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2099B1 -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099B1
KR102282099B1 KR1020200106025A KR20200106025A KR102282099B1 KR 102282099 B1 KR102282099 B1 KR 102282099B1 KR 1020200106025 A KR1020200106025 A KR 1020200106025A KR 20200106025 A KR20200106025 A KR 20200106025A KR 102282099 B1 KR102282099 B1 KR 10228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bypass chamber
dampe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박인우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20010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기의 몸체부 중심부에 열교환소자가 설치되고 열교환소자의 네 꼭지점을 몸체부의 내벽면부에 연결하여 열교환소자의 측면부에 각각의 공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의 양측 공간부는 외기공급부와 내기배출부로 형성하여 각각 팬을 구비하고 타측의 양측 공간부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단차를 두는 별도의 바이패스 챔버를 두어,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기유동을 제어하는 뎀퍼수를 최소한도로 설치하여 일반환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 바이패스모드, 및 필터탈진모드를 모두 운영할 수 있도록 효율화를 꾀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Heat Recovering Ventilator With Bypass Chamber}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기의 몸체부 중심부에 열교환소자가 설치되고 열교환소자의 네 꼭지점을 몸체부의 내벽면부에 연결하여 열교환소자의 측면부에 각각의 공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의 양측 공간부는 외기공급부와 내기배출부로 형성하여 각각 팬을 구비하고 타측의 양측 공간부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단차를 두는 별도의 바이패스 챔버를 두어,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기유동을 제어하는 뎀퍼수를 최소한도로 설치하여 일반환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 바이패스모드, 및 필터탈진모드를 모두 운용할 수 있도록 효율화를 꾀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폐된 활동공간의 공기는 거주자의 호흡이나 활동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오염되어 거주자의 내부 활동이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은 밀폐공간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사람이 다수 머물게 되는 경우, 내부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설치 운용되는 것이 환기장치이다.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장치는 하나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 결핍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때 그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하는 실외 공기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과정에서 이들을 서로 열교환시켜서,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높여 실내 공기에 가깝게 하여 급기한다.
이에, 실외 공기로 실내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더라도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낮추어서, 냉방 또는 난방에 소요되는 부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중공형상의 몸체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는 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72674호 및 공개특허 제10-2008-0024379호는 실내외 공기의 유동을 고르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천장에 설치되고 그 양측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가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면서 교환기 몸체 내부에 전열교환 소자가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열교환소자를 중심으로 일측 양측과 타측 양측의 4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들 공간부에 급기팬과 배기팬 및 이들을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뎀퍼가 설치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열교환기의 몸체부의 부피가 커지고 뎀퍼의 설치 갯수가 많아져 설치공간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많은 수의 뎀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필터탈진 모드나 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모드를 운용하는 경우 별도의 공기유동관이나 채널 등이 더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몸체부의 부피가 더욱 커지게 됨으로 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KR 10-1272674 (등록번호) 2013.07.03. KR 10-2008-0024379 (공개번호) 2008.03.18. KR 10-0532188 (등록번호) 2005.11.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열교환기의 몸체부 중심부에 열교환소자가 설치되고 열교환소자의 네 꼭지점을 몸체부의 내벽면부에 연결하여 열교환소자의 측면부에 각각의 공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의 양측 공간부는 외기공급부와 내기배출부로 형성하여 각각 팬을 구비하고 타측의 양측 공간부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단차를 갖는 별도의 바이패스 챔버를 두어 몸체부 내부의 공간부를 최소화하여 콤팩트한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쳄버 상부면에 뎀퍼를 설치 운용함으로써 전체 뎀퍼수를 줄이는 동시에 몸체부의 좁은 공간을 이용해 일반환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 외에 바이패스모드 및 필터탈진모드를 모두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기의 효율화를 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교환기의 몸체(부피)를 최소화 하는 동시에 최소한도로 적은 수의 뎀퍼를 설치하여 설치비용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의 열교환소자의 꼭지점과 결합되는 격벽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중 OA부를 상하 공간으로 분할하여 바이패스 챔버를 마련하되, 분할된 공간의 끝단을 개방하여 공기 유동을 자유롭게 하며, 분할된 상부면에 뎀퍼를 형성하여 열교환소자에서 분할된 하면으로의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 이동)은 뎀퍼를 경유하여야만 이동되고, 열교환소자에서 분할된 상면으로의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직접 이동이 가능하여 공기 유동을 상하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의 열교환 소자의 꼭지점과 결합되는 