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970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707B1
KR102279707B1 KR1020130158438A KR20130158438A KR102279707B1 KR 102279707 B1 KR102279707 B1 KR 102279707B1 KR 1020130158438 A KR1020130158438 A KR 1020130158438A KR 20130158438 A KR20130158438 A KR 20130158438A KR 102279707 B1 KR102279707 B1 KR 10227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edge portion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415A (ko
Inventor
이상월
서동우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707B1/ko
Priority to US14/338,530 priority patent/US10631378B2/en
Priority to JP2014253869A priority patent/JP6581353B2/ja
Priority to CN201410790316.5A priority patent/CN104732885B/zh
Publication of KR2015007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7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편평부와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 방향으로 휘어진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평판 표시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바일 폰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베젤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베젤이 넓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바, 넓은 표시 영역을 유지하면서도 표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젤 폭이 최소화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의 폭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편평부와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전면 상에 상기 편평부와 중첩하여 제공된 윈도우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패널 사이에 제공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제공된 더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윈도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윈도우 필름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윈도우 필름 사이에 제공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평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절곡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윈도우 패널, 상기 바닥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며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단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곡률 반경과 같거나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부를 따라 휘어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패널의 단부와 상기 에지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와 분리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는 네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지부가 상기 편평부 네 변 중 한 변 내지 세 변에 대응하여 제공될 때, 상기 에지부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에지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부가 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지부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제공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젤의 최소화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 소자들의 손상이 최소화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표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표시부에 포함된 표시 패널에 있어서, 곡률 반경에 따른 변형(strain) 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곡률 반경에 따른 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 곡률 반경 별로 표시 패널을 굽힌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윈도우 패널과 표시부를 표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x축과 y축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z축 방향을 상부 방향, 상기 z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각 축이 향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영상이 표시되는 z축 방향이 상부 방향으로 표시되었으나, 상기 z축 방향(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이 상부 방향이 아니라 하부 방향이거나 측부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휴대 전화에 사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부(DPP), 상기 표시부(DPP) 상에 제공된 윈도우 패널(WDP), 및 상기 표시부(DPP)를 수납하는 하우징(HSG)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DPP)는 다양한 형상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前面)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배면(背面)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은 z 축 방향으로 향하는 면이며, 상기 배면은 z축 방향과 반대되는 면이다.
상기 전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는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과 상기 활성 영역(ACT)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비활성 영역(N_AC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N_ACT)은 상기 활성 영역(ACT)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ACT)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인 화소가 제공된다. 상기 화소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P)는 평면상에서 볼 때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P)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DPP)가 한쌍의 장변과 한쌍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장변의 연장 방향을 x축 방향, 상기 단변의 연장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DPP)는 상기 z축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외에 추가적인 필름들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의 형상은 상기 표시 패널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DPP)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수광형 표시 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측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표시부(DPP)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는 전체가 가요성을 갖는 연질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DPP)의 가요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DPP)는 가요성을 갖는 연질 영역(flexible area)과 상기 연질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가요성이 없는 경질 영역(rigid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P)가 접히는 가상의 선을 접이선이라고 할 때 상기 접이선은 상기 연질 영역 내에 제공된다. 상기 "가요성이 있다" 또는 "가요성이 없다"와, "연질" 또는 "경질"이라는 용어는 상기 접이식 표시 장치의 성질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용어이다. 즉, 상기 "가요성이 없다" 및 "경질"이라는 표현은 가요성이 아예 없어 단단한 경우뿐만 아니라, 가요성이 있기는 하나 연질 영역보다 작은 가요성을 가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DPP)는 개별적으로는 편평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장치로서 조립된 최종 상태에서는 상기 최초 제공된 형태로부터 변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P)는 상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용어 "휘어진다" 는 하나 이상의 특정 라인, 즉 접이선을 따라 휘어지거나 구부려진 것을 의미하며, 휘어지거나 구부려질 때 휘어지거나 구부려지는 각도가 직각이나 직각에 가까운 것, 또는 직각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접힌다"는 표현 또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표시부(DPP)는 최종 표시 장치로서 조립된 상태에서, 편평부(PL)와 상기 편평부(PL)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휘어진 에지부(EDG)를 포함한다.
