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9387B1 - 전극 패치 - Google Patents

전극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87B1
KR102279387B1 KR1020190067477A KR20190067477A KR102279387B1 KR 102279387 B1 KR102279387 B1 KR 102279387B1 KR 1020190067477 A KR1020190067477 A KR 1020190067477A KR 20190067477 A KR20190067477 A KR 20190067477A KR 102279387 B1 KR102279387 B1 KR 10227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t
substrate
patch
c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614A (ko
Inventor
이규남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바디
Priority to KR102019006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87B1/ko
Priority to US16/893,902 priority patent/US11583230B2/en
Publication of KR2020014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전극 패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접착식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패치{ELECTRODE PATCH}
아래의 설명은 전극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쉽게 피검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일회용 전극 패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류, 전압 일회용 패치 전극을 각각 별도로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부착하는 전극의 위치가 제각각으로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재현성이 상당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전극에 연결되는 클램프 및/또는 클램프 전선의 무게에 의해 전극이 피부에서 쉽게 떨어진다는 이슈도 존재하였다.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들어올려지더라도 상기 절개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는 상기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 절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 상기 제1 클램프에 연결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 상기 제2 클램프에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의 절개면의 끝단은 상기 제1 전극 내부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전극의 절개면의 끝단은 상기 제2 전극 내부에서 상기 제2 접촉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끝단에서 고리 형태의 절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끝단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폭에 연관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 폭이 다른 부분과 상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폭에 연관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 폭이 다른 부분과 상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들어올려지더라도 상기 절개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는 상기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 절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원형 모양을 갖고 상기 제1 클램프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2 전극을 중심으로 원형 모양을 갖고 상기 제2 클램프에 접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접촉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지지 구조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절개되는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의 타단부는 절개면 끝 부분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홀(hole)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전극 패치는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을 서브스트레이트로 연결하여 전극 패치를 구현함으로써, 측정 포인트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한 동작으로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을 동시에 부착시켜서 재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극 패치를 지난번 생체 데이터 측정때와 동일한 위치에 부착시킴으로써, 재현성을 손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 끝단에 배치된 전극의 절개면 구조를 통해, 클램픔 및/또는 클램프에 연결된 전선의 무게로 인해 접촉부가 들어올려지더라도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소 접착 부위를 확보하여 측정 변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에 가해진 힘에 의해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한 절취선에 따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분리시킴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전극을 피검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패치는 일회용 ECG(Electrocardiogram) 전극 패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 생체 데이터 측정을 위해 피검체에 부착되는 전극 패치를 일회용으로 구현함으로써, 위생에 민감한 피검사자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생체 데이터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일측을 나타낸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부착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접촉부가 최대로 들어올려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절개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부착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의 범위가 본문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공지된 기능 및 구조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100)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전극 패치(100)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110), 전극들(120), 접착부들(1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패치(100)의 상단 레이어는 서브스트레이트(110)를 포함하고, 중간 레이어는 전극들(120)을 포함하며, 하단 레이어는 접착부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100)는 피검체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피검체로 전류를 인가하고 피검체의 특정 부위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measurement)이라 함은 측정장비로 물리적인 양을 획득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측정은 또한 물리적인 양을 처리하여 다른 종류의 물리적인 양을 얻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두 지점에 전류를 인가하고 전압계로 전압차를 구하는 것도 측정이라 하고, 나아가 인가된 전류값과 전압차를 가지고 임피던스 값까지 계산해내는 것도 측정이라고 할 수 있다.
