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5214B1 -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214B1
KR102275214B1 KR1020187026672A KR20187026672A KR102275214B1 KR 102275214 B1 KR102275214 B1 KR 102275214B1 KR 1020187026672 A KR1020187026672 A KR 1020187026672A KR 20187026672 A KR20187026672 A KR 20187026672A KR 102275214 B1 KR102275214 B1 KR 102275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block copolymer
packaging container
liquid packaging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871A (ko
Inventor
유스케 노지마
하지메 다카기
신야 오시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8012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2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Bag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파대 강도도 우수한 액체 포장 용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 및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을 제공하고, 그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및 액체 배출 부재, 그리고 그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물이며, 또한,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 -35 ℃ 이며,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1.0 MPa 이상인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의 액체 포장 용기, 예를 들어 수액 백으로서는, 유리제인 것이나 플라스틱제인 것 등이 이용되고 있다. 수액 백에 주입된 약액은, 밀봉된 후, 일반적으로는 수증기 멸균이나 오토클레이브 멸균 등의 방법에 의해 멸균된다. 유리제인 것은 플라스틱제인 것에 비해 무겁고, 또한 수송 시의 충격이나 낙하 등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제의 수액 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제의 수액 백으로서는,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인 것이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제인 것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수액 백은,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다량의 가소제를 함유시키기 때문에, 수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소제가 수액 중에 용출될 우려가 있어, 안전성의 면에서 지적되고 있다. 또, 의료 용구는 한 번 쓰고 버려지기 때문에,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수액 백도 사용 후에는 소각되지만, 연질 염화비닐 수지에서 기인하는 유독 가스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폴리올레핀제의 수액 백은,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면에서 바람직하지만, 폴리에틸렌제인 것은 유연성이 우수한 한편 멸균 처리 시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폴리프로필렌제인 것은 멸균 처리 시의 내열성은 우수한 한편 유연성이 낮음과 함께 내충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들은 취급성의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유연성, 시일성 및 내블로킹성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 98 질량%, 특정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 49 질량%, 및 특정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1 ∼ 49 질량% 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시일층 (내층) 으로서 사용한 의료용 다층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일률 5 질량% 이하로 조정하고 있지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이 정도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수액 백 등의 의료 용기의 중간층의 재료로 했을 경우, 충격이나 낙하 등에 의해 액체 포장 용기가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 및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층 (내층) 의 재료에서는, 내층 교착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이전, 본 발명자들은, 양호한 유연성, 투명성, 높은 히트 시일 강도, 저온 (예를 들어 -10 ℃ ∼ 10 ℃ 정도) 및 상온 (예를 들어 15 ℃ ∼ 30 ℃ 정도) 에 있어서의 높은 파대 강도, 그리고 낮은 내층 교착성을 갖는 액체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특정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 100 질량부, 특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5 ∼ 95 질량부, 및 특정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10 ∼ 95 질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액체 포장 용기의 중간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49861호 국제 공개 제2015/156334호
본 발명자들의 추가적인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액체 포장 용기는 확실히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지만, 유연성과 한랭지에서의 수송 시에 중요한 저온 내충격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유연성을 높이고자 하면 저온 내충격성이 불충분해지고, 저온 내충격성을 높이고자 하면 유연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액체 포장 용기에 장착하는 액체 배출 부재는, 액체 포장 용기에 고온에서 히트 시일함으로써 장착되지만, 히트 시일 온도가 높으면 액체 포장 용기가 박육화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고, 이것이 원인으로 파대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액체 포장 용기의 재료 개발과는 별도로, 히트 시일 온도를 저하시켜도 높은 히트 시일 강도를 갖는 액체 배출 부재의 재료 개발도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파대 강도도 우수한 액체 포장 용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 및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 그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및 액체 배출 부재, 그리고 그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특정의 유리 전이 온도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고,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소정치 이상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하기[1]∼[24]에 관한 것이다.
[1]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물이며, 또한,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 -35 ℃ 이며,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1.0 MPa 이상인 수지 조성물.
[2]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상기[1]의 수지 조성물.
2.5 ℃ ≤ |tp (a) - tp (ab)| ≤ 12 ℃ (1)
[tp (a)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단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tp (ab)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 70/30 (질량비) 으로 혼련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3]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에 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 [(a)/{(a) + (b)}](질량비) 가 50/100 ∼ 95/100 인, 상기[1]또는[2]의 수지 조성물.
[4]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연속상을 이루며,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도상 (島狀) 의 분산상을 이루고 있고, 그 분산상을 형성하는 도에 있어서, 그 장축 방향의 길이가 500 nm 이상인 도가 존재하는, 상기[1]∼ [3]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5]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1]∼[4]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6]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A) 의 함유량이 3 ∼ 35 질량% 인, 상기[1]∼[5]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7]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수소 첨가율이 80 몰% 이상인, 상기[1]∼[6]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8]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 500,000 인, 상기[1]∼[7]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9]상기 중합체 블록 (B) 가,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상기[1]∼[8]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10]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60 몰% 이상 함유하고, 또한, 230 ℃, 하중 21.6 N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 ∼ 70 g/10 분인, 상기[1]∼[9]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11]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상기[1]∼[10]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12]영률이 650 MPa 이하인, 상기[1]∼[11]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
[13]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
[14]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15]상기[14]의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16]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이, 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7]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이, 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8]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가 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9]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외층이 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20]상기 수지 조성물 (Y)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상기[16]또는[17]의 액체 포장 용기.
[21]상기 각 층의 두께가, 내층 5 ∼ 50 ㎛, 중간층 100 ∼ 300 ㎛, 외층 10 ∼ 120 ㎛ 의 범위인, 상기[17]또는[19]의 액체 포장 용기.
[22]상기[1]∼[12]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배출 부재.
[23]상기[20]의 액체 배출 부재를 구비한, 상기[15]∼[21]중 어느 한 항의 액체 포장 용기.
[24]상기[15]∼[21]및[23]중 어느 한 항의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파대 강도 (특히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 도 우수한 액체 포장 용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 및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그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및 액체 배출 부재, 그리고 그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SPM) 에 의해 관찰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의 상구조의 화상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폴로지의 평가 A 에 상당한다.
도 2 는,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SPM) 에 의해 관찰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의 상구조의 화상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폴로지의 평가 B 에 상당한다.
도 3 은,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SPM) 에 의해 관찰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의 상구조의 화상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폴로지의 평가 C 에 상당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하는 규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다고 하는 규정끼리의 조합은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다고 하는 선택지 중에서 임의의 수의 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물이며, 또한,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 -35 ℃ 이며,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1.0 MPa 이상의 수지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하, 프로필렌 단위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0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 99 몰% 이다. 프로필렌 이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1-부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1-노넨, 1-데센 등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외, 후술하는 변성제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등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로서는, 예를 들어,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변성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변성제를 그래프트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주사슬에 변성제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변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말레산, 시트라콘산, 할로겐화말레산, 이타콘산, 시스-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엔도-시스-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이미드 ;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할로겐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스-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 엔도-시스-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 아미드 또는 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로서는,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염가, 또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230 ℃, 21.6 N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는, 0.1 ∼ 7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3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0.1 ∼ 3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10 g/10 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1 ∼ 7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6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30 g/10 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멜트 플로우 레이트」 는, JIS K 7210 (1999 년) 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융점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2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170 ℃ 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융점」 은, 시차주사 열량계 (DSC) 「TGA/DSC1 Star System」 (Mettler Toledo 사 제조) 을 사용하여, 30 ℃ 에서 250 ℃ 까지 승온 속도 10 ℃/분으로 가열하여 융해시킨 샘플을, 250 ℃ 에서 30 ℃ 까지 강온 속도 10 ℃/분으로 냉각 후, 승온 속도 10 ℃/분으로 재차 30 ℃ 에서 250 ℃ 까지 승온했을 때에 측정되는 흡열 피크의 피크 탑 온도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소프렌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소프렌/부타디엔 단위) 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50 ∼ -35 ℃ 이다.