상기 편평부(PL)는 상기 표시부(DPP)의 각 변들과 평행한 변들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평부(PL)는 편평하게 제공되며 특정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편평부(PL)은고 x-y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편평하다"라는 용어는 상기 접히거나 휘어진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PL)는 x-y 평면과 평행한 면으로서 완전히 편평한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EDG)는 상기 편평부(PL)의 네 변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대응하여 상기 편평부(PL)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DPP)의 장변을 따라 상기 편평부(PL)의 양측에 에지부(EDG)가 배치된 것이 일 예로서 도시되었다. 상기 에지부(EDG)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ACT)은 상기 편평부(PL)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영역(N_ACT)은 상기 편평부(PL)의 가장자리 중 일부와 상기 에지부(EDG)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활성 영역(ACT)과 상기 비활성 영역(N_ACT)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 영역(ACT)은 그 일부가 상기 에지부(EDG) 내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활성 영역(ACT)은 상기 편평부(PL) 및 상기 에지부(EDG)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활성 영역(ACT)의 일부가 상기 에지부(EDG)와 중첩한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다.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표시부(DPP)의 전면, 즉, 영상이 표시되는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 상에만 제공되며, 상기 에지부(EDG)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표시 장치의 바깥쪽에서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를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응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부(DPP)를 보호한다.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편평부(PL)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즉, 상기 윈도우 패널(WDP)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편평부(PL)과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가요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표시부(DPP)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부(DPP)를 보호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기 표시부(DPP)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HSG)은 상기 표시부(DPP)와 상기 윈도우 패널(WDP)을 수납하며, 상기 표시부(DPP)와 상기 윈도우 패널(WDP)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외부의 응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상기 표시부(DPP)를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HSG)은 바닥부(BT), 측벽부(WL), 및 덮개부(CV)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BT)는 상기 표시부(DPP)의 하측에 제공된다. 상기 바닥부(BT)의 상면은 상기 편평부(PL)의 배면과 평행하며 상기 바닥부(BT)의 상면과 상기 편평부(PL)의 배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T)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편평부(PL)와 중첩한다.
상기 측벽부(WL)는 상기 바닥부(BT)에 대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벽부(WL)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상기 측벽부(WL)는 상기 바닥부(BT)와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측벽부(WL)는 상기 바닥부(BT)와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CV)는 상기 측벽부(WL)로부터 상기 바닥부(BT)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덮개부(CV)는 상기 표시부(DPP)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덮개부(CV)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에지부(EDG)를 전부 커버한다. 상기 덮개부(CV)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편평부(PL)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편평부(PL)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덮개부(CV)는 상기 바닥부(BT) 및/또는 측벽부(WL)와 분리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부(BT) 및/또는 측벽부(WL)와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T), 상기 측벽부(WL), 및 상기 덮개부(CV)는 y축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표시부(DPP)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는 상기 윈도우 패널(WDP), 상기 바닥부(BT), 상기 측벽부(WL), 및 상기 덮개부(CV)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위치한다.
