는 결속가압부(40)를 포함한다.2 to 4, the
튜브(20)는 판 형상의 부재가 굽어져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는 통로인 폐단면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20)는 판 형상의 부재가 채널형성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지며, 중앙부에 위치한 양 단부는 결속가압부(40)에 연결되는 튜브몸체(22)를 포함한다. 판 형상의 튜브몸체(22)는 채널형성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져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튜브몸체(22)의 양측 단부는 튜브(20)의 상측(이하 도 2기준) 중앙부에 위치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튜브(20)의 중앙부에서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튜브몸체(22)의 양측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튜브(20)의 하측에 튜브몸체(22)의 양측 단부가 위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채널형성부(30)의 단부와 마주하는 튜브몸체(22)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채널형성부(30)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가압되어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고정부(24)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압고정부(24)는, 채널형성부(30)를 고정하기 위해 튜브(20)의 양측(도 2기준 좌우)이 채널형성부(30)의 단부를 누르는 형상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고정부(24)는, 튜브몸체(22)의 일측(이하 도 2기준 좌측)에 위치하며 채널형성부(30)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고정부(26)와, 튜브몸체(22)의 타측(이하 도 2기준 우측)에 위치하며 채널형성부(30)의 타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고정부(28)를 포함한다.The
열교환기용 튜브(10)는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제1고정부(26)와 제2고정부(28) 중 어느 한 쪽만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고정부(26)와 제2고정부(28)를 둘다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제1고정부(26)는 채널형성부(30)의 일측 단부와 마주하는 튜브몸체(22)의 일측을 구부려서 채널형성부(30)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채널형성부(30)의 일측 단부는 제1고정부(26)의 내측에 끼어서 이동이 구속된다.The first fixing
제2고정부(28)는 채널형성부(30)의 타측 단부와 마주하는 튜브몸체(22)의 타측을 구부려서 채널형성부(30)의 타측 단부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채널형성부(30)의 타측 단부는 제2고정부(28)의 내측에 끼어서 이동이 구속된다.The
채널형성부(30)는 튜브(20)의 내측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튜브(20)의 내측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분할한다. 채널형성부(30)는 튜브(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와 같은 열교환매체가 이동되기 위한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형성부(30)는 고정채널(32)과 연장채널(34)과 구속부재(36)를 포함한다.The
고정채널(32)은 결속가압부(40)에 의해 가압되어 튜브(20)의 내측에 고정되는 평판 형상이다. 고정채널(32)의 상측(도 2기준)은 결속가압부(40)에 접해 있으며, 고정채널(32)의 하측은 튜브(2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이다.The
연장채널(34)은 고정채널(32)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굽어진 형상에 의해 튜브(20)의 내측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한다. 연장채널(34)은 물결무늬 형상으로 굽어져서 튜브몸체(22)의 폐단면 상측과 하측을 번갈아가며 접하므로 복수의 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연장채널(34)은 열전달율이 높은 재질로 성형되므로, 열교환기용 튜브(10)를 통과하는 열교환매체가 열교환이 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The
구속부재(36)는 연장채널(34)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가압고정부(24)에 고정되는 판 형상이다. 고정채널(32)은 채널형성부(3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고정채널(32)의 양측으로 연장채널(34)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연장채널(34)의 단부에는 구속부재(36)가 각각 연결된다.The
채널형성부(3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튜브(20)의 양측 단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튜브(20)의 양측 구조강성이 증대되므로, 차량의 그릴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돌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튜브(20)의 파손으로 열교환매체가 튜브(20)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both ends of the
결속가압부(40)는 튜브(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튜브(20)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결합되면서 채널형성부(30)를 가압한다. 튜브(20)의 폐단면이 이루어지는 튜브(20)의 중앙부에서 튜브(20)의 양단부는 결속가압부(40)에 연결되므로 결속가압부(40)는 2개의 부재가 한쌍을 이룬다. The binding
결속가압부(40)의 일측 부재는 채널형성부(30)를 가압하기 위해 "V"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며, 결속가압부(40)의 타측 부재는 "V"자 또는 "U"자 형태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One member of the binding pressing
이때 "V"자 형태의 절곡부 또는 "U"자 형태의 라운드 부분은 채널형성부(30)의 고정채널(32)에 접촉되어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제작 공정에서 채널형성부(30)의 유동을 방지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V"-shaped bent part or the "U"-shaped round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가압부(40)는 제1가압부(42)와 제2가압부(44)를 포함한다. 제1가압부(42)는 튜브(2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튜브(20)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지며 수직방향(도 2기준)으로 설치된다.The binding
제2가압부(44)는 튜브(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튜브(20)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져서 제1가압부(42)의 하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가압부(44)의 하측은 고정채널(32)을 가압하므로 고정채널(32)의 이동을 구속한다.The second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압부(44)는, 튜브(20)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제1가압부(4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굽힘몸체(46)와, 굽힘몸체(46)에서 연장되어 제1가압부(42)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채널(32)을 튜브(20)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48)를 포함한다. 굽힘몸체(46)는 제1가압부(42)와 마주하며 튜브(20)의 내측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굽힘몸체(46)의 하측에는 가압돌기(48)가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돌기(48)는 "V"자 형상이나 "U"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가압돌기(48)의 상측을 통하여 제1가압부(42)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된다.The second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일측', '타측'은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측은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좌측을, 타측은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우측을 나타낸다. 