피검체의 생체 데이터는 생체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해 결정된 체성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체성분 분석 또는 체성분 측정이라 함은 피검체로부터 구해지는 물리적인 양을 가지고 피검체의 성분을 또는 성분 사이의 비율을 분석해 내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해 2개의 전류전극과 2개의 전압 전극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공급장치에 연결된 전류 전극 하나는 피검체의 손목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발목에 부착될 수 있다. 전압측정장치에 연결된 전압 전극 하나는 손목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발목에 부착될 수 있다. 전류공급장치로부터의 전류를 두 전류 전극들에 공급하고, 두 전압 전극들 사이의 전압차가 전압측정장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인가된 전류와 측정된 전압차로부터 생체 임피던스가 결정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가장 간단한 공식을 예를 든다면 전압차를 전류로 나누는 것이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두 전극들(120)이 일정한 거리로 피검체에 부착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양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들(120)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며,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극들(120)은 앞서 설명한 전류측정장치 또는 전압측정장치와 피검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일 수 있다. 전극들(120)을 연결하는 서브스트레이트(110)가 절연 물질로 구성되므로, 전극들(1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전극들(120)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서, 어떤 방향에서도 손쉽게 클램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개면의 내측 말단부가 고리 형상을 가져서, 클램프에 의해 끝단이 들어올려지더라도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접착부들(130)은 전극 패치(100)가 피검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접착부들(130)도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어, 전극들(120)과 피검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접착부들(130)도 전극들(120)에 대응하는 절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서브스트레이트(110)가 두 개의 전극들(120)이 일정한 거리로 피검체에 부착되게 하는 구조를 통해, 한 번의 동작으로 2개의 전극을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생체 데이터 측정 시 전극들(120) 간 거리에 따라 측정 값이 달라지는데 상술된 구조를 통해 전극들(120)을 손쉽게 일정한 거리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전극 부착 간격에 따른 측정 값의 변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300)는 피검체의 특정 부위에 정렬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피검체의 생체 데이터 측정을 반복해서 수행한다면, 전극 패치(300)를 피검체에 붙이고 측정한 후에는 전극 패치(300)를 피검체에서 떼어내게 된다. 그 후 다시 피검체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때 다시 전극 패치(300)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 때 전극 패치(300)는 지난 측정할 때와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생체 임피던스 등 생체 데이터는 전극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전극 패치(300)가 지난 측정 때와 동일하게 부착되어야 높은 재현성(repeatability)을 기대할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기 위해 미리 몸에 마킹을 하거나 기준점(reference point) 또는 기준 마크(reference mark)로 삼을 수 있는 몸의 특정 부위(예컨대, 뼈가 튀어나온 부분)에 정렬되도록 전극 패치(300)를 부착한다.
여기서, 특정 부위는 척골두(ulna head), 복사뼈(malleolus)를 포함할 수 있다. 척골두는 손목 부분에 뼈가 돌출한 부분을 가리킨다. 복사뼈는 발목 부분에 뼈가 튀어나온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설명이 특정 부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외에도 피검체의 다양한 부위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도 있다.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서브스트레이트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서브스트레이트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는 전극 패치(300)가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 정렬되도록 가이드 가능하다면 그 모양이나 형식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는 서브스트레이트의 폭에 연관되고, 인디케이터에서 서브스트레이트 폭이 다른 부분과 상이할 수 있다. 이를테면, 각 전극이 위치한 양단의 폭(310)보다 서브스트레이트의 중간 부분의 폭(320)이 좁게 설계되는 것이 인디케이터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서브스트레이트 중간 부분의 폭(320)이 좁아짐에 따라 생긴 홈이 인디케이터로 작용하여 해당 홈에 검사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튀어나온 뼈가 위치하게끔 함으로써,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절취선(340)이 인디케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치(300)의 양 끝단에 포함된 각 전극은 클램프에 접촉되는 접촉부에서 각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극에 포함된 절개면(330)은 각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접촉부가 들어올려지더라도 절개면(330)을 기준으로 각 전극의 일부가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극 패치(30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340)을 따라 전극 패치(300)에 포함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손쉽게 분리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라 전극 패치(300)를 한 번에 부착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극을 적절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체의 부착 부위에 다른 의료장비를 착용하고 있거나, 해당 부위가 절단된 환자인 경우에는 서브스트레이트로 연결된 두 전극들을 한 번에 부착시키기 어렵다. 이 경우, 우선 인디게이터를 활용하여 전극 패치(300)에 포함된 한 전극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한 후, 절취선(340)을 따라 다른 전극을 분리시켜 적절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는, 처음부터 절취선(340)을 이용하여 두 전극들을 분리시킨 후 각각 적절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가 도시된다. 전극 패치는 삼각형 모양의 인디케이터(410)를 포함하고, 이러한 인디케이터(410)는 끝 부분에 피검체의 특정 부위가 위치하도록 하는 직관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일측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일측에 위치한 전극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 클램프에 연결되는 접촉부(510)가 배치된다. 