단면상에서 볼 때, 상기 에지부(EDG)는 일단이 상기 편평부(PL)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과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휘어지거나 접힌다. 상기 에지부(EDG)의 양단 사이의 부분은 소정 곡률 반경(R)을 가지고 휘어진다. 상기 곡률 반경(R)은 상기 표시부(DPP)의 두께, 탄성도, 상기 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에지부(EDG)와 연결되는 편평부(PL)의 단부 또는 상기 윈도우 패널(WDP)의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부(WL) 사이의 거리(D)는 상기 곡률 반경(R)과 같거나 더 큰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BT)와 상기 측벽부(WL)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고 휘어진 에지부(EDG)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부(EDG)를 따라 휘어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덮개부(CV)는 상기 표시부(DPP)의 가장자리를 덮는 베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EDG)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덮개부(CV)의 폭(W), 즉, 베젤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에지부(EDG)가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표시부(DPP)에 제공되는 소자들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CV)의 위에 상기 덮개부(CV)를 덮는 별도의 베젤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베젤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 패널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제1 전극(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과 제2 전극(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이들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제1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제2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어서,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을 생성하게 된다.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DP)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표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과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전자 소자(DV)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소자(DV)는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DVC), 상기 신호를 상기 전달하는 신호 배선(SGL), 및 상기 신호 배선(SGL)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달 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PX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DVC)는 상기 비활성 영역(N_ACT)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DVC)는 상기 기판(SUB)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DVC)는 후술할 신호 배선 중 게이트 라인(GL), 또는 데이터 라인(DL)에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DVC) 또는 데이터 구동 회로(D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DVC)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에 상기 구동 회로(DVC)가 실장되어 상기 신호 배선(SG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SGL)은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구동 전압 라인(DV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활성 영역(N_ACT) 및 상기 활성 영역(ACT)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은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후술할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화소(PXL)는 상기 활성 영역(ACT)에 제공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화소(PXL)는 상기 신호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EL),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는 한 화소(PXL)가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1, TR2)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의 소스 전극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 또한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게이트 전극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EL)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캐소드, 상기 제2 전극은 애노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발광층(EML)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유지한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연성 회로 기판(FCB)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과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신호를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출력한 구동 신호를 상기 신호 배선(SGL)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의 일단은 상기 신호 배선(SG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과 상기 신호 배선(SGL)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과 같은 연결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SGL)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에 연결된 부분에서 팬 아웃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의 타단은 인쇄 회로 기판(PC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이나 커넥터과 같은 연결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상기 편평부(PL)의 각 변 중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는 상기 표시부(DPP)의 장변 방향을 따라 양측에 제공되었는 바,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은 상기 표시부(DPP)의 단변 측에 제공되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은 가요성을 가지며, 휘거나 접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은 일 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DP)의 신호 배선(SGL)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에지부(EDG)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힐 수 있으며, 그 결과 타단부가 상기 표시 패널(DP)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 접힐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 및/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소자들이 상기 기판(SUB) 상에 실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 및/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CB)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일체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체화된 회로 기판은 가요성을 띨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의 일부가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베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DPP)에 제공되는 소자들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도 6은 상기 표시 패널에 있어서, 곡률 반경에 따른 변형(strain) 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변형 정도는 상기 표시 패널(DP)이 변형이 없을 때를 100%로 하여 측정되었다.
도 7a 및 도 7b는 각 곡률 반경 별로 표시 패널(DP)을 굽힌 비교예(TB로 표시됨)와 실시예(CB로 표시됨)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비교예와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SUB)과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전자 소자(DV)를 포함하며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이 사용되었다. 상기 비교예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패널은 굽히기 전까지의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DP)의 편평부(PL)에 연결된 에지부(EDG)가 상기 기판(SUB)과 상기 전자 소자(DV) 중 상기 기판(SUB) 쪽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DP)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에는 압축력이, 상기 전자 소자(DV)에는 장력이 인가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DP)의 편평부(PL)에 연결된 에지부(EDG)가 상기 기판(SUB)과 상기 전자 소자(DV) 중 상기 전자 소자(DV) 쪽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DP)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에는 장력(張力)이, 상기 전자 소자(DV)에는 압축력(壓縮力)이 인가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곡률 반경이 작아지더라도 소정 범위의 변형을 보인다. 즉,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곡률 반경이 3mm 이상에서는 약 1% 이하의 변형을 보인다. 그러나, 상기 표시 패널(DP)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소정 범위, 즉 3mm 미만이 되면, 상기 표시 패널(DP)은 파손되며 이에 따라 변형 정도를 측정할 수 없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순차적으로 곡률 반경을 축소되는 그 변형 정도 가 최대 -1.5%에 불과하였으며, 곡률 반경이 1mm가 될 때까지 파손되지 않았다.