격벽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중 RA부를 상하 공간으로 분할하여 바이패스 챔버를 마련하되 분할된 공간의 일측을 개방하고, 일측을 폐쇄하며, 상부면에 뎀퍼를 설치하여 동시에 분할된 상부면과 열교환 소자 사이에 뎀퍼가 설치된 이동방지벽을 두어 실내의 뎀퍼를 통하여야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실내 공기가 설정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여 공간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에 카세트형 개폐구를 설치하여 전열교환기의 내부 점검이나 필터 교환 등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전열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소자(110)와; 상기 열교환소자(110)가 내부에 설치되는 교환기몸체(120);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벽면과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각 모서리부를 연결 고정하는 격벽지지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내부 각 코너부에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측면부와 상기 격벽지지대(130)에 의해 구획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141)이 구비되는 제1공간부(140)와,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급기팬(151)이 구비되는 제2공간부(150), 외기가 유입되는 제3공간부(160), 및 내기가 유입되는 제4공간부(170)가 각각 형성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소자(110)는 교환기몸체(120)의 중앙에서 제1공간부(140) 및 제2공간부(150)로 치워쳐 배치되고, 제1공간부(140) 및 제2공간부(150)로 치워쳐 배치된 열교환소자(110) 측면의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에는 공기의 유동공간이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와는 서로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챔버(180);가 포함되고,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는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각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간부(140)와 연통구(181a)로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상기 제4공간부(17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4공간부(170)의 상단부까지 이동방지벽(185)이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제4공간부(170)와 공기 유동이 분리되도록 하는 보조바이패스챔버(18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소자(110)는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바닥에서 상단까지 설치되며,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하면부에는 이를 개폐하는 카세트형 개폐기(190)가 실내 천장(T)에 더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카세트형 개폐기(190)로 상기 열교환소자(110)가 실내 천장(T)으로 개방된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는 하부면 일측이 개방되고, 하부면 반대측이 폐쇄되어 서로 연통되며, 메인바이패스챔버(181) 상부에만 제1공간부(140)와 제3공간부(160), 및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격벽지지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격벽지지대(130)는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2공간부(150)를 분할하는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공간부(150)와 상기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제2지지대(132),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제3지지대(133) 및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3공간부(160)를 분할하는 제4지지대(1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는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바닥면에서 상부면까지 구비되어 그 설치높이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상부면까지 구비되어 그 설치높이가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의 설치높이는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의 설치 높이보다 더 높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는 실내에서 유입된 내기가 뎀퍼를 통해서만 하부의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또는 측면의 열교환소자(110)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부(140)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배기팬(141)과 연통되어 내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뎀퍼(D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부(150)의 일측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급기팬(151)과 연통되는 통기구(152)가 구비되고, 상기 제3공간부(160)의 일측면에는 외부 공기(OA)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고, 상기 제3공간부(1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3뎀퍼(D3)가 구비되며, 상기 제4공간부(170)에는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와 공기가 출입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5뎀퍼(D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실내공기(내기,RA)를 외부로 내보내면서 실외공기(외기,OA)를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시키는 일반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로 유입하고 이를 다시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재공급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청정모드,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배출하고 실외공기만을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바이패스모드, 및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역으로 유입하여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서 공기유입구의 필터부(111)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필터탈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환기모드는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4뎀퍼(D1,D2,D4)는 ON되며 상기 제3,5뎀퍼(D3,D5)는 OFF되면서, 외부 공기(OA)는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RA)는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제4공간부(170)로 들어가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거치면서 