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6819B1 -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19B1
KR102276819B1 KR1020187035101A KR20187035101A KR102276819B1 KR 102276819 B1 KR102276819 B1 KR 102276819B1 KR 1020187035101 A KR1020187035101 A KR 1020187035101A KR 20187035101 A KR20187035101 A KR 20187035101A KR 102276819 B1 KR102276819 B1 KR 10227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pipe element
resistance wire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314A (ko
Inventor
하비에르 안토니오 바스케스 산체스
다비드 로자 아리사
알베르토 마르티네스 페레스
Original Assignee
에이비엔 파이프 시스템즈, 에스.엘.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엔 파이프 시스템즈, 에스.엘.유. filed Critical 에이비엔 파이프 시스템즈, 에스.엘.유.
Publication of KR2019000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2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wire, e.g. in the form of a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29C65/7814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inter-cooperating positioning features, e.g. tenons and mort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3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or elbows, e.g. for making V-shaped pieces
    • B29C66/5223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or elbows, e.g. for making V-shaped pieces with a right angle, e.g. for making L-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8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being composed by seve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7Checking completion of joining or correct joining by using indications on at least one of the joined parts
    • B29C66/976Checking completion of joining or correct joining by using indications on at least one of the joined parts by the use of an indicator pin, e.g.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16L13/0218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 F16L13/0236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having an outer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supplying heat to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 e.g. special electrical connector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7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8Other 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 B29C66/8286Hand place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련된 노동력이 필요 없이 사전-조립과 최종적인 조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 파이프 요소(1), 및 상기 단부를 통해 상기 파이프 요소(1)의 외면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연결 요소(2)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는 상기 파이프 요소(1) 자체의 외면에 감기는 저항선(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본 발명은 파이프, 관 또는 배관 세그먼트(piping segment)와 같은 파이프 요소(pipe element), 즉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의 연결 또는 접합 시스템의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수, 관개용수, 가스 분배 시스템 및 산업용 설비에서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 시스템, 난방, 위생용 온수 및 냉수 공급 설비에서 사용 가능한, 전기 용접 가능한 유형의 연결 장치(connections)의 기술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직접 사용 및 연결 가능한 범용의 파이프 세그먼트들을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50%가 넘는 노동력의 절감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 또는 접합을 제공하며, 영구적인 용접을 수행하지 않고 설비의 사전-조립(pre-assembly)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설비의 디자인에 따라서 파이프 세그먼트들을 사전 제조하여 숙련된 노동력 없이도 최종적으로 조립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을 접합하는 여러 가지의 다른 기술들이 최근에 알리어져 있다.
이러한 접합기법 중 하나는 열 융합에 의해 관과 연결부속(fitting)이 가열되는 것인, 소위 열-융합 소켓 접합(heat-fusion socket joining)이다. 여기서, 관의 외부와 연결부속의 내부는 매트릭스(matrices)로 가열되는데, 그의 온도는 융합 용접기(fusion welder)에 의하여 사용된 플라스틱의 용융 온도까지 조절된다. 그 다음, 상기 요소들은 매트릭스로부터 제거되어 서로 결합 된다. 여기서 문제점은, 이 기법은 20-125mm 사이의 지정된 범위의 직경에 대해서만 유용하며, 게다가 융합 용접기 온도의 조절과, 융합 용접기와 매트릭스의 정비 및 복원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간 비용의 용접 장비가 요구되고, 또한 작업대에서 용접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있다. 게다가, 높이 세운 세그먼트들을 접합하는 것에서의 용접은 복잡하기까지 하다.
