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6123B1 -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123B1
KR102286123B1 KR1020210046541A KR20210046541A KR102286123B1 KR 102286123 B1 KR102286123 B1 KR 102286123B1 KR 1020210046541 A KR1020210046541 A KR 1020210046541A KR 20210046541 A KR20210046541 A KR 20210046541A KR 102286123 B1 KR102286123 B1 KR 10228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ain body
tower
air
water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임아름
임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to KR102021004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1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B01D46/00 and B01D47/00
    • B01D50/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 학교운동장, 광장, 도로, 체육시설, 역 광장, 버스터미널과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밀집 지역의 실외 또는 실내 체육관, 산업현장의 내부 및 인근에 탑 형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하고, 구조물의 상단에 흡입팬을 형성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며, 구조물 내측에 형성한 원심력 유도레일에 의하여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불순물은 구조물의 내측 중앙 하단으로 수집되고, 맑은 공기는 정화공기 유출 스크린을 통과하여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건식방식으로 구성하며, 축사, 환경시설, 공장, 먼지 또는 악취발생장소 및 공기살균이 필요한 장소에는 습식방식으로 구성하고, 수조의 일측에 탈취약품 및 살균제를 공급하여 분사펌프로 순환하며 분사하도록 구성한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악취를 제거하고 공기 중의 각종바이러스나 세균을 살균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Tower-shaped fine dust, odor removal and virus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탑(塔) 형상으로 형성한 미세먼지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원, 학교운동장, 광장, 도로, 체육시설, 역 광장, 버스터미널과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밀집 지역의 실외 또는 실내 체육관, 산업현장의 내부 및 인근에 탑 형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하고, 구조물의 상단에 흡입팬을 형성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며, 구조물 내측에 형성한 원심력 유도레일에 의하여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불순물은 구조물의 내측 중앙 하단으로 수집되고, 맑은 공기는 정화공기 유출 스크린을 통과하여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건식방식으로 구성하며, 축사, 환경시설, 공장, 먼지 또는 악취발생장소 및 공기살균이 필요한 장소에는 습식방식으로 구성하고, 수조의 일측에 탈취약품 및 살균제를 공급하여 분사펌프로 순환하며 분사하도록 구성한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또는 분진(粉塵)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먼지로서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미세먼지는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 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이며, PM 10이라고도 한다.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 2.5 라고 쓰며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라고도 부른다. 학술적으로는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fine particles)는 부유분진(Suspended particles),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가 있다. 입자상 물질은 지름이 100μm에서 10nm 정도이며, 이보다 지름이 크면 중력으로 인해 대기중 체류시간이 아주 짧다. 또한,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미세먼지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미세먼지의 배출원인은 인위적인 발생과 자연적인 발생으로 구분된다. 인위적인 발생의 원인은 중국발 미세먼지, 공장에서 나오는 매연 쓰레기 소각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 자연적인 발생의 원인은 모래 바람의 먼지, 화산재, 산불이 일 때 발생하는 먼지 등 때문이다. 해염입자 또한, 바다 가까이에 위치한 지역에는 많은 영향을 끼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개발과 산업의 발달로 인해 공장이나 차량 등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과다하고 그 중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와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미세먼지는 인체의 호흡기에 깊숙이 침투하여 천식,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눈의 결막염, 안구건조증 등의 눈병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피부질환의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시키는 등의 나쁜 영향을 미치고 특히 유아 및 청소년, 노인층이 미세먼지에 취약한 실정이다.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에서 20명이 사망한 대기오염사고, 1952년 약 4,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런던스모그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이후로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역학조사가 실시되었고, 특히 10㎛ 이하의 미세먼지 입자(PM 10)가 취약집단의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온 이후 각국 정부에서는 대기오염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하였으며 미세먼지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대기오염기준도 마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큰 비용을 투입하여 미세먼지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효과가 미흡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 제거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95890호에 공기 중에 혼류되는 미세먼지를 응축수의 응축으로 발생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흡수포를 이용하여서 공기를 걸러 주기 위한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5412호에 먼지, 미세먼지 및 악취를 1차 처리한 후 악취가스를 정화용액과 혼합하여 체류시간과 접촉면적을 넓혀 오염기체정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정화용액의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탈취탑 및 믹싱 시스템을 이용한 오염기체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51923호에 유입된 오염가스를 처리하여 배출하도록 오염가스 이송경로에 설치되는 가스 처리챔버와, 가스 처리챔버 내부로 전자기파 파장을 발생시켜 제공하는 전자기파 파장 발생부와, 가스 