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8114B1 -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 Google Patents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114B1
KR102288114B1 KR1020200188860A KR20200188860A KR102288114B1 KR 102288114 B1 KR102288114 B1 KR 102288114B1 KR 1020200188860 A KR1020200188860 A KR 1020200188860A KR 20200188860 A KR20200188860 A KR 20200188860A KR 102288114 B1 KR102288114 B1 KR 10228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filter
sterilizing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영식
Original Assignee
한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식 filed Critical 한영식
Priority to KR102020018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1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1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mplex sterilizing air cleaner that aims to move outdoor air in multiple paths and continuously apply sterilizing power to the moving outdoor air while adsorbing bacteria, pathogens, fine dust, dust, etc.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hereby increasing air cleaning efficiency. The multi-complex sterilizing air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a filter unit, a sterilizing unit, an intake unit, a vent unit, and a path increasing unit.

Description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본 발명은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흡입하여 다중 복합적으로 살균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clean air by sterilizing air in multiple combinations.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polluted air, purifies it,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일예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 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dust or bacteria in the air.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A humid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air, humidifies it, and then discharges it in order to provide moisture to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Conventional humidifiers are divided into a vibrating type in which water is atomized by a diaphragm and discharged into the air, and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by a humidifying filter.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 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s divided into a disc-type humidifier that rotates a disk using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ication filter-type humidifier that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moistened with water. do.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some of the air flowing dur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is filtered by the filter. However,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is weak because the humidification function is the main function.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humidifying air purifier with a humidification function added to the air purifier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전기 가습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종래기술이 소개된다.In relation to such an electric humidifying air purifier, the following prior art is introduced.

1. 한국 등록특허 번호 (등록일자) : 10-1765663 (2011년 12월 30일)1. Korea registered patent number (registration date): 10-1765663 (December 30, 2011)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방법 위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의 전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공기는 가습후 상방으로 방향 전환되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2. Title of invention: Air purifier and its operation method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ir sucked in from the front of the air purifier is filtered while flowing backward, an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after being humidified. is composed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 following problems appear.

첫째,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직한 방향으로 꺽이면서 유동하므로, 유동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First, sinc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flows while being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luidity performance may be reduced.

둘째, 단순히 공기 청정 및 가습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온풍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it is configured to simply perform air cleaning and humidification func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warm air cannot be performed.

셋째, 가습유로 개폐유닛을 별도로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가습을 수행하므로, 제어가 복잡하여 공기 청정기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Third, since humidification is selectively performed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the control is complicated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air purifier may be deteriorated.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실내 공기 완벽하게 청정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product capable of completely purifying indoor air while not hav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s.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3760호(2018.07.03.)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3760 (2018.07.0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기를 다중경로로 이동시키고, 이동하는 외기에 살균력을 지속적으로 작용시키면서 외기에 포함된 세균, 병원균, 미세먼지, 먼지 등을 흡착함으로써, 공기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moves outdoor air in multiple paths, and while continuously applying sterilizing power to the moving outdoor air, it adsorbs bacteria, pathogens, fine dust, dust, etc. included in the outdoor air.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capable of improving air clean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공기통로를 갖는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와 제2 필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살균부를 통과하는 통기의 경로를 증가시키는 경로증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외기는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의 흡기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공기통로와 살균부 및 제2 필터부재의 공기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되며, 상기 경로증가부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한 산부 및 상기 산부와 연결되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부와 골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파형형상을 이루며, 상기 골부와 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들에는 상기 살균부가 관통되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된다.A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filter uni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he filter unit including a first filter member and a second filter member having an air passage; a steriliz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cking outside air; a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ace the suction unit with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ing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or discharging air in the main body unit; and a path increas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to increase the path of ventilation passing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wherein th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unit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It is discharged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he sterilization unit, and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by the intake operation, and the path increa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mountain and the mountain to increase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at least two or more of the ridges and troughs are continuously cross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orrugated shape, and the inclined surfaces formed by the troughs and the ridges have holes through which air passes while the sterilizing part penetrates.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는 각각, 상기 공기통로를 갖는 통과부; 및 상기 공기통로에 다수 채움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includes a passage having the air passage; and a filter unit filled in a plurality of the air passages.

또한, 상기 통과부는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ssing part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part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은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And,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 granular shape having a hollow,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유닛의 사이공간 및 상기 중공을 통과하면서 살균된다.The air is steril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hollow.

또한, 상기 필터유닛은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acts on the air passing there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경로증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홀을 포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n opening for selectively introducing or withdrawing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to close the opening part, and an exposure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h increasing part It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comprising 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필터부; 상기 필터부들에 감싸여지는 살균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외기는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의 흡기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부와 살균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된다.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plurality of filter unit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sterilization unit wrapped around the filter units; a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cking outside air; and a discharge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face the suction unit with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ing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or discharging air in the main body unit; It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sequentially by the intake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부의 사이공간 및 상기 중공을 통과하면서 살균된다.And,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 granular shape having a hollow, and the air is steril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part and the hollow.