반면에, 63-250mm의 중간 범위의 직경에 대해서는, 열 융합에 의해 수행되기는 하지만, 용융 온도가 전기 용접형 연결부속(피팅)에 삽입되어 있는 전기 저항 덕분에 획득되는 방식인, 전기 용접형 접합(electrically weldable joining) 기법이 종종 사용된다. 연결부속의 용접 커넥터의 단자들은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들에 연결되고 그 기계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는 줄 효과(Joule effect)에 의하여 저항을 가열한다. 사용된 전류는 저전압 전류(24-40V)이다. 따라서 연결부속의 내면은 해당 관의 외면과 용접된다. 그 과정이 종료될 때, 그 과정이 적절히 수행되었음을 확인시켜주는 부품의 융합 표시기(fusion indicator)가 켜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 기법은, 전체 용접 과정에 대해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이 필요할 정도로 매우 느린데, 그 이유는 특히, 관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들뿐만 아니라, 접합될 요소들을 적절히 준비하는 것에, 즉, 녹(rust)을 벗겨내는 동작 등과 같은, 매우 정밀하고 숙련된 기술의 노동력이 요구되기 때문인데, 이것은 현장에서의 작업 실행에 높은 비용이 들도록 만들고, 게다가 직선형이 아닌 특별한 부품, 예컨대, 엘보우(elbow) 또는 T-자형 부품이 제공되어야 할 경우, 그 부품들이 자주 필요한 것들이 아니라면, 그 비용은 더욱 비싸지게 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연결부속들은 고가이고, 그 피팅 범위가 제한된다. 더욱이, 관과 연결부속 사이에서 공차(tolerance differenc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완전한 배관 준비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큰 직경의 파이프에 대해서는 맞대기 용접(butt welding)에 의한 접합이 종종 사용된다. 이 시스템에 따르면, 접합될 관의 단부들은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압력하에 가열 요소로써 가열된다. 가열 플레이트가 제거되고, 그 단부들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고, 필요한 만큼 오랫동안 압력을 유지하면서 접합이 된다. 이러한 접합 방식의 문제점은, 유압 장치, 특수 클램프들 및 발전기 세트가 요구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러한 것을 수행하는데에 드는 높은 비용에 있는데, 이것은 반드시 숙련된 기술자이어야만 하는 오퍼레이터가 전체 기계를 연속적인 접합 지점들로 더 이동시켜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면, 접합 당 40-120분을 필요로 할 정도로 그 수행을 현저하게 더 늦게 또한 더 비싸게 만들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접합 기법은 내부의 용착 비드(weld bead)로 인하여 관의 유용한 부분의 감소를 수반하고, 따라서 연결부속에 있어 0.8 및 0.6의 조절에 따른 압력 축소 계수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 기법은 높은 위치의 용접을 수행하기에 고도의 복잡성을 수반하고, 상이한 두께의 관들을 용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으며, 또한 이것을 수행하는 것이 대기 조건에 의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필요한 유형의 접합에 사용 가능한 전기 용접 가능한 연결을 가능케 하는,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이며, 설치하기 용이한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의 필요성이 인식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을 위한 전기 용접 가능한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열-융합(heat-fusion) 접합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요소(pipe element),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요소의 외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연결 요소(plastic connection elem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 요소가, 특히, 커플링(coupling) 또는 엘보우(elbow), T-형 바이패스, 또는 스터브엔드(stubend), 바이패스(bypass) 또는 이음쇠(reducer)와 같은, 임의의 기타 연결 요소로서 제조되는 플라스틱 연결부속(fitting)인 것을 상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파이프 요소 자체의 외면에 감긴 전기 용접 가능한 금속 코일로서 형성되는 저항선(resistance wire)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선은 파이프 요소의 단부 자체와 소정의 지정된 거리 사이에 파이프 요소의 모선(generatrix)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서 감겨 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치는 파이프 요소에 외부에서 고정되고 상기 저항선 상에 또는 상기 저항선 바로 다음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전류가 통과할 때 줄 효과(Joule effect)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임의의 전도성 와이어가 저항선으로 고려되는데, 이것은 개방형 구리선(open copper wire) 또는 사용된 합금에 따른 특정 저항을 생성하는 합금 물질과 같은, 단일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상기한 개방형 구리선은 전류의 통과에 대해 특정한 저항을 제공하는 전도성 소자인데, 따라서 이것은 그 전류의 통과 중 열을 발생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개념적으로 저항선(resistance wire)으로 간주 된다.
전기 용접 공정이 끝난 후, 즉 일단 용접이 완료되고 나서,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백히, 연결 요소 및 파이프 요소는 용접을 하기 전에 간단히 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한 양 요소들은 사전 조립이 행해진다.