처리챔버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열 발생 및 온도 조절부 및, 가스 처리챔버 내부를 플라스마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플라스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환경오염가스 및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27128호에 필터를 이용하거나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필터의 잦은 교체로 인한 비용증가 및 번거로움과, 전체적인 장치구성이 복잡해지고 에너지 소비가 높은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공기정화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볼텍스 튜브(Vortex Tube)의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함께 나노버블(Nanobubble)화된 물 입자를 볼텍스 튜브 내에 주입하여 나노버블화된 물 입자와 외부공기가 함께 볼텍스 튜브 내부를 통과하면서 접촉시간 및 면적이 극대화되어 미세먼지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미세먼지 및 공기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원 발명에서는 탑 형상의 미세먼지 제거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친환경 미세먼지 제거방법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구성으로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겨울과 봄에 걸쳐서 자주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원, 학교운동장, 광장, 도로, 체육시설, 역 광장, 버스터미널과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밀집 지역의 실외 또는 실내 체육관, 산업현장의 내부 및 인근에 탑 형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하고, 건식 또는 습식방식을 적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또한, 악취를 제거하며,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해결수단으로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탑 형상의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외측의 상단에 형성한 캡(500)과 상기 캡(500)의 하단에 형성하고 본체(100)의 내측과 연결하는 공기흡입팬(200)과 상기 공기흡입팬(200)의 하단에 형성한 분사노즐(310)과 상기 분사노즐(310)에 물을 이송하도록 연결된 분사관(320)과 상기 분사노즐(310)의 하단에 형성한 원심력유도레일(15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710)와 상기 본체(100)의 중단부 외측면에 형성하여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체(101)와 상기 본체(100) 내측인 높이조절체(101)의 하단에 형성하여 본체(100) 내측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과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의 하단에 형성한 분진하강유도호퍼(190)와 분진제거함(49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하여 본체(10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의 최하단에 수조(300)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수조(300)의 일측면에 원수유입관(370)과 원수유입밸브(350)를 형성하여 원수를 수조(300) 내측에 공급하며, 수조(300)의 내측에 수위센서(360)를 형성하고, 수조(300)의 또 다른 일측에 분사펌프(330)를 형성하여 수조(300) 내의 원수를 분사관(320)을 통하여 공급한다.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연결플랜지(102)와 연결볼트(103)에 의하여 복수개 이상을 결합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은 두께의 범위를 0.5 ~ 5mm로 하고, 폭의 범위를 5 ~ 500mm 범위로 하며, 기역자판형부(152)를 본체(100)의 내경에 접합할 수 있도록 절곡하여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용접부(151)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측면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은 활성탄 또는 금속필터 또는 섬유필터 또는 우드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본체(100)는 센서(710)에서 감지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또는 가스 및 악취 등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제어부(700)로 통보하면, 상기 제어부(700)에서 공기흡입팬(200) 또는 분사펌프(330)의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탑 형상의 본체(100)는 높이조절체(101)를 이용하여 1 ~ 50m 범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층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하중에 따라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체(101)의 외측면을 이용하여 관공서 또는 기업체의 광고판 및 광고 조형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와 바이러스 살균시스템을 이용하면 공원, 학교운동장, 광장, 도로, 체육시설, 역 광장, 버스터미널, 사람 밀집지역의 실외나 실내체육관, 산업현장의 내부 또는 인근에 탑의 형태로 구성한 구조물의 상단에 1개 이상의 흡입팬을 형성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고 구조물 내측에 형성한 원심력 유도레일에 의하여 불순물은 중앙 하단으로 수집되고 맑은 공기는 외측으로 방출하여 시스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건식방식으로 구성하고, 축사, 환경시설, 공장, 먼지 또는 악취발생지역 등에는 습식방식으로 구성하여 분사노즐에서 물을 분사하며 정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미세먼지와 혼합된 물은 정수필터에서 정화되어 분사펌프로 순환하여 분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수조 일측에 탈취약품 및 살균제가 공급되어 분사펌프로 순환하여 분사시키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공기 중의 각종바이러스나 세균을 살균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건식형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악취제거 및 살균형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외부 식물식재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식물식재 외부벽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정화공기 유출스크린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원심력 유도레일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식형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악취제거 및 살균형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 식물식재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 외부벽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정화공기 유출스크린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원심력 유도레일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탑 형상으로 구성한 본체(100)는 원 또는 사각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 최상단에는 캡(500)을 형성하여 본체(100)를 보호하도록 하며, 상기 캡(500)은 지지대(520)와 스크린(530)에 의하여 기둥형상과 견고하게 결합한다.