또한, 상기 필터부는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it.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pening for selectively introducing or withdrawing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ing unit is formed i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누출방지막;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개의 통공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통공을 가리도록 덮개부에 결합되며,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가드막;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to close the opening, a leak-proof film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missive material; a cov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close the opening,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guard film coupled to the cover to cover the through hole and formed of a permeabl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는, 외기를 다중경로로 이동시키고, 이동하는 외기에 살균력을 지속적으로 작용시키면서, 외기에 포함된 세균, 병원균, 미세먼지, 먼지 등을 흡착함으로써, 공기의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ulti-composite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utdoor air in multiple paths, and while continuously applying sterilizing power to the moving outdoor air, by adsorbing bacteria, pathogens, fine dust, dust, etc.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본체부와 흡입부 및 배출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통과부와 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본체부와 흡입부 및 배출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and discharge parts applied to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ssage unit and a filter unit applied to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art and the exhaust part applied to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본체부와 흡입부 및 배출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통과부와 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dy portion, a suction unit and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exhaust par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ssage part and the filter unit applied to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는 가정집, 사무실, 점포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실내 공기를 청정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can purify indoor air in various places such as homes, offices, and stores.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는 흡입한 공기를 다중경로로 우회시켜 가면서 여러 번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by sterilizing it several times while diverting the inhaled air through a multi-path.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는 본체부(10), 필터부(20), 살균부(30), 경로증가부(60), 흡입부(40) 및 배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 a filter unit 20 , a sterilization unit 30 , a path increase unit 60 , and a suction unit 40 . ) and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unit 50 may be included.

본체부(10)는 전면에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an opening 10a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본체부(10)의 개구부(10a)를 통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후술되는 필터부(20) 및 살균부(30)를 설치할 수 있고, 필터부(20), 살균부(30)에 이상 발생 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할 수 있다.A filter unit 20 and a sterilization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unit 10 through the opening 10a of the body unit 10, and the filter unit 20 and the sterilization unit 30 In case of abnormality,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or repaired.

이때, 본체부(10)는 다각형 형상, 곡선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nd a curved shape, and the figure shows an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도 1을 기준으로 본체부(10)의 하측 내부에는 후술되는 흡입부(40)가 수용되고, 상측 내부에는 후술되는 배출부(50)가 수용된다.Referring to FIG. 1 , a suction par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a discharge par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upper side.

그리고, 본체부(10)의 하측에는 흡입부(40)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차단막(11)이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상측에는 배출부(50)의 하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차단막(1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lower blocking film 11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50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5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 The upper blocking film 1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s formed.

즉, 흡입부(40)는 본체부(10)의 바닥면과 하부 차단막(11)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출부(50)는 본체부(10)의 천장면과 상부 차단막(12)의 사이에 배치된다.That is, the suction unit 40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unit 10 and the lower blocking film 11 , and the discharge unit 50 is dispos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ody unit 10 and the upper blocking film 12 . is placed on

이때, 하부 차단막(11)은 대략 'ㄴ'자 단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차단막(12)은 대략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blocking film 1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pproximately '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upper blocking film 1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pproximately 'L' cross-sectional shape.

그리고, 본체부(10)의 내벽면과 하부 차단막(11)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제1 통과부(211)의 하측이 위치되는 연결공간(10b)이 형성되고, 본체부(10)의 내벽면과 상부 차단막(12)의 사이에는 제2 통과부(221)의 상측이 위치되는 연결공간(10c)이 형성된다.An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blocking film 11, a connection space 10b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assage 211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s formed,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A connection space 10c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is located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locking film 12 and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

이때, 하부 차단막(11)은 일측이 본체부(10)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은 제1 통과부(2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lower blocking film 11 may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ssing part 21 .

그리고, 상부 차단막(12)은 일측이 본체부(10)의 내벽면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은 제2 통과부(22)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upper blocking film 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assage part 22 .

또한, 본체부(10)의 하측과 상측에는 배출방지막(13,14)이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discharge prevention films 13 and 1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main body 10 .

배출방지막(13)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이 본체부(10)의 전면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revention film 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sides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배출방지막(13)을 통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외부 공기(이하 '공기'라 함.)가 외부로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 차단막(11)을 통해 흡입부(40)에 흡입된 공기가 살균부(30) 측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revention film 13 from leaking out, and the suction part ( 4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directly to the sterilization unit 30 side.

배출방지막(14)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이 본체부(10)의 전면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revention film 1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sides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상부 차단막(12)과 배출방지막(14)을 통해 제2 통과부(221)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다시 살균부(3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second passage unit 221 through the upper blocking film 12 and the discharge preventing film 14 from moving to the sterilizing unit 30 again.

그리고, 하부 차단막(10)을 통해 제1 통과부(211)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배출부(50)에 바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first passing unit 211 through the lower blocking film 10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discharge unit 50 .