클램프는 접촉부(510)에 체결될 수 있는 집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절개면(520)는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들어올려지더라도 절개면(520)를 기준으로 전극의 일부는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도 5에서 절개면들(520) 사이의 중간 영역이 함께 들어올려지더라도, 절개면들(520) 바깥 영역은 전극을 들어올리는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접착부(130)는 예를 들어 피검체에 부착된 후 한 번 떨어지면 재 부착이 어려운 실리콘 재질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피검체로부터 한 번 떨어지면 전극 패치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재현성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절개면(520) 구조가 전극 패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절개면(520)는 제1 방향(즉, 끝단에서 안쪽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개면(520)은 접촉부(510)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 부분에서 회전을 하여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즉, 접촉부(51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개면(520)의 끝단은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절개면(520) 형태가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막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부착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치가 피검체의 팔목에 부착된 예시가 도시된다. 이 때, 한 전극은 전류 인가용이고, 다른 전극은 전압 측정용일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접촉부가 최대로 들어올려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부(710)가 최대로 들어올려지더라도 앞서 설명한 절개면 구조로 인해 전극의 일부가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클램프 및/또는 클램프에 연결된 전선의 무게로 인해 접촉부(710)가 들어올려지더라도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소 접착 부위를 확보하여 측정 변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절개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면 끝 부분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홀(810)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고리 모양의 절개면 외에도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 가능한 다양한 모양 및/또는 구조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홀(810)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세모, 네모, 마름모형, 다각형, 타원형, 전극 전체가 피검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 가능한 임의의 형태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부착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치가 피검체의 손목 부분에 부착된 예시가 도시된다. 전극 패치의 인디케이터(910)를 활용하여 피검체의 척골두(920)에 정렬되도록 전극 패치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치가 피검체의 발목 부분에 부착된 예시가 도시된다. 전극 패치의 인디케이터(1010)를 활용하여 피검체의 복사뼈(1020)에 정렬되도록 전극 패치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치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전극 패치들의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1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한 상의 전극 패치들의 후면도가 도시된다. 접촉부(1210)는 클램프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접착부(1220)는 피검체 부착을 위해 접착력을 가진 부분일 수 있다. 이처럼, 접촉부(1210)에는 기본적으로 접착력이 없어 피검체로부터 쉽게 들어올려 클램프가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한 쌍의 전극 패치들이 함께 이용되어 피검체의 생체 임피던스가 측정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예시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다. 전극 패치들(1310, 1320)은 인디케이터가 척골두(1330)에 정렬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n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접착식 전극 패치에 있어서,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전극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접착력보다 큰 힘에 의해 들어올려지더라도 상기 절개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는 피검체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전극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끝단에 위치한 접촉부로부터 전극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다시 각 접촉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전극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 상기 제1 클램프에 연결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끝단이 둥근 형태를 가져 상기 제2 클램프에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극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절개면의 끝단은 상기 제1 전극 내부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전극의 절개면의 끝단은 상기 제2 전극 내부에서 상기 제2 접촉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극 패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끝단에서 고리 형태의 절개 구조를 갖는,
    전극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끝단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의 홀을 포함하는,
    전극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패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전극 패치.
  10. 접착식 전극 패치에 있어서,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전극 패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폭에 연관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폭이 다른 부분과 상이한,
    전극 패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는
    전극 패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전극 패치.
  14. 접착식 전극 패치에 있어서,
    일면이 접착력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도성의 제1 전극; 및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도성의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의 절개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되다가 내측 말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 절개된,
    전극 패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피검체의 특정 부위로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패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클램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전극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절개면을 포함하는
    전극 패치.
