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63B1 -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7463B1 KR102287463B1 KR1020200150337A KR20200150337A KR102287463B1 KR 102287463 B1 KR102287463 B1 KR 102287463B1 KR 1020200150337 A KR1020200150337 A KR 1020200150337A KR 20200150337 A KR20200150337 A KR 20200150337A KR 102287463 B1 KR102287463 B1 KR 102287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oluble film
- film
- polyvinyl alcohol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필름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중 건조제습장치에서 1차 건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중 압출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중 압출기 내 구비되는 스크류의 사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중 스프레이 분사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압출기 | 드라잉 호퍼 |
실린더 (구역) | 헤드 | 다이 | |||
1 | 2 | 3 | 4 | ||||
설정 온도 (℃) |
80-100 | 140-160 | 200-230 | 200-230 | 200-230 | 200-230 | 200-230 |
50mm 블로운 압출기 스크류 |
목부 직경 ("T") |
다이 엔드 직경 ("D") | 측정량 (50 RPM, 1분) |
60분 환산량 (50 RPM, 60분) |
#1 | 36 | 43 | 2.42 kg | 145.2 kg |
#2 | 38 | 41 | 2.28 kg | 136.8 kg |
원료 및 압출조건 | 1차 건조 여부 | 건조 시간 | 용융지수 (MI, g/10분) |
190℃/10 Kg | × | - | 3 |
210℃/10 Kg | × | - | 6 |
230℃/10 Kg | × | - | 8.9 |
○ | 105℃, 60분 유지 | 16.7 | |
○ | 건조 후 15분 상온방치 | 10.4 |
실시예 1 | 비교예 1 | ||
두께 (㎛) | 30 | 30 | |
FISH EYE 개수(개) | 개 (0.5 mm↓) | 개 (0.5 mm↓) | |
광택도 (GU, 20°/60°) | 61/ 126 /125 | 13/ 87 / 98 | |
산소투과도(OTR, cc/m2/day) | 0.020 ↓ | 0.121 | |
코로나 처리 (dyne/cm) |
IN | 42 ↑ | 42 ↑ |
OUT | 42 ↑ | 42 ↑ | |
마찰계수 | 내면 | 0.25 | 0.30 |
외면 | 0.20 | 0.27 | |
실링강도 (g/15 mm) |
175 ℃ | 280 | 30 |
180 ℃ | 330 | 30 | |
185 ℃ | 500 | 80 | |
190 ℃ | 740 | 80 |
100: 제습건조장치
200: 드라잉호퍼
300: 압출기
320: 실린더
340: 스크류
400: 다이
500: 냉각기
600: 가이드
700: 닙롤러
800: 스프레이 장치
900: 권취기
Claims (22)
- 98% 이상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은 당해 수용성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8.0 : 2.0 내지 99.5 : 0.5 중량비이며,
ASTM D3985 규격에 의한 산소투과도 평가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와 LDPE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의 투산소율(OTRL) 값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비(非)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의 투산소율(OTRC) 값을 기준으로 70% 이하이고,
ASTM F88 규격에 의한 175 내지 190℃에서의 열접착강도는 250 내지 1,000 gf/15 mm인 수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투산소율(OTRL) 값은 0.08 cc/m/day 이하인, 수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ASTM D2457 규격에 의해 측정된 20° 광택도 및 60° 광택도는 각각 100 이상인 수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ASTM D 1894 규격에 의해 측정된 슬립 마찰계수(COF)는 0.26 이하인 수용성 필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는 수평균분자량(Mn)이 5,000 내지 120,000 g/mol이고, 중합도가 1,000 내지 9,000인, 수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는 가소제, 충전제, 계면활성제, 블록방지제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융점(Tm)이 100 내지 115℃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120 내지 -110℃이고, 용융지수(MI)가 5 내지 15g/10분이고, 밀도가 0.9 내지 1.1 g/cm3인, 수용성 필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15 내지 100 ㎛ 이고,
폭이 150 내지 1,500 mm인, 수용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물품.
