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6950B1 -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50B1
KR102276950B1 KR1020210051879A KR20210051879A KR102276950B1 KR 102276950 B1 KR102276950 B1 KR 102276950B1 KR 1020210051879 A KR1020210051879 A KR 1020210051879A KR 20210051879 A KR20210051879 A KR 20210051879A KR 102276950 B1 KR102276950 B1 KR 10227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ilot
airbags
inflated
fusel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세홍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젠텍에어로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젠텍에어로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젠텍에어로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21005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1/00Airbags mounted in aircraft for an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고장이나 사고로 인한 충돌사고 발생 시 조종사를 포함한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체 내부에 에어백을 설치하되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자의 전면에서 팽창되는 전면 에어백과 측면 도어에서 팽창되는 도어 에어백 및 탑승자 사이에서 팽창되는 간격 에어백과 천정에서 팽창되는 루프 에어백 및 바닥에서 팽창되는 바닥 에어백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에어백은 회전익 항공기의 운항을 할 수 없는 충격이나 사고를 감지하는 콘트롤러에서 출력하는 팽창신호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조종사가 조작하는 수동 팽창신호를 인지하여 모든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Air bag for rotary-wing aircraft}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고장이나 사고로 인한 충돌사고 발생 시 조종사를 포함한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자동차에는 충돌이나 추돌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부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에어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어백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전면과 측면에서 팽창되어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충돌사고로부터 운전자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헬리콥터를 포함하는 회전익 항공기는 자동차와 같은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고장 또는 사고로 인하여 지상 또는 해상에 충돌할 경우, 조종사나 탑승자는 안전벨트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유일한 안전장치이기 때문에 회전익 항공기의 조종사나 탑승자는 고장이나 사로로 인한 추락사고 시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게 된다.
기존의 회전익 항공기는 프로펠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형 고정익 항공기와 같이 활공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익 항공기는 일부가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곧바로 추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상 또는 해상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회전익 항공기의 동체 저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내부에 탑승한 조종사나 탑승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더라도 외부로 추락하거나,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회전익 항공기는 부분적인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기능수행에 큰 문제가 없는 자동차와는 달리 부분적인 손상에도 통제가 불가능하여 상당한 손상을 입게 된다.
특허공개 10-2008-0066064호(2008.07.15 공개) 특허공개 10-2010-0083489호(2010.07.22 공개) 특허등록 10-1668645호(2016.10.18 등록) 실용신안공개 20-1998-063136호(1998.11.16 공개)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한 추락사고가 발생할 때, 조종사나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익 항공기에 다양한 방향으로 조종사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백은 회전익 항공기의 어느 부위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전체적으로 팽창하면서 조종사나 탑승자의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체 내부에 에어백을 설치하되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자의 전면에서 팽창되는 전면 에어백과 측면 도어에서 팽창되는 도어 에어백 및 탑승자 사이에서 팽창되는 간격 에어백과 천정에서 팽창되는 루프 에어백 및 바닥에서 팽창되는 바닥 에어백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에어백은 회전익 항공기의 운항을 할 수 없는 충격이나 사고를 감지하는 콘트롤러에서 출력하는 팽창신호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조종사가 조작하는 수동 팽창신호를 인지하여 모든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익 항공기의 정상 운항을 할 수 없는 사고나 충격이 감지되거나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 팽창신호에 발생시켜 동체의 내부에 장착된 모든 에어백을 동시에 팽창시키거나 승무원이 동체의 내부 측면에 설치된 수동핸들을 작동시킬 때는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전면에서 팽창하는 에어백을 제외한 나머지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조종사와 부조종사 및 