상기 저항선은 파이프 요소의 표면에, 그 안에 내장형(embedded)으로, 또는 외면상에 저항선을 적층함(depositing)으로써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한편, 기술적 측면을 고려하면, 본 발명은 영구적인 조립을 행할 필요가 없고, 용접의 필요가 없는 조립완구(Meccano)와 같은, 설비의 사전-조립(pre-assembling)을 가능하게 한다. 관과 연결부속(피팅) 사이의 정밀한 조절이 보장된다. 관에 가열 요소를 통합하는 것은 용접에 더 큰 압력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설비의 부품을 바꾸지 않고도 상이한 두께의 관들을 용접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더욱이, 그 작업이 대기적 요인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광범위한 연결부속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궁극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전기 용접 가능한 접합에서 행해지는 것과 같이 연결부속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파이프 요소 그 자체가 가열된다.
경제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설치 시간의 감소를 달성하고,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도 않고, 경제성 있는 범위의 연결부속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저비용의 장비와 공구를 사용하며, 또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구현한다. 추가적인 낭비를 수반하는 현장에서의 절단 작업이 필요 없이 현장 조립에 적절한 크기의 전체 설비가 공장에서 출하될 수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면, 관의 낭비가 방지될 것이다.
종래기술의 시스템은 스크레이핑(scraping), 세정 또는 기계가공(machining)과 같은, 관에 대해 종래의 공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반면, 본 발명은 전기 용접 연결 공정을 위해 어떤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의 세트(one kit)로서 현장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클램프는 관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제조되어 노(furnace)에서 가열되며, 따라서 상기 클램프는 팽창된 관에 들어가서, 그것이 관 자체에서 수축할 때, 바람직하게는, 저항선 상이 아니라, 그 다음에, 유지되며, 이로써 단지 2개의 돌출한 저항선이 클램프를 통과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는 실린더형의 내면을 가지며, 이것을 통해 클램프는 파이프 요소에 접속된다. 어떤 경우든, 저항선의 단부들을 지지하고, 이어서 파이프 요소에 대해 억제 또는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마찬가지로 용이한 유지를 도모하고, 그의 고정 또는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떤 요소라도 클램프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저항 요소가 감기는 영역을 정의하는 파이프 요소의 단부로부터의 거리에 대해서는 그 파이프 요소의 공칭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될 것이다. 상기 거리는 63-160mm의 관 공칭 직경(tube nominal diameter)에 대해서는 적어도 3-6cm이고, 200-500mm의 관 공칭 직경에 대해서는 6-15cm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관 직경의 25-50%인데, 이것은 제조의 용이성과, 사고(blows) 발생 시 전기적 단선을 방지하는 안전상의 이유로 관의 저항선의 끝단에 어떤 경우든 0.5-1cm를 자유롭게 남겨놓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선은 클램프를 관통하여 그로부터 돌출된 2개의 단부를 갖는다.
상기 클램프는, 클립(clip)으로도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텐션(retention)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억제장치(stop)로서 사용되어 해당 연결 요소를 유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바, 이로써 이것은 상기 연결 요소에 접촉하여 상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될 파이프 요소에 대해 위치와 중심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통합된 부분으로서 제공되며, 하기의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특성으로써 표현되는 것으로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보완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들을 더 잘 이해하는데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파이프 요소가 미리 공장에서 용접된 상태로 현장에서의 사용을 위해 공장에서 출하될 때 파이프 요소들을 위한 연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투시도로서, 클램프 측에 해당하는 연결 요소는 상기 파이프 요소의 단부에 배열된 실제의 저항선과 고정 플랜지(anchoring flange)를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연결 요소가 커플링인 경우의 본 발명의 파이프 요소들을 위한 연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 및 4에 도시된 클램프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해당 단자들과 함께 용접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통합하는 리텐션(retention) 요소가 묘사되어 있는, 리텐션 요소의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결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묘사된 실시 예의 경우와 같은, 본 실시 예에서는 공장에서 용접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엘보(elbow)인, 연결 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측면들 또는 단부들에 의해 현장에서 제자리에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서, 엘보와 같지만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연결 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저항선이 내장(embedded) 또는 적층 된(deposited) 배열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요소의 일 실시 예의 평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저항선의 전방 권선 방향은 연속적인 실선으로 표현되는 반면, 같은 저항선의 후방 또는 복귀 방향은 점선으로 표현되도록 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변형 실시 예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변형 실시 예의 또 다른 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능한 여러 실시 예들 중의 하나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1)을 위한 연결 장치의 구성 관계가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을 위한 연결 장치는:
- 두 개의 단부를 갖는 파이프 요소(1), 및
- 일 단부를 통해 상기 파이프 요소(1)의 외면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연결 요소(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 요소(2)에 대해, 무엇보다도, 도 1, 3 및 6의 경우와 같이 커플링(coupling)으로, 또는 도 7 및 8의 경우와 같이 엘보(elbow)로서 제조되는 플라스틱 연결부속(plastic fitting)이라고 상정한다.