이하, 중합체 블록 (A) 및 중합체 블록 (B) 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중합체 블록 (A))
중합체 블록 (A) 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주체로 한다」 란, 중합체 블록 (A)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 중합체 블록 (A) 중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X) 의 투명성 및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중합체 블록 (A)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 여도 된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2,6-디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α-메틸-o-메틸스티렌, α-메틸-m-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β-메틸-o-메틸스티렌, β-메틸-m-메틸스티렌, β-메틸-p-메틸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α-메틸-2,6-디메틸스티렌, α-메틸-2,4-디메틸스티렌, β-메틸-2,6-디메틸스티렌, β-메틸-2,4-디메틸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o-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m-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p-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o-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m-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p-클로로스티렌, 2,4,6-트리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2,6-디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2,4-디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2,6-디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2,4-디클로로스티렌, o-t-부틸스티렌, m-t-부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m-메톡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o-클로로메틸스티렌, m-클로로메틸스티렌, p-클로로메틸스티렌, o-브로모메틸스티렌, m-브로모메틸스티렌, p-브로모메틸스티렌, 실릴기로 치환된 스티렌 유도체, 인덴,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비용 및 물성 밸런스의 관점에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스티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의 효과의 저해가 되지 않는 한, 중합체 블록 (A) 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이외의 다른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다른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이소부틸렌,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비닐안트라센, 메타크릴산메틸, 메틸비닐에테르, N-비닐카르바졸, β-피넨, 8,9-p-멘텐, 디펜텐, 메틸렌노르보르넨, 2-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블록 (A) 가 그 다른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랜덤, 테이퍼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중합체 블록 (A)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이외의 다른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그 함유량은, 중합체 블록 (A)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하게는 2,500 ∼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 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 30,000 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중량 평균 분자량」 은 모두,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측정에 의해 구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또, 중합체 블록 (A) 의 함유량은, 고무 탄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3 ∼ 3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3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25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 2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 ∼ 15 질량%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A) 의 함유량은, 1H-NMR 스펙트럼에 의해 구한 값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중합체 블록 (B))
중합체 블록 (B) 는,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소프렌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소프렌/부타디엔 단위) 를 주체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주체로 한다」 란, 중합체 블록 (B)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 중합체 블록 (B) 중의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중합체 블록 (B)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 여도 된다.
중합체 블록 (B) 로서는,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B) 가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경우, 그들의 혼합 비율[이소프렌/부타디엔](질량비) 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5/95 ∼ 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 9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 70/30, 특히 바람직하게는 45/55 ∼ 65/35 이다. 또, 그들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랜덤, 테이퍼, 완전 교호, 일부 블록상, 블록, 또는 그들의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합체 블록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 4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 3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75,000 ∼ 24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85,000 ∼ 220,000 이다.
중합체 블록 (B) 에 있어서는, 비닐 결합 구조 단위 (예를 들어, 부타디엔 단량체의 경우에는 1,2-결합 구조 단위이며, 이소프렌 단량체의 경우에는 1,2-결합 구조 단위와 3,4-결합 구조 단위의 합계) 의 함유량 (이하, 비닐 결합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은, 바람직하게는 40 ∼ 8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몰% 이다. 특히, 중합체 블록 (B) 가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40 ∼ 8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 58 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47 ∼ 57 몰% 이며, 중합체 블록 (B) 가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40 ∼ 8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8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78 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72 ∼ 78 몰% 이다. 중합체 블록 (B) 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 6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50 몰% 이다.
또한, 내열성 및 내후성의 관점에서, 중합체 블록 (B) 가 갖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80 몰% 이상이 수소 첨가 (이하, 수첨으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85 몰%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몰%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3 몰%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그 값을 수소 첨가율 (수첨률)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수소 첨가율의 상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한치는 99 몰% 여도 되고, 98 몰% 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수소 첨가율은, 중합체 블록 (B) 중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 중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함유량을, 수소 첨가 후의 1H-NMR 측정에 의해 구한 값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또한, 중합체 블록 (B) 는, 본 발명의 효과의 저해가 되지 않는 한,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 이외의 다른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다른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등의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 이외의 공액 디엔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리고 메타크릴산메틸, 메틸비닐에테르, N-비닐카르바졸, β-피넨, 8,9-p-멘텐, 디펜텐, 메틸렌노르보르넨, 2-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중합체 블록 (B) 가 다른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그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랜덤, 테이퍼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중합체 블록 (B) 가 다른 중합성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그 함유량은, 중합체 블록 (B) 의 합계 질량에 기초하여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A) 와 중합체 블록 (B) 의 결합 양식)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중합체 블록 (A) 와 중합체 블록 (B) 가 결합하고 있는 한은, 그 결합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사슬형, 분기형, 방사형, 또는 이들의 2 개 이상이 조합된 결합 양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중합체 블록 (A) 와 중합체 블록 (B) 의 결합 형식은 직사슬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예로서는 중합체 블록 (A) 를 A 로, 또 중합체 블록 (B) 를 B 로 나타냈을 때에, A-B-A 로 나타내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A-B-A-B 로 나타내는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A-B-A-B-A 로 나타내는 펜타블록 공중합체, (A-B)nX 형 공중합체 (X 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내고, n 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블록 공중합체 (A-B-A) 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용이성 및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동종의 중합체 블록이 2 관능의 커플링제 등을 개재하여 직선상으로 결합하고 있는 경우, 결합하고 있는 중합체 블록 전체는 하나의 중합체 블록으로서 취급된다. 이것에 따라, 상기 예시도 포함하여 본래, 엄밀하게는 Y-X-Y (X 는 커플링 잔기를 나타낸다) 로 표기되어야 할 중합체 블록은, 특히 단독의 중합체 블록 Y 와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체로서 Y 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커플링제 잔기를 포함하는 이 종류의 중합체 블록을 상기와 같이 취급하므로, 예를 들어, 커플링제 잔기를 포함하여, 엄밀하게는 A-B-X-B-A (X 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낸다) 로 표기되어야 할 블록 공중합체는 A-B-A 로 표기되고,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일례로서 취급된다.
또,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합체 블록 (A) 및 중합체 블록 (B) 이외의, 다른 중합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C) 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중합체 블록 (C) 를 C 로 나타냈을 때,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로서는, A-B-C 형 트리블록 공중합체, A-B-C-A 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A-B-A-C 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 중합체 블록 (A) 와 중합체 블록 (B) 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0 질량% 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0 ∼ 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0 ∼ 4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00 ∼ 3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000 ∼ 25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000 ∼ 200,000 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양호해지고, 한편, 500,000 이하이면,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양호해진다.