탑승자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에어백을 여러 장소에 설치한 후 여러 개의 에어백이 한 번에 팽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익 항공기의 운항을 할 수 없는 사고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여러 개의 에어백이 동시에 팽창하면서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객의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의 사고나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동체 내부의 적재적소에 설치된 여러 개의 에어백이 동시에 팽창되면서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회전익 항공기의 추락 사고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손상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종사나 승무원이 가장 먼저 사고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으로 모든 에어백을 팽창시키거나 승무원이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전면에 설치된 에어백을 제외한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치명적인 손상을 피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회전익 항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익 항공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회전익 항공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익 항공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회전익 항공기의 수동핸들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 회전익 항공기의 내부 일부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의 동체에 에어백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은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충돌사고 시 동체 내부의 전체 에어백을 한꺼번에 팽창시킴으로써 조종사나 승무원 및 탑승객의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백은 조종사나 승무원이 사고를 인지할 때 수동으로 에어백을 팽창시켜 추락 사고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으로 에어백을 팽창시킬 때는 모든 에어백이 동시에 팽창되게 하고, 승무원이 수동으로 에어백을 팽창시킬 때는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전면에 설치된 에어백을 제외한 나머지 에어백이 동시에 팽창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에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50)의 동체(51) 내부에 에어백(1-7)을 설치하되 동체(51)의 전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서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조종석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센터 에어백(1)과 함께 조종석 하측이나 의자(53)의 등받이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 에어백(2)(3)을 구비하는 한편 동체(51)의 측면 도어(52)에 설치되어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하는 도어 에어백(4)을 구비하고, 또한, 의자(53)에 설치되어 탑승자 사이로 팽창되어 탑승자 사이의 충격을 보호하는 간격 에어백(7)을 구비하는 한편 동체(51)의 천정에 설치되어 상측과의 충격을 보호하는 루프 에어백(5)을 구비하고, 동체(51)의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에서의 충격을 보호하는 바닥 에어백(6)을 구비하며, 회전익 항공기(50)의 동체(51)에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측에서 전달되는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센서(11-17)를 구비하고, 상기 충돌감지센서(11-17)에서 전달되는 충돌감지신호를 인진하여 전체 에어백(1-7)을 팽창시키는 콘트롤러(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콘트롤러(30)는 충돌감지신호를 인식하여 개폐장치(41)(42)를 작동시킴으로써 질소탱크(40)의 질소가스가 에어백(1-7)으로 전달되어 팽창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50)의 동체(51)에 여러 개의 에어백(1-7)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백(1-7)은 어느 한 방향에서든지 충돌이 감지될 때 모두 팽창하여 동체(51)와 조종사 및 승무원 그리고 탑승객 사이에서 팽창되는 한편 탑승객 사이에도 팽창되어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충돌 사고 시 치명적인 손상은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1-7)은 조종사와 부조종사를 보호하기 위하여 조정석 하측에 설치하는 한편 승무원과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자(53)의 등받이 배면에 설치하는 한편 측면도어(52)의 내측과 동체(51)의 천정과 바닥에 각각 센터 에어백(1), 전면 에어백(2)(3), 도어 에어백(4), 루프 에어백(5), 바닥 에어백(6)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탑승자와 탑승자 사이에도 간격 에어백(7)을 설치함으로써 충돌 사고시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과 탑승자는 에어백(1-7)에 의해 동체(51)와의 직접 충격이 방지되는 한편 탑승객끼리의 충격도 방지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1-7)은 동체(51)의 전면과 측면 및 후방과 상,하측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1-17)를 설치함으로써, 동체(51)에 가해지는 모든 방향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11-17)에서 감지된 충격감지신호는 콘트롤러(30)로 전달되고, 콘트롤러(30)에서는 어느 한 곳에서라도 충격감지신호가 감지되면, 모든 에어백(1-7)에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콘트롤러(30)는 개폐장치(41)(42)를 개방하여 질소탱크(40)의 가스를 에어백(1-7)으로 공급하여 팽창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에어백(1-7)으로 가스를 공급하면 에어백(1-7)이 팽창되는 기능과, 개폐장치(41)(42)가 