외기와 열교환을 한 후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배기팬(141)을 거쳐 상기 제1뎀퍼(D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내공기청정모드는, 상기 급기팬(151)은 ON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FF되며, 상기 제3뎀퍼(D3)와 제5뎀퍼(D5)는 ON되고, 상기 제1뎀퍼(D1)와 제2뎀퍼(D2) 및 제4뎀퍼(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내부로 들어가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다음 상기 제2공간부(150)로 유동되어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재 공급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탈진모드는, 상기 급기팬(151)은 OFF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N되며, 상기 제1,3뎀퍼(D1,D3)는 ON되며 제2,4,5뎀퍼(D2,D4,D5)는 OFF되면서, 상기 배기팬(141)에 의해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150)로 실내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상기 필터부(111)를 역으로 통과하면서 이에 집진된 이물질을 탈리하여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이어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바이패스모드는,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5뎀퍼(D1,D2,D5)는 ON되며 상기 제3,4뎀퍼(D3,D4)는 OFF되면서, 외부 공기(OA)는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RA)는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를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는 몸체부의 중심부에 열교환소자를 설치하고 열교환소자의 네 꼭지점을 몸체부의 내벽면부에 연결하여 열교환소자의 측면부에 각각의 공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의 양측 공간부는 외기공급부와 내기배출부로 형성하여 각각 팬을 구비하고 타측의 양측 공간부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단차를 갖는 별도의 바이패스 챔버를 두어 몸체부 내부의 공간부를 최소화하여 콤팩트하게 설치 운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쳄버 상부면에 뎀퍼를 설치 운용함으로써 전체 뎀퍼수를 줄이는 동시에 몸체부의 좁은 공간을 이용해 일반환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외에 바이패스모드 및 필터탈진모드를 모두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기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의 몸체(부피)를 최소화 하는 동시에 최소한도의 적은 수의 뎀퍼를 설치하여 설치비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열교환소자의 꼭지점과 결합되는 격벽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중 OA부를 상하 공간으로 분할하여 바이패스 챔버를 마련하되, 분할된 공간의 끝단을 개방하여 공기 유동을 자유롭게 하며, 분할된 상부면에 뎀퍼를 형성하여 열교환소자에서 분할된 하면으로의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 이동)은 뎀퍼를 경유하여야만 이동되고, 열교환소자에서 분할된 상면으로의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직접 이동이 가능하여 공기 유동의 상하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열교환 소자의 꼭지점과 결합되는 격벽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중 RA부를 상하 공간으로 분할하여 바이패스 챔버를 마련하되 분할된 공간의 일측을 개방하고, 일측을 폐쇄하며, 상부면에 뎀퍼를 설치하여 동시에 분할된 상부면과 열교환 소자 사이에 뎀퍼가 설치된 이동방지벽을 두어 실내의 뎀퍼를 통하여야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실내 공기가 설정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여 공간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에 카세트형 개폐구를 설치하여 전열교환기의 내부 점검이나 필터 교환 등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바이패스챔버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대한 평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대한 정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대한 후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가 환기되는 공기의 흐름상태도(일반환기모드)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챔버와 열교환소자를 통해 내기가 다시 실내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상태도(공기청정모드)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열교환소자와 바이패스 챔버를 통해 내기가 필터의 역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상태도(필터탈진모드)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챔버를 통해 내기가 열교환소자를 바이패스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상태도(바이패스모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100)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전열되며 공기 유입구에 필터부(111)가 구비되 열교환소자(110)와;
상기 열교환소자(110)가 내부에 설치되는 교환기몸체(120);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벽면과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각 모서리부를 연결 고정하는 격벽지지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내부 각 코너부에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측면부와 상기 격벽지지대(130)에 의해 구획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141)이 구비되는 제1공간부(140)와,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급기팬(151)이 구비되는 제2공간부(150), 외기가 유입되는 제3공간부(160), 및 내기가 유입되는 제4공간부(170)가 각각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에는 공기의 유동공간이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와는 서로 분리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연통 설치되는 바이패스챔버(180);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소자(110)는 상기 바이패스챔버(180)의 구비에 의하여 교환기몸체(120)의 중심이 아닌 바이패스챔버(180)가 구비되는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보다 제1공간부(140)와 제2공간부(150)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는 기본적으로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급기팬(151)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가동되면 외부 공기(OA)가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111)와 상기 열교환소자(110)을 차례로 지나 상기 제2공간부(150)을 통해 실내로 공급(SA)된다.