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used in the meaning of indicating a direction.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one side represents the left 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채널형성부(30)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고정부(24)가 제1고정부(26)와 제2고정부(28)로 구성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가압고정부(24)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fixing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압고정부(24)가 튜브(20)의 상측이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가압고정부(24)의 설치 위치 및 그 수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and operating state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튜브몸체(22)의 상측에 채널형성부(30)를 위치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22)의 양단을 가압하여 가압고정부(24)를 형성한다. 가압고정부(24)는 채널형성부(30)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져서 채널형성부(30)의 단부를 가압하므로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은 구속된다.As shown in FIG. 3, after positioning the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22)의 타측 단부와 연결된 제2가압부(44)가 채널형성부(30)의 고정채널(32)에 접한 상태에서, 튜브몸체(22)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제1가압부(42)가 가압돌기(48)의 상측의 오목한 홈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가압부(42)는 제2가압부(44)의 상측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제2가압부(44)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4 and 5,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또한 제2가압부(44)의 하측은 고정채널(32)에 접하는 방향으로 고정채널(32)을 가압하므로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한다. 채널형성부(30)는 가압고정부(24)와 결속가압부(40)에 의해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열교환기용 튜브(10)의 절단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0)는, 튜브(20)의 내측에 채널형성부(30)를 고정시키는 공정이 단순화되어 종래 대비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 면적 및 열전달 면적이 종래 대비 증대되어 방열성능과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채널형성부(30)가 삽입된 튜브(20)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기존 압출 타입 튜브에 비해 채널과 튜브(20)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동일 성능의 열교환기(1) 대비 중량이 저감될 수 있다.
In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1)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be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1)에서 튜브(20)의 일측에만 제1고정부(26)가 형성되므로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한다. 또는 튜브(20)의 일측이 아닌 타측에 별도의 고정부가 형성되어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5, since the first fixing
따라서 채널형성부(30)의 일단 또는 타단이 가압고정부(25)에 의해 고정되며, 채널형성부(30)의 가운데 부분도 결속가압부(40)의 가압에 의해 고정되므로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용 튜브(10,11)는, 제조 공정시 채널형성부(30)와 함께 튜브(20)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때, 튜브(20)의 내부에 삽입된 채널형성부(30)의 이동으로 채널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를 2중으로 제공한다.2 and 5, when the tube (10, 11) fo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to a set length along with the
또한 튜브(20)의 좌우 양단에 제1고정부(26)와 제2고정부(28)가 형성되거나, 튜브(20)의 일측 단부에 제1고정부(26)가 형성되거나 튜브(20)의 타측 단부에 제2고정부(28)가 형성되어 두께가 증가하므로 튜브(20)의 단부 부분의 구조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할 때 돌이나 이물질이 튀어서 튜브(20)의 단부를 충격하더라도 튜브(20)의 파손에 의해 튜브(20) 내측의 열교환매체인 냉매가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20)의 양단이 끼움식 결합 구조를 사용하는 결속가압부(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튜브(20)의 풀림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속가압부(40)와 가압고정부(24,25)에 의해 채널형성부(30)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튜브(20)의 절단 작업시 채널형성부(3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가공불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ends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열교환기 열교환매체 5: 헤더 7: 방열핀
10,11: 열교환기용 튜브
20: 튜브 22: 튜브몸체 24,25: 가압고정부 26: 제1고정부 28: 제2고정부
30: 채널형성부 32: 고정채널 34: 연장채널 36: 구속부재
40: 결속가압부 42: 제1가압부 44: 제2가압부 46: 굽힘몸체 48: 가압돌기1: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medium 5: header 7: heat sink fin
10,11: tube for heat exchanger
20: tube 22:
30: channel forming part 32: fixed channel 34: extended channel 36: constraining member
40: binding pressing unit 42: first pressing unit 44: second pressing unit 46: bending body 48: pressing protrusion
Claims (8)
상기 튜브의 내측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튜브의 내측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채널형성부; 및
상기 튜브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튜브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형성부를 가압하는 결속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형성부는, 상기 결속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채널;
상기 고정채널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굽어진 형상에 의해 상기 튜브의 내측에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연장채널; 및
상기 연장채널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가압부는, 상기 튜브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튜브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지는 제1가압부; 및
상기 튜브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튜브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져서 상기 제1가압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채널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제1가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굽힘몸체; 및
상기 굽힘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가압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채널을 상기 튜브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가압돌기의 상측에 구비된 오목한 홈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가압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튜브.