개방될 때 질소탱크(40)의 질소가스가 에어백(1-7)으로 전달되는 기능은 공지된 자동차용 에어백과 동일하나, 본 발명은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에 설치된 에어백만 작동하는 자동차용 에어백과 달리, 어느 한 방향에서라도 충격이 가해지면 모든 에어백(1-7)을 동시에 팽창시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자동차는 충격이 가해진 방향에 설치된 에어백만 팽창되어 운전자나 탑승자를 보호하더라도 충분히 보호효과를 볼 수 있으나, 회전익 항공기는 충돌사고 발생시 추락으로 이어져 동체(51)가 파손되는 엄청난 충격을 견디기 위하여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이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방향에서 충격이 감지될 때 모든 에어백(1-7)을 동시에 팽창시킴으로써 동체(51)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체(51)의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충격이 가해진 방향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11-17)에서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30)에 충격을 인지시킴으로써 콘트롤러(30)에서는 충격이 감지될 때 충격감지신호를 출력시켜 개폐장치(41)(42)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동체(51)의 내부에 설치된 모든 에어백(1-7)에 가스가 공급되어 팽창되기 때문에 탑승객과 조종사 및 부조종사와 승무원이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동체(51)에 설치된 에어백(1-7)이 팽창되면,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이나 탑승객의 전방에서 팽창이 이루어지는 한편 측면도어(52)나 동체(51)의 천정과 바닥에서 팽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탑승객 사이에도 팽창이 이루어져 탑승객끼리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회전익 항공기가 추락으로 이어지는 사고 발생시에 동체(51)의 모든 에어백(1-7)이 팽창되면서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에어백(1-7)이 모두 팽창되면 동체(51)에 탑승한 조종사, 부조종사, 승무원, 탑승객의 전후좌우나 상하 방향이 모두 에어백(1-7)으로 쌓이기 때문에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이나 탑승객의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수동핸들(21)(22)을 이용하여 에어백(1-7)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조작할 수 있는 수동핸들(21)은 의자(53)의 시트에 설치하되 안전캡을 씌워서 원치 않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승무원이 조작하는 수동핸들(52)은 동체(51)의 내부 측면에 설치하되 안전캡을 씌워서 원치 않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되, 수동핸들(21)(22)의 작동을 인지하는 콘트롤러(30)에서는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핸들(21)을 작동시킬 때는 동체(51)에 설치된 모든 에어백(1-7)이 팽창되게 하고, 승무원이 수동핸들(22)을 작동시킬 때는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전방에 설치된 에어백(1)(2)을 제외한 나머지 에어백(3-7)이 모두 팽창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수동핸들(21)(22)을 설치한 이유는 실질적인 충돌이 발생하기 직전에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사고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사고가 발생할 때 에어백(1-7)이 작동되는 것보다, 충돌사고 발생 전에 에어백(1-7)을 작동시키는 것이 충돌 사고에서 치명적인 손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으로, 조종사나 부조종사는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을 때 에어백(1-7)을 수동으로 팽창시켜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이나 탑승객을 에어백(1-7)으로 감싸줌으로써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승무원은 충돌 사고가 예상될 때 수동핸들(22)을 작동시키게 되고, 승무원이 수동핸들(22)을 작동시키게 되면,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백(1)(2)은 팽창되지 않고, 나머지 에어백(3-7)은 팽창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한편 조종사나 부조종사는 최후까지 전방을 보면서 안전을 위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수동핸들(21)(22)은 안전캡으로 씌워져 있기 때문에 탑승이나 내리는 과정에서 수동핸들(21)(22)이 조작될 수 없도록 하고,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안전캡을 제거한 후 수동핸들(21)(22)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핸들(21)을 조작할 때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동체(51)의 모든 에어백(1-7)을 팽창시키게 함으로써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승무원이나 탑승객 모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승무원이 수동핸들(22)을 조작할 경우는 조종사나 부조종사는 최후까지 조종을 할 수 있도록 하되 탑승객은 에어백(3-7)으로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익 항공기가 정상적인 운항을 할 수 없는 사고나 충격이 예측될 때 조종사나 승무원의 수동핸들(21)(22) 조작으로 최대한 인명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치명적인 사고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1-7 : 에어백 11-17 : 충돌감지센서
21,22 : 수동핸들 30 : 콘트롤러
40 : 질소탱크 41,42 : 개폐장치
50 : 회전익 항공기 51 : 동체
52 : 측면도어 53 : 의자

Claims (3)

