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36B1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Google Patents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1936B1 KR102281936B1 KR1020210029944A KR20210029944A KR102281936B1 KR 102281936 B1 KR102281936 B1 KR 102281936B1 KR 1020210029944 A KR1020210029944 A KR 1020210029944A KR 20210029944 A KR20210029944 A KR 20210029944A KR 102281936 B1 KR102281936 B1 KR 102281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knob
- container
- discharge hole
- contents
- kno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작동 노브를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p inverted type container that discharges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by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that occurs when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More specifically, the open mode ( Since it is a method of switching to open mode or close mode, in open mod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automatically opened just by holding and pressing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very smoothly and the container body is closed. When the pressing force is stoppe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leaking. In particular, sinc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not arbitrarily opened in the closed mode, it is distributed or carried and stored. It relates to an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incorrectly during the process.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은 용기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적정량을 토출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liquid cosmetics, liquid detergents, body products such as liquid shampoo and conditioner, and liquid sauces such as soy sauce or vinegar are stored in a container and used by discharging an appropriate amount whenever necessary.
상기와 같은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대부분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용기는 소량의 내용물이 남을 경우, 용기의 하단부에 그 소량의 내용물이 잔류하기 때문에 소량의 내용물을 상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가 어려워서 내용물 전량을 전부 사용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수의 용기가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내용물 일부가 낭비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Most of the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at the top of the container. However, when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remain in the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through the outlet at the top because the small amount of contents remains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o it is virtually difficult to use the entire amount of the contents. For this reason, in most cases,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are thrown away with a small amount of contents remaining, so that some of the contents are was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이에 따라,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지지 캡)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위에 세워지고, 상기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돌리면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ly, a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bottom has been proposed, and such a container has a flat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topper (support cap) and is erected on a table,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when the container stopper is turned, the discharge por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그런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의 평평한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토출구 둘레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내용물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는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하였다.However, in such a container, a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flat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topper,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 state whe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causing a sanitary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ar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또한, 용기의 토출구가 하단에 있으므로 액상의 내용물은 용기 하측으로 쏠리기 때문에 토출구가 개방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is at the bottom, the liquid content is drawn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so when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content is discharged unnecessarily and was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542590호 공보에는 "역립타입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2590 discloses an "inverted type container".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튜브타입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토출구(11)가 형성된 용기 몸체(10); 하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연통 되도록 용기 몸체(10)에 결합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 캡(2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의 둘레 또는 지지 캡(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이 상기 지지 캡(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하면 중앙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32)이 형성된 작동 노브(3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 사이에 구비되며, 하단이 상기 상승된 상태의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는 차단부재(40); 및 중앙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이며, 중앙에 상기 차단부재(40)가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차단부재(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연통 및 연통 해제시키는 판막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노브(30)를 하강시킴에 따라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이 차단부재(40)의 하단과 이격되면서 개방되고, 용기 몸체(10)를 누르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판막부재(50)의 형태가 변형되어 토출구(11)와 토출공(32)이 연통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며, 반면에 사용자가 누르던 용기 몸체(10)에서 손을 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판막부재(50)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 사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the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the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작동 노브(30)의 내측 면에 승강돌기(31)가 돌출 형성되고, 그 승강돌기(31)는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승강홈(27) 안에 삽입되며, 그 승강홈(27)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기 몸체(10)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작동 노브(30)를 돌려서 용기 몸체(10)로부터 하강시키는데, 이때 승강홈(27)을 따라 승강돌기(31)가 이동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the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작동 노브(30)를 돌려 하강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용기 몸체(10)를 눌러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판막부재(5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므로 판막부재(50)의 테두리가 처지면서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내용물이 그 틈새를 통해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으로 흘러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일차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이차로 용기 몸체(10)를 눌러주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을 증가함으로써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이므로,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판막부재(50)가 반드시 필요하다.In the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the user first turns the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의 판막부재(50)가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판막부재(50)에 의해서 내용물이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많은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판막부재(50)가 오히려 장애가 되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울 때), 우선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여야만 그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외부로 토출되지 않게 되는바,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드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upside-down type container, when it is desired to stop discharging the contents (when the container is erected), the user first turns the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만약 작동 노브(30)를 사용 후 바로 상승시키지 않으면 판막부재(50)와 토출공(32) 사이에 잔류 내용물이 흘러나와 토출공(32) 주변이 오염되고 내용물이 말라서 굳을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if the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357310호 공보에는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357310 publication discloses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automatic cap for a liquid container".