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 차단막(11)을 통해 흡입부(40)에 흡입된 공기가 살균부(30) 측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40 through the lower blocking film 11 moves directly to the sterilization unit 30 side. can be prevented

본체부(10)의 개방된 부분은 덮개부(7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The ope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closed by the cover portion 70 .

이때, 덮개는 본체부(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may be bolted to the main body 10 .

도 1을 기준으로 덮개부(70)의 하측에는 흡입부(40)와 대향되어 흡입부(40)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70b)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배출부(50)와 대향되어 배출부(50)가 살균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70c)가 형성된다.1, a suction port 70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70 to be opposed to the suction part 40 so that the suction part 40 can suck air, and a discharge part 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he outlet 70c is formed to be opposed to the outlet 50 to discharge the sterilized air.

필터부(20)는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 필터부재(21) 및 제2 필터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 may include a first filter member 21 and a second filter member 2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

제1 필터부재(21)는 제1 통과부(211) 및 제1 필터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lter member 21 may include a first passing part 211 and a first filter unit 212 .

제1 통과부(211)는 도 1을 기준으로 본체부(10)의 우측벽에 고정된다.The first passing part 211 is fixed to the right wall of the body part 10 with reference to FIG. 1 .

제1 통과부(211)는 다각형 형상, 원형,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직사각형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first passing part 2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nd the like, and an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제1 통과부(211)는 내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저면에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The first passage 211 has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therein, an inle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unit 40 is introduc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제1 통과부(211)는 입구가 연결공간(10b)에 위치되도록 본체부(1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The first passage portion 211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inlet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space (10b).

그리고, 제1 통과부(211)는 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살균부(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상부 차단막(12)과 소정간격 이격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unit 21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locking film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can move toward the sterilization unit 30 .

제1 필터유닛(212)은 제1 통과부(211)의 공기통로에 다수 채움되는 것으로,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unit 212 fills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passage unit 211 in large numbers, and may be formed in a granular shape having a hollow.

제1 필터유닛(212)은 제1 통과부(211)의 공기통로에 규치적인 형태 또는 불규칙한 형태로 채움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unit 212 may fill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passage unit 211 in a regular or irregular shape.

하나의 예시에서, 제1 필터유닛(212)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전기 작용에 의해 흡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합성수지, 플라스틱이 적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filter unit 2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dsorb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by an electrostatic action, and as the material,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y be applied.

이때, 제1 필터유닛(212) 및 제1 통과부(211)는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간접적으로 작용하도록 투명,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unit 212 and the first passing part 21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nd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part 30 indirectly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제1 필터유닛(212)은 부직포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면과 내면에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filter unit 212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terial,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can

따라서,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필터유닛(212)들의 사이 공간 및 중공을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를 통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pace and the hollow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s 212 and is then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outlet.

이때, 제1 통과부(211)의 입구 및 배출구는 공기통로 내의 제1 필터유닛(212)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음 처리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irst passage 211 may be blocked to prevent the first filter unit 212 in the air passage from being drawn out.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23)의 내부에 다수개의 제1 필터유닛(212)을 세운상태로 고정한 다음, 사각틀(23)을 제1 통과부(211)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삽입하여 제1 필터유닛(2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first filter units 212 are fixed in an upright state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23 , and then the rectangular frame 23 is attache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irst passing part 211 .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212 by inserting each.

이때, 사각틀(23)은 제1 통과부(211)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필터유닛(212)은 접착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필터유닛(212)은 사각틀(23)의 내벽면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quare frame 2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assing portion 211 with an adhesive, and the first filter unit 2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unit 212 disposed on the edge may be bon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quare frame 23 with an adhesive.

한편, 제2 필터부재(22)는 제2 통과부(221) 및 제2 필터유닛(22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ilter member 22 may include a second passing part 221 and a second filter unit 222 .

제2 통과부(221)는 도 1을 기준으로 본체부(10)의 좌측벽에 고정된다.The second passing part 221 is fixed to the left wall of the main body 10 with reference to FIG. 1 .

제2 통과부(221)는 제1 통과부(211)와 동일하게 다각형 형상, 원형,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직사각형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second passing portion 2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nd the lik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assing part 211 , and an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is shown in the drawings.

제2 통과부(221)는 내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저면에 제1 통과부(211)에서 배출된 후 살균부(30)를 거쳐서 온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has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therein,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hot air flows through the sterilization portion 30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first passage portion 2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제2 통과부(221)는 상측이 연결공간(10c)과 마주하도록 본체부(1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upper side faces the connection space (10c).

그리고, 제2 통과부(221)는 살균부(30)를 거쳐온 공기가 입구를 통해 공기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저면이 하부 차단막(11)과 소정간격 이격된다.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ssage part 221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locking film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rilization part 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through the inlet.

이러한, 제2 통과부(221)는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간접적으로 작용하도록 투명,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portion 30 indirectly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제2 필터유닛(222)은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에 다수 채움되는 것으로,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unit 222 fills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age part 221 in a plurality, and may be formed in a hollow particle shape.

