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496B1 -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2496B1 KR102282496B1 KR1020190163061A KR20190163061A KR102282496B1 KR 102282496 B1 KR102282496 B1 KR 102282496B1 KR 1020190163061 A KR1020190163061 A KR 1020190163061A KR 20190163061 A KR20190163061 A KR 20190163061A KR 102282496 B1 KR102282496 B1 KR 1022824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member
- profile
- horizontal member
- fasten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재와 수직재의 연결부위에 별도의 브라켓 없이 연결되므로 돌출부분이 없어 각종의 장비와 부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현장에서 연결홀의 형성이나 연결바 및 체결홀의 형성을 널리 사용되는 드릴과 같은 범용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체결볼트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서 현장상황에 적극 대응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수평재와;
상기 수평재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재와;
상기 수평재와 수직재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수직재의 양단부에 연결수단을 취부할 수 있도록 수직재의 길이 방향으로 4면에 형성되는 요입홈 중 하나의 요입홈과 대향위치의 요입홈을 통하여 중앙의 심부를 관통되게 형성하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without a separate bracket, there is no protruding part, so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various equipment and parts, and the formation of a connection hole or the formation of a connection bar and a fastening hole in the field is widely used. It is possible to form using a general-purpose tool such as a drill, and the fastening bolt is also universally used so that the frame can be configured in response to the field situation;
a horizontal member composed of a profile extruded from an aluminum material;
a vertical member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means for firmly connecting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A connection hole that forms a central core through one of the concave grooves formed on four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can b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member and the concave groove at the opposite position;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때 수평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직재를 용이하게 연결하면서 돌출부분이 없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품이나 부품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개선한 프레임 연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nstructing a frame using a profile extruded from an aluminum material, it is easy to connect a vertical member at a right angle to a horizontal member, and there is no protruding part, so a product mounted on the frame or It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n improved frame connection device to eliminate interference with parts.
알루미늄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반도체장비, 피시비장비 또는 정밀장비 또는 클린룸장비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분야의 프레임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It is a well-known fact that a profile extruded from aluminum is used as a fram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semiconductor equipment, PCB equipment, precision equipment, or clean room equipment.
이러한 프로파일프레임은 프로파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수평재와 수직재 또는 경사재를 구성하도록 하고, 이들을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profile frame cuts the profile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horizontal member, a vertical member, or an inclined member, and uses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to construct a lattice-shaped frame.
종래에도 이러한 프로파일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연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의 선행기술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prior art, various types of connection devices for constructing such a profile fram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nd a typical example of prior art through patent literature is as follows.
특허문헌 1은, 요홈(3)과 단턱(4)을 지닌 프로파일(1)(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Patent Document 1 discloses, in a connector connecting the profile (1) (2) having the groove (3) and the step (4) to each other:
상기 프로파일(1)이 안착되고, 상하 관통되면서 내부에 단턱(11a)을 개재하는 고정공(11)을 구비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고정볼트(22)와 고정너트(23)를 통해 프로파일(1)이 고정되게 체결공(21)을 구비하는 지지부(20); 상기 안착부(10)의 하부에 고정공(11)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지지부(20) 방향으로 프로파일(2)의 요홈(3) 상에 수용되는 돌출부(30); 및 상기 안착부(10)의 고정공(11)을 통해 프로파일(2)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구비하는 지지수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seating portion 10 on which the profile 1 is seated, and having a fixing hole 11 interposed therein with a step 11a while penetrating up and down; a support part 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art 10 and having a fastening hole 21 to which the profile 1 is fixed through a fixing bolt 22 and a fixing nut 23; The fixing hole 11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0, the protrusion 30 is accommodated on the groove 3 of the profile (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a support means 40 having a fastening bolt 41 and a fastening nut 42 to be fixed at the set position of the profile 2 through the fixing hole 11 of the seating part 10; is characterized.