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Figure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portion of the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와 나사 결합하는 캡(20)과,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입구부 사이를 거쳐 용기(10)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0)로 이루어진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캡(20)의 중앙홀(21)에 삽입되도록 하부측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돌설된 원통형 돌림부(31a)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하부에 더 넓은 직경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캡(20)의 하부 내주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31b)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내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설판(31c)과,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액체 배출홀(31d)로 이루어진 회전 개폐부재(31)와;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 개폐부재(31)의 한 쌍의 돌설판(31c)이 삽입되어 회전 개폐부재(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부단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씩 돌설된 두 개의 돌설대(32a)와, 상기 두 개의 돌설대(32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설되되, 하부단에 양측으로 돌설된 하부단 돌설대(32b)와, 하부측에 양측으로 돌설되어 그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원형판(32c)이 형성된 하부측 돌설대(32d)와, 상기 하부단 돌설대(32b)의 바로 상부에 형성된 원형 외주 홈(32e)으로 이루어진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와; 중앙에 형성된 상부홀(33a)을 통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상단이 삽입되고,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사이에 삽입되는 원형부(33b)와, 상기 원형부(33b)의 하부 양측에 유자형으로 형성된 띠형부재(33c)와, 상기 띠형부재(33c)의 최하부면 중앙에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하부단 돌설대(32b)가 삽입되는 하부 슬릿홀(33d)과, 상기 띠형부재(33c)의 양측벽 내면에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원형판(32c)이 서로 맞접촉하도록 내측 원형판(33e)이 형성된 내부측 돌설대(33f)로 이루어진 용기 내부부재(33)로 구성된다.3 and 4, the conventional automatic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includes a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서는,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0)의 사이즈가 용기(10)의 입구보다 크기 때문에, 조립시 또는 내용물 리필(refill)시, 개폐부재(30)를 그 용기(10)의 입구 안으로 집어넣거가 빼내기가 매우 어렵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since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특히,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다시 내용물을 리필하려고 할 때에, 내용물이 묻어있는 용기 내부부재(33)를 손으로 잡고 눌러 부피를 줄인 후, 용기(10)의 입구 속으로 삽입해야 하므로, 리필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캡 개폐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으며, 조립이 까다로워서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들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re used up and the contents are to be refilled again,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by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that occurs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body. However, since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knob by 90° to switch to the open mode or to the closed mode, in the open mod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y simply holding the container body and pressing it. It is very smooth, and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container body is stoppe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leaking. Especially in the close mode, sinc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not arbitrarily opened, distribution (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incorrectly during storage or carrying and storag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자동으로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by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body, but unlike the prior art, by turning the operation knob to lower it Even if there is no operation,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opened by the increas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By automatically preventing leakage of contents by closing the discharge hole while the operation knob rise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discharging the contents is very easy, and provid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that does not arbitrarily leak contents without a conventional valve member will b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의 센터(중심)에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가 형성된 튜브 타입의 용기 몸체(vessel body); 내부에 상기 제1 체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센터에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지지 캡(support cap); 상기 지지 캡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을 통해서 상기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상기 제2 토출구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up and down knob); 상기 작동 노브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elastic member); 및 상기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 안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노브의 상승 시에는 상기 토출공을 폐쇄하고 상기 작동 노브의 하강 시에는 상기 토출공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close member); 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s therein, a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the contents at the center (center)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 tube-type vessel body in which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is formed; A support cap having a second fastening part formed therein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 secon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being formed in the center, and a flange formed at the bottom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support cap); It is installed rotatab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in the support cap and can be switched to a vertically descendable stat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body, it descends vertically by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is formed in the center an operation knob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contents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support cap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ration knob upward and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support cap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when the operation knob is raised and open the discharge hole when the operation knob is lowered (close member); includes
또한, 상기 작동 노브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하강 가능한 상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하강 불가능한 상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down groove)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상기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witch to an open mode (open mode or unlocking mode) or to switch to a close mode (unable to descend) (close mode or locking mode) by rotating the operation kno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ort A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ap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utlet, and a down groove for vertically lowering the operation kno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 A stopper for limiting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kno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여기서, 오픈 모드란 하강 가능한 상태로서 언로킹 모드를 말하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작동 노브를 9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오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Here, the open mode refers to an unlocking mode as a descendable state,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operation knob 90° counterclockwise to discharge the contents.