제2 필터유닛(222)은 제1 필터유닛(212)과 동일하게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에 불규칙한 형태로 채움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unit 222 may be filled in an irregular shape in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age unit 221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filter unit 212 .

하나의 예시에서, 제1,2 필터유닛(212,222)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전기 작용에 의해 흡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합성수지, 플라스틱이 적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212 and 2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dsorb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by an electrostatic action, and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y be applied as the material.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제2 필터유닛(222)은 부직포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면과 내면에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filter unit 222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a plastic material, to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can

따라서,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필터유닛(222)들의 사이 공간 및 중공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pace and the hollow between the second filter units 222 .

이때, 제2 통과부(221)의 입구 및 배출구는 공기통로 내의 제2 필터유닛(222)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음 처리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econd passage part 221 may be blocked to prevent the second filter unit 222 in the air passage from being drawn out.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23)의 내부에 다수개의 제2 필터유닛(222)을 세운상태로 고정한 다음, 사각틀(23)을 제2 통과부(221)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삽입하여 제2 필터유닛(2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second filter units 222 are fixed in an upright state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23 , and then the rectangular frame 23 is attache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econd passing part 2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econd filter unit 222 by inserting each.

이때, 사각틀(23)은 제2 통과부(221)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필터유닛(222)은 접착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필터유닛(222)은 사각틀(23)의 내벽면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quare frame 2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with an adhesive, and the second filter unit 2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unit 222 disposed at the edge may be bon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quare frame 23 with an adhesive.

살균부(30)는 제1 통과부(211)와 제2 통과부(221)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sterilizing part 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ssing part 211 and the second passing part 221 .

살균부(30)는 본체부(10)의 내벽면에 배치된 "C"자 단면 형상의 홀더(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30 may be fixed to the holder 15 having a “C” cross-sectional shape dispo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unit 10 .

살균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sterilization unit 30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body unit 10 .

살균부(30)는 UV램프 또는 살균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적용되어 제1 통과부(211)와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 및 제1 통과부(211)와 제2 통과부(221)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및 제1 통과부(211)와 제2 통과부(221)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함으로써, 깨끗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erilization unit 30 is applied as a UV lamp or a product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so that the air passages of the first passa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and the first passa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are applied. ) by steriliz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ssing part 211 and the second passing part 221 , so that clean air can be supplied to the room.

경로증가부(60)는 제1 통과부(211)에서 배출된 공기의 경로를 증가시켜, 공기가 살균부(3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ath increasing unit 6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path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passing unit 211 so that the air can be sufficient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30 .

이를 위해 경로증가부(60)는 산부(61) 및 산부(61)와 연결되는 골부(6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ath increasing part 60 may include a mountain part 61 and a valley part 62 connected to the mountain part 61 .

그리고, 경로증가부(60)는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공기에 작용하도록 투명,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h increasing unit 6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acts on the air.

또한, 상기 산부(61)와 골부(62)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eaks 61 and the valleys 62 may be formed to continuously cross each other.

그리고, 산부(61)와 골부(62)는 싸인파, 직사각형파, 삼각파, 방형파, 사다리꼴파, 계단파, 톱니파, 펄스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aks 61 and the valleys 62 may be formed in any one shape selected from a sine wave, a rectangular wave, a triangular wave, a square wave, a trapezoidal wave, a staircase wave, a sawtooth wave, and a pulse wave.

도면에는 산부(61)와 골부(62)가 싸인파 형상으로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eak 61 and the valley 62 are connected in a sine wave shape.

골부(62)와 산부(61)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63)들에는 살균부(30)가 관통되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홀(63a)이 각각 형성된다.Holes 63a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the sterilizing part 30 penetrates ar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s 63 formed by the valleys 62 and the peaks 61, respectively.

이때, 각각의 경사면(63)에 형성된 홀(63a)들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holes 63a formed in each inclined surface 63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그리고, 경로증가부(60)는 산부(61)와 골부(62)가 각각 제1 통과부(211) 및 제2 통과부(221)와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th increasing part 60 , the peak 61 and the valley 6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ssing part 211 and the second passing part 221 , respectively.

따라서, 후술되는 흡기부에 의해 제2 통과부(221) 측으로 흐르는 공기 중 일부는 산부(61)와 골부(62)를 반복적으로 타고 상승하거나 하강된 후 제2 통과부(221)로 이동되며, 그 과정에서 공기가 살균부(3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된다.Accordingly, some of the air flowing toward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by the intake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ascends or descends repeatedly on the mountain portion 61 and the valley portion 62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In the process, the air is sufficient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30 .

그리고, 다른 일부 공기는 홀(63a)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살균부(3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된다.In addition, some other air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holes 63a and is sufficiently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unit 30 .