KR1020190067477A 2019-06-07 2019-06-07 전극 패치 Active KR10227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77A KR102279387B1 (ko) 2019-06-07 2019-06-07 전극 패치
US16/893,902 US11583230B2 (en) 2019-06-07 2020-06-05 Electrode p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77A KR102279387B1 (ko) 2019-06-07 2019-06-07 전극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14A KR20200140614A (ko) 2020-12-16
KR102279387B1 true KR102279387B1 (ko) 2021-07-21

Family

ID=7365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77A Active KR102279387B1 (ko) 2019-06-07 2019-06-07 전극 패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83230B2 (ko)
KR (1) KR102279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1121A4 (en) 2019-12-23 2024-01-03 Alimetry Limited Electrode patch and connection system
KR20220055978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5734B2 (ja) * 2005-08-15 2012-01-1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心電図測定用電極及び心電図測定装置
JP2014008166A (ja) * 2012-06-28 2014-01-20 I Medex Co Ltd 生体電極用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023A (en) * 1985-12-23 1987-04-14 Lec Tec Corporation Self-adhering electrode
US4674512A (en) * 1986-02-03 1987-06-23 Lectec Corporation Medical electrode for monitoring and diagnostic use
US5078139A (en) * 1988-09-22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medical electrode construction
US5255677A (en) * 1991-02-26 1993-10-26 Vickers Plc Disposable electrodes for electromyography (EMG) and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and kit containing same
GB2274995B (en) * 1993-02-15 1996-10-09 John Mccune Anderson Biomedical electrode device
US5496363A (en) * 1993-06-02 1996-03-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de and assembly
US5566672A (en) * 1994-01-03 1996-10-22 Labeltape Meditect, Inc. Biomedical electrode
US5827184A (en) * 1995-12-29 1998-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lf-packaging bioelectrodes
US5727550A (en) * 1996-04-09 1998-03-17 Lectec Corporation Dual purpose ultrasonic biomedical couplant pad and electrode
US6912425B2 (en) * 2002-03-08 2005-06-28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Therapy and monitoring electrodes with patient accommodating features and electrode sensing
JP5759208B2 (ja) 2011-03-03 2015-08-05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電極
US9320446B2 (en) * 2013-12-09 2016-04-26 Medtronic, Inc. Bioelectric sensor device and methods
US10327657B2 (en) * 2015-10-05 2019-06-25 Infobionic, Inc. Electrode patch for health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5734B2 (ja) * 2005-08-15 2012-01-1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心電図測定用電極及び心電図測定装置
JP2014008166A (ja) * 2012-06-28 2014-01-20 I Medex Co Ltd 生体電極用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14A (ko) 2020-12-16
US20200383640A1 (en) 2020-12-10
US11583230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066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279387B1 (ko) 전극 패치
CN114469112B (zh) 带有双极性电极间隔件的导管及相关方法
US96752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 signals
WO2017088153A1 (zh) 用于医疗器械的漏液检测装置
CN107041744A (zh) 具有紧密间隔的微型双极电极的导管脊组件
WO2020078962A1 (en) On-body sensor system
CN105708449A (zh) 远场不敏感心内导管电极
Alcaine et al. A wavelet-based electrogram onset delineator for automatic ventricular activation mapping
JP6738349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20080249389A1 (en) Electrode lead set for measuring physiologic information
CN105232141A (zh) 一种可测接触力的医用导管头端
EP3868298A1 (en) Electrode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KR20180046868A (ko) 마취 심도계 전극
CN109561836B (zh) 生物阻抗测量系统校准
JP4855734B2 (ja) 心電図測定用電極及び心電図測定装置
KR102035642B1 (ko) 클램프 전극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
KR102204967B1 (ko) 유연 압력 센서 및 그 센서의 제조 방법
US7536215B2 (en) Cortical sensing device with pads
US20240374212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vital sign
JP2001087241A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3211675U (ja) 手指のギブス
EP2624908B1 (en) Electrode for finding points of low impedance and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hereto
JP6244435B2 (ja) 心電図センサーシート
US20200163583A1 (en) Compensating for artifacts while tracking an intrabody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