그리고 클로즈 모드란 하강 불가능한 상태로서 로킹 모드를 말하며, 작동 노브를 90°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으로 오픈될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이 잘못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And the closed mode refers to the locking mode as a state in which descending is impossible, and the operation knob is rotated 90° clockwise to prevent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leaked erroneously.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상기 지지 캡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 및 상기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 몸체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 을 포함한다.an annular blocking body having a step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mounted on a support rib formed inside the support cap; and a blocking ro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ing body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nd gradually tapered toward the bottom. includes
또한, 상기 작동 노브는,In addition, the operation knob,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차단봉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차단 봉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이 형성된 노브 몸체;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노브 몸체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 상기 제2 토출구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노브 몸체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토출구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노브 몸체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상기 노브 몸체를 반시계방향 90°도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 를 포함한다.a knob body formed of a hollow structur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inserted, and having a discharge hole at a lower e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rod; a spring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ob body to b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 content leakage preventing surface formed on the midd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bod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utlet; an opening and closing guide projection formed on both sides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body to move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rail; and a handle for rotating the knob body by 90° counterclockwise or 90° clockwise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knob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utlet; includes
또한, 상기 지지 캡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공의 개폐 상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pening/closing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n/closed state (open mode or close mode)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cap.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상기 지지 캡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 상기 스프링 접촉부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 및 상기 로워 베이스와 상기 어퍼 베이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몸체와 상기 노브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 안에 신축공간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부; 를 포함한다. an annular lower base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cap; an annular upper base in contact with the spring contact; and a plurality of unit tension cells formed integrally between the lower base and the upper base and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body and the knob body, a tension rib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and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is formed in the tension ri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elastic parts formed to generat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unit tension cell is ver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includ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 번째, 지지 캡의 내부에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First, a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upport cap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utlet, a descending groove for vertical descent of the operation kno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actuating knob is formed on the side, so that the user can switch to the open mode or switch to the closed mode by turning the actuating knob by 90°. In the open mode, the user can hold the container body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utomatically opens just by pressing it, so the contents are discharged very smoothly.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container body is stoppe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leaking. In this mode, sinc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not arbitrarily opened, even if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incorrectly during distribution, carrying and storage,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두 번째,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자동으로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are discharged by the pressure increase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but unlike the prior art, the operation knob is discharg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without lowering the operation knob by turning the operation knob. The ball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Conversely, unlike the prior art, the operation knob rise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ithout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operation knob by turning the operation knob. By closing the contents to prevent leakage, discharge of the contents is very eas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without a conventional valve member.