도 1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요소(1)의 일 단부는 그 파이프 요소(1) 자체의 외면에 감긴 저항선(3)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선(3)은 파이프 요소의 외면상에 내장형(embedded)으로 또는 상기 외면상에 저항선을 적층(depositing)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 9는 저항선(3)의 내장형 또는 적층형 배열을 예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그 저항선(3)의 전방 권선 방향은 연속적인 실선으로 표현되는 반면, 같은 저항선(3) 하나의 후방 또는 복귀 방향은 점선으로 표현되며, 이로써 상기 파이프 요소(1)의 단부에서 연결부에 해당하는 전체 영역이 덮이게 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선(3)은 파이프 요소(1)의 단부 자체와 소정의 거리 사이에 상기 파이프 요소(1)의 모선(generatrix)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감겨 있다.
도 1, 2,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장치는 파이프 요소(1)에 외부에서 고정되고 저항선(3)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프(4)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4)는 저항선(3)의 단부들에 대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따라서 파이프 요소(1)에 대한 억제(stop) 또는 위치설정(positioning)을 가능하게 하여, 그것의 유지를 용이하게 해준다.
저항선 요소(3)가 감겨있는 영역의 경계를 정의하는, 파이프 요소(1)의 단부로부터의 거리는 그 파이프 요소(1) 자체의 공칭 직경보다 작은데, 이로써 연결부에서의 최적의 결과가 달성된다.
도 1, 2, 3 및 4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저항선(3)은 클램프(4)를 통과하는 두 개의 단부들을 갖는데, 이것들은 상기 클램프(4)의 2개의 구멍(8)을 통해 그로부터 돌출한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4)는 억제장치로서 사용되며 상기 연결 요소(2)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리텐션(retention) 요소들(5)을 구비한다. 상기 리텐션 요소들(5)은 연결 요소(2)에 접촉하여 상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될 파이프 요소(1)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와 중심을 설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4)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cavity)(7) 또는 홈(recess),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정반대 위치에 분배된 공동들 또는 홈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안으로는 도 5에 도시된 개별적인 리텐션 요소(5)가 맞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저항선(3)의 2개의 단부는 상기 리텐션 요소들(5) 중의 하나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써 이것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접 커넥터(11)를 가지며, 이것은 차례로 2개의 용접 단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한 리텐션 요소(5)는 고정 플랜지(anchoring flange)(9)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본 실시 예에서는 클리핑 작용에 의한 지탱(holding)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연결 요소(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위치한 환상의 고정 홈(anuular anchoring groove)(10) 내부에 끼워질 수가 있는데, 이것은 그 연결부속품이 파이프 요소(1)에 공장 용접되고 일 측면에서만 고정 홈(10)이 필요한, 도 1 및 7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제1형 연결부속(type 1 fitting)인지, 아니면 양 측면에서 현장에서 제 위치에 장착되는, 도 3, 6 및 8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양 측면들에 고정 홈(10)을 똑같이 갖는 제2형 연결부속(type 2 fitting) 인지에 따른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 상기 리텐션 요소(5)는 클래프(4) 자체에 통합되어 그와 함께 하나의 단일형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플랜지들(9)은 리텐션 요소(5)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현장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측면들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요소(2)는 해당 연결 요소(2)와 파이프 요소(1) 사이에 용접이 완료되었을 때 활성화되는, 따라서 용접 검증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 표시기(welding indicator)(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표시기(12)를 만들기 위해서는, 연결 요소(2)의 가변적인 비율의 두께를 그의 치수와 재료에 따라서 구멍을 뚫게 되는바, 저항선(3)이 가열될 때,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plastic) 물질이 온도에 따라 팽창한다고 가정하면, 그 부위에서의 압력이 증가한다. 상기 표시기(1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아래에 크라운의 형태를 갖는, 드릴 구멍에 위치한 핀 또는 못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드릴 구멍은, 용접이 완료된 것으로 여겨질 때 핀 또는 못이 상기 연결 요소(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위로 이동하도록 하는 크기이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그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다고 간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즉 용접 공정의 인디케이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상기 연결 요소(2)는, 도 6,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2개의 파이프 요소들에 대한 위치 설정 및 정렬용 억제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내부의 환형 돌출부(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 및 11은 연결 요소(2)가 클램프(4) 자체와 하나의 부재로 통합되어 있는 구성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하는데, 그 결과 상기 연결 요소는 용접에 의해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표준형 파이프의 임의의 단부에 대해 제자리에 결합될 수 있는 아주 짧고 조절 가능한 연결부속이 된다. 