기둥형상의 본체(100)의 상단에는 공기흡입팬(200)을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공기흡입팬(20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ㄱ'자 형상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530)에서 걸러진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한 공기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기흡입팬(200)의 하단에는 분사노즐(310)이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분사노즐(310)은 본체(100)의 최하단에서부터 연결한 분사관(320)과 결합하여 있다. 상기 분사관(320)을 따라서 이동한 물이 분사노즐(310)을 통해서 본체(100)의 내부에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310)의 하단에는 늘어진 용수철 형상의 원심력유도레일(150)이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이 맞닿아서 견고하게 결합하고 있다. 상기 공기흡입팬(200)으로 흡입된 공기 중의 불순물은 원심력이 작용하는 원심력유도레일(150)에 의하여 본체(100) 내부를 따라서 하강한다.
본체(100)의 내부인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의 하단에는 물유도판(120)이 사선으로 아래 방향을 향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물유도판(120)은 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된 물이 본체(100)의 벽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본체(100) 내부의 중앙부를 향해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물유도판(120)의 하단에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이 형성된다.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을 통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단부는 지면(1000)에 고정하거나 또는 지하에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매립한 지하에는 본체(100)의 하단부인 수조(300)가 형성되며, 원수를 유입하는 원수유입관(370)과 상기 원수유입관(370)을 제어하는 원수유입밸브(350)를 수조(300)의 일측에 형성하고, 수조(300) 내측의 일측에는 상기 수조(300)의 내측에 저장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센서(360)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300) 내측의 또 다른 일측에는 상기 분사관(320)을 통하여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이동시키는 분사펌프(330)를 형성하고, 본체(100)로 구성하는 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어부(700)를 형성한다. 또한, 본체(100)의 상단부 외측면에 센서(710)를 추가 구성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700)에서는 미세먼지 농도 등의 데이터를 센서(710)로 부터 수신받고, 취합하여 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본체(100)를 가동하면, 센서(710)에서 미세먼지 농도 등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인 값이 측정되면 공기흡입팬(200)이 동작하면서 본체(100)의 외측인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원심력유도레일(150)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 때문에 공기 중의 불순물이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을 따라서 본체(100) 내측의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또한, 수조(300)에 저장된 원수를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분사하면 공기 중의 불순물과 미세먼지 입자 등을 세척하거나 아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되거나 또는 정화된 공기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을 통하여 재차 걸러져서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탑 형상으로 구성한 본체(100)는 원 또는 사각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 최상단에는 캡(500)을 형성하여 본체(100)를 보호하도록 한다.
기둥형상의 본체(100)의 상단에는 공기흡입팬(200)을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공기흡입팬(20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ㄱ'자 형상으로 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한 공기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기흡입팬(200)의 하단에는 늘어진 용수철 형상의 원심력유도레일(150)이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이 맞닿아서 견고하게 결합하고 있다. 상기 공기흡입팬(200)으로 흡입된 공기 중의 불순물은 원심력이 작용하는 원심력유도레일(150)에 의하여 본체(100) 내부를 따라서 하강한다.