- 98% 이상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를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원료의 함수율(含水率)이 0.35% 이하가 되도록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원료를 드라잉호퍼에 투입하여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원료를 실린더와 스크류가 구비된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압출물을 다이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필름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에 포함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블렌드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은 당해 수용성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8.0 : 2.0 내지 99.5 : 0.5 중량비인, 제1항의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단계는 80 내지 10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된 원료의 용융지수(MI)는 5 내지 16 g/10분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의 폭이 600 mm 초과, 1500 mm 이하인 경우, 1차 건조된 원료의 용융지수(MI)는 10.5 내지 16 g/10분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호퍼, 압출기 및 다이는 각각 소정 온도로 예열되는,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잉호퍼의 예열 온도는 70 내지 100℃이고,
상기 압출기 내 실린더의 예열 온도는 140 내지 230℃이고,
상기 다이의 예열 온도는 190 내지 240℃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스크류가 내장된 실린더는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 구역의 설정온도를 140 내지 160℃이고,
상기 제2 구역 내지 제4 구역의 설정온도는 각각 200 내지 230℃이고,
상기 압출기의 헤드부 설정온도는 200 내지 230℃인,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단계는 140 내지 230℃의 온도, 및 30 내지 90 RPM의 스크류 속도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추출단계는, 필름이 권취되기 전에, 스프레이 장치로 분사된 수분에 의해 필름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 이전에, 추출된 필름의 냉각 단계, 가공 단계, 커팅 단계 및 권취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 및 40 내지 60%의 습도 조건 하에서 3 내지 15일 동안 실시되는 수용성 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37A KR102287463B1 (ko) | 2020-11-11 | 2020-11-11 |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37A KR102287463B1 (ko) | 2020-11-11 | 2020-11-11 |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7463B1 true KR102287463B1 (ko) | 2021-08-10 |
Family
ID=7731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337A Active KR102287463B1 (ko) | 2020-11-11 | 2020-11-11 |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746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8145A (ja) * | 1995-03-22 | 1996-10-08 | Unitika Chem Kk |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H08258146A (ja) * | 1995-03-23 | 1996-10-08 | Unitika Chem Kk |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
KR19990080604A (ko) * | 1998-04-20 | 1999-11-15 | 이동권 | 폴리올레핀과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조성물 |
KR101548827B1 (ko) * | 2013-12-23 | 2015-09-01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
KR20170008916A (ko) * | 2015-07-14 | 2017-01-2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특정 등급의 pva 및 lldpe를 포함하는 가요성(街撓性) 수분 차단 기재,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337A patent/KR10228746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8145A (ja) * | 1995-03-22 | 1996-10-08 | Unitika Chem Kk |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H08258146A (ja) * | 1995-03-23 | 1996-10-08 | Unitika Chem Kk |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
KR19990080604A (ko) * | 1998-04-20 | 1999-11-15 | 이동권 | 폴리올레핀과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조성물 |
KR101548827B1 (ko) * | 2013-12-23 | 2015-09-01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
KR20170008916A (ko) * | 2015-07-14 | 2017-01-2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특정 등급의 pva 및 lldpe를 포함하는 가요성(街撓性) 수분 차단 기재,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3276529A (ja) | 溶融エンボスポリオレフィン/フィラー先駆体フィルムから製造される通気性フィルム | |
CN114228094B (zh) | 一种代替纸质标签的双向拉伸聚丙烯发泡薄膜制备方法 | |
JPS5845927A (ja) |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 |
US20090001625A1 (en) | Oriented polymer composite template | |
CN101066620A (zh) | 挤出法制备发泡烯烃聚合物制品的装置及方法 | |
CN111070611B (zh) | 一种抗老化聚烯烃热收缩薄膜的制备方法 | |
CN107139563A (zh) | 一种双色透气膜及其生产工艺与应用 | |
JP3696056B2 (ja) | シングル・スクリュー押出機による三層共押出方式で得られる厚さ25〜250μm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BOPP)パ−ル光沢合成紙の改良製造方法 | |
KR102287463B1 (ko) |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US664910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transparent polyvinyl chloride film without facial flow marks and pits | |
CN106891514A (zh) | 一种聚酯薄膜的制造方法 | |
US20210301101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film comprising thermoplastic polymer and inorganic filler | |
CN1131611A (zh) | 聚丙烯合成纸及其生产方法 | |
KR100282167B1 (ko) | 폴리비닐클로라이드필름의제조방법 | |
CN102896856A (zh) | 一种五层共挤双向拉伸聚丙烯聚酰胺阻隔膜及其制造方法 | |
CN108724774A (zh) | 一种隐形胶料用双面消光膜及其制备工艺 | |
CN113912962B (zh) | Pvc塑料布及其制备方法 | |
CN110733217A (zh) | 一种单向拉伸多层共挤聚乙烯扭结膜 | |
CN110387053A (zh) | 抗菌防霉母粒的制备工艺、抗菌防霉型交联热收缩膜及其制备工艺 | |
EP1262298A1 (en) | A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transparent polyvinyl chloride film without facial flow marks and pits | |
JPH0825458A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シートの製造方法 | |
CN215849785U (zh) | 一种珠光聚酯薄膜及其制造设备 | |
JPS6141732B2 (ko) | ||
CN116278281A (zh) | 聚乙烯微孔透气膜及其制备方法 | |
KR19990077262A (ko) | 충전제를 포함하는 2축지향성 중합체포일의제조방법 및 본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