동시에 실내 공기(RA)가 상기 제4공간부(170)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소자(110)을 지나면서 전열되고 상기 제1공간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EA)되면서 실내공기가 환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벽지지대(130)는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2공간부(150)가 나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2공간부(15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공간부(150)와 상기 제4공간부(170)가 나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공간부(15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지지대(132),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가 나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3지지대(133), 및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3공간부(160)가 나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3공간부(16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4지지대(1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는 상기 제1지지대(131)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2공간부(15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고, 상기 제2지지대(132)에 의해 상기 제2공간부(15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3지지대(133)에 의해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고, 상기 제4지지대(134)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3공간부(160)의 공기가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는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공간과는 각각 분리되도록 이들 공간부의 하부측과 측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공간으로,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각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간부(140)와 연통구(181a)로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상기 제4공간부(17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4공간부(170)의 상단부까지 이동방지벽(185)이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제4공간부(170)와 공기 유동이 분리되도록 하는 보조바이패스챔버(18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는 상기 제4공간부(170)에서 서로 높이가 다르게 단차져서 형성 구비된다.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는 실내에서 유입된 내기가 뎀퍼를 통해서만 하부의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또는 측면의 열교환소자(110)로 이동되어 공기 유동의 자유도를 낮추어 제어에 의해서만 공기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벽면부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바이패스통기구(183)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에는 실내 연통덕트(미도시)가 쉽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183a)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벽지지대(130)의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는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바닥면에서 상부면까지 구비되며 이들 설치높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상부면까지 구비되며 이들의 설치높이도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의 설치높이는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의 설치높이보다 더 높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간부(140)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배기팬(141)과 연통되어 내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뎀퍼(D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뎀퍼(D1)에는 배출되는 내기를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미도시)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뎀퍼(D1)를 ON시키고 상기 배기팬(141)을 가동시키면 상기 제1공간부(14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2공간부(150)의 일측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급기팬(151)과 연통되는 통기구(152)가 구비되고 상기 통기구(152)에는 실내와 연통되어 내기가 유동되는 실내연통관(미도시)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152)에는 실내연통관의 연결이 간편하도록 플랜지(152a)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51)을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제2공간부(150)의 공기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급기팬(151)을 정지하고 상기 배기팬(141)만을 가동시키면 실내 공기가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역으로 상기 제2공간부(1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필터 탈진 모드를 운용할 때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3공간부(160)의 일측면에는 외부 공기(OA)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뎀퍼(D2)에는 외부 공기를 가이드하여 유동시키는 급기덕트(미도시)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뎀퍼(D2)를 ON 시키면 외부 공기가 상기 제3공간부(160)의 내부로 유입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3공간부(1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3뎀퍼(D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뎀퍼(D3)를 ON시키면 상기 제3공간부(160)의 공기가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내부로 또는 그 반대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공간부(170)에는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와 공기가 출입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4뎀퍼(D4)를 ON시키게 되면 상기 제4공간부(170)와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가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5뎀퍼(D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5뎀퍼(D5)를 ON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와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가 연통되면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공간부(160)에 위치하면서 외부 공기(OA)를 유입하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입구에는 전면부의 제1프리필터(111a)와 후면부의 집진필터(111b)로 이루어지는 필터부(111)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필터(111b))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헤파필터, 미디움필터 등 성능이 다양한 필터가 모인 집합적인 필터로 제작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111)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나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여 청정하게 공급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11)를 통해 필터링된 외부 공기가 빠져나가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출구부에는 광촉매필터(112)를 더 설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추가적으로 소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4공간부(170)에 위치하면서 실내공기(RA)를 유입하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입구에는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보호하여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실내 공기에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 등을 미리 걸러서 배출하는 제2프리필터(1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 하면부에는 실내 천장(T)에 설치되고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하면부를 개폐하는 카세트형 개폐기(1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형 개폐기(190)를 개방하여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등을 신속하게 정비 교환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2뎀퍼(D2)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면 실외 공기(OA)는 상기 제1프리필터(111a)와 집진필터(111b)를 거치면서 먼지가 제거되어 정화된 상태로 상기 열교환소자(110)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급기팬(151)을 통해 실내로 공급(SA)된다.