특허문헌 2는, 요홈(2)(2')과 단턱(3)(3')을 지닌 수직 프로파일(1)과 수평 프로파일(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Patent Document 2, in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vertical profile (1) and the horizontal profile (1') having grooves (2) (2') and stepped (3) (3') to each other:
상기 수직 프로파일(1)의 요홈(2) 상에 삽설 안착하고, 양측 분할 형성되어 탄성력이 발휘되게 상부에 가압홈(11)과 연통되는 수직공(12)이 개재되는 탄성부(13)를 구비하되, 가압홈(11)은 가압볼트(30)에 의해 수직 프로파일(1)의 요홈(2) 상에 탄성력이 발휘되게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다수의 고정부(16)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수평 프로파일(1')의 요홈(2') 상에 삽설하면서 본체(10)의 가압홈(11) 및 수직공(12)과 수직 일치하도록 체결공(21)을 구비하는 고정너트(20); 및 상기 본체(10)의 탄성부(13)를 관통하여 고정너트(20)의 체결공(21) 상에 체결하여 수직 프로파일(1)과 수평 프로파일(1')을 서로 고정하는 가압볼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t is inserted and seated on the concave groove 2 of the vertical profile 1, and is divided on both sides and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13 having a vertical hole 12 communicating with the pressing groove 11 on the upper portion to exert an elastic force. However, the pressing groove 11 is formed to be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exerted on the groove 2 of the vertical profile 1 by the pressing bolt 30, and a plurality of high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a body 10 having a top 16; A fixing nut 20 having a fastening hole 21 so as to vertically coincide with the pressing groove 11 and the vertical hole 12 of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2' of the horizontal profile 1'. ; and a pressing bolt 30 passing through the elastic part 13 of the main body 10 and fastening it on the fastening hole 21 of the fixing nut 20 to fix the vertical profile 1 and the horizontal profile 1 ′ to each other. );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특허문헌 3은, 벽부에 결합을 위한 개구와 개구 안쪽에 연결 가이드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걸림 접촉부를 구비하며 볼팅 결합부가 마련된 프로파일들을 교차하게 연결하되 한쪽 프로파일의 측벽부에 다른 한쪽의 프로파일의 단부를 교차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파일 연결장치는, 한쪽 프로파일에 결합된 연결 블록 유닛에 배치되는 걸림 연결 유닛이 다른 한쪽 프로파일의 연결 가이드 통로에 삽입되고, 연결 조절 유닛에 의해 한 쌍의 걸림판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프로파일들의 T형 연결을 완성하거나 반대로 연결을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Patent Document 3 has an opening for coupling to the wall and a pair of engaging contact portions provided to form a connection guide passage inside the opening, and cross-connects the profiles provided with the bolting coupling portion, but the other side of the side wall of one profile Cross-connecting the ends of the profile. In this profile connection device, the locking connection unit disposed on the connection block unit coupled to one profil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uide passage of the other profile, and the position of the pair of locking plates is adjusted by the connection adjustment unit, so that the T of the profiles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type connection can be completed or, conversely, the connection can be broken.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은 프로파일로 된 수평재에 별도의 지지부를 결합하고, 이 지지부에 프로파일로 된 수직재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데, 지지부가 수평재와 수직재의 규격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구축된 프레임 내부에 부품이나 장치거 설치될 때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Among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atent Document 1 combines a separate support part to a profiled horizontal member, and connects a profiled vertical member to this support, and the support part protrudes outward than the standar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Therefore, it is not free from the disadvantage of causing interference when parts or devices are installed inside the built frame.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프로파일로 된 수평재의 요홈에는 고정너트를 개재하고 수직재에는 본체를 삽입시킨 후 가압볼트로 조여 본체의 양측면에 수직재의 요홈벽면에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 fixing nut is interposed in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member made of a profile, and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member, and then tightened with a pressure bolt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ssed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to maintain a coupled state. there is.
이 경우에는 고정너트와 가압볼트의 체결력으로 본체가 수직재와 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프레임에 장착되는 부품이나 장치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으나 중량체인 경우에는 하중과 비틀림에 취약하게 되므로 결합력을 상실하여 프레임이 손괴되거나 와해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In this case, the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material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nut and the pressure bolt. However, if the weight of the parts or devices mounted on the frame is light, there is no big problem, but in the case of a heavy body, the coupling force is reduced because it is vulnerable to load and torsion. It may cause the frame to be damaged or broken and not be able to perform its functions.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수직재와 수평재에 연결블록유닛과 걸림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연결블록유닛에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using a connecting block unit and a locking connecting unit, and the connecting block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이러한 경우에는 부품 수가 많아지므로 인하여 생산과 조립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이용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연결블록유닛에 형성되는 삽입부 때문에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없는 보편적인 프로파일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전용의 프로파일을 주문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러 불편함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In this c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production and assembly, as well as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which increases the burden on users, and because of the insertion part formed in the connecting block unit, there i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part can be inserted. It cannot be applied to a universal profile that does not exist, and it is not possible to be free from various inconveniences because a dedicated profile must be made to order.