도 6의 그래프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소자에 있어서, 장력과 압축력이 각각 인가되는 경우, 장력이 인가될 때에 압축력이 인가될 때보다 전자 소자의 손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소자에서의 균열(crack)은 부피 팽창에 의해 공동(void)가 발생할 때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 소자에 장력보다는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구부리는 경우 전자 소자의 결함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에지부가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전자 소자에 장력 대신 압축력이 작용되며, 이에 따라 전자 소자의 손상이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 또는 상기 표시부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윈도우 패널(WDP)과 표시부(DPP)를 표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윈도우 필름(WD)과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T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필름(WD)은 상기 표시부(DPP)에서의 영상이 전면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필름(WD)은 상기 표시부(DPP)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HSG)과 대향하는 위치 중 최 외곽에 제공된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윈도우 필름(WD)과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와 중첩하여 형성되며, 에지부(EDG)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윈도우 필름(WD)과 상기 표시부(DPP)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종류나 형상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는 용량성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는 다른 터치 센싱 기술, 예를 들어, 저항성 터치 센서, 음향 터치 센서(TSP), 광 센서, 압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TSP)가 상기 윈도우 필름(WD)상에 개별적인 층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복수의 층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윈도우 필름(WD) 상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는 표시 패널(DP)과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T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전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윈도우 패널(WDP)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DP)과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 및 에지부(EDG)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P)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함께 상기 에지부(EDG)에서 휘어진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윈도우 필름(WD)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터치 센서(TSP) 및 편광판(P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POL)은 상기 편광판(POL)을 지나는 광을 소정 방향으로 편광하기 위한 광학 시트로서, 상기 터치 센서(TSP)와 상기 표시부(DPP)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편광판(POL)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윈도우 필름(WD) 및/또는 상기 터치 센서(TSP)와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편광판(POL)은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와 중첩하여 형성되며, 에지부(EDG)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필름(WD) 상에 상기 터치 센서(TSP)와 편광판(POL)이 순차적으로 함께 제공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와 상기 편광판(POL)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가 생략되고 상기 윈도우 필름(WD) 상에 편광판(POL)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광판(POL)이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편광판(POL) 대신 다른 광학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POL) 대신 광학 보상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POL) 대신 더미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필름은 상기 윈도우 패널(WDP)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광학적 기능이 없는 필름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는 표시 패널(DP)과 상기 표시 패널(DP)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편광판(POL) 및 터치 센서(T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POL)은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터치 센서(TSP)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터치 센서(TSP)가 윈도우 패널(WDP)과 접한다.
상기 편광판(POL)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DP) 및/또는 상기 터치 센서(TSP)와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편광판(POL)은 상기 표시부(DPP)의 편평부(PL) 및 에지부(EDG)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DP) 상에 상기 편광판(POL)과 상기 터치 센서(TSP)가 순차적으로 함께 제공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와 상기 편광판(POL)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P)가 생략되고 상기 표시 패널(DP) 상에 편광판(POL)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광판(POL)이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편광판(POL) 대신 다른 광학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POL) 대신 광학 보상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POL) 대신 더미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필름은 상기 윈도우 패널(WDP)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광학적 기능이 없는 필름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층들이 상기 윈도우 패널(WDP) 및/또는 상기 표시부(DPP)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 패널(WDP)은 상기 윈도우 필름(WD), 상기 터치 센서(TSP), 및 상기 편광판(POL)으로 이루어진 층들 중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층, 점착층, 보호층, 추가 더미층, 반사 방지층, 산란층, 등의 다양한 기능성 층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HSG)은 상기 하우징(HSG)은 바닥부(BT), 측벽부(WL), 덮개부(CV), 및 지지부(SPP)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SPP)는 상기 바닥부(BT), 상기 측벽부(WL), 및 상기 덮개부(CV)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에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덮개부(CV)로부터 상기 바닥부(BT) 방향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WL)와 평행하다. 