상기 파이프 요소(1)는 매우 짧아서 클램프(4)에 대응하는 단부로부터 단지 돌출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 요소(1)의 이러한 돌출 부분은 파이프 요소(1) 그 자체의 외면에 감긴 저항선(3)을 포함하는 단부일 것이다. 상기 파이프 요소(1)는, 그 반대편 측면에서는 돌출하지 않는데, 상기 측면은 반-커플링(semi-coupling)으로서 작용하는, 연결 요소(2)의 기능을 수행하는 쪽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저항선(3)이 파이프 요소(1)의 단부 자체와 소정의 거리 사이에 파이프 요소(1)의 모선(generatrix)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서 감겨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장치는, 파이프 요소(1)에 외부에서 고정되고 저항선(3) 상에 또는 상기 저항선(3)의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 요소 자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클램프(4)를 포함한다.
제조 방법에 따라서, 파이프 요소(1)는 마찬가지로,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plastic injection)에 의해 제조되는, 클램프(4), 연결 요소(2) 및 파이프 요소(1)를 일체화하도록 구성되는, 단일한 부재로 통합될 수가 있음은 명백한데, 이러한 구성은 그것에 연결되는 또 다른 파이프 요소(1)의 일 단부에 용접에 의해 후속되는 접합에 의하여 연결될 연결 요소(2)를 반대쪽에서 통합하는 감긴 저항선(3)과 함께 클램프(4)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설치상의 요건에 따라서 파이프를 천장과 벽 모두에 지탱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4) 자체에 너트들(13)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과 도면들의 견지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이상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발명의 목적 내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 예들에 따라서 기술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상의 목적을 이탈함이 없이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다수의 변형이 상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요소(1),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요소(1)의 외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연결 요소(2)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요소(1)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파이프 요소(1) 자체의 외면 상에 감기는 저항선(3)을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틱 파이프 요소들(1)을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선(3)은 상기 파이프 요소(1)의 단부 자체와 소정의 거리 사이에 상기 파이프 요소(1)의 모선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서 감기어지되, 상기 장치는, 상기 파이프 요소(1)에 외부에서 고정되고 상기 저항선(3) 상에 또는 상기 저항선(3)의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선(3)이 감겨 있는 영역의 경계를 정의하는 상기 파이프 요소(1)의 단부로부터의 상기 거리는 상기 파이프 요소(1) 자체의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보다 더 작은 것인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선(3)은 상기 클램프(4)를 통과하여 그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단부들을 구비하는 것인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는 상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될 파이프 요소(1)에 대하여 위치와 중심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 요소(2)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텐션 요소(5)를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4)는 개별적인 리텐션 요소(5)가 그 안에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7)을 포함하되, 상기 저항선(3)의 2개의 단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텐션 요소(5)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연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텐션 요소(5)는 상기 연결 요소(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위치한 고정 홈(10)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 플랜지(9)를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는 상기 연결 요소(2)와 상기 파이프 요소(1) 사이의 용접이 완료될 때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 표시기(12)를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는 커플링(coupling)인 것인 연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는 엘보우(elbow) 요소인 것인 연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는 하나 또는 2개의 파이프 요소들(1)에 대한 억제 장치(stop)로서 역할을 하는 내부의 환상의 돌출부(6)를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는 상기 클램프(4)와 함께 하나의 단일 부재로 통합되며, 여기서 상기 파이프 요소(1)는 상기 클램프(4)에 대응하는 단부로부터 단지 돌출하고, 상기 파이프 요소(1)의 상기 단부는 그 파이프 요소(1) 자체의 외면상에 감긴 저항선(3)을 포함하는 단부인 것인 연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 및 연결 요소(2)를 일체로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파이프 요소(1)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너트(13)를 일체형으로 통합하는 것인 연결 장치.