또,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분자량 분포 (Mw/Mn) 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기계 강도의 관점에서, 1.0 ∼ 1.4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2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분자량 분포 (Mw/Mn) 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으로서 구한 Mw 및 Mn 에서 산출한 값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분자 사슬 중 및/또는 분자 말단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산무수물기, 아미노기, 에폭시 기 등의 관능기를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동성은, 수지 조성물 (X) 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30 ℃, 21.6 N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가 0.1 ∼ 10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9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압출 성형할 때의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0.1 ∼ 8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0 g/10 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사출 성형체의 저온 히트 시일 강도의 관점에서는, MFR 은 20 ∼ 10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10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100 g/10 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로서는,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높은 파대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50 ∼ -35 ℃ 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의 친화성이 적절한 것이 되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후술하는 모폴로지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또,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50 ℃ ∼ -35 ℃ 에서 유리 전이 온도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저온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정 온도역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E') 이 저하되고, 내부 손실 (Tanδ) 이 높아지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로써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저온에서의 파대 강도가 보다 한층 개선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갖는 중합체 블록 (B) 에서 유래하는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관점에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Tg 는, 바람직하게는 -48 ∼ -35 ℃,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37 ℃ 이다.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높은 파대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의 Tg 를 갖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사용하면서,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1.0 MPa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그 인장 전단 접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3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Pa 이상이다. 그 인장 전단 접착 강도의 상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4.0 MPa 여도 되고, 3.0 MPa 여도 되고, 2.5 MPa 여도 된다.
또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는,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한 것이다.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방법)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또는 고상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니온 중합이나 카티온 중합 등의 이온 중합법, 라디칼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니온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아니온 중합법에서는, 용매, 아니온 중합 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루이스 염기의 존재하, 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액 디엔 화합물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얻고, 이어서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함으로써,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되는 유기 리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리튬, 에틸리튬, 펜틸리튬,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tert-부틸리튬 등의 모노리튬 화합물 및 테트라에틸렌디리튬 등의 디리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아니온 중합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n-헥산, n-펜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또, 중합 반응은, 통상적으로, 0 ∼ 100 ℃ 에서 0.5 ∼ 50 시간 실시한다.
루이스 염기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구조를 제어하는 역할이 있다. 이러한 루이스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피리딘,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루이스 염기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중합을 실시한 후, 알코올류, 카르복실산류, 물 등의 활성 수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 첨가하여, 수소 첨가물로 할 수 있다.
수소 첨가 반응은,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 온도 20 ∼ 100 ℃, 수소 압력 0.1 ∼ 10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수소 첨가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라니니켈 ; 백금 (Pt), 팔라듐 (Pd), 루테늄 (Ru), 로듐 (Rh), 니켈 (Ni) 등의 금속을 카본, 알루미나, 규조토 등의 담체에 담지시킨 불균일 촉매 ; 니켈, 코발트 등의 제 8 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금속 화합물과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등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또는 유기 리튬 화합물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지글러계의 촉매 ;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천이 금속의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 화합물과 리튬, 나트륨, 칼륨, 알루미늄, 아연 또는 마그네슘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메탈로센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중합 반응액을 메탄올 등에 따름으로써 응고시킨 후, 가열 또는 감압 건조시키거나, 중합 반응액을 비등수 중에 부어, 용매를 공비시켜 제거하는 이른바 스팀 스트립핑을 실시한 후, 가열 또는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에 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a)/{(a) + (b)}](질량비) 는, 바람직하게는 50/100 ∼ 95/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100 ∼ 9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0 ∼ 90/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100 ∼ 85/100 이다. 그 함유 비율이 50/100 이상이면, 성형성이 양호해지기 쉽고, 한편, 95/100 이하이면, 유연성 및 투명성이 양호해지기 쉽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및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착색제, 결정핵제 등의 첨가제 ; 수소 첨가 쿠마론·인덴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지환족계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등의 수소 첨가계 수지 ; 올레핀 및 디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지방족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 ;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소 첨가 스티렌-이소프렌 랜덤 공중합체,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등의 다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파대 성능 (상온 및 저온) 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추가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단, 그 (c) 성분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포함되지 않는다.) 를 함유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로서는, 에틸렌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 (이하, 에틸렌 함유량으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50 ∼ 95 몰% 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헵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노넨 공중합체, 에틸렌-1-데센 공중합체 등이나, 이들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변성물로서는, 이들 공중합체에 변성제를 그래프트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나, 이들 공중합체의 주사슬에 변성제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변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말레산, 시트라콘산, 할로겐화말레산, 이타콘산, 시스-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엔도-시스-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이미드 ;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할로겐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스-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 엔도-시스-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 아미드 또는 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로서는,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Tg 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 이상 -52 ℃ 이하 또는 -35 ℃ 를 초과하고 -10 ℃ 이하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대해서는, 유리 전이 온도 이외는,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설명과 동일하게 설명된다.
수지 조성물이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경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서로 상용하지 않는 조합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상용하지 않는」 이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가 바람직하게는 6 ℃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양자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서로 상용하지 않는 조합임으로써,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는 수지 조성물 중에서 각각 단독 분산되는 경향이 강해져, 원하는 효과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 중,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및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또한, 수지 조성물이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경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 9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8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70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부이다.
또, 수지 조성물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으로서는,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3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효과를 얻기 쉬워지고, 동일한 관점에서, 3 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5 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수지 조성물의 특성)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파대 강도 (상온이면 15 ∼ 30 ℃, 저온이면 -10 ∼ 10 ℃ 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 도 우수한 액체 포장 용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요인으로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모폴로지를 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모폴로지 (미세 구조) 를 관찰하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친화성이 적절한 범위이기 때문에, 도 1 과 같이 너무 섞이지 않고, 또 너무 분리되어 있지 않는 상분리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연속상을 이루고,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도상의 분산상을 이루고 있고, 그 분산상을 형성하는 도에 있어서, 그 장축 방향의 길이가 500 nm 이상인 도가 존재하는 모폴로지 (미세 구조) 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장축 방향의 길이가 500 nm 이상인 도상으로서 존재함으로써,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도상을 기점으로 하는 보이드가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해상으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상에 균열이 생겼다고 해도, 그 균열의 진행이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도상에 의해 제지되기 때문에, 저온 및 상온에서의 파대 강도가 보다 한층 우수하다고 추측된다. 이 관점에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도상이, MD 방향 (흐름 방향) 으로 큰 끊어짐이 없이 선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모폴로지를 갖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적절한 분산 직경 (장축 방향의 직경) 은, 요구 물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500 nm ∼ 10 ㎛ 가 바람직하고, 500 nm ∼ 8 ㎛ 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 nm ∼ 6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를 함유하는 경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마찬가지로, 모폴로지 중에서 도상의 분산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축 방향의 길이가 500 nm 이상인 도상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높은 파대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 ≤ |tp (a) - tp (ab)| ≤ 12 ℃ (1)
[tp (a)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단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tp (ab)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 70/30 (질량비) 으로 혼련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여기서, |tp (a) - tp (ab)| 는, tp (a) 와 tp (ab) 의 차의 절대치를 나타낸다.