특히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한 후 프로파일에 형성되는 요입홈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마감커버를 결합하는 데, 선행기술들의 경우 연결위치에 마감커버로 마감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완성된 프레임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한 각각의 부품들이 모두 완성품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변화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다시 공장에서 가공하여 수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구축시간이 지연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after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the finishing cover is combined so that the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profile is visually exposed and thereby harming the aesthetics.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t is impossible to close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finishing cover. The frame construction time is delayed, etc. because the appearance of the finished frame is not beautiful, and because each part to construct the frame is a finished product, it cannot actively respo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field and has to process and supply it at the factory again. Several problems are occurr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수평재(101)와;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상기 수평재(101)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재(102)와;a
상기 수평재(101)와 수직재(102)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05)과;a connecting means 105 for firmly connecting the
상기 수직재(102)의 양단부에 연결수단(105)을 취부할 수 있도록 수직재(102)의 길이 방향으로 4면에 형성되는 요입홈(107,108) 중 하나의 요입홈(107)과 대향위치의 요입홈(108)을 통하여 중앙의 심부(109)를 관통되게 형성하는 연결홀(106)을 포함하여;One of the
수평재와 수직재의 연결부위에 별도의 브라켓 없이 연결되므로 돌출부분이 없어 각종의 장비와 부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현장에서 연결홀의 형성이나 연결바 및 체결홀의 형성을 널리 사용되는 드릴과 같은 범용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체결볼트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서 현장상황에 적극 대응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Sinc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without a separate bracket, there is no protruding part, so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various equipment and parts. It is possible to form using the same general-purpose tool, and by using a universally used fastening bol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frame in response to the field situation.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 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하면서도 조립성을 우수하게하여 이용자들의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줄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hancing external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significantl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users and contributing to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by reducing the assembly time. have
본 발명은 프로파일의 규격에 대응하여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면서 현장에서도 프로파일의 규격이나 프레임의 종류 및 변경에 적극대응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보편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 구축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apid assembly in response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ofile, and it is possible to process using a universal tool used in the field by actively 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ofile or the type and change of the frame in the field. It is an invention with various effects such a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C - 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연결한 상태의 구성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C-C lin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connected using the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도시한 C - 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연결한 상태의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profile frame connection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lin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vice, Figure 4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 - C line cross-sectional view, Figure 6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connected using the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수평재(101)와, 상기 수평재(101)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재(102)와, 상기 수평재(101)와 수직재(102)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05)으로 구성한다.The profile
상기 수직재(102)의 양단부(상측 및 하측)에는 연결수단(105)을 취부할 수 있도록 수직재(102)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연결홀(106)을 포함하도록 한다.Both ends (upper and lower) of the
상기 연결홀(106)을 본 발명에서는 수직재(102)의 양단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수평재(101)에 대하여 수직재(102)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재(101)의 양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상기 연결홀(106)은 수평재(101) 또는 수직재(102)의 길이 방향으로 4면에 형성되는 요입홈(107,108) 중 하나의 요입홈(107)과 대향위치의 요입홈(108)을 통하여 중앙의 심부(109)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구성한다.The