KR1020187035101A 2016-05-13 2017-05-12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Active KR102276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1630623A ES2581377B1 (es) 2016-05-13 2016-05-13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elementos de tubería
ESP201630623 2016-05-13
PCT/ES2017/070303 WO2017194812A1 (es) 2016-05-13 2017-05-12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elementos de tuberí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314A KR20190009314A (ko) 2019-01-28
KR102276819B1 true KR102276819B1 (ko) 2021-07-15

Family

ID=568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101A Active KR102276819B1 (ko) 2016-05-13 2017-05-12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1506320B2 (ko)
EP (1) EP3456520B1 (ko)
JP (1) JP6942792B2 (ko)
KR (1) KR102276819B1 (ko)
CN (1) CN109311237B (ko)
AU (1) AU2017261891B2 (ko)
BR (1) BR112018073383B1 (ko)
CA (1) CA3023807C (ko)
CL (1) CL2018003220A1 (ko)
CO (1) CO2018012185A2 (ko)
EA (1) EA201800580A1 (ko)
ES (2) ES2581377B1 (ko)
MX (1) MX2018013880A (ko)
PL (1) PL3456520T3 (ko)
PT (1) PT3456520T (ko)
WO (1) WO2017194812A1 (ko)
ZA (1) ZA2018076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7670B2 (es) * 2021-05-06 2023-03-14 Abn Pipe Systems S L 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8662A1 (en) * 2013-07-08 2015-01-08 Georg Fischer Harvel Llc Electrofusion Fitting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6519A (en) * 1967-01-13 1970-04-14 Susquehanna Corp Method of making interlocked welded connections between thermoplastic articles
FR2353381A1 (fr) * 1976-06-03 1977-12-30 Pont A Mousson Procede d'assemblage par soudure de tubes plastiques et raccord pour un tel assemblage
US4508368A (en) * 1982-03-01 1985-04-02 R & G Sloane Mfg. Co., Inc. Plastic pipe joint
IT8648290A0 (it) * 1986-07-22 1986-07-22 Bonazelli Paolo Tubo in polietilene con sistema di termosaldatura a resistenza elettrica incorporato
CA1321626C (en) * 1988-07-21 1993-08-24 Naotake Uda Electrofusion of electrofusion joint, method of confirming state of fusion and fusion joint suitable for use in the methods
US4915417A (en) 1988-08-02 1990-04-10 Flo-Control, Inc. Thermally assembled conduitry
AU660669B2 (en) * 1991-04-19 1995-07-06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ipe connecting member
JP2721448B2 (ja) * 1991-11-29 1998-03-04 東京瓦斯株式会社 電気融着式管継手及びその製法
JPH07190275A (ja) * 1992-07-07 1995-07-28 Georg Fischer Ag 熱可塑性材料製の型成形部品
JPH09144977A (ja) * 1995-11-27 1997-06-03 Tokyo Gas Co Ltd 電気融着管継手
WO1999013256A1 (en) * 1997-09-09 1999-03-18 Moshe Kotzer Plastic pipe joints and formation thereof
DE19813599A1 (de) * 1998-03-27 1999-09-30 Bauku Troisdorfer Bau Und Kuns Rohr, insbesondere Wickelrohr
US7793988B1 (en) * 2001-05-04 2010-09-14 Sami Shemtov Connector for electrical wire-carrying conduits
CN2480768Y (zh) * 2001-05-18 2002-03-06 河合电器(杭州)有限公司 非金属水加热元件
JP2003097784A (ja) * 2001-07-17 2003-04-03 Sekisui Chem Co Ltd 融着継手
GB0123845D0 (en) * 2001-10-04 2001-11-28 Petrotechnik Ltd Improved couplings