식 (1) 중의 |tp (a) - tp (ab)| 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다. 또, 식 (1) 중의 |tp (a) - tp (ab)| 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다. 단, 수지 조성물이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2 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 종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식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너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적당하게 섞여 있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내부 손실 (Tanδ) 의 피크 온도가, 보다 저온에 위치하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Tanδ 의 피크 온도측으로 시프트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적당하게」 섞여 있는 경우에 강해진다. 상기 식 (1) 은, 그 경향을 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 식으로부터 얻어지는 값을, Tanδ 피크 탑 시프트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영률은,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50 MPa 이하이다.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에 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a)/{(a) + (b)}](질량비) 가 50/100 이상 및 75/100 이하인 경우는, 유연성의 관점에서, 영률은 470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M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80 MPa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50 MPa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330 MPa 이하여도 된다.
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에 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a)/{(a) + (b)}](질량비) 가 75/100 을 초과하고 90/100 이하인 경우는, 유연성의 관점에서, 영률은 650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 M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영률의 하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 어느 설명에 있어서도, 100 MPa 여도 되고, 150 MPa 여도 된다.
또한, 영률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히트 시일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히트 시일 강도, 특히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도 제공한다.
히트 시일제로서 사용할 때에는, 예를 들어, 필름 등의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나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압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얻어진 필름이면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한층 우수하고, 압축 성형에 의해 얻어진 필름이면 보다 한층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다. 필름으로 하는 경우, 그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400 ㎛ 이다.
히트 시일제를 사용하여 히트 시일할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40 ∼ 180 ℃ 이며, 140 ∼ 170 ℃, 나아가서는 140 ∼ 160 ℃ 라는 저온에서도 히트 시일이 가능하다.
히트 시일의 대상물로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이다. 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히트 시일 강도, 특히 저온 히트 시일 강도의 관점에서,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상기 수지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 전인지 성형 후인지에 상관 없이,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히트 시일제라고 칭한다.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및 액체 포장 용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필름 또는 시트 등의 성형체로 할 수 있고, 그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액체 포장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과, 그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도 제공한다. 여기서, 필름과 시트는 두께의 차이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있지만, 그 경계는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자를 포함하는 의미로, 간단히 「필름」 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고, 「시트」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다층인 경우에는, 적어도 1 층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의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400 ㎛ 이다.
그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는, 유연성, 투명성, 히트 시일 강도 (특히 저온 히트 시일 강도) 및 파대 강도를 겸비한다. 액체 포장 용기는, 일부가 구획된 복실 포장 용기여도 된다. 또, 이 구획은,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구획되어 있는 복실이 1 개가 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포장 용기의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I〕 ∼ 〔IV〕의 액체 포장 용기를 들 수 있다.
〔I〕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로서,
내층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이하, 수지 조성물 (X) 로 칭한다.] 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II〕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III〕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IV〕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외층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이들의 액체 포장 용기는,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층을 가짐으로써, 유연성, 투명성, 히트 시일 강도 (특히 저온 히트 시일 강도) 및 파대 강도를 겸비하고 있다.
이하,〔I〕∼〔IV〕의 액체 포장 용기의 각 층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내층 및 중간층)
내층은, 액체 포장 용기에 액체를 넣었을 때에 액체와 접하게 되는 층이다. 중간층은, 그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이며, 중간층을 가지고 있어도 가지지 않아도 되지만, 보다 높은 파대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I〕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그 내층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II〕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진다. 상기〔III〕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내층은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그 밖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IV〕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내층 및 중간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수지 조성물 (X)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IV〕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일 양태이며, 내층 및 중간층 모두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일 양태이다.
또한, 상기 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의 융점 MPin 과,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의 융점 MPmid 는, 하기 식
MPin < MPmid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상기〔I〕및〔II〕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 외층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진다.
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설명과 동일하게 설명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0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10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은 130 ∼ 1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이 130 ℃ 이상임으로써, 히트 시일 시의 필름의 얇아짐이 억제된다. 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이 180 ℃ 이하임으로써, 필름 성형성이 양호해진다. 동일한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점은 140 ∼ 17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17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호모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수지 조성물 (Y) 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을 갖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들 수 있다.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수지 조성물 (Y)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9 질량%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9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 99 질량% 함유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55 질량% 이상이면, 역학 강도 및 성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수지 조성물 (Y) 가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경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으로서는, 45 질량%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미만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초과 40 질량% 미만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초과 30 질량% 미만 함유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초과 15 질량% 미만 함유한다.
수지 조성물 (Y) 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투명성, 유연성 및 내열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Y) 는,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착색제, 결정핵제 등의 첨가제 ; 수소 첨가 크로만·인덴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지환족계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등의 수소 첨가 계 수지 ; 올레핀 및 디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지방족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 ;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수소 첨가 스티렌-이소프렌 랜덤 공중합체,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등의 다른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 (Y) 중, 그 밖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상기〔III〕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내층과 외층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IV〕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외층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진다. 특히 외층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의 하나인 상온 및 저온에서의 파대 강도가 보다 한층 우수한 액체 포장 용기가 얻어진다.
상기〔I〕∼〔IV〕의 액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들의 각 층의 구별은, 수지 조성물 (X) 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및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종류나 배합량 등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상기〔I〕∼〔IV〕의 액체 포장 용기는, 상기 구성을 만족시키는 한에 있어서, 그 밖의 층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 (X) 및 상기 수지 조성물 (Y)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II〕∼〔IV〕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 내층이나 중간층에, 수지 조성물 (Y)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I〕∼〔IV〕의 액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이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들의 각 층의 구별은, 수지 조성물 (Y) 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종류나 배합량 등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
(내층, 중간층 및 외층 각각의 두께)
상기〔I〕∼〔IV〕의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층, 중간층 및 외층의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내층의 두께는 5 ∼ 50 ㎛ 가 바람직하고, 10 ∼ 3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두께는 100 ∼ 300 ㎛ 가 바람직하고, 100 ∼ 2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 18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의 두께는 10 ∼ 120 ㎛ 가 바람직하고, 15 ∼ 8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 7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 중간층, 외층의 층간이나, 외층의 표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추가로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서는, 접착층, 보호층, 코팅층, 광 반사층, 광 흡수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포장 용기로서는, 상기 내층과 상기 중간층이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간층과 상기 외층이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러한 내층, 중간층 및 외층의 3 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상기 액체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히트 시일을 실시한 후, 떼어냄 (잘라냄) 으로써 액체 포장 용기로 하고, 의료 용도의 경우에는 추가로 멸균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층의 재료를 사용하면 필름 성형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피쉬아이 및 이물질 등이 없는 필름 (적층체) 을 형성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먼저, 각 층의 재료를,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롤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혼련해서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한다. 얻어진 각 수지 조성물을, 다층 T 다이를 사용한 공압출 성형이나, 다층 원형 T 다이를 사용한 공냉 또는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 등에 의해, 필름상 또는 튜브상 등으로 성형한다. 성형 시의 수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220 ℃ 이다. 공냉 또는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 시의 냉각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 ∼ 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 ℃ 이다. 또, 액체 포장 용기의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튜브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상의 성형체이면, 히트 시일한 후, 떼어냄 (잘라냄) 으로써, 액체 포장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필름상의 성형체의 경우에는, 2 매를 중첩하고 나서 히트 시일할 필요가 있다.
