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960B1 -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5960B1 KR102275960B1 KR1020200162193A KR20200162193A KR102275960B1 KR 102275960 B1 KR102275960 B1 KR 102275960B1 KR 1020200162193 A KR1020200162193 A KR 1020200162193A KR 20200162193 A KR20200162193 A KR 20200162193A KR 102275960 B1 KR102275960 B1 KR 1022759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target
- deep learning
- distance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3136 deep learning mode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4 iterative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1—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Target signature; Target cross-section
- G01S7/4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Target signature; Target cross-section involving the use of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5—Receiv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1—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가 송신신호(송신펄스)를 송출하고, 수신신호를 셀별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2차원 거리-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그 종류를 보여준다.
도 5는 추론서버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딥러닝 모델의 종류와 관련 입력 데이터 및 출력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원 거리 셀 진폭 데이터에 대해 표적 여부를 레이블링하여 생성한 학습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CNN의 구조와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200: 학습서버 300: 추론서버
Claims (10)
-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를 샘플링하여 표적 탐지를 위한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생성한 실시간 데이터를 추론서버에 전달하여 특정 표적을 탐지하는 표적 탐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추론서버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추론 목적에 따라 해당하는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특정 표적 확률을 추론하고,
상기 딥러닝 모델은, 사전에 수집된 특정 표적, 클러터 혹은 노이즈에 의한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 데이터를 거리(range), 방위각(azimuth angle), 고도각(elevation angl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 영역인 셀(cell)별로 특정 표적 여부를 레이블링하여 얻어진 학습 데이터의 변화 특성을 학습서버를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를 사전에 설정한 주기에 따라 샘플링하여 각 거리(range), 방위각(azimuth angle) 또는 고도각(elevation angl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복수의 셀(cell)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회 탐색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의 펄스(pulse)별 복소(complex) 데이터를 거리 셀별로 펄스 통합한 1차원 거리 셀 진폭(amplitude)데이터, 상기 1차원 거리 셀 진폭 데이터를 방위각별로 누적하여 생성한 2차원 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의 펄스(pulse)별 복소(complex) 데이터를 거리 셀별로 누적한 거리-펄스 데이터를 푸리에(Fourier) 변환하여 생성한 2차원 거리-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 또는 상기 2차원 거리-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를 방위각에 따라 누적하여 생성한 3차원 거리-방위각-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의 2차원 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를 상기 일회 탐색에 따라 누적하여 생성한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 또는 2차원 거리-방위각 표적도플러속도(또는 표적속도)를 상기 일회 탐색에 따라 누적하여 생성한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의 표적속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상기 1차원 거리 셀 진폭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각 거리 셀별로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1 딥러닝 모델, 상기 2차원 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각 거리-방위각 셀별로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2 딥러닝 모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사전에 수집한 상기 1차원 거리 셀 진폭 데이터와 상기 2차원 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의 셀별로 표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존재 확률 100%를 의미),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존재 확률 0%를 의미)으로 레이블링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서버에서 생성되고 주변 셀들의 1차원 및 2차원 데이터 변화 패턴에 따라 각 셀별로 표적 존재에 대한 확률 추론 능력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상기 2차원 거리-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각 거리 셀별로 이동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3 딥러닝 모델, 상기 3차원 거리-방위각-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각 거리-방위각 셀별로 이동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4 딥러닝 모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사전에 수집한 상기 2차원 거리-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와 상기 3차원 거리-방위각-도플러 스펙트럼 진폭 데이터의 셀별로 이동 표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레이블링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서버에서 생성되고, 주변 셀들의 2차원 및 3차원 데이터 변화 