세 번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Third, unlike the conventional automatic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ischarge and leakage of contents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assembly is easy because the overall structure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It is easy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hen refilling the contents, the refilling operation is very conveni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 작동 노브, 차단부재,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차단 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4 및 도 1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7은 용기 몸체를 눌러서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 노브의 토출공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의 확대도
도 19는 도 17의 확대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verted type container;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portion of a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upright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cap, an operating knob, a block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n an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cap in the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knob in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ing member in the automatic cap upr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member in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n elastic member in an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15 and 17 are views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increases by pressing the container body;
18 is an enlarged view of FIG. 16
19 is an enlarged view of FIG. 17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the ext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in each figure.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so,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 "left", "right", "lateral", etc.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does not simply indicate or imply that a device or element must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cap upr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 작동 노브, 차단부재,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차단 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 및 도 17은 용기 몸체를 눌러서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 노브의 토출공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의 확대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확대도이다.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is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upport cap, an operating knob, a block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n the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cap in an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side-down container,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knob, Figure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ing member in the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is shown, and FIG. 1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4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nd FIGS. 15 and 17 are views of the operation knob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increases by pressing the container body. It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hole open state,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FIG. 16 , and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FIG. 17 .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113)의 센터(중심)에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115)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용기 몸체(110); 내부에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되는 지지 캡(120);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130); 작동 노브(130)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0); 및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bove, in the automatic cap upside-dow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지지 캡(120)의 내부에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됨으로써,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도록 하여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And in the automatic cap inver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ap inverted
우선,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몸체(110)는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탄성 용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내부에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이 채워지는 탄성 용기로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5, 6, and 7, the
상기 용기 몸체(110)는 내부에 그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네크부)(113)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113)의 센터(중심)에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115)(도 7 참조)가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지지 캡(120)은 용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110)를 테이블(미도시) 위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하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이 용기 몸체(110)의 하면에 결합한다.In addition, the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캡(120)은 내부에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된다.7, 8, and 9, the
또한, 상기 작동 노브(130)는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잡고 누를 때, 용기 몸체(110)의 내부 압력 증가, 즉 내용물의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는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위치된다(도 18 및 도 19 참조).When the user holds th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 가능한 상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하강 불가능한 상태(close mod or 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의 내부에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 in order to convert the operating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는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는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된다.A lowering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는 작동 노브(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된다. 즉, 작동노브(130)가 하강하여 노출공(132)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우에 그 토출압력에 의해서 탄성부재(140)는 하방으로 눌려지고(압축되고), 반대로 내용물 토출을 멈춘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40)는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탄성부재(14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140)는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141);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142); 및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몸체(151)와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탄성부(145); 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워 베이스(141)는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하고, 어퍼 베이스(142)는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탄성부(145)는 차단 몸체(151)와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는데,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되어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그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차단부재(150)는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locking
도 11을 참조하여 차단부재(15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상기 차단부재(150)는 지지 캡(120)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121)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152)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151); 및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차단 몸체(151)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153); 을 포함한다.The blocking
상기 서포트 리브(121)의 내주면과, 차단 몸체(15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요철(157)이 형성되어 차단 몸체(15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Concave-convex 157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차단 봉(15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54)가 형성되어, 차단 봉(153) 자체의 내구성을 높이며, 차단 봉(153)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준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즉, 차단 봉(153)의 위치가 정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서 작동 노브(130)의 승하강 시, 토출공(131) 안에 정확하게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상기 차단 몸체(151)의 상부에는 차단 봉(153)을 지지하는 십자형 차단봉 지지 바(155)가 형성되고, 그 차단봉 지지 바(155)에는 내용물 유입홀(156)이 형성된다. 상기 십자형 차단봉 지지 바(155)의 하부에 복수의 보강리브(154)가 일체로 형성된다.A cross-shaped blockin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작동 노브(13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작동 노브(130)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 노브 몸체(132);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133);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 및 제2 토출구(125)(도 9 참조)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136); 를 포함한다.The
상기 노브 몸체(132)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다. 토출공(131)의 내주면에는 경사면(131a)이 형성되어, 그 토출공(131) 안에 차단 봉(153)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는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The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에는 탄성부재(140)의 어퍼 베이스(142)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작동 노브(130)가 탄성부재(140)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작동 노브(130) 승하강 작동 시,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 안으로 차단 봉(153)의 위치가 정 위치에 놓이게 되어,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상기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은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content