의료 용도의 경우에는 추가로 멸균 처리로서, 수증기 멸균, 오토클레이브 멸균 등이 이루어진다. 오토클레이브 멸균의 경우에는,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40 ℃ 이다.
또한, 포트, 및 고무 마개 등의 캡을 포함하는 액체 배출 부재를 가짐으로써, 액체 포장 용기의 배출구를 갖는 액체 포장 용기가 되어, 수액 백 등의 의료 용기로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도 제공한다. 그 의료 용기는, 일부가 구획된 복실 용기여도 된다. 또, 이 구획은,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구획되어 있는 복실이 1 개가 되는 것이어도 된다.
(액체 배출 부재의 재료)
포트는 액체 배출 부재의 일부이다. 포트 또는 액체 배출 부재는,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과의 히트 시일 강도 (저온 히트 시일 강도) 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상기 수지 조성물 (X)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 폴리이소프렌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EPDM 등의 α-올레핀계 엘라스토머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 후술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서는, 공지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것도 동일하다. 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는,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개질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SEPS),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스티렌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SEEPS)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총량에 대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 8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7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70 질량% 이다.
포트 또는 액체 배출 부재는, 추가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액체 배출 부재를 갖는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 액체 배출 부재의 재료는, 액체 포장 용기의 재료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i) 액체 포장 용기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액체 배출 부재가 수지 조성물 (X) 이외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ii) 액체 포장 용기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액체 배출 부재가 수지 조성물 (X)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iii) 액체 포장 용기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X) 이외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액체 배출 부재가 수지 조성물 (X)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액체 배출 부재의 제조 방법)
액체 배출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사출 성형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각 성분을 드라이 블렌드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나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70 ∼ 230 ℃, 금형 온도 10 ∼ 50 ℃, 사출 속도 10 ∼ 50 mm/초, 사출 압력 70 ∼ 130 MPa 라는 조건에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배출 부재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액체의 흐르기 쉬움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는 공동부가 원기둥상, 요컨대 액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체 배출 부재를 구비한 액체 포장 용기도 제공한다. 액체 배출 부재는, 통상적으로, 액체 포장 용기에 히트 시일에 의해 장착되지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히트 시일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저온에서 히트 시일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온에서 히트 시일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필름의 박육화에서 기인하는 파대 강도의 저하의 우려가 작다.
(용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액체 포장 용기의 재료 외, 액체 포장 용기의 액체 배출 부재, 특히 포트의 재료로서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체 포장 용기는, 예를 들어, 전술한 의료 용기 외, 레토르트 식품, 마요네즈, 케찹, 청량 음료수, 아이스 등을 포장하는 식품 포장 용기 등의 여러 가지의 용도에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등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각 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했다.
[측정 또는 평가 방법]
<중량 평균 분자량 (Mw)>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으로서 구했다.
·장치 : GPC 장치 「HLC-8020」 (토소 주식회사 제조)
·분리 칼럼 : 토소 주식회사 제조의 「TSKgel GMHXL」, 「G4000HXL」 및 「G5000HXL」 을 직렬로 연결했다.
·용리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리제 유량 : 1.0 ㎖/분
·칼럼 온도 : 40 ℃
·검출 방법 : 시차 굴절률 (RI)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b') 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A), (A') 의 함유량, 그리고 중합체 블록 (B) 의 수소 첨가율>
1H-NMR 측정에 의해 구했다.
·장치 : 핵자기 공명 장치 「Lambda-500」 (닛폰 전자 주식회사 제조)
·용매 : 중수소화클로로포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b') 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B) 의 비닐 결합량 (1,2-결합 및 3,4-결합의 합계 함유량)>
수소 첨가 전의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측정을 측정하고, 1,2-결합 및 3,4-결합의 피크 면적과 1,4-결합의 피크 면적의 합계에 대한 1,2-결합 및 3,4-결합의 피크 면적의 비율을 산출하여, 비닐 결합량으로 했다.
<유리 전이 온도>
세이코 전자 공업사 제조, 시차 주사형 열량계 「DSC6200」 을 이용하여, 각 예에서 제조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b') 또는 수지 조성물을 정밀 칭량하고, 10 ℃/분의 승온 속도로 -120 ℃ 에서 100 ℃ 까지 승온하고, 측정 곡선의 변곡점의 온도를 판독하여, 유리 전이 온도 (Tg) 로 했다.
<Tanδ 피크 탑 시프트치 (℃) : |tp (a) - tp (ab)|>
각 제조예에서 얻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또는 (b') 30 질량부와, 각 예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70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그 필름을 MD 방향으로 5 mm × 20 mm 의 사이즈로 잘라, 시험편으로 했다. Tanδ 는, JIS K 7244 (1999 년) 에 기초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넷치·재팬사 제조, DMA 242E Artemis) 를 이용하여, 인장 모드, 승온 속도 3 ℃/분, PF (정적 하중/동적 하중) = 1.300, 목표 진폭 절대치 30 ㎛, 최대 동적 하중 2.182 N 의 응력-변형 혼합 제어 모드에서, -120 ℃ 에서 100 ℃ 까지의 저장 탄성률 (E') 과 손실 탄성률 (E'') 을 측정하고, 그것들로부터 Tanδ (E''/E') 를 산출하고, 피크가 최대치가 되는 값을 tp (ab) 로 했다. 승온 과정에 있어서 3 주파수 (1 Hz, 5 Hz, 10 Hz) 를 15 초/1 포인트로 이 순서로 측정하고, 10 Hz 의 측정 데이터를 사용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대신에, 각 예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만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Tanδ (E''/E') 를 산출하여, 피크가 최대치가 되는 값을 tp (a) 로 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평가했을 경우의 피크 탑 온도 tp (a) 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평가했을 경우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에서 유래하는 피크 탑 온도 tp (ab) 의 차 |tp (a) - tp (ab)| 를 구하고, 이것을 Tanδ 피크 탑 시프트치로 했다.
<수지 조성물의 모폴로지, 분산상을 형성하는 도의 사이즈>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프로브 스테이션 SPI4000/환경 제어형 유닛 E-sweep」 (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층단면의 모폴로지를 관찰했다. 관찰 시료는,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샘플을 동결한 상태로, 유리 나이프를 사용하여 울트라미크로톰으로 MD 방향을 따라 단면을 자름으로써 제작했다. 관찰은, 25 ℃, 상압화, 스캔 사이즈 5 × 5 ㎛ 및 2 × 2 ㎛ 의 범위에서, DFM 모드에서 위상 이미지를 취득하여 실시했다. 여기서, 도 1 ∼ 3 은,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을 이용하여,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의 내층 또는 중간층을, 필름 제조 시의 기계 방향 (MD) 을 따라 주사하여 얻어진 화상이다. 도 1 ∼ 3 에 있어서, 1 의 영역 (단단한 영역) 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에 상당하고, 2 의 영역 (부드러운 영역) 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상당한다.