패턴에 따라 각 셀별로 표적 존재에 대한 확률 추론 능력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상기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현재 셀에 제로(zero) 도플러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5 딥러닝 모델, 상기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의 표적속도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사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현재 셀에 제로 도플러 표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률을 추론하는 제6 딥러닝 모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사전에 수집한 상기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 진폭 데이터와 상기 3차원 스캔-거리-방위각 셀의 표적속도 데이터의 중앙 셀에 제로 도플러 표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레이블링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익 학습서버에서 생성되고, 주변 셀들의 3차원 데이터 변화 패턴에 따라 현재 셀의 제로 도플러 표적 존재에 대한 확률 추론 능력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각각의 상기 학습 데이터의 차원수에 따라 결정되는 1차원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차원 CNN, 또는 3차원 CNN에 의해 상기 학습서버에서 사전에 학습되고, 상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은 상기 추론서버에 사전에 탑재되어, 상기 특정 표적을 탐지하는데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 학습서버에서, 사전에 수집된 특정 표적, 클러터 혹은 노이즈에 의한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 데이터를 레이블링하여 얻어진 학습 데이터의 변화 특성을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학습 단계; 및
추론서버에서,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를 샘플링하여 표적 탐지를 위한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생성한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표적을 탐지하는 표적 탐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 탐지 단계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추론 목적에 따라 해당하는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특정 표적 확률을 추론하는 추론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딥러닝 모델은, 사전에 수집된 특정 표적, 클러터 혹은 노이즈에 의한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 데이터를 거리(range), 방위각(azimuth angle) 또는 고도각(elevation angle) 증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 영역인 셀(cell)별로 특정 표적 여부를 레이블링하여 얻어진 학습 데이터의 변화 특성을 상기 학습서버를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펄스 레이다 수신신호를 사전에 설정한 주기에 따라 샘플링하여 각 거리(range), 방위각(azimuth angle) 또는 고도각(elevation angl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복수의 셀(cell)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회 탐색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각각의 상기 학습 데이터의 차원수에 따라 결정되는 1차원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차원 CNN, 또는 3차원 CNN에 의해 상기 학습서버에서 사전에 학습되고, 상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은 상기 추론서버에 사전에 탑재되어, 상기 특정 표적을 탐지하는데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2193A KR102275960B1 (ko) | 2020-11-27 | 2020-11-27 |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2193A KR102275960B1 (ko) | 2020-11-27 | 2020-11-27 |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5960B1 true KR102275960B1 (ko) | 2021-07-12 |
Family
ID=7685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2193A Active KR102275960B1 (ko) | 2020-11-27 | 2020-11-27 |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5960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34065A (zh) * | 2021-07-20 | 2021-10-22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雷达目标微动特征提取与智能分类方法及系统 |
KR102369967B1 (ko) * | 2021-08-05 | 2022-03-04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학습 방법 및 표적 탐지 장치 |
CN115499092A (zh) * | 2022-07-28 | 2022-12-20 | 南阳理工学院 | 天文射电暂现信号搜寻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
KR20230092460A (ko) * | 2021-12-17 | 2023-06-26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클러터 신호 제거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KR102552817B1 (ko) * | 2022-05-19 | 2023-07-10 |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조류접근 제어시스템 |
CN117310641A (zh) * | 2022-09-27 | 2023-12-29 | 北京航空航天大学 | 结合相位处理机制与lstm网络模型的海杂波抑制方法 |
KR20240086345A (ko) * | 2022-12-09 | 2024-06-1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클러터 맵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이동 휴먼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
CN119919820A (zh) * | 2025-04-01 | 2025-05-02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基于方位角几何约束分类器hrrp目标识别方法及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372B1 (ko) * | 2018-01-29 | 2020-02-06 |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 길쌈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레이더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2116824B1 (ko) * | 2017-11-10 | 2020-06-01 | (주)셀리지온 | 딥러닝 기반 측위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