상기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는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는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 위에 접촉한 상태로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상기 손잡이(136)는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며,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하여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지지 캡(120)의 저면에는 토출공(131)의 개폐 모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122)(도 9 참조)가 형성되는바, 우선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35)를 잡고 반시계 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 후,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내용물의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이때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도 19 참조).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display unit 122 (see FIG. 9 ) for displaying the open mode or close mode of the
반면에,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용기 몸체(110)가 탄성 복원되면서 용기 몸체(110) 내부 흡입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서 토출공(131)이 클로즈됨으로써(차단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된다(도 18 참조).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stop discharging the contents (when standing or storing the container),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135)를 잡고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grabs th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용기 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9에서와 같이 손잡이(135)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 노브(130)를 반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다(도 9 참조).First,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그 다음, 용기 몸체(110)를 잡고 누르면, 용기 몸체(110)의 내부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이때 탄성부재(140)는 하방으로 눌려지며(압축되며),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도 19 참조).Then, holding and pressing the
반면에,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용기 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용기 몸체(1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이때 용기 몸체(1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한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서, 토출공(131)이 클로즈(차단)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된다(도 18 참조).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stop discharging the contents (when the container is erected or stored),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그 다음, 손잡이(135)를 잡고, 작동 노브(130)를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 모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도 9 참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2)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n, by hold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 번째, 지지 캡의 내부에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First, a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upport cap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utlet, a descending groove for vertical descent of the operation kno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pper for limiting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actuating knob is formed on the side, so that the user can switch to the open mode or switch to the closed mode by turning the actuating knob by 90°. In the open mode, the user can hold the container body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automatically opens just by pressing it, so the contents are discharged very smoothly.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container body is stoppe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ectively preventing contents leakage. In this mode, since the discharge hole of the operation knob is not arbitrarily opened, even if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incorrectly during distribution, carrying and storage,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두 번째,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자동으로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 작동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are discharged by the pressure increase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body is pressed, but unlike the prior art, the operation knob is discharg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without lowering the operation knob by turning the operation knob. The ball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Conversely, unlike the prior art, the operation knob rise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discharge hol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ithout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operation knob by turning the operation knob. By closing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the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contents is very eas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s do not leak arbitrarily without the conventional valve member.
세 번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110)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Third, unlike the conventional automatic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ischarge and leakage of contents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let of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many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recited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understood as
100: 자동캡 역립형 용기
110: 용기 몸체
111: 공간
113: 제1 체결부(네크부)
115: 제1 토출구
120: 지지 캡
123: 제2 체결부
125: 제2 토출구
127: 플랜지
130: 작동 노브
131: 토출공
132: 노브 몸체
133: 스프링 접촉부
134: 내용물 누출 방지면
135: 개폐용 가이드 돌기
136: 손잡이
140: 탄성부재
142: 어퍼 베이스
141: 로워 베이스
143: 텐션리브
144: 신축공간
145: 탄성부재
150: 차단부재
151: 차단 몸체
152: 단턱
153: 차단 봉
154: 보강리브100: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110: container body
111: space
113: first fastening part (neck part)
115: first outlet
120: support cap
123: second fastening part
125: second outlet
127: flange
130: operation knob
131: discharge hole
132: knob body
133: spring contact
134: content leak-proof surface
135: protrusion for opening and closing guide
136: handle
140: elastic member
142: upper base
141: lower base
143: tension rib
144: new space
145: elastic member
150: blocking member
151: blocking body
152: step
153: blocking rod
154: reinforcement rib
Claims (4)
내부에 상기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상기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되는 지지 캡(120);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상기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상기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130);
상기 작동 노브(130)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0); 및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상기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상기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상기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150);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 가능한 상태(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하강 불가능한 상태(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 상기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 상기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A space 111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s is formed therein, a first fastening part 113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a firs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center (center)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13 . The container body 110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15 is formed;
A second fastening part 123 i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3 , and a second outlet 12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115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lower part a support cap 120 in which a flange 127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t is installed rotatab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in the support cap 120 and can be switched to a vertically descendable stat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body 110, the content is disch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ressure an operation knob 130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5 to discharge the content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 formed in the center by descending to;
an elastic member 140 installed in the support cap 1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ration knob 130 upward and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cap 12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131 of the operation knob 130,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131 when the operation knob 130 rises and the operation knob a blocking member 150 configured to open the discharge hole 131 when the 130 is lowered; including,
In order to convert the operation knob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witch to an unlocking mode or to a locking mode, the second outlet 125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cap 120 . )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rail 126 for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A lowering groove 128 for vertical lowering of the operation knob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guide rail 126,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129) for limiting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knob (1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126) for opening and closing.