  1. 회전익 항공기(50)의 동체(51) 내부에 에어백(1-7)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백(1-7)은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자의 전면에서 팽창되게 설치되는 센터 에어백(1)과 전면 에어백(2)(3)을 구비하고, 조종사나 부조종사 및 탑승자의 측면에서 팽창되게 측면도어(52)에 설치되는 도어 에어백(4)을 구비하고, 탑승자의 상측과 하측에서 팽창되게 동체(51)의 천정과 바닥에 설치되는 루프 에어백(5)과 바닥 에어백(6)을 구비하고, 동체(51)의 바닥에 고정된 의자(53)에도 탑승객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에어백(7)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1-7)이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1-17)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1-17)의 충격감지신호를 감지하는 콘트롤러(30)에서는 충격사고 발생 시 동체(51)에 설치된 에어백(1-7)을 동시에 팽창시키게 개폐장치(41)(42)를 조작하고,
    조종사나 부조종사의 의자(53)에는 수동핸들(21)을 설치하는 한편 동체(51)의 내부 측면에도 수동핸들(22)을 설치하되 상기 수동핸들(21)(22)은 안전캡을 제거한 후 조작되게 하고,
    상기 수동핸들(21)(22)이 조작되면 에어백(1-7)을 작동시키되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수동핸들(21)을 조작하면 에어백(1-7) 모두를 팽창시키는 한편 승무원이 수동핸들(22)을 조작하면 전면 에어백(2)과 센터 에어백(1)을 제외한 에어백(3-7)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동체(51) 내부에 조종사와 부조종사 및 탑승자를 감싸서 보호하는 에어백(1-7)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백(1-7)은 동체(51)의 충돌 예상 부위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1-17) 중 어느 하나에서 충돌감지신호가 감지될 때 팽창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3. 삭제
KR1020210051879A 2021-04-21 2021-04-21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Active KR10227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79A KR102276950B1 (ko) 2021-04-21 2021-04-21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79A KR102276950B1 (ko) 2021-04-21 2021-04-21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50B1 true KR102276950B1 (ko) 2021-07-13

Family

ID=7685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879A Active KR102276950B1 (ko) 2021-04-21 2021-04-21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74U (ko) * 1994-04-28 1995-11-20 사이드 에어백이 장착된 자동차
KR19980063136U (ko) 1997-04-08 1998-11-16 송명석 헬리콥터 비상착륙용 낙하산과 에어백
KR20080066064A (ko) 2005-11-09 2008-07-15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 인크. 항공기용 충돌 완충 시스템
KR20100083489A (ko) 2009-01-14 2010-07-22 김아영 충격흡수용 에어백
US20100276540A1 (en) * 2007-12-18 2010-11-04 Camilo Garcia Rojo Airbag system for aircraft
KR101668645B1 (ko) 2015-10-08 2016-10-24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무인항공기의 완충 착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74U (ko) * 1994-04-28 1995-11-20 사이드 에어백이 장착된 자동차
KR19980063136U (ko) 1997-04-08 1998-11-16 송명석 헬리콥터 비상착륙용 낙하산과 에어백
KR20080066064A (ko) 2005-11-09 2008-07-15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 인크. 항공기용 충돌 완충 시스템
US20100276540A1 (en) * 2007-12-18 2010-11-04 Camilo Garcia Rojo Airbag system for aircraft
KR20100083489A (ko) 2009-01-14 2010-07-22 김아영 충격흡수용 에어백
KR101668645B1 (ko) 2015-10-08 2016-10-24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무인항공기의 완충 착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4445B1 (en) Safety restraint protection for aircraft occupants seated facing the side of the aircraft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10518733B2 (en) Seat with airbag
KR101611087B1 (ko)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US10471920B2 (en) Seat with airbag
US7232001B2 (en)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US5992794A (en) External airbag protection system for helicopters
EP2572994B1 (en) Door bustle airbag for an aircraft
US10569890B2 (en) Airbag assembly for leg flail protec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296317B2 (en) Leg restraint device for side-facing seated vehicle occupants
US8820830B2 (en) Vehicle seat
KR102676736B1 (ko) 차량의 승객보호 시스템
WO2016053460A1 (en)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060426B1 (en) Leg restraint device for side-facing seated vehicle occupants
US11912228B2 (en) Occupant crash protection for vehicle
CN210707913U (zh) 一种置于座椅内的直升机安全气囊系统
US5301902A (en) Aircraft airbag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3501913B1 (en) Side curtain airbag
KR102276950B1 (ko)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US8430424B1 (en) Far side impact protection for driver
CN110588992A (zh) 一种置于座椅内的直升机安全气囊系统
KR20040043844A (ko) 자동차의 에어백과 시트 연동장치
CN108082108B (zh) 安全气囊系统及操作方法、车辆辅助乘员保护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