동시에 상기 제1뎀퍼(D1)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면서 실내 공기(RA)를 상기 열교환소자(110)로 유입시키고, 이어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내기는 상기 배기팬(141)을 통해 실외로 배출(EA)되는 일반 환기모드가 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111)에 구비되는 상기 제1프리필터(111a)와 상기 집진필터(111b)에 고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탈진모드를 운용하는데 더욱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챔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패스모드의 운용에도 더욱 효율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환기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공간부에 바이패스챔버(180)를 설치하고 이들 공간부와 챔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뎀퍼를 설치함으로써 교환기몸체(120)의 공간을 효율화 하여 컴팩트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뎀퍼의 설치수를 줄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장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는 실내공기(내기,RA)를 외부로 내보내면서 실외공기(외기,OA)를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시키는 일반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챔버(180)로 유입하고 이를 다시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재순환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청정모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배출하고 실외공기만을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바이패스모드, 및 실내공기를 열교환소자(110)의 역으로 유입하여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서 필터부에 집진된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필터탈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모드별 실내외 공기의 흐름도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가 일반환기모드에 따라 환기되는 공기의 흐름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반환기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시키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4뎀퍼(D1,D2,D4)는 ON되며 상기 제3,5뎀퍼(D3,D5)는 OFF되면서,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외부 공기(OA)가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제1프리필터(111a)와 상기 집진필터(111b)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실내 공기(RA)는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제4공간부(170)로 들어가 상기 제2프리필터(113)와 열교환소자(110)를 거치면서 외기와 열교환을 한 후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배기팬(141)을 거쳐 상기 제1뎀퍼(D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일반환기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챔버와 열교환소자를 통해 내기가 다시 실내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상태도(공기청정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내공기청정모드는, 외부 공기에 미세먼지 등이 많아 이를 실내로 공급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필터부와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내기에 함유된 먼지를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실내로 재공급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환기시키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기팬(151)은 ON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FF되며, 상기 제3뎀퍼(D3)와 제5뎀퍼(D5)는 ON되고, 상기 제1뎀퍼(D1)와 제2뎀퍼(D2) 및 제4뎀퍼(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내부로 들어가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제1프리필터(111a)와 상기 집진필터(111b)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로 유동되어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재 공급되면서 실내공기청정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열교환소자와 바이패스 챔버를 통해 내기가 필터부의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필터부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기의 흐름상태도(필터탈진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탈진모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1)에 고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기팬(151)은 OFF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N되며, 상기 제1,3뎀퍼(D1,D3)는 ON되며 제2,4,5뎀퍼(D2,D4,D5)는 OFF되면서,
상기 배기팬(141)에 의해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150)로 실내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상기 필터부(111)를 역으로 통과하면서 이에 집진된 이물질 등을 탈리하여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이어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된 후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필터탈진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챔버를 통해 내기가 열교환소자를 바이패스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상태도(바이패스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패스모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열교환소자를 통하지 않고 바로 바이패스챔버를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모드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 5뎀퍼(D1,D2,D5)는 ON되며 상기 제3,4뎀퍼(D3,D4)는 OFF되면서,
상기 급기팬(151)에 의해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외부 공기(OA)가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제1프리필터(111a)와 상기 집진필터(111b)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실내 공기(RA)는 상기 바이패스통기구(183)를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바이패스모드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는 일반환기모드와, 실내공기청정모드, 필터탈진모드, 및 바이패스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4가지 모드를 교환기의 몸체부 내부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뎀퍼 설치수도 최소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는 전열교환기의 몸체부 중심부에 열교환소자가 설치되고 열교환소자의 네 꼭지점을 몸체부의 내벽면부에 연결하여 열교환소자의 측면부에 각각의 공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의 양측 공간부는 외기공급부와 내기배출부로 형성하여 각각 팬을 구비하고 타측의 양측 공간부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단차를 두는 별도의 바이패스 챔버를 두어,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기유동을 제어하는 뎀퍼수를 최소한도로 설치하여 일반환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 바이패스모드, 및 필터탈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운용할 수 있다.