상기 차단부재(150)는,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121)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152)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151); 및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 몸체(151)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153);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노브(130)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 노브 몸체(132);
상기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133);
상기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 및
상기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상기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136); 를 포함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member 150,
an annular blocking body 151 in which a step 15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mounted on a support rib 121 formed inside the support cap 120; and
a blocking rod 15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ing body 151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131 of the operation knob 130 and gradually tapering toward the bottom; includes,
The operation knob 130,
a knob body 132 formed of a hollow structur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blocking rod 153 is inserted, and having a discharge hole 13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rod 153 at a lower end thereof;
a spring contact portion 133 formed on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ob body 132 to be supported on the elastic member 140;
a content leakage preventing surface 134 formed on the midd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body 132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outlet 125;
a guide protrusion 135 for opening and closing formed on both sides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body 132 so as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26 for opening and closing; and
a handle 136 for rotating the knob body 132 counterclockwise 90° or clockwise 90° on both sides of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ob body 13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utlet 125;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comprising a.
상기 지지 캡(120)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공(131)의 개폐모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작동 노브(130)를 돌려 반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 다음,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르면,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부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용기 몸체(1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상기 용기 몸체(1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며, 더 나아가,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 상기 토출공(131)이 클로즈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며,
그 다음, 상기 작동 노브(130)를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 모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2)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상기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open/close display unit 122 for displaying an open mode or close mode of the discharge hole 13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ap 120 ,
When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110 are to be discharged, the operation knob 1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90° to switch to an open mode (open mode or unlocking mode), and then, the container body 110 ), by increasing the internal discharge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operation knob 130 moves downward to open the discharge hole 131, and discharge the content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 make it possible,
When you want to stop discharging the contents (when setting up or storing a container),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container body 110 is stopped, the container body 11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tainer body 110 . , an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 and furth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 the operation knob 130 moves upward, and the blocking member 150 By the blocking rod 153, the discharge hole 131 is closed, so that leakage of the contents is prevented,
Then, by rotating the operation knob 130 clockwise 90 ° to switch to a close mode (close mode or locking mode), since the discharge hole 132 of the operation knob 130 is not arbitrarily opened, distribution (流通) or during carrying and storage,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pressed incorrectly, the automatic cap upside-dow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does not leak arbitrarily.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141);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142); 및
상기 로워 베이스(141)와 상기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몸체(151)와 상기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부(145); 를 포함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member 140,
an annular lower base 141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cap 120;
an annular upper base 142 in contact with the spring contact portion 133; and
It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lower base 141 and the upper base 14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body 151 and the knob body 132, a tension rib 143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and the tension rib A plurality of unit tension cells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144 is formed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lastic part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unit tension cell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145);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944A KR102281936B1 (en) | 2021-03-08 | 2021-03-08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JP2023553474A JP2024510134A (en) | 2021-03-08 | 2021-12-17 | automatic cap inverted container |