a tube in which the plate-shaped member is ben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is moved;
a channel forming part installed in a curved shape inside the tube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tube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and
It includes; a binding pressure uni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ube, bent to the inside of the tube, the coupling is made, and pressing the channel forming unit;
The channel forming unit may include a fixed channel that is pressed by the binding pressing unit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tube;
an extension channel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xed channel and form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side the tube by a curved shape; and
Containing a constrai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channel;
The binding and pres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and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tube;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tube is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and a second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fixed channel;
The second pressing unit may include: a bent body bent inwardly of the tube and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pressing unit; and
and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bending body and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pressing the fixed channel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ube; and
The first press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rotrusion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pressing part.
상기 튜브는, 판 형상의 부재가 상기 채널형성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굽어지며, 양 단부는 상기 결속가압부에 연결되는 튜브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형성부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튜브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채널형성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가압되어 상기 채널형성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tube is bent in a shape that a plate-shaped member surrounds the channel forming part, and both ends of the tube body are connected to the binding and pressing part;
At least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tube body facing th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is press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to form a pressing fixing part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channel forming part; tube for use.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널형성부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튜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 fixing par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ube body,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one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The tube for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널형성부의 타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튜브.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ssure fixing par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body,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ther end of the channel forming par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가압돌기는 "V"자 형상이나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튜브.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protrusion is a tube for a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V" shape or a "U"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955A KR102289749B1 (en) | 2017-05-10 | 2017-05-10 | Tube for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955A KR102289749B1 (en) | 2017-05-10 | 2017-05-10 | Tube for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802A KR20180123802A (en) | 2018-11-20 |
KR102289749B1 true KR102289749B1 (en) | 2021-08-13 |
Family
ID=6456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7955A Active KR102289749B1 (en) | 2017-05-10 | 2017-05-10 | Tube for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974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5944A (en) * | 2005-05-30 | 2008-12-18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Method of welding tubes for heat exchangers of automobiles, and tubes manufactured by this method |
JP2013536390A (en) * | 2010-06-30 | 2013-09-19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Fluid circulation tube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tube |
JP2013217507A (en) * | 2012-04-04 | 2013-10-24 | Denso Corp | Tube and heat exchanger with the tub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7478B1 (en) * | 1997-12-30 | 2005-07-05 | 한라공조주식회사 | Insert pin of heat exchanger |
-
2017
- 2017-05-10 KR KR1020170057955A patent/KR1022897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5944A (en) * | 2005-05-30 | 2008-12-18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Method of welding tubes for heat exchangers of automobiles, and tubes manufactured by this method |
JP2013536390A (en) * | 2010-06-30 | 2013-09-19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Fluid circulation tube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tube |
JP2013217507A (en) * | 2012-04-04 | 2013-10-24 | Denso Corp | Tube and heat exchanger with the tu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802A (en) | 2018-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62390A (en) | Evaporator | |
KR101291034B1 (en) | Heat Exchanger | |
KR20130098292A (en) | Heat exchanger 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tubes and method for producing one such tube | |
EP3370027B1 (en) | Extruded aluminum flat multi-hole tube and heat exchanger | |
KR20180093285A (en) | Heat Exchanger | |
WO2011148786A1 (en) | Tub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ube for heat exchanger | |
KR102289749B1 (en) | Tube for heat exchanger | |
WO2019234847A1 (en) | Heat exchanger | |
WO2013187435A1 (en) | Heat exchanger | |
JP2018044707A (en) | Heat exchanger | |
KR101693242B1 (en) | A heat exchanger | |
KR20120002075A (en) | Plate heat exchanger | |
US11940219B2 (en)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 |
KR20190072413A (en) | Heat exchanger | |
CN212362502U (en) | Heat exchanger | |
JP6088754B2 (en) | Heat exchanger | |
WO2015050147A1 (en) | Method for forming end plate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end plate formed with this method | |
KR102080801B1 (en) | Device for heat transfer | |
KR101693244B1 (en) | A heat exchanger | |
KR101239895B1 (en) | Fixing bracket for fixing heat exchanger | |
US11041676B2 (en) | Heat exchanger | |
CN102230696A (en) |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 |
CN212692661U (en) | Radiator core | |
KR102174251B1 (en) | A tbe for heat exchanger | |
WO2021130917A1 (en) |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