100: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110:열교환소자
111:필터부 111a:제1프리필터 111b:집진필터 112:광촉매필터
113:제2프리필터
120:교환기몸체
130:격벽지지대
131:제1지지대 132:제2지지대 133:제3지지대 134:제4지지대
140:제1공간부 141:배기팬
150:제2공간부 151:급기팬 152:통기구 152a:플랜지
160:제3공간부 170:제4공간부
180:바이패스챔버 181:메인바이패스챔버 182:보조바이패스챔버
183:바이패스통기구 181a:연통구 183a:플랜지 185:이동방지벽
190:카세트형 개폐기
D1:제1뎀퍼 D2:제2뎀퍼 D3:제3뎀퍼 D4:제4뎀퍼 D5:제5뎀퍼

Claims (12)

  1.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전열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소자(110)와;
    상기 열교환소자(110)가 내부에 설치되는 교환기몸체(120);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벽면과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각 모서리부를 연결 고정하는 격벽지지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내부 각 코너부에는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측면부와 상기 격벽지지대(130)에 의해 구획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141)이 구비되는 제1공간부(140)와,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급기팬(151)이 구비되는 제2공간부(150), 외기가 유입되는 제3공간부(160), 및 내기가 유입되는 제4공간부(170)가 각각 형성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소자(110)는 교환기몸체(120)의 중앙에서 제1공간부(140) 및 제2공간부(150)로 치워쳐 배치되고, 제1공간부(140) 및 제2공간부(150)로 치워쳐 배치된 열교환소자(110) 측면의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에는 공기의 유동공간이 상기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와는 서로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챔버(180);가 포함되고,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는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의 각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간부(140)와 연통구(181a)로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상기 제4공간부(17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4공간부(170)의 상단부까지 이동방지벽(185)이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제4공간부(170)와 공기 유동이 분리되도록 하는 보조바이패스챔버(18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소자(110)는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바닥에서 상단까지 설치되며,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하면부에는 이를 개폐하는 카세트형 개폐기(190)가 실내 천장(T)에 더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카세트형 개폐기(190)로 상기 열교환소자(110)가 실내 천장(T)으로 개방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는 하부면 일측이 개방되고, 하부면 반대측이 폐쇄되어 서로 연통되며,
    메인바이패스챔버(181) 상부에만 제1공간부(140)와 제3공간부(160), 및 제3공간부(160)와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격벽지지대(130)가 배치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지지대(130)는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2공간부(150)를 분할하는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공간부(150)와 상기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제2지지대(132), 상기 제3공간부(160)와 상기 제4공간부(170)를 분할하는 제3지지대(133) 및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제3공간부(160)를 분할하는 제4지지대(1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는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바닥면에서 상부면까지 구비되어 그 설치높이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의 상부면에서 상기 교환기몸체(120)의 상부면까지 구비되어 그 설치높이가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지지대(131)와 상기 제2지지대(132)의 설치높이는 상기 제3지지대(133)와 상기 제4지지대(134)의 설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는 실내에서 유입된 내기가 뎀퍼를 통해서만 하부의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또는 측면의 열교환소자(110)로 이동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140)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배기팬(141)과 연통되어 내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뎀퍼(D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부(150)의 일측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급기팬(151)과 연통되는 통기구(152)가 구비되고,
    상기 제3공간부(160)의 일측면에는 외부 공기(OA)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2뎀퍼(D2)가 구비되고, 상기 제3공간부(1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3뎀퍼(D3)가 구비되며,
    상기 제4공간부(170)에는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와 공기가 출입하도록 제어하는 제4뎀퍼(D4)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바닥면에는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와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5뎀퍼(D5)가 구비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실내공기(내기,RA)를 외부로 내보내면서 실외공기(외기,OA)를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시키는 일반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로 유입하고 이를 다시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재공급하여 실내를 청정하게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청정모드,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배출하고 실외공기만을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바이패스모드, 및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소자(110)의 역으로 유입하여 상기 바이패스챔버(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서 공기유입구의 필터부(111)에 집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필터탈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용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환기모드는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4뎀퍼(D1,D2,D4)는 ON되며 상기 제3,5뎀퍼(D3,D5)는 OFF되면서,