KR20200114467A (ko) * | 2019-03-28 | 2020-10-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레이다 표적 검출 연산량 감소 방법 및 장치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2193A patent/KR10227596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6824B1 (ko) * | 2017-11-10 | 2020-06-01 | (주)셀리지온 | 딥러닝 기반 측위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
KR102074372B1 (ko) * | 2018-01-29 | 2020-02-06 |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 길쌈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레이더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KR20200114467A (ko) * | 2019-03-28 | 2020-10-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레이다 표적 검출 연산량 감소 방법 및 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34065A (zh) * | 2021-07-20 | 2021-10-22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雷达目标微动特征提取与智能分类方法及系统 |
CN113534065B (zh) * | 2021-07-20 | 2024-02-02 |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 | 一种雷达目标微动特征提取与智能分类方法及系统 |
KR102369967B1 (ko) * | 2021-08-05 | 2022-03-04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학습 방법 및 표적 탐지 장치 |
KR20230092460A (ko) * | 2021-12-17 | 2023-06-26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클러터 신호 제거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KR102721783B1 (ko) | 2021-12-17 | 2024-10-2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클러터 신호 제거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KR102552817B1 (ko) * | 2022-05-19 | 2023-07-10 |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조류접근 제어시스템 |
CN115499092A (zh) * | 2022-07-28 | 2022-12-20 | 南阳理工学院 | 天文射电暂现信号搜寻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
CN115499092B (zh) * | 2022-07-28 | 2023-10-13 | 南阳理工学院 | 天文射电暂现信号搜寻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
CN117310641A (zh) * | 2022-09-27 | 2023-12-29 | 北京航空航天大学 | 结合相位处理机制与lstm网络模型的海杂波抑制方法 |
KR20240086345A (ko) * | 2022-12-09 | 2024-06-1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클러터 맵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이동 휴먼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
KR102803972B1 (ko) | 2022-12-09 | 2025-05-07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클러터 맵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이동 휴먼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
CN119919820A (zh) * | 2025-04-01 | 2025-05-02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基于方位角几何约束分类器hrrp目标识别方法及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5960B1 (ko) | 딥러닝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8314732B2 (en) | Adaptive radar | |
CN106646446A (zh) | 脉冲压缩捷变频雷达的动目标检测方法 | |
Ng et al. | Range-Doppler detection in automotive radar with deep learning | |
Wang et al. | Multi-scene deception jamming on SAR imaging with FDA antenna | |
CN115061113B (zh) | 用于雷达的目标检测模型训练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09765529A (zh) | 一种基于数字波束形成的毫米波雷达抗干扰方法及系统 | |
CN119179055A (zh) | 基于调频连续波雷达的无人机检测方法 | |
Sim et al. | Road environment recognition for automotive FMCW radar systems throug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
CN112684425B (zh) | 一种恒虚警检测后的目标二次甄别方法 | |
Vicen-Bueno et al. | Coherent detection of Swerling 0 targets in sea-ice Weibull-distributed clutter using neural networks | |
Liu et al. | Through-wall tracking using mean-shift algorithm | |
EP4130782A2 (en) | Scene-adaptive radar | |
CN114325599B (zh) | 一种针对不同环境的自动门限检测方法 | |
JP7551476B2 (ja) | 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信号処理方法 | |
Wang et al. | Multipath ghosts mitigation for radar-based positioning systems | |
KR20230092460A (ko) | 클러터 신호 제거 기반의 레이다 표적 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Feng et al. | Airborne pulse-Doppler radar moving target detection based on generalized image feature and deep learning | |
Ji et al. | Robust Radar Work Mode Recognition in Non-Ideal Situations with GRU-TCN Model | |
SUZUKI et al. | Performance and inference time tradeoff for RNN model based wideband inter-radar interference mitigation | |
Wu et al. | Deep learning-based uav detection in the low altitude clutter background | |
Aldossary | De-interleaving of Radar Pulses for EW Receivers with an ELINT Application | |
CN113433512A (zh) | 一种对lfm脉冲压缩雷达的密集假目标压制干扰方法 | |
Zhang et al. | Chaff jamming recognition based on pulse Doppler radar | |
Zhao et al. | Research on Repeater Jamming Detection Method in SAR Image Dom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