상기 지지부(SPP)는 상기 바닥부(BT), 상기 측벽부(WL), 상기 덮개부(CV) 및 상기 윈도우 패널(WDP)이 이루는 공간 내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SPP)는 상기 윈도우 패널(WDP)과 상기 표시부(DPP)의 에지부(EDG)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지부(EDG)와 상기 윈도우 패널(WDP)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SPP)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와 마주보는 면은 상기 에지부(EDG)의 휘어진 표면에 대응하여, 동일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BT) 및/또는 상기 측벽부(WL) 또한 상기 에지부(EDG)와 마주보는 면이 상기 에지부(EDG)의 휘어진 표면에 대응하여 동일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지부(EDG)가 상기 지지부(SPP)의 표면과 상기 바닥부(BT) 및/또는 상기 측벽부(WL)의 표면은 상기 에지부(EDG)의 두께만큼의 거리 또는 그보다 큰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지부(EDG)는 상기 지지부(SPP) 및 상기 바닥부(BT) 및/또는 상기 측벽부(WL) 사이의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에지부(EDG)는 상기 윈도우 패널(WDP)과 상기 측벽부(WL)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SPP)는 상기 덮개부(CV)와 분리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부(CV)와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에지부(EDG)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다른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DPP)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DPP)에 있어서, 에지부(EDG)는 상기 편평부(PL)의 네 변들 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상기 한 변을 따라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DPP)의 장변 중 하나를 따라 상기 편평부(PL)의 일측에 에지부(EDG)가 배치된 것이 일 예로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도 13에서는 상기 에지부(EDG)가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이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DPP)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는 변에 제공되는 비활성 영역의 폭과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대응되는 비활성 영역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는 변의 상기 비활성 영역의 폭은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지 않는 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는 변의 비활성 영역에는 게이트 구동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등의 구동 회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지 않는 변의 비활성 영역에는 구동 회로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에지부(EDG)는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DPP)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DPP)는 편평부(PL)와, 상기 편평부(PL)의 적어도 일 변에 대응하여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휘어진 에지부(EDG)와, 상기 에지부(EDG)가 제공되지 않은 변 또는 변들에 대응하여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부가 에지부(EDG')를 포함한다. 즉, 상기 부가 에지부(EDG')는 표시부(DPP)의 활성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EDG) 및 상기 부가 에지부(EDG')에는 신호 배선 및/또는 구동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에지부(EDG')에 제공된 신호 배선 및/또는 구동 회로는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과 반대로 휘어지는 경우에도 소자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에지부(EDG)에 제공된 신호 배선 및/또는 구동 회로와 다른 밀도나 다른 형태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지부(EDG)에 제공된 신호 배선보다 상기 부가 에지부(EDG')에 제공된 신호 배선의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지부(EDG) 및 상기 부가 에지부(EDG') 모두에 터치 센서, 편광판, 기타 다른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지부(EDG) 및 상기 부가 에지부(EDG') 중 적어도 하나에만 터치 센서, 편광판, 기타 다른 층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에지부(EDG) 및 상기 부가 에지부(EDG) 모두에 터치 센서, 편광판, 기타 다른 층들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 편광판, 기타 다른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에지부 및 상기 부가 에지부(ED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자 소자가 제공된 층이 최종 표시부(DPP)의 중립면 상에 위치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ACT : 활성 영역 N_ACT : 비활성 영역
PL : 편평부 EDG : 에지부
DPP : 표시부 HSG : 하우징
BT : 바닥부 WL : 측벽부
CV : 덮개부 WDP : 윈도우 패널

Claims (19)

  1.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전면 상에 제공된 윈도우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편평부와 상기 편평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편평부와 중첩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평행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절곡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윈도우 패널, 상기 바닥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패널 사이에 제공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제공된 더미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윈도우 필름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윈도우 필름 사이에 제공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며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휘어지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단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곡률 반경과 같거나 더 큰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부를 따라 휘어진 표면을 갖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패널의 단부와 상기 에지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와 분리되지 않은 일체로 형성된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는 네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편평부의 네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지부가 상기 편평부 네 변 중 한 변 내지 세 변에 대응하여 제공될 때, 상기 에지부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에지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부가 에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지부가 제공되지 않은 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제공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158438A 2013-12-18 2013-12-18 표시 장치 Active KR10227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38A KR102279707B1 (ko) 2013-12-18 2013-12-18 표시 장치
US14/338,530 US10631378B2 (en) 2013-12-18 2014-07-23 Display apparatus
JP2014253869A JP6581353B2 (ja) 2013-12-18 2014-12-16 表示装置
