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4929B1 -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29B1
KR102274929B1 KR1020200188902A KR20200188902A KR102274929B1 KR 102274929 B1 KR102274929 B1 KR 102274929B1 KR 1020200188902 A KR1020200188902 A KR 1020200188902A KR 20200188902 A KR20200188902 A KR 20200188902A KR 102274929 B1 KR102274929 B1 KR 10227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temperature
voltage
current
det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식
김경식
김태하
Original Assignee
이레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산업(주) filed Critical 이레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8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의 전압, 전류, 온도를 각각 검출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와,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검출여부를 판단하고 검출결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이상검출판단부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하면 시스템부를 통해 사용자단말을 통해 경보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Transformer real-tim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압기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수집/저장, 데이터 조회/분석을 통해 변압기 과부하 상태를 긴급으로 알림전송 가능한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블랙아웃 사태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전력공급의 안정성 유지가 필연적이다. 전력소비의 증가원인으로 가정의 경우, 다양한 가전제품 사용과 함께 가전제품 대형화,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전력소비는 생활패턴이 바뀌지 않는 한 구조적으로 쉽게 바뀔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증가하는 전력소비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전력설비의 대형화, 집중화로 이어져야 하지만 사회적, 경제적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그 한 예로, 1995년 이전 준공 아파트의 경우 당시 설계기준에 따라 1~1.2㎾ 수준으로 전력공급시설을 구축한 반면, 1995년 이후 준공 아파트 경우 그 2배인 3㎾ 수준으로 전력공급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즉 현시점에서 전력설비를 대형화가 필요하여도 기존 아파트가 한 동안 유지되는 동안 전력설비 용량을 쉽게 늘릴 수 없는 것이다.
국내에서 전국단위로 노후 아파트를 파악할 때, 15~20년 아파트가 대략 190만 가구, 30년 아파트가 대략 277만 가구, 30년 이상 아파트가 대략 50만 가구가 있으므로 효율적인 전력설비를 위한 대형화, 집중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
국내에서 변압기 과부하에 따른 정전사고는 물론 변압기 용량부족과 과전력 현상으로 대형 화재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전력설비에 의한 정전사고는 변압기 노후화와 과부하가 주된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밖에 노후개폐기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21628(특허문헌1)은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기술이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시장이나 상가의 개개 상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재해를 광통신망을 활용하여 지역별 분전반이나 수배전반의 전기설비에서 전기로 인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을 예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87917(특허문헌2)은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방법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는 변압기의 사고시 사고형태, 사고구분, 사고파형분석 및 보호계전기 동작분석을 통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변압기의 사고를 조기에 예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08472(특허문헌3)는 loT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원격관리 및 경보출동 시스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3은 빌딩의 층별 분전반 및 전기실 배전반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전기사고의 주요원인이 되는 저항성 누설, 과전류, 과전압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생되면 전기사고의 발생을 예측하고 관리자에게 알려서 조치를 취하거나 경보출동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특허문헌1,3에서는 상가 또는 빌딩에서 배전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기사고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되어 있으나, 아파트 단위규모 대규모 전기설비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2에서는 변압기 사고형태 등을 분석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측하도록 되어 있으나, 대규모 정전사고를 일으키는 변압기 과부하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여 사고를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1 : 한국 등록특허 10-1021628(2011.03.22) 특허문헌2 : 한국 등록특허 10-1587917(2016.01.25) 특허문헌3 : 한국 등록특허 10-2008472(2019.08.07)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변압기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대규모 정전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변압기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변압기 교체시기를 예측가능하도록 한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변압기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정전사고에 대한 경보알림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변압기의 전압, 전류, 온도를 각각 검출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와,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검출여부를 판단하고 검출결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이상검출판단부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하면 관리시스템부를 통해 사용자단말을 통해 경보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는 변압기 각 상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변압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변압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압검출부, 전류검출부, 온도검출부, 통신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받은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설정전압, 설정전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과전압, 과전류, 온도, 변압기 검출가스량에 따른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검출판단부 및,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검출가스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검출판단부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단말로 경고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비상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개별 변압기마다 한계부하율을 설정한 상태에서, 개별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개별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로 세분화하여 산출한 개별 평균 과부하율 또는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중 