(모폴로지)
5 × 5 ㎛ 의 범위의 스캔 사이즈 내의 도상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A : 도 1 에 나타내는 1a ∼ 1c 중 어느 하나의 모폴로지를 갖는다. 1a 는, 큰 끊어짐이 없고 MD 방향으로 늘어선 분산상을 갖는다. 1b 및 1c 는, 도상의 분산상과 함께, MD 방향으로 늘어선 분산상을 갖는다.
B : 도 2 에 나타내는 모폴로지를 갖는다. 대부분이 도상의 분산상으로 이루어진다.
C : 도 3 에 나타내는 모폴로지를 갖는다. MD 방향으로 신장된 타원상의 분산상을 갖는다.
(분산상을 형성하는 도의 사이즈)
2 × 2 ㎛ 의 범위의 스캔 사이즈 내의 도의 장축 방향의 길이를 자로 계측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A : 도의 사이즈가 500 nm 이상인 것이 존재한다.
B : 도의 사이즈가 500 nm 이상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산상은 양자를 포함하고 있고, 요컨대, 도의 사이즈는, 양자를 포함하는 분산상으로부터 구한 값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또는 (b') 의 사이의 인장 전단 접착 강도>
각 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 (두께 1 mm) 로 하고,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또는 (b') 를 접착층 (두께 0.5 mm) 으로 하고,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시험편의 양단에 2.6 mm 의 스페이서를 배치하고, 0.4 MPa, 30 초, 160 ℃ 의 조건에서 열융착시킨 후, 인장 속도 500 mm/분의 조건에서 인장 전단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또한,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을 2 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접착층으로 하고, 동일하게,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을 2 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접착층으로 했다. 한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병용하는 경우 (실시예) 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을 접착층으로 했다.
<저온 내충격성>
각 예에 있어서 제작한 단층 필름을 사용하여, 전술한 「Tanδ 피크 탑 시프트치」 에 기재된 필름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고, -25 ℃ 에 있어서의 E' 의 값과 Tanδ 의 피크 강도를 산출하여, 저온 내충격성의 지표로 했다.
E' 는 작은 쪽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E' 가 2,200 MPa 이하인 경우, -10 ∼ 10 ℃ 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2,000 MPa 이하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또, Tanδ 의 피크 강도는 큰 쪽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그 피크 강도가 0.040 이상인 경우, -10 ∼ 10 ℃ 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0.060 이상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영률>
각 예에 있어서 제작한 단층 필름 또는 3 층 필름을 사용하여, 25 mm × 75 mm 의 사이즈의 시험편 (두께 200 ㎛) 을 제작하고, 「인스트롱 3345」 (인스트롱사 제조) 를 사용하여, 상온 (23 ℃), 5 mm/분의 조건하에서 영률을 측정했다. 값이 작을수록 유연성이 우수하다.
<히트 시일 강도>
각 예에서 얻은 사출 시트 또는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여, 150 ℃ 또는 160 ℃, 게이지압 0.4 MPa, 및 2 초간의 조건하에서, 비교예 18 의 3 층 필름의 내층측과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시험편을 제작했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스트롱 3345」 (인스트롱사 제조) 로, 300 mm/분의 조건하에서, 180 °박리 시험을 실시했다.
<파대 강도 (상온)>
각 예에서 얻은 단층 필름 또는 3 층 필름을 15 cm × 9 cm 의 크기로 잘라, 그것을 2 매 사용하여 중첩하고 (단, 3 층 필름에 있어서는 내층끼리를 중첩), 4 변 중 3 변을, 140 ℃, 게이지압 0.4 MPa (단, 단층 필름의 경우에는 0.05 MPa), 및 가열 시간 1 초간 (단, 단층 필름의 경우에는 2 초간) 의 조건하에서 히트 시일을 실시한 후, 입구가 열려 있는 1 변으로부터 100 cc 의 물을 주입하고, 이어서 그 1 변을 상기 동일한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실시함으로써, 내용량 100 cc 의 액체 포장 용기를 제작했다.
얻어진 액체 포장 용기를 철판 상에 23 ℃ 의 환경하에서 정치 (靜置) 한 후, 상방으로부터 1 kg (9.8 N) 의 철판을 3 회 낙하시켰다. 3 cm 간격으로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여, 비파대의 상한 높이를 상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의 지표로 했다. 값이 클수록, 상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파대 강도 (저온)>
상기 파대 강도 (상온) 의 평가로 제작한 액체 포장 용기를 4 ℃ 의 환경하에서 철판 상에 정치한 후, 상방으로부터 1 kg (9.8 N) 의 철판을 3 회 낙하시켰다. 2 cm 간격으로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여, 비파대의 상한 높이를 파대 강도 (저온) 의 지표로 했다. 값이 클수록,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 중합체]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의 상세 또는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또, 표 1 ∼ 3 에 각 성분의 물성치를 정리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1) : 「윈텍 (등록상표) WFX4」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MFR 7 g/10 분 (230 ℃, 21.6 N), 융점 125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 「PT-100」 (LCY CHEMICAL 사 제조), 호모폴리프로필렌, MFR 1.6 g/10 분 (230 ℃, 21.6 N), 융점 164 ℃, 프로필렌 함유량 100 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3) : 「SB-520Y」 (LOTTE CHEMICAL 사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MFR 2.4 g/10 분 (230 ℃, 21.6 N), 융점 154 ℃, 프로필렌 함유량 97 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4) : 「SFC-750D」 (LOTTE CHEMICAL 사 제조),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MFR 5.8 g/10 분 (230 ℃, 21.6 N), 융점 130 ℃, 프로필렌 함유량 90 몰%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1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b')〕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15) 및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6) : 하기 제조예 1 ∼ 21 에서 얻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15) 및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6) 을 사용했다.
[제조예 1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질소 치환하여, 건조시킨 내압 용기에,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50 kg, 아니온 중합 개시제로서 sec-부틸리튬 (10.5 질량% 시클로헥산 용액) 76 g (sec-부틸리튬 8.0 g 상당) 을 주입하고, 루이스 염기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70 g 을 주입했다. 50 ℃ 로 승온한 후, 스티렌 (1) 0.5 kg 을 첨가하여 1 시간 중합시키고, 계속해서 40 ℃ 에서 이소프렌 8.2 kg 및 부타디엔 6.5 kg 의 혼합액 [이소프렌/부타디엔 (질량비) = 55/45] 을 첨가하여 2 시간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50 ℃ 로 승온한 후, 스티렌 (2) 1.5 kg 을 첨가하여 1 시간 중합함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부타디엔)-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이 반응액에, 수소 첨가 촉매로서 팔라듐카본 (팔라듐 담지량 : 5 질량%) 을 상기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5 질량% 첨가하고, 수소 압력 2 MPa, 150 ℃ 의 조건에서 10 시간 반응을 실시했다.