상기 연결수단(105)은, 연결홀(106)에 삽입되는 연결바(110)와, 상기 연결바(110)의 양측에 연결바(110)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형성하는 체결홀(111)을 포함하도록 한다.The connecting
상기 체결홀(111)에는 수직재(102)에 형성되는 요입홈(108)을 통하여 수평재(101) 방향으로 체결볼트(112)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재(101)에 형성되는 요입홈(107)에 삽입되는 체결너트(113)와 나사 결합됨으로서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의 체결력만큼 연결바(110)가 수직재(102)를 수평재(101)와 밀착시겨 결합되도록 한다.In the
상기 연결바(110)의 길이는 수직재(102)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연결홀(106)에 결합시 양단부가 요입홈(107,108)에 머물게 함으로서 체결이 완료된 후 요입홈(107,108)을 커버(115)로 마감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length of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바(110)의 길이와 직경 및 체결홀(111)의 크기,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는 일반적인 범용성을 가지면서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 응급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onnecting
예를 들어 프로파일의 가로 세로 폭이 30mmX30mm일 경우에는 연결바(110)의 직경은 6mm, 길이는 23mm, 체결홀(111)의 직경은 4.1mm로 하고, 프로파일의 가로 세로 폭이 30mmX60mm일 경우에는 연결바(110)의 직경은 6mm, 길이는 53mm, 체결홀(111)의 직경은 4.1mm로 하고, 프로파일의 가로 세로 폭이 40mmX40mm일 경우에는 연결바(110)의 직경은 8mm, 길이는 30mm, 체결홀(111)의 직경은 6.1mm로 하고, 프로파일의 가로 세로 폭이 40mmX80mm일 경우에는 연결바(110)의 직경은 6mm, 길이는 70mm, 체결홀(111)의 직경은 6.1mm로 하는 형태로 프로파일의 규격에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the profile is 30mmX30mm,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여기에 사용되는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이기 때문에 별도로 가공하거나 맞추어야 하는 불편 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변수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상기 체결볼트(112)의 경우에는 긴 길이의 요입홈(107,108)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과 해제작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육각머리 형태의 볼트보다는 렌치홈이 형성된 타입의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making a frame using the profile
수직재(102)에 연결홀(106)을 미리 가공하여 현장으로 이동하여 조립하여도 되고, 연결홀(106)을 미리 형성하지 않고 현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현장 상황에 맞게 연결홀(106)을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하여 사용하면 된다.The
이 경우에는 연결홀(106)의 위치결정은 체결볼트(112)의 길이에 맞게 수직재(102)의 끝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한 후 일측의 요입홈(107)에서 타측의 요입홈(108)을 향하여 중앙의 심부(109)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positioning of the
이와 같이 연결홀(106)이 형성된 후에는 연결홀(106)에 연결바(110)를 삽입하는 데, 이 연결바(110) 역시 미리 준비하여 현장으로 이동하여도 되고, 현장에서 상황에 맞게 연결바(110)의 길이를 결정하여 커팅하고, 연결바(110)의 양측에 체결홀(111)을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된다.After the
상기 연결바(110)를 연결홀(106)에 결합하면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11)이 요입홈(107,108) 위치에 노출되는 데, 요입홈(107,108)을 통하여 체결볼트(112)를 삽입시키고, 수평재(101)에 형성되는 요입홈(107,108)에는 체결너트(113)를 삽입시킨 후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를 견고하게 조여준다.When the connecting
그러면,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의 체결력에 의하여 수평재(101)에 수직재(102)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격자 또는 다양한 형태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n, since the
이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후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재(101)와 수직재(102)에 형성되는 요입홈(107,108)을 커버(115)로 마감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고, 요임홈(107,108)으로 불필요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된다.After constructing the frame in this way,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을 구성할 경우에는 수평재와 수직재의 연결부위에 별도의 브라켓 없이 연결되므로 돌출부분이 없어 각종의 장비와 부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현장에서 연결홀(106)의 형성이나 연결바(110) 및 체결홍(111)의 형성을 널리 사용되는 드릴과 같은 범용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체결볼트(112)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서 현장상황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ame is configured,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without a separate bracket, there is no protrusion, so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various equipment and parts, and the
100;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
101; 수평재
102; 수직재
105; 연결수단
106; 연결홀
107,108; 요입홈
110; 연결바
111; 체결홀
112; 체결볼트
113; 체결너트
115; 커버100;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101; horizontal member
102; vertical
105; means of connection
106; connection hole
107,108; concave groove
110; connection bar
111; fastening hole
112; fastening bolt
113; fastening nut
115; cover
Claims (3)
상기 수평재(101)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재(102)와;
상기 수평재(101)와 수직재(102)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05)과;
상기 수직재(102)의 양단부에 연결수단(105)을 취부할 수 있도록 수직재(102)의 길이 방향으로 4면에 형성되는 요입홈(107,108) 중 하나의 요입홈(107)과 대향위치의 요입홈(108)을 통하여 중앙의 심부(109)를 관통되게 형성하는 연결홀(106)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05)은, 연결홀(106)에 삽입되는 연결바(110)와;
상기 연결바(110)의 양측에 연결바(110)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형성하는 체결홀(111)과;
상기 수직재(102)에 형성되는 요입홈(108)을 통하여 수평재(101) 방향으로 체결홀(11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112)와;