나아가, 경사면(63)은 홀(63a)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기를 정체시킴에 따라, 공기가 살균부(30)에 의해 충분히 살균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inclined surface 63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hole 63a to stagnate the air, so that the air can be sufficiently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30 .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는 경로증가부(60) 및 살균부(30)가 한 개로 적용되며, 경로증가부(60)는 홀(63a)들을 통해 살균부(30) 전체를 간헐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increasing unit 60 and the sterilizing unit 30 are applied as one, and the path increasing unit 60 is the hole 63a. )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30 may be arranged in a form that intermittently surrounds the whole.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살균부(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적용되며, 경로증가부(60)는 홀(63a)들을 통해 모든 살균부(30)를 간헐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at least two or more sterilizing units 30 are applied, and the path increasing unit 60 may be arranged in a form that intermittently surrounds all sterilizing units 30 through the holes 63a.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살균부(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적용되고, 경로증가부(60)는 살균부(3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며, 각각의 경로증가부(60)는 홀(63a)들을 통해 각각의 살균부(30)를 간헐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terilization unit 30 is applied in at least two or more, the path increasing unit 60 is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sterilizing unit 30, and each path increasing unit 60 is a hole ( 63a) through each sterilizing unit 30 may be arranged in a form that intermittently surrounds.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로증가부(60)는 전술한 홀(63a)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아니하며 살균부(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본체부(10)의 내벽면에 접착제나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ath increasing unit 6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erilization unit 30, respectively, with or without the aforementioned hole 63a,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It can be fixed to the wall with glue or bolts.

어느 하나의 경로증가부(60)는 제1 통과부(211) 및 살균부(30)와 이격되며, 다른 하나의 경로증가부(60)는 제2 통과부(221) 및 살균부(30)와 이격된다.One path increasing unit 6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ssing unit 211 and the sterilizing unit 30 , and the other path increasing unit 60 is the second passing unit 221 and the sterilizing unit 30 . separated from

따라서, 공기는 제1 통과부(211)와 경로증가부(60)의 사이, 살균부(30)와 제1 경로증가부(60)의 사이 및 제2 통과부(221)와 경로증가부(6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살균부(30)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s between the first passing unit 211 and the path increasing unit 60, between the sterilizing unit 30 and the first path increasing unit 60, and the second passing unit 221 and the path increasing unit ( 60) may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30 while passing between the two.

부가적으로, 전술한 덮개부(70)에는 경로증가부(60)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홀(70a)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n exposure hole 7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ath increasing part 60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cover part 70 .

노출홀(70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증가부(60)와 동일한 싸인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posure hole 70a may be formed in the same sine wave shape as the path increasing part 60 as shown in the drawing.

노출홀(70a)로 인해 살균부(30)의 광이 외부로 투과되어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정청기의 디자인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The light of the sterilization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due to the exposure hole 70a, so that the design of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can be excellent.

이때, 살균부(30)를 UV 램프로 적용할 경우, UV가 사용자의 눈에 직접 보여지면 아니됨으로, 덮개부(7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노출홀(70a)을 가리는 투명소재의 차단막(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terilization unit 30 is applied as a UV lamp, UV is not directly visible to the user's eyes, so a blocking film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overs the exposure hole 70a on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70 (not shown) may be installed.

차단막은 아크릴재질, 플라스틱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crylic material and plastic material.

한편, 흡입부(40)는 모터,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공기를 흡입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흡입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unit 40 may be formed as a suction fan including a motor and rotating blades for sucking air while rotating in place by the power of the motor.

배출부(50)는 필터부(20) 및 살균부(30)를 사이에 두고 흡입부(4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ction unit 40 with the filter unit 20 and the sterilization unit 30 interposed therebetween.

배출부(50)는 모터,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어 제2 통과부(22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배출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 may be formed as an exhaust fan including a motor and rotating blades that are rotated in place by the power of the motor to suck in air in the second passage unit 22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한편,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으로 눕혀진 형태, 일정각도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vertically erected 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shows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1)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unique effects appearing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흡입부(40)가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덮개부(70)의 흡입구(70b)를 통해 흡입되어 도2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First, when the suction unit 40 is operated,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70b of the cover unit 70 and moved along the arrow direction of FIG. 2 .

흡입된 공기는 제1 통과부(211)의 입구를 통해 공기통로에 유입된 후 상승되면서 제1 필터유닛(212)들의 사이 및 제1 필터유닛(212)의 중공을 통해 상승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The suck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through the inlet of the first passage unit 211 and then ascends while rising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s 212 and through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unit 212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do.

이때, 공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먼지, 병균, 세균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제1 필터유닛(212)들에 흡착되어, 필터링 된 공기가 제1 통과부(211)의 배출구를 통해 제1 통과부(211)와 제2 통과부(221)의 사이 공간, 즉, 살균부(30) 측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air rising,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dust, germ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are adsorbed to the first filter units 212 , and the filtered air flows through the first passage unit 211 . It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ssing part 211 and the second passing part 221 through the outlet, that is, to the sterilizing part 30 side.