    외부 공기(OA)는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RA)는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4뎀퍼(D4)를 통해 제4공간부(170)로 들어가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거치면서 외기와 열교환을 한 후 상기 제1공간부(140)와 상기 배기팬(141)을 거쳐 상기 제1뎀퍼(D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청정모드는, 상기 급기팬(151)은 ON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FF되며, 상기 제3뎀퍼(D3)와 제5뎀퍼(D5)는 ON되고, 상기 제1뎀퍼(D1)와 제2뎀퍼(D2) 및 제4뎀퍼(D4)는 OFF되면서,
    실내공기(RA)가 바이패스통기구(183)을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 내부로 들어가 상기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다음 상기 제2공간부(150)로 유동되어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재 공급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탈진모드는, 상기 급기팬(151)은 OFF되고 상기 배기팬(141)은 ON되며, 상기 제1,3뎀퍼(D1,D3)는 ON되며 제2,4,5뎀퍼(D2,D4,D5)는 OFF되면서,
    상기 배기팬(141)에 의해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150)로 실내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해 상기 필터부(111)를 역으로 통과하면서 이에 집진된 이물질을 탈리하여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이어 제3뎀퍼(D3)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모드는,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배기팬(141)은 ON되고, 상기 제1,2,5뎀퍼(D1,D2,D5)는 ON되며 상기 제3,4뎀퍼(D3,D4)는 OFF되면서,
    외부 공기(OA)는 상기 제2뎀퍼(D2)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60)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필터부(111)를 지나 상기 열교환소자(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간부(150)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급기팬(151)과 상기 통기구(15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RA)는 바이패스통기구(183)를 통해 상기 보조바이패스챔버(1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5뎀퍼(D5)를 통해 상기 메인바이패스챔버(18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연통구(181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40)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기팬(141)과 상기 제1뎀퍼(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12. 삭제
KR1020200106025A 2020-08-24 2020-08-24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Active KR10228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25A KR102282099B1 (ko) 2020-08-24 2020-08-24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25A KR102282099B1 (ko) 2020-08-24 2020-08-24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099B1 true KR102282099B1 (ko) 2021-07-26

Family

ID=7712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25A Active KR102282099B1 (ko) 2020-08-24 2020-08-24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0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19141A1 (en) * 2022-07-18 2024-01-18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KR20240010591A (ko) * 2022-07-14 2024-01-24 주식회사 프레쉬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효율 확보가 우수한 열교환 모듈을 구비한 열교환 환기시스템
US20240035688A1 (en) * 2022-08-01 2024-02-01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US20240035687A1 (en) * 2022-08-01 2024-02-01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117523B1 (ko) * 2010-08-31 2012-03-09 은성화학(주) 전열교환기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KR20170103133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KR20180135636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117523B1 (ko) * 2010-08-31 2012-03-09 은성화학(주) 전열교환기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KR20170103133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KR20180135636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591A (ko) * 2022-07-14 2024-01-24 주식회사 프레쉬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효율 확보가 우수한 열교환 모듈을 구비한 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710218B1 (ko) 2022-07-14 2024-09-27 주식회사 프레쉬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효율 확보가 우수한 열교환 모듈을 구비한 열교환 환기시스템
US20240019141A1 (en) * 2022-07-18 2024-01-18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US20240035688A1 (en) * 2022-08-01 2024-02-01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US20240035687A1 (en) * 2022-08-01 2024-02-01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099B1 (ko)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KR102011247B1 (ko)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US20070158049A1 (en) Ventilation system
KR102079211B1 (ko)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0565593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2424786B1 (ko) 실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079212B1 (ko)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1819046B1 (ko)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2105012B1 (ko) 대용량의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17B1 (ko) 측면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20230026836A (ko)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0587314B1 (ko) 환기시스템
KR102495191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주거용 실내환경 복합제어장치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KR20180003341U (ko) 열교환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