CN201410790316.5A CN104732885B (zh) 2013-12-18 2014-12-17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38A KR102279707B1 (ko) 2013-12-18 2013-12-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15A KR20150071415A (ko) 2015-06-26
KR102279707B1 true KR102279707B1 (ko) 2021-07-22

Family

ID=5337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38A Active KR102279707B1 (ko) 2013-12-18 2013-12-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31378B2 (ko)
JP (1) JP6581353B2 (ko)
KR (1) KR102279707B1 (ko)
CN (1) CN1047328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7694B2 (ja) * 2009-12-04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187680B1 (ko) * 2014-02-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227475B1 (ko) 2014-02-14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KR102281910B1 (ko) 2014-06-26 2021-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124310A (ko)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CN106502439B (zh) * 2015-09-08 2023-09-0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
KR102596956B1 (ko) * 2016-05-23 2023-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0325A (ko) 2016-09-13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8057645A1 (en) * 2016-09-22 2018-03-29 Apple Inc. Battery architectur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7632743B (zh) * 2017-11-01 2019-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式oled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547943B1 (ko) * 2018-01-05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CN108649134B (zh) * 2018-04-24 2019-12-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屏幕及其制造方法
KR102386452B1 (ko) * 2018-05-02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6883B1 (ko) * 2018-08-17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0315B1 (ko) * 2018-10-24 2024-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JP2022522690A (ja) * 2019-03-15 2022-04-20 バイオトロニック エスエ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医療デバイスを埋め込むためのカテーテル・デバイス
CN109920938B (zh) * 2019-03-26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CN113744632B (zh) * 2020-05-28 2023-06-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TWI772041B (zh) * 2021-05-28 2022-07-21 正美企業股份有限公司 殼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20230012711A (ko) * 2021-07-16 2023-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188A (ja) * 2005-07-29 2007-03-08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2011003537A (ja) * 2009-05-21 2011-01-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964B1 (en) 2001-05-22 2008-03-25 Palm, Inc. Single-piece top surface display layer and integrated front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60032398A (ko)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070034707A (ko)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07173084A (ja) 2005-12-22 2007-07-05 Canon Inc 発光素子
KR20130095854A (ko) 2007-07-17 2013-08-2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3840B1 (ko) 2008-03-14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표시 시스템,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물체 형상의 인식 방법
JP5444940B2 (ja) 2009-08-25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8716932B2 (en)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US10061356B2 (en)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482629B1 (ko) * 2011-06-30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15230A (ko)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174777A (ja) 2012-02-27 2013-09-05 Canon Inc 電子機器
KR101881389B1 (ko) * 2012-03-13 2018-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386219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1288B1 (ko) 2012-09-03 2020-04-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973778B1 (ko) * 2012-11-16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148428B1 (ko) 2013-08-06 2020-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188A (ja) * 2005-07-29 2007-03-08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2011003537A (ja) * 2009-05-21 2011-01-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1353B2 (ja) 2019-09-25
KR20150071415A (ko) 2015-06-26
JP2015118377A (ja) 2015-06-25
CN104732885B (zh) 2019-12-27
CN104732885A (zh) 2015-06-24
US20150173212A1 (en) 2015-06-18
US10631378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US1230667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four non-display regions outside a display region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281910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6057087B (zh) 显示模块
KR10193555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2887620U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US8421743B2 (en) Flat panel display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KR102668484B1 (ko) 표시 장치
CN111628100B (zh) 显示设备
CN102855821A (zh) 柔性显示面板和包括该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US11805669B2 (en) Display device
KR2018005828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06161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77373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401763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26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