방랭, 방압 후, 여과에 의해 팔라듐 카본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하고, 또한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부타디엔)-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이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로 칭한다) 을 얻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에 대해, 물성 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2 ∼ 3 및 7 ∼ 11, 13, 15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제조예 1 에 있어서,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비율 (질량비) 및 스티렌 함유량을 표 2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2) ∼ (b-3) 및 (b-7) ∼ (b-11), (b-13), (b-15) 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2) ∼ (b-3) 및 (b-7) ∼ (b-11), (b-13), (b-15) 에 대해, 물성 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4, 5 및 12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제조예 1 에 있어서,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비율 (질량비) 및 스티렌 함유량, 루이스 염기를 표 2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고, 이소프렌/부타디엔의 중합 온도를 30 ℃ 로 한 것 이외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4), (b-5), (b-12) 를 제조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4), (b-5), (b-12) 에 대해, 물성 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6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질소 치환하여, 건조시킨 내압 용기에,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50 kg, 아니온 중합 개시제로서 sec-부틸리튬 (10.5 질량% 시클로헥산 용액) 110 g (sec-부틸리튬 11.6 g 상당) 을 주입하고, 루이스 염기로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20 g 을 주입했다. 50 ℃ 로 승온한 후, 스티렌 (1) 1.1 kg 을 첨가하여 1 시간 중합시키고, 계속해서 30 ℃ 에서 부타디엔 (1) 13.6 kg 을 첨가하여 2 시간 중합을 실시하고, 이어서 50 ℃ 에서 스티렌 (2) 1.1 kg 을 첨가하여 1 시간 중합하고, 다시 30 ℃ 에서 부타디엔 (2) 0.8 kg 을 첨가하여 2 시간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이 반응액에, 수소 첨가 촉매로서 팔라듐카본 (팔라듐 담지량 : 5 질량%) 을 상기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5 질량% 첨가하고, 수소 압력 2 MPa, 150 ℃ 의 조건에서 10 시간 반응을 실시했다.
방랭, 방압 후, 여과에 의해 팔라듐카본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하고, 또한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테트라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이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6) 으로 칭한다) 을 얻었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6) 에 대해, 물성 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14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제조예 1 에 있어서, 이소프렌 8.2 kg 및 부타디엔 6.5 kg 의 혼합액을 첨가하여 2 시간 중합을 실시한 후에 스티렌을 30 g 첨가하여 30 분 중합하고, 분자량 확인용으로 샘플링한 후, 커플링제인 벤조산메틸을 첨가하여 1 시간 커플링 반응을 실시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은 것, 및 각 시약의 사용량을 표 2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조작을 실시하여,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4) 를 제조했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4) 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16 ∼ 20, 22 및 23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제조예 1 에 있어서,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비율 (질량비) 및 스티렌 함유량을 표 2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5), (b'-7) 및 (b'-8) 을 제조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 ∼ (b'-5), (b'-7) 및 (b'-8) 에 대해, 물성 평가를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조예 21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제조예 1 에 있어서, 이소프렌 14.5 kg 을 첨가하여 2 시간 중합을 실시한 후에 스티렌을 30 g 첨가하여 30 분 중합하고, 분자량 확인용으로 샘플링한 후, 커플링제인 벤조산메틸을 첨가하여 1 시간 커플링 반응을 실시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은 것, 및 각 시약의 사용량을 표 2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조작을 실시하여,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6) 을 제조했다.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6) 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2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3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c-1) : 「타후마 (등록상표) P-0775」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MFR 0.6 g/10 분 (230 ℃, 21.6 N), 융점 43 ℃, 에틸렌 함유량 56 몰%
[실시예 1 ∼ 18, 비교예 1 ∼ 9 : 단층 필름의 제조]
표 4 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각 성분을 용융 단축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이어서, 수냉식 하향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00 ℃, 냉각수 온도 20 ℃, 라인 속도 10 m/분의 조건에서, 두께 200 ㎛ 의 단층의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을 성형했다. 얻어진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각 평가 및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4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높은 성형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표 4 로부터, 실시예의 필름은, 높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양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필름은, 상온 및 저온에서의 파대 강도가 우수하고, 특히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크게 개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높은 성형성을 가지고 있지만, 비교예의 필름은, 유연성과 저온 내충격성 중 적어도 일방이 불충분하고, 또한 파대 강도, 특히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 ∼ 32, 비교예 10 ∼ 15 : 사출 시트의 제조]
표 5 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전체 성분을 예비 혼합한 후,[COPERION 사 제조 「ZSK26MC」, 스크루 길이 (L)/스크루 직경 (D) = 56]에 공급하여 온도 20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상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각 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사출 성형기 「EC75SX」 (토시바 기계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실린더 온도 200 ℃ 에서 사출 성형하여, 세로 100 mm, 가로 35 mm, 두께 1 mm 의 시트를 제작했다. 얻어진 사출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각 평가 및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5
표 5 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진 사출 시트는, 저온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MFR 이 높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1) 을 사용한 실시예 29 의 사출 시트, 및 「ABA + AB」 타입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4) 를 사용한 실시예 32 의 사출 시트에서는, 저온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보다 한층 향상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포트로서도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에서 얻어진 사출 시트에서는, 저온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불충분해져 있다.
[실시예 33 ∼ 37, 비교예 16 ∼ 18 : 프레스 시트의 제조]
표 6 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배치식 믹서를 사용하여 230 ℃, 100 rpm 으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이어서, 두께 1 mm 의 금형을 사용하여 200 ℃ 에서 5 분간 프레스 성형한 후, 냉각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10 ℃ 에서 냉각시킴으로써 두께 1 mm 의 프레스 시트를 제작했다. 얻어진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각 평가 및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6
표 6 으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진 프레스 시트는, 저온 (150 ℃ 또는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MFR 이 높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11) 을 사용한 실시예 36 의 프레스 시트에서는, 저온 (150 ℃ 또는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보다 한층 향상되었다.
한편, 비교예에서 얻어진 프레스 시트에서는, 저온 (150 ℃ 또는 160 ℃) 히트 시일 강도가 불충분해져 있고, 특히, 150 ℃ 에 있어서의 히트 시일 강도가 대폭으로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8 ∼ 52, 비교예 19 ∼ 21 : 적층체 (3 층 필름) 의 제조]
하기 표 7 에 기재된 재료를 사용하여, 내층용의 재료, 중간층용의 재료, 및 외층용의 재료 각각에 대해, 하기 표 7 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수냉식 하향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00 ℃, 냉각수 온도 20 ℃, 라인 속도 10 m/분의 조건에서, 두께 200 ㎛ 의 3 층의 적층체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를 성형했다. 각 층의 두께는, 내층 20 ㎛, 중간층 130 ㎛, 외층 50 ㎛ 로 했다. 얻어진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각 평가 및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575437-pct00007
표 7 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진 3 층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고, 파대 강도, 특히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높다.
한편, 비교예 19 에서 얻어진 3 층 필름은, 상온 및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모두 낮다. 비교예 20 에서 얻어진 3 층 필름은,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낮다. 비교예 21 에서 얻어진 3 층 필름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또한, 상온 및 저온에 있어서의 파대 강도가 모두 낮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액체 포장 용기는, 여러 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의료 용기 외에, 레토르트 식품, 마요네즈, 케찹, 청량 음료수, 아이스 등을 포장하는 식품 포장 용기 등으로서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2 :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또는 (b')

Claims (24)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물이며, 또한, 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 -35 ℃ 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연속상을 이루며,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가 도상 (島狀) 의 분산상을 이루고 있고, 그 분산상을 형성하는 도에 있어서, 그 장축 방향의 길이가 500 nm 이상인 도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접착층으로 했을 때의 JIS K 6850 (1999 년) 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 전단 접착 강도가 1.0 MPa 이상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수지 조성물.