본체(100)의 내부인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체(101)를 형성한다.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연결플랜지(102)에 의하여 본체(100)와 결합하고,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높이조절체(101)를 이용하여 본체(100)를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체(101)의 하단에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이 형성된다.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을 통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단부는 지면(1000)에 고정부(110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제어부(700)를 형성하여, 본체(100)의 모든 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100)와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의 사이인 본체(100) 내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분진하강유도호퍼(190)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분진을 유도하여 저장할 수 있는 분진제거함(490)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단부 외측면에 센서(710)를 추가 구성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700)에서는 미세먼지 농도 등의 데이터를 센서(710)로부터 수신받고, 취합하여 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본체(100)를 가동하면, 공기흡입팬(200)이 동작하면서 본체(100)의 외측인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원심력유도레일(150)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 때문에 공기 중의 불순물이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을 따라서 본체(100) 내측의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하강한 불순물은 분진하강유도호퍼(190)를 따라서 본체(100) 내측 하단에 위치한 분진제거함(490)을 모이게 되고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을 통하여 재차 걸러져서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0)의 하단부에 수조(300)를 형성하고, 수조(300) 외측의 일측에는 저장조(800)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조(800)에는 탈취약품 또는 살균제를 저장하였다가 본체(100) 외측의 상단에 형성한 감지센서(850)에서 악취 또는 바이러스 등을 감지하면 저장조(800)에 저장된 탈취약품 또는 살균제 등을 본체(100) 내측의 상단으로 이송하여 공기흡입팬(200)에 의하여 흡입된 대기 중의 공기에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조(800)에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살균 및 제거할 수 있는 살균제 등 약품을 보관 및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탈취약품을 보관 및 저장하였다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0)의 높이조절체(101)의 외측면에 격자형상의 고정망(670)을 설치하고, 지하에 매립한 수조(300)에 저장한 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수조(300)의 일측에 물공급펌프(650)를 형성하고, 본체(100)의 외측면을 따라서 관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수조(300)의 물을 본체(100)의 외측면으로 이송한다.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한 고정망(670)을 따라서 식물(610)을 식재한다. 또한, 본체(100)의 외측면에 식물조경부(600)를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물조경부(600)를 형성하고, 식물(610)을 고정망(670)을 따라서 형성하며, 화분(620)을 형성하고, 물공급부(630)를 외측면에 형성하고 점적노즐(635)을 형성하여 상기 화분(620) 및 식물조경부(600), 식물(610)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외측면에 식물(610)을 자라게 하면 식물(610)에 의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친환경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의 공기 정화 및 악취제거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은 본체(100)의 내측에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본체(100) 내측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측으로 방출한다.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의 측면 방향에는 1차스크린(410)을 본체(100)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하고, 상기 1차스크린(410)의 외측에는 흡착필터(420)를 형성하며, 상기 흡착필터(420)의 외측에는 2차스크린(430)을 형성하고, 상기 2차스크린(430)의 외측에는 섬유필터(440)를 형성하며, 상기 섬유필터(440)의 외측면에는 외부스크린(45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내측에 흡입된 공기는 첫째 정화공기유출스크린(400)에 의하여 정화하고, 둘째 1차스크린(410)을 통과하며, 셋째 흡착필터(420)를 통과하고, 넷째 2차스크린(430)을 통과하며, 다섯째 섬유필터(440)를 통과하고, 여섯째 외부스크린(450)을 통과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은 활성탄 또는 금속필터 또는 섬유필터 또는 우드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 본체(100)를 둘러싸듯이 원통형으로 구성한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과 1차스크린(410)과 흡착필터(420)와 2차스크린(430)과 섬유필터(440)와 외부스크린(450)은 본체(100)의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완벽하게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한 원심력유도레일(150)은 두께의 범위를 0.5 ~ 5mm로 하고, 폭의 범위를 5 ~ 500mm 범위로 하며, 기역자판형부(152)를 본체(100)의 내경에 접합할 수 있도록 절곡하여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용접부(151)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측면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인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의 본체(100)는 센서(710)에서 감지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또는 가스 및 악취 등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제어부(700)로 통보하면, 상기 제어부(700)에서 공기흡입팬(200) 또는 분사펌프(330)의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탑 형상의 본체(100)는 높이조절체(101)를 이용하여 1 ~ 50m 범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층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복수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하중에 따라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체(101)의 외측면을 이용하여 관공서 또는 기업체의 광고판 및 광고 조형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본체 101. 높이조절체
102. 연결플랜지 103. 연결볼트
120. 물유도판 150. 원심력유도레일
151. 용접부 152. 기역자판형부
190. 분진하강유도호퍼 200. 공기흡입팬
300. 수조 310. 분사노즐
320. 분사관 330. 분사펌프
350. 원수유입밸브 360. 수위센서
370. 원수유입관 400.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
410. 1차스크린 420. 흡착필터
430. 2차스크린 440. 섬유필터
450. 외부스크린 490. 분진제거함
500. 캡 520. 지지대
530. 스크린 600. 식물조경부
610. 식물 620. 화분
630. 물공급부 635. 점적노즐
650. 물공급펌프 670. 고정망
700. 제어부 710. 센서
800. 저장조 810. 인젝터
830. 공급밸브 850. 감지센서
1000. 지면 1100. 고정부