이러한, 제1 필터유닛(212)을 통해 공기의 멸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is,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21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air.

그리고, 제1 통과부(211)의 공기통로에 위치된 공기에는 살균부(30)의 살균력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다수개의 제1 필터유닛(212)들이 촘촘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를 정체시킨다.And,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acts on the air located in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passing unit 211 . 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units 212 keep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ir is stagnant.

따라서,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공기에 충분히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air.

나아가, 제1 필터유닛(212)들은 제1 통과부(211)의 공기통로에 불규칙한 형태로 채움되는바, 일부는 수평으로 눕혀지고, 다른 일부는 수직으로 세워지며, 다른 일부는 사선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형태가 된다.Further, the first filter units 212 are filled in an irregular shape in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passing unit 211, some are laid down horizontally, some are erected vertically, and some are erected obliquely. becomes the form

따라서, 공기 중 일부 양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1 필터유닛(212)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 공기가 과도하게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공기를 살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ome amount of air rises along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unit 212 erected vertically or inclinedly,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stagnant air, and consequently the time required to sterilize the air excessively. can be avoided.

한편, 살균부(30) 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흡입부(40)의 흡기력에 의해 하강된 후 제2 통과부(221)의 입구를 통해 공기통로로 유입된다.Meanwhile, the air discharged to the sterilization unit 30 is lower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4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through the inlet of the second passage unit 221 .

이때, 공기는 하강되는 과정에서 살균부(30)의 다시 한번 살균된다.At this time, the air is sterilized once again by the sterilization unit 30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더욱이, 경로증가부(60)의 산부(61)와 골부(62)로 인해 공기가 제2 통과부(221)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공기에 충분히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is sufficient for the air beca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for the air to reach the second passage 221 due to the peaks 61 and the valleys 62 of the path increasing unit 60 . can make it work.

한편,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에 유입된 공기는 배출부(50)의 흡기력에 의해 상승된다. 그리고, 공기가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를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먼지, 병균, 세균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제2 필터유닛(222)들에 흡착되어, 필터링 된 깨끗한 공기만 제2 통과부(221)의 배출구와 덮개부(70)의 배출구(70c)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age portion 221 is raised by the intake force of the discharge portion (50).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ir ascending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age unit 221 ,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dust, germ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are adsorbed to the second filter units 222 and filtered. Only the cleaned air passed through the outlet of the second passing part 221 and the outlet 70c of the cover part 70 sequentiall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제2 필터유닛(222)을 통해 공기의 멸균효과를 2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air can be improved secondarily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222 .

그리고,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에 위치된 공기에는 살균부(30)의 살균력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다수개의 제2 필터유닛(222)들이 촘촘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를 정체시킨다.And,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acts on the air located in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ing unit 221 . 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filter units 222 maintain a closely contacted state, the air is stagnant.

따라서,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공기에 충분히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air.

나아가, 제2 필터유닛(222)들은 제2 통과부(221)의 공기통로에 불규칙한 형태로 채움되는바, 일부는 수평으로 눕혀지고, 다른 일부는 수직으로 세워지며, 다른 일부는 사선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형태가 된다.Further, the second filter units 222 are filled in an irregular shape in the air passage of the second passing part 221, some are laid down horizontally, some are erected vertically, and some are erected obliquely. becomes the form

따라서, 공기 중 일부 양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1 필터유닛(212)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 공기가 과도하게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공기를 살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ome amount of air rises along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unit 212 erected vertically or inclinedly,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stagnant air, and consequently the time required to sterilize the air excessively. can be avoid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에 적용된 본체부와 흡입부 및 배출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multi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applied body part, the suction part, and the exhaust par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필터부(80),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필터부(80)들에 감싸여지는 살균부(30), 본체부(10)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40); 및 필터부(80) 및 살균부(30)를 사이에 두고 흡입부(40)와 대향되도록 본체부(10)에 설치되고, 본체부(1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 , a plurality of filters 8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 and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 a sterilization unit 30 installed and wrapped in the filter units 80 , a suction unit 40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 and sucking air; and at least of the discharge part 50 installed in the body part 10 to face the suction part 40 with the filter part 80 and the sterilization part 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or discharging air in the body part 10 .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본체부(10), 살균부(30), 흡입부(40) 및 배출부(5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본체부(10), 살균부(30), 흡입부(40) 및 배출부(5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0, the sterilization unit 30, the suction unit 40 and the discharge unit 50 of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Since the main body part 10, the sterilization part 30, the suction part 40, and the exhaust part 50 of the balanced air purifier are the same,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본체부(10)의 하측에는 흡입부(40)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차단막(11)이 형성된다.A lower blocking film 1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하부 차단막(11)에는 후술되는 필터부(80)들을 지지하면서 흡입부(40)의 의해 흡기된 공기를 필터부(80) 및 살균부(30) 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1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lower blocking film 11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a for raising the air sucked in by the suction unit 40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80 and the sterilization unit 30 while supporting the filter units 80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본체부(10)의 상측에는 배출부(50)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부 차단막(1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blocking film 12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unit 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부 차단막(12)에는 배출부(50)에 의해 흡기된 공기와 통과하는 복수개의 통과관(1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e upper blocking film 12 , a plurality of passage tubes 12a passing through the air sucked in by the discharge unit 5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필터부(80)는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lter part 80 is formed in a granular shape having a hollow.