상기 수평재(101)에 형성되는 요입홈(107)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12)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바(110)가 수직재(102)를 수평재(101)와 밀착시키는 체결너트(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프레임 연결장치.a horizontal member 101 composed of a profile extruded from an aluminum material;
a vertical member 102 connected at a right angle to the horizontal member 101;
a connecting means 105 for firmly connecting the horizontal member 101 and the vertical member 102;
One of the concave grooves 107 and 108 formed on four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102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105 can b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member 102 and the concave groove at the opposite position and a connection hole 106 forming a central core 109 through (108);
The connecting means 105 includes a connecting bar 11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06;
fastening holes 1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center of the connecting bar 110;
a fastening bolt 112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11 in the horizontal member 101 direction through the concave groove 108 formed in the vertical member 102;
A fastening nut 113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07 formed in the horizontal member 101 and is screwed with the fastening bolt 112 so that the connecting bar 110 brings the vertical member 102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member 101 is further added. Profile fram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061A KR102282496B1 (en) | 2019-12-09 | 2019-12-09 |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061A KR102282496B1 (en) | 2019-12-09 | 2019-12-09 |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2606A KR20210072606A (en) | 2021-06-17 |
KR102282496B1 true KR102282496B1 (en) | 2021-07-28 |
Family
ID=7660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3061A Active KR102282496B1 (en) | 2019-12-09 | 2019-12-09 |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249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6510B1 (en) * | 1993-07-07 | 1999-07-01 | 다카다 요시유키 | Connecting mechanism for structural members |
KR101837378B1 (en) | 2017-07-10 | 2018-04-19 | 김용래 | Connection device of profile element |
KR101837375B1 (en) | 2017-07-05 | 2018-04-19 | 김용래 | Profile assembly |
KR101960330B1 (en) * | 2016-11-21 | 2019-07-15 | 이준철 | Connection joint device for frame profil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5337U (en) * | 2012-03-02 | 2013-09-11 | 김성우 | square fixing profile |
KR101289135B1 (en) | 2012-05-08 | 2013-07-23 | 정재은 | Connector for aluminium profile |
KR101509919B1 (en) | 2013-09-04 | 2015-04-08 | 정재은 | a coupling for aluminum profile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3061A patent/KR1022824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6510B1 (en) * | 1993-07-07 | 1999-07-01 | 다카다 요시유키 | Connecting mechanism for structural members |
KR101960330B1 (en) * | 2016-11-21 | 2019-07-15 | 이준철 | Connection joint device for frame profiles |
KR101837375B1 (en) | 2017-07-05 | 2018-04-19 | 김용래 | Profile assembly |
KR101837378B1 (en) | 2017-07-10 | 2018-04-19 | 김용래 | Connection device of profile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2606A (en)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24322A (en) | Corner fastener | |
US8136315B2 (en) | Connect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 |
KR102459898B1 (en) | curtain rod fixing equipment | |
KR102282496B1 (en) | Profile frame connecting device | |
KR200261570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windows frame | |
CN215332292U (en) | High strength aluminum alloy window frame convenient to installation | |
JP6837299B2 (en) | Door handle | |
CN213775183U (en) | Window with guard railing | |
KR101955970B1 (en) | Connector for partition assembly and Partition assembly for office room | |
EP3844363B1 (en) | Frame connector | |
CN214196022U (en) | Assembling structure of aluminum profile door leaf frame | |
KR200190707Y1 (en) | A lattice frame for middle doors | |
KR102338315B1 (en) | Mounting structure for door pivot | |
KR20040005737A (en) | A apparatus for connecting a partition | |
CN211202536U (en) | Section bar connecting assembly and door and window using same | |
CN109898958B (en) | Aluminum alloy door and window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CN220059316U (en) | Assembl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 |
KR0128129Y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and fixing pipes and supports | |
KR200401191Y1 (en) | Connecting device of window frame | |
KR200315332Y1 (en) | Window Frame Assembling Structure | |
KR100579446B1 (en) | Window frame | |
CN109372850B (en) | Installation method of bathroom cabinet body and installation assembly of bathroom cabinet body | |
JP7027213B2 (en) | Joined structure and fittings | |
CN110029868B (en) | Split locking piece | |
KR200281183Y1 (en) | Fabricated window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