JP2004183858A (ja) * 2002-12-06 2004-07-02 Hitachi Metals Ltd 電気融着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96757A (ko) * 2003-05-10 2004-11-17 이화성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FR2879121B1 (fr) * 2004-12-15 2008-09-2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pour la connexion d'une piece tubulaire en matiere plastique a une goulotte d'un reservoir a carburant egalement en matiere plastique
WO2006096297A2 (en) * 2005-03-07 2006-09-14 Orion Enterprises, Inc. Electro-fusion joining system for thermoplastic piping systems
JP2007040329A (ja) * 2005-08-01 2007-02-15 Kyowa Nissei:Kk 管接続体
KR100754508B1 (ko) * 2007-01-29 2007-09-03 주식회사 엑스텍 파이프 고정부재
GB2494423B (en) * 2011-09-07 2016-07-13 Radius Systems Ltd Electrofusion fitting
AR088888A1 (es) * 2011-11-16 2014-07-16 Flexpipe Systems Inc Conexion para tuberias termoplasticas, armado y metodo
JP5833414B2 (ja) * 2011-11-25 2015-12-16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電気融着継手、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および電気融着継手と合成樹脂管と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8662A1 (en) * 2013-07-08 2015-01-08 Georg Fischer Harvel Llc Electrofusion Fitting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3383A2 (pt) 2019-03-06
ZA201807695B (en) 2020-02-26
CA3023807A1 (en) 2017-11-16
CN109311237A (zh) 2019-02-05
ES2581377A1 (es) 2016-09-05
CL2018003220A1 (es) 2019-02-22
EA201800580A1 (ru) 2019-03-29
CO2018012185A2 (es) 2019-02-08
CA3023807C (en) 2021-12-07
ES2581377B1 (es) 2017-05-30
MX2018013880A (es) 2019-06-12
EP3456520B1 (en) 2021-01-20
BR112018073383B1 (pt) 2022-09-13
PL3456520T3 (pl) 2021-07-19
JP2019520248A (ja) 2019-07-18
AU2017261891B2 (en) 2021-02-11
KR20190009314A (ko) 2019-01-28
CN109311237B (zh) 2021-11-30
US11506320B2 (en) 2022-11-22
EP3456520A1 (en) 2019-03-20
AU2017261891A1 (en) 2019-01-17
JP6942792B2 (ja) 2021-09-29
WO2017194812A1 (es) 2017-11-16
ES2867150T3 (es) 2021-10-20
PT3456520T (pt) 2021-04-21
US20190128459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53A (en) Electrofusion joint and hot water supply header using the same
CA2417954C (en) Device for connecting components made of fusible plastic
JPS6147238A (ja) 溶接性プラスチツク製の穿孔用成形部材
NO310603B1 (no) Muffe for sveising av plastrördeler
KR102276819B1 (ko)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US10449727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JPH07217787A (ja) 電気溶接可能のプラスチック取付け具
CN1469071B (zh) 电焊套管
US10226898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JP3644857B2 (ja) 樹脂製配管部材の継手方法
JP2013028081A (ja) 三層管と管継手の接続端部加熱用鏝とその鏝を用いた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JP6921588B2 (ja) 樹脂管同士の仮固定構造
JP2018105371A (ja) 分岐サドル継手
KR200313862Y1 (ko) 파이프 소켓 융착 장치
KR910009461Y1 (ko) 합성수지재 배관 파이프용 융접기
JP2006307968A (ja) 分岐継手
KR200219024Y1 (ko) 수지관 융착접합시트
JP2008025704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2000240881A (ja) 分岐サドル継手
JP2008025714A (ja) サドル系の電気融着継手と、電気融着方法
JPH04362395A (ja) 電気融着継手と金属管との接続構造
JPH07117135A (ja) プラスチック製分岐管継手およびその仮止め方法
JP2001355784A (ja) 電気融着継手の管固定治具及び管固定方法
JPH0732485A (ja) 熱可塑性樹脂製品の溶融着用発熱体
KR20030049281A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