이때, 필터부(80)는 전술한 제1,2 필터유닛(212,222)과 동일하게,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전기 작용에 의해 흡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합성수지, 플라스틱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unit 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dsorb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by an electrostatic action,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s 212 and 222 described above, and the material is a synthetic resin. , plastics can be applied.

이때, 제1 필터유닛(212) 및 제1 통과부(211)는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간접적으로 작용하도록 투명,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unit 212 and the first passing part 21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nd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part 30 indirectly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필터부(80)는 부직포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면과 내면에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lter unit 8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terial, and a non-woven fabric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

필터부(80)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채움되며, 필터부(80)의 일부량이 살균부(30)를 감싸게 된다.A plurality of filter units 80 are applied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body unit 10 , and a partial amount of the filter unit 80 surrounds the sterilization unit 30 .

필터부(80)는 공기에 살균부(30)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8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acts on the air.

본체부(10)의 개구부(10a)에는 필터부(80)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출방지막(90)이 설치된다.A leak prevention film 9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10a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the filter part 8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누출방지막(90)은 개구부(10a)를 폐쇄하되 살균부(30)의 광원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ak-proof film 90 closes the opening 10a, but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missive material so that the light source of the sterilization unit 3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그리고, 본체부(10)에는 덮개부(7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70 may be hinged to the body part 10 .

덮개부(70)는 개구부(10a)를 폐쇄하고 있는 누출방지막(90)을 가린다.The cover part 70 covers the leak prevention film 90 which closes the opening part 10a.

덮개부(70)에는 살균부(30)의 광원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노출홀(70a)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exposure holes 70a for transmitting the light source of the sterilization unit 30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cover part 70 .

그리고, 덮개부(70)의 내면 즉, 누출방지막(90)과 마주하는 면에는 가드막(100)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guard film 1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70 ,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leakage preventing film 90 .

즉, 살균부(30)의 광원은 노출홀(70a)들을 통해 외부로 투과되어 전방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보여지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light source of the sterilization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s 70a and is visible to people located in the front. that can make it look like it.

이때, 가드막(100)은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흰 색상을 갖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어 사람들의 눈을 보호한다.At this time, the guard film 100 is formed of a transmissive material and is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having a white color to protect people's eye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ique effects appearing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흡입부(40)가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덮개부(70)의 흡입구(70b)를 통해 흡입된 후 하부 차단막(11)의 통과홀(11a)들을 통해 상승된다.First, when the suction unit 40 operates, external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70b of the cover unit 70 and then ascends through the passage holes 11a of the lower blocking film 11 .

이어서 공기는 필터부(80)들의 사이 및 필터부(80)의 중공을 통해 상승된다.Then, the air rises between the filter parts 80 and through the hollow of the filter part 80 .

이때, 일부 공기는 살균부(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나머지는 공기에는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공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먼지, 병균, 세균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필터부(80)들에 흡착된다.In this case, some of the ai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erilizing unit 30 , and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indirectly acts on the rest of the air. In addition,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dust, germ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are adsorbed to the filter units 80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air.

특히, 다수개의 필터부(80)들이 촘촘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를 정체시킨다. 따라서, 살균부(30)의 살균력이 공기에 충분히 작용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filter units 80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the air is stagnant. Accordingly,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30 is sufficiently applied to the air.

나아가, 필터부(80)들은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불규칙한 형태로 채움되는바, 일부는 수평으로 눕혀지고, 다른 일부는 수직으로 세워지며, 다른 일부는 사선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형태가 된다.Furthermore, the filter parts 80 are filled in irregular shapes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 some of which are laid down horizontally, others are erected vertically, and other parts are erected obliquely. .

따라서, 공기 중 일부 양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필터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 공기가 과도하게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공기를 살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ome amount of air rises along the hollow of the filter erected vertically or obliquely,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stagnation of the air,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time required for sterilizing the air. there is.