PCT/KR2021/019251 WO2022191387A1 (en) | 2021-03-08 | 2021-12-17 |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ap |
US18/548,426 US20240140662A1 (en) | 2021-03-08 | 2021-12-17 |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ap |
CN202180095366.XA CN117015504A (en) | 2021-03-08 | 2021-12-17 | Automatic cover-pouring container |
DE112021007261.7T DE112021007261T5 (en) | 2021-03-08 | 2021-12-17 |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LO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944A KR102281936B1 (en) | 2021-03-08 | 2021-03-08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1936B1 true KR102281936B1 (en) | 2021-07-23 |
Family
ID=7715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9944A Expired - Fee Related KR102281936B1 (en) | 2021-03-08 | 2021-03-08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40662A1 (en) |
JP (1) | JP2024510134A (en) |
KR (1) | KR102281936B1 (en) |
CN (1) | CN117015504A (en) |
DE (1) | DE112021007261T5 (en) |
WO (1) | WO2022191387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1387A1 (en) * | 2021-03-08 | 2022-09-15 | 김경숙 |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ap |
KR102454687B1 (en) | 2022-05-11 | 2022-10-13 | 김경숙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KR102477145B1 (en) | 2022-07-28 | 2022-12-12 | 김경숙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KR20240169300A (en) | 2023-05-24 | 2024-12-03 | 이후만 | Leak protecting of contents type inverted cosmetic bott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879B1 (en) * | 2012-04-06 | 2013-06-26 | (주)연우 | Tube vessel |
KR101357310B1 (en) | 2012-08-27 | 2014-02-03 | 김형섭 |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vessel |
KR101542590B1 (en) | 2014-02-13 | 2015-08-06 | (주)장업시스템 | An upside down container |
US20170029177A1 (en) * | 2014-04-16 | 2017-02-02 |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 Dosing Dispensing Closure |
US20200239176A1 (en) * | 2019-01-24 | 2020-07-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on-drip upside down bottl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35237A (en) * | 1938-05-07 | 1938-11-01 | Helen P Lewis | Closure for containers |
DE8235857U1 (en) * | 1982-12-21 | 1984-05-24 | Wella Ag, 6100 Darmstadt | Automatic closure for flexible containers |
FR2809088B1 (en) * | 2000-05-19 | 2002-07-26 | Oreal | METERING TIP AND DISPENSING ASSEMBLY HAVING SUCH A TIP |
DE10217655B4 (en) * | 2002-04-19 | 2004-05-27 | Gaplast Gmbh | One-way valve for dispensing a flowable material |
JP2010126183A (en) * | 2008-11-27 | 2010-06-10 | Seaquist Closures Llc | Screw closure for piercing liner |
KR101817675B1 (en) * | 2016-04-28 | 2018-01-11 | (주)장업시스템 | Vessel equipped with leak-proof valve |
KR102281936B1 (en) * | 2021-03-08 | 2021-07-23 | 김경숙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
2021
- 2021-03-08 KR KR1020210029944A patent/KR1022819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21-12-17 WO PCT/KR2021/019251 patent/WO202219138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17 CN CN202180095366.XA patent/CN117015504A/en active Pending
- 2021-12-17 US US18/548,426 patent/US2024014066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12-17 DE DE112021007261.7T patent/DE112021007261T5/en active Pending
- 2021-12-17 JP JP2023553474A patent/JP2024510134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879B1 (en) * | 2012-04-06 | 2013-06-26 | (주)연우 | Tube vessel |
KR101357310B1 (en) | 2012-08-27 | 2014-02-03 | 김형섭 |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vessel |
KR101542590B1 (en) | 2014-02-13 | 2015-08-06 | (주)장업시스템 | An upside down container |
US20170029177A1 (en) * | 2014-04-16 | 2017-02-02 |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 Dosing Dispensing Closure |
US20200239176A1 (en) * | 2019-01-24 | 2020-07-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on-drip upside down bottle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1387A1 (en) * | 2021-03-08 | 2022-09-15 | 김경숙 |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ap |
KR102454687B1 (en) | 2022-05-11 | 2022-10-13 | 김경숙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KR102477145B1 (en) | 2022-07-28 | 2022-12-12 | 김경숙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KR20240169300A (en) | 2023-05-24 | 2024-12-03 | 이후만 | Leak protecting of contents type inverted cosmetic bott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21007261T5 (en) | 2024-01-18 |
CN117015504A (en) | 2023-11-07 |
WO2022191387A1 (en) | 2022-09-15 |
JP2024510134A (en) | 2024-03-06 |
US20240140662A1 (en) | 2024-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1936B1 (en)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
KR100916719B1 (en) | Cosmetic Container | |
JP5229542B2 (en) | Discharge container | |
KR101542590B1 (en) | An upside down container | |
KR102280273B1 (en) | A Mixing Container for Two Liquid Type Solution | |
JP4041712B2 (en) | Fluid dispensing device | |
KR101723225B1 (en) | Downward type liquid dispenser | |
KR101535087B1 (en) | Pump type compact case | |
KR102386630B1 (en) |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having refill vessel and A push button | |
KR101861810B1 (en) | Liquid cosmetic dispenser | |
KR102454687B1 (en)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
KR102477145B1 (en) | 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 |
JPH08198295A (en) | Foamed liquid squeeze container | |
JPH0617739Y2 (en) | Fluid pouring container | |
JP4043682B2 (en) | Tube container | |
KR200296157Y1 (en) | Vessel for saving | |
KR20210043540A (en) | Cosmetic container | |
JP2500828Y2 (en) | Container with suction pump | |
JP6363045B2 (en) | Double container | |
JP3883162B2 (en) | Liquid dispensing container | |
KR20210025826A (en) | Dispenser for liquid products | |
KR20240002292A (en)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mple container | |
JPH0743025Y2 (en) | Container with blowing pump | |
JPH0725222Y2 (en) | Automatic liquid supply device | |
JP2025034564A (en) | Pour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