    2.5 ℃ ≤ |tp (a) - tp (ab)| ≤ 12 ℃ (1)
    [tp (a)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단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tp (ab)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 70/30 (질량비) 으로 혼련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유래의 Tanδ 피크 탑 온도 (℃)]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와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합계에 대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의 함유 비율 [(a)/{(a) + (b)}](질량비) 가 50/100 ∼ 95/100 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도상이, MD 방향 (흐름 방향) 으로 큰 끊어짐이 없이 선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모폴로지를 갖는,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추가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A) 의 함유량이 3 ∼ 35 질량% 인,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수소 첨가율이 80 몰% 이상인,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 500,000 인,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블록 (B) 가,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60 몰% 이상 함유하고, 또한, 230 ℃, 하중 21.6 N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 ∼ 70 g/10 분인,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 가,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펜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수지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영률이 650 MPa 이하인,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제.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15. 제 14 항에 기재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16. 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이,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7.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이,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60 몰%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Y) 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8. 내층과 외층을 갖는 2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내층 및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가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19.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외층이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Y) 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A') 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또는 이소프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며,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 ℃ 이상 -50 ℃ 미만 또는 -35 ℃ 를 초과하고 -5 ℃ 이하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액체 포장 용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의 두께가, 내층 5 ∼ 50 ㎛, 중간층 100 ∼ 300 ㎛, 외층 10 ∼ 120 ㎛ 의 범위인, 액체 포장 용기.
  22.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배출 부재.
  2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배출 부재를 구비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포장 용기.
  24. 제 15 항에 기재된 액체 포장 용기를 갖는 의료 용기.
KR1020187026672A 2016-03-16 2017-03-16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Active KR102275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3153 2016-03-16
JP2016053153 2016-03-16
PCT/JP2017/010715 WO2017159800A1 (ja) 2016-03-16 2017-03-16 樹脂組成物、ヒートシール剤、液体包装容器用フィルム、液体包装容器、液体排出部材および医療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871A KR20180124871A (ko) 2018-11-21
KR102275214B1 true KR102275214B1 (ko) 2021-07-08

Family

ID=5985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72A Active KR102275214B1 (ko) 2016-03-16 2017-03-16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22485B2 (ko)
EP (1) EP3431545A4 (ko)
JP (1) JP6885657B2 (ko)
KR (1) KR102275214B1 (ko)
CN (1) CN108713041B (ko)
CA (1) CA3017966C (ko)
TW (1) TWI752945B (ko)
WO (1) WO2017159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7745A1 (ja) * 2018-02-27 2019-09-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テトラ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ポリマー組成物、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ホットメルト粘接着剤組成物
US11492438B2 (en) 2018-05-31 2022-11-08 Kuraray Co., Ltd. Block copolymer hydrogenate, resin composi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thereof
WO2020116625A1 (ja) * 2018-12-07 2020-06-11 旭化成株式会社 水添共重合体組成物、粘接着材組成物及び粘接着フィルム
EP4039713A4 (en) 2019-09-30 2023-11-15 Zeon Corporati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OSITION, AND FILM
CN116323691B (zh) * 2020-10-19 2025-05-30 日本瑞翁株式会社 树脂组合物、伸缩性膜、片以及管
WO2024142887A1 (ja) * 2022-12-28 2024-07-0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432A (ja) * 1999-04-23 2001-01-09 Kawasumi Lab Inc 多層チューブ及び多層チューブからなる医療用具
JP2002036433A (ja) 2000-07-21 2002-02-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2010106200A (ja) * 2008-10-31 2010-05-13 Kuraray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状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7315T3 (es) * 2000-04-21 2006-08-01 Kuraray Co., Ltd. Tubo multicapa y dispositivo medico que comprende el tubo multicapa.
JP4566327B2 (ja) * 2000-04-27 2010-10-20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2003138073A (ja) * 2001-10-30 2003-05-14 Kuraray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300065B2 (ja) * 2002-06-28 2009-07-2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自動車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体
JP4489445B2 (ja) * 2003-01-31 2010-06-23 株式会社クラレ 熱収縮性フィルム
EP2261277B1 (en) * 2003-12-26 2016-07-13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20060100380A1 (en) 2004-11-05 2006-05-11 Delphi Technologies, Inc. Slush moldable thermoplastic polyolefin formulation for interior skin
US20070276094A1 (en) 2004-11-05 2007-11-29 Srimannarayana Kakarala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dhesion to polymer foams and/or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265396A1 (en) * 2004-11-05 2007-11-15 Srimannarayana Kakarala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lt viscosit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9149861A (ja) 2007-11-30 2009-07-09 Sumitomo Chemical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TWI388577B (zh) * 2008-12-30 2013-03-11 Tsrc Corp 製造高度氫化的嵌段共聚物之方法
US8592018B2 (en) 2009-03-09 2013-11-26 Kuraray Co., Ltd. Tube and medical device using same
CN102348395A (zh) 2009-03-10 2012-02-08 中谷进 带安装软线的物品
US8618214B2 (en) * 2010-12-17 2013-12-3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elastomer composite
CN103102584B (zh) * 2011-11-11 2015-07-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氢化嵌段共聚物弹性体-聚丙烯的共混物
EP2942370B1 (en) * 2013-03-07 2017-05-31 Kuraray Co., Lt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sheet or film, and multi-layered film
US9676974B2 (en) 2013-12-24 2017-06-1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pellet,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film
JP5886486B1 (ja) 2014-04-09 2016-03-16 株式会社クラレ 液体包装容器
CA2939715C (en) * 2014-09-08 2018-11-27 Kuraray Co., Ltd. Film for liquid packaging containers and liquid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432A (ja) * 1999-04-23 2001-01-09 Kawasumi Lab Inc 多層チューブ及び多層チューブからなる医療用具
JP2002036433A (ja) 2000-07-21 2002-02-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2010106200A (ja) * 2008-10-31 2010-05-13 Kuraray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状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7966A1 (en) 2017-09-21
JPWO2017159800A1 (ja) 2019-01-24
CN108713041B (zh) 2021-06-01
CA3017966C (en) 2023-09-26
JP6885657B2 (ja) 2021-06-16
US20190077947A1 (en) 2019-03-14
WO2017159800A1 (ja) 2017-09-21
US10822485B2 (en) 2020-11-03
EP3431545A1 (en) 2019-01-23
TWI752945B (zh) 2022-01-21
EP3431545A4 (en) 2020-01-08
KR20180124871A (ko) 2018-11-21
TW201802165A (zh) 2018-01-16
CN108713041A (zh)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14B1 (ko)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제, 액체 포장 용기용 필름, 액체 포장 용기, 액체 배출 부재 및 의료 용기
JP6661467B2 (ja) 液体包装容器用フィルム及び液体包装容器
JP5886486B1 (ja) 液体包装容器
JP6681521B1 (ja) 水添ブロック共重合体
JP2020001800A (ja) 液体包装容器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