한편, 상부 차단막(12)까지 상승된 공기는 통과관(12a)을 통해 상승된 후 배출구(70c)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rising to the upper blocking film 12 rises through the passage pipe 12a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70c.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10 : 본체부
10a : 개구부 10b,10c : 연결홀
11 : 하부 차단막 11a : 통과홀
12 : 상부 차단막 12a : 통과관
13,14 : 배출 방지막 15 : 홀더
20,80 : 필터부 21 : 제1 필터부재
211 : 제1 통과부 212 : 제1 필터유닛
22 : 제2 필터부재 221 : 제2 통과부
222 : 제2 필터유닛 23 : 사각틀
30 : 살균부 40 : 흡입부
50 : 배출부 60 : 경로증가부
61 : 산부 62 : 골부
63 : 경사면 63a : 홀
70 : 덮개부 70a : 노출홀
70b : 흡입구 70c : 배출구
90 : 누출방지막 100 : 가드막
1: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10: main body
10a: opening 10b, 10c: connection hole
11: lower blocking film 11a: through hole
12: upper blocking film 12a: pass-through tube
13,14: emission prevention film 15: holder
20, 80: filter unit 21: first filter member
211: first passing part 212: first filter unit
22: second filter member 221: second passing part
222: second filter unit 23: square frame
30: sterilization unit 40: suction unit
50: discharge unit 60: path increase unit
61: obstetric 62: bone
63: slope 63a: hole
70: cover part 70a: exposure hole
70b: inlet 70c: outlet
90: leak prevention film 100: guard film

Claims (13)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공기통로를 갖는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와 제2 필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살균부를 통과하는 통기의 경로를 증가시키는 경로증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된 외기는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의 흡기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공기통로와 살균부 및 제2 필터부재의 공기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되며,
상기 경로증가부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한 산부 및 상기 산부와 연결되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부와 골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파형형상을 이루며, 상기 골부와 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들에는 상기 살균부가 관통되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된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body part;
a filter uni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he filter unit including a first filter member and a second filter member having an air passage;
a steriliz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cking outside air;
a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ace the suction unit with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ing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or discharging air in the main body unit; and
and a path increas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to increase the path of ventilation passing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discharged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air passage of the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by the intake opera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The path increasing part includes a mountain part for increasing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and a valley part connected to the mountain part,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ountain part and the valley part are formed to continuously cross each other to form a corrugated shape, and the valley part and the mountain part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the sterilizing unit is penetrated is formed on inclined surfaces formed by th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 및 제2 필터부재는 각각,
상기 공기통로를 갖는 통과부; 및
상기 공기통로에 다수 채움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a passage having the air passage; and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comprising a filter unit filled in a plurality of the air pass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부는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ssage part is a multi-composite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formed of a transparent or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part acts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중공을 갖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는 상기 필터유닛의 사이공간 및 상기 중공을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 granular shape having a hollow,
The air is steril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hollo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통과하는 공기에 살균부의 살균력이 작용하도록 투명 또는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unit is a multi-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formed of a transparent or permeable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unit acts on the air passing there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필터부 및 살균부를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경로증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노출홀을 포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복합 살균형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for selectively introducing or withdrawing the filter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formed in the body unit,
The multi-component sterilization typ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a cov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close the opening and including an exposure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th increas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88860A 2020-12-31 2020-12-31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Active KR102288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60A KR102288114B1 (en) 2020-12-31 2020-12-31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60A KR102288114B1 (en) 2020-12-31 2020-12-31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114B1 true KR102288114B1 (en) 2021-08-10

Family

ID=7731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60A Active KR102288114B1 (en) 2020-12-31 2020-12-31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1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4044A1 (en) * 2021-06-22 2022-12-22 Aerobiotix, Inc. Energy-transmissible air filter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41A (en) * 2000-03-31 2001-12-11 Paramaunt Trading Co Ltd Photocatalyst unit and wall construction
KR101192846B1 (en) * 2010-12-30 2012-10-26 브이케이테크(주) Air sterilizer
KR20180073760A (en) 2016-12-22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41A (en) * 2000-03-31 2001-12-11 Paramaunt Trading Co Ltd Photocatalyst unit and wall construction
KR101192846B1 (en) * 2010-12-30 2012-10-26 브이케이테크(주) Air sterilizer
KR20180073760A (en) 2016-12-22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4044A1 (en) * 2021-06-22 2022-12-22 Aerobiotix, Inc. Energy-transmissible air filter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905B2 (en) Ventilation air cleaner
KR102256116B1 (e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ir conditioner
KR102026933B1 (en) Ventilation System of Classroom
JP5953196B2 (en) Humidifier
KR20170011634A (en) Humidifier
KR102288114B1 (en) Air cleaner of multi-complex sterilizing
KR20190119861A (en) Air purification device
US7722708B2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WI507646B (en) Air cleaner
KR20200086164A (en) Air Clean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KR101718616B1 (en) Filter apparatus of Humidifier
KR102091526B1 (en) A dust collector
KR20060106031A (en)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combined use
CN108954544A (en) A kind of domestic air purification machine
KR20210090578A (en) Air cleaner
CN2667385Y (en) Air purifying sterilizer
KR102110122B1 (en) Air cleaner
JP2001104824A (en) Air cleaner
KR102344398B1 (en) a air conditioner having air purifier
KR102198278B1 (en) Air cleaner
KR100878009B1 (en) Air purifier with liquid
CN2626490Y (en) Air disinfection device
KR102106596B1 (en) Air cleaner
KR20220140945A (en) Air purifier
JP7445148B2 (en) air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