Claims (5)

  1.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탑 형상의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외측의 상단에 형성한 캡(500)과;
    상기 캡(500)의 하단에 형성하고 본체(100)의 내측과 연결하는 공기흡입팬(200)과;
    상기 공기흡입팬(200)의 하단에 형성한 분사노즐(310)과;
    상기 분사노즐(310)에 물을 이송하도록 연결된 분사관(320)과;
    상기 분사노즐(310)의 하단에 형성한 원심력유도레일(15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710)와;
    상기 본체(100)의 중단부 외측면에 형성하여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체(101)와;
    상기 본체(100) 내측인 높이조절체(101)의 하단에 형성하여 본체(100) 내측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과;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의 하단에 형성한 분진하강유도호퍼(190)와 분진제거함(49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하단에 형성하여 본체(10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원심력유도레일(150)은 두께의 범위를 0.5 ~ 5mm로 하고, 폭의 범위를 5 ~ 500mm로 하며, 기역자판형부(152)를 본체(100)의 내경에 접합할 수 있도록 절곡하여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용접부(151)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내측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최하단에 수조(300)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수조(300)의 일측면에 원수유입관(370)과 원수유입밸브(350)를 형성하여 원수를 수조(300) 내측에 공급하며, 수조(300)의 내측에 수위센서(360)를 형성하고, 수조(300)의 또 다른 일측에 분사펌프(330)를 형성하여 수조(300) 내의 원수를 분사관(320)을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체(101)는 연결플랜지(102)와 연결볼트(103)에 의하여 복수개 이상을 결합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공기유출필터스크린(400)은 활성탄 또는 금속필터 또는 섬유필터 또는 우드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KR1020210046541A 2021-04-09 2021-04-09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228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41A KR102286123B1 (ko) 2021-04-09 2021-04-09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41A KR102286123B1 (ko) 2021-04-09 2021-04-09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123B1 true KR102286123B1 (ko) 2021-08-06

Family

ID=7731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41A Expired - Fee Related KR102286123B1 (ko) 2021-04-09 2021-04-09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17B1 (ko) *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WO2023075003A1 (ko) * 2021-10-26 2023-05-04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19A (ko) *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원심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347720B1 (ko) * 2013-01-14 2014-01-06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분진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구조
KR102042830B1 (ko) * 2019-07-31 2019-11-27 강성선 습식 공기정화기
KR102054398B1 (ko) * 2019-06-17 2019-12-11 주식회사 현진기업 염분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 시스템
KR20200121661A (ko) * 2019-04-16 2020-10-26 김영문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19A (ko) *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원심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347720B1 (ko) * 2013-01-14 2014-01-06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분진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구조
KR20200121661A (ko) * 2019-04-16 2020-10-26 김영문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형 공기청정기
KR102054398B1 (ko) * 2019-06-17 2019-12-11 주식회사 현진기업 염분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 시스템
KR102042830B1 (ko) * 2019-07-31 2019-11-27 강성선 습식 공기정화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003A1 (ko) * 2021-10-26 2023-05-04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KR102451717B1 (ko) *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9A (ko) *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8A (ko) *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102782620B1 (ko) 2022-05-03 2025-03-19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102782617B1 (ko) 2022-05-03 2025-03-19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168B1 (ko) 공기 정화용 인더스트리얼 수직 가든
CN204593637U (zh) 室内空气消毒净化器
JP5614559B2 (ja) トイレを消毒・脱臭する方法と装置
KR101942624B1 (ko) 환경친화적인 필터를 이용한 신선 공기 정화장치
KR102159452B1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807092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2286123B1 (ko)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CN105180272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9046014B (zh) 天然电催化液体喷雾清洁空气制造系统
CN103644604A (zh) 一种空气pm除尘消毒机
CN106979559A (zh) 一种静电雾化室内空气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KR102323180B1 (ko) 습식공기정화부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054398B1 (ko) 염분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 시스템
KR102394147B1 (ko) 공기 청정시스템
CN203615497U (zh) 一种空气pm除尘消毒机
CN103968466A (zh) 一种室内空气处理工艺及设备
KR20240074952A (ko) Iot를 활용한 외부 공기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CN108644959A (zh) 厕卫用智能空气净化除臭系统
CN206724332U (zh) 一种静电雾化室内空气净化装置
CN207035335U (zh) 空气自动净化装置
KR102159546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85226B1 (ko) 실외 설치용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CN208139469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547440B1 (ko)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학교,군대,지하철,지하주차장,식물재배사,가축사육장,지렁이 사육장,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다중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친환경 공법
KR20040105424A (ko)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