어느 개별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전체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전체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 이상에서 구한 각각의 계별 한계 부하율을 모두 평균하여 산출한 전체 평균 과부하율 또는 개별 평균 전체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는 아파트단지별 배전반에 설치하거나 수용가용 변압기 출력단에 직접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와 관리서버를 통해 데이터 수집/저장, 데이터 조회/분석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변압기 부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계통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과부하에 따른 과부하 정전사고 및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공급자 입장에서 변압기 소손 예방으로 사고비용을 절감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정전에 따른 가구별 각종 피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시제어 데이터 취득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시제어 데이터 취득부를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관리서버에서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시제어 데이터 취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기제어 데이터 취득부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200), 관리서버(300), 사용자단말(4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검출부(210), 전류검출부(220), 온도검출부(230), 통신모듈(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200)는 변압기의 전압, 전류, 온도 각각 검출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압검출부(210)는 전압센서로서 배전반의 각 상별 전압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류검출부(220)는 전류센서로서 배전반의 각 상별 전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검출부(210)와 전류검출부(220)는 변압기(100)의 출력단 각 상별 전압 또는 전류를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검출부(230)는 온도센서로서 배전반 실내온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검출부(230)는 별도의 온도센서를 통해 변압기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변압기의 온도를 별도로 검출하는 이유는 변압기 온도에 따른 상태를 보다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신모듈(240)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상기 관리서버(300)와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240)은 쌍방향으로 통신가능한 지그비(Zigbee), Z-웨이브(Z-wave), Lan, RFID, NFC, 4G, 5G 등 유무선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전압검출부(210), 전류검출부(220), 온도검출부(230)로부터 전압, 전류, 온도 데이터를 받아서 통신모듈(24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감지제어 데이터취득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260)과 배선용 차단기(2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감지제어 테이터취득부(200)는 변압기 과부하 인자로서 변압기 가스검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측정전압과 측정전류를 기초로 전력을 데이터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감지제어 데이터취득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컴팩트한 장비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시 변압기 출력단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310), 이상검출판단부(320), 시스템부(330), 무정전 전원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200)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검출여부를 판단하고 검출결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310)는 상기 통신모듈(240)을 통해 받은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의 실내온도와 변압기의 외부온도를 구분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로 할 수 있고, 검출전압과 검출전류를 기초로 검출전력을 모니터링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변압기 과부하 인자로서 변압기 가스검출량 등을 추가적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상기 이상검출판단부(320)는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설정전압, 설정전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과전압, 과전류, 온도에 따른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검출판단부(320)는 검출전압과 검출전류를 기초로 검출전력에 따른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인자를 통해 변압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더욱이, 변압기 가스검출량 등으로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인자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변압기의 수명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스템부(330)는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검출전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검출판단부(320)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단말(400)로 경고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00)의 설치되어 정전 등 비상시에도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관리서버(300)는 이상검출판단부(320)와 시스템부(330)를 통해 개별 변압기마다 과부하율을 설정하는 경우와 전체 변압기마다 과부하율을 설정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개별 변압기마다 한계부하율을 설정한 상태에서, 개별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개별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로 세분화하여 산출한 개별 평균 과부하율 또는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중 어느 개별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체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전체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 이상에서 구한 각각의 계별 한계 부하율을 모두 평균하여 산출한 전체 평균 과부하율 또는 개별 평균 전체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40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노트북, 휴대용 모바일 등으로 변압기 과부하에 따른 경고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400)에 앱을 제공하면 도 8과 같이 변압기 과부하 세부사항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제어 데이터취득부(200)를 하나의 컴팩트한 장비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반에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것은 물론, 아파트단지 변압기는 물론 소규모 수용가 변압기에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에서 변압기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수집/저장, 데이터 조회/분석을 통해 긴급시 사용자단말(400)로 변압기 과부하 상태를 긴급으로 알림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변압기 과부하 정전사고 및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200 : 감시제어 데이터 취득부 210 : 전압검출부
220 : 전류검출부 230 : 온도검출부
240 : 통신모듈 250 : 제어부
260 : SMPS 270 : 배선용 차단기
300 : 관리서버 310 : 모니터링부
320 : 이상검출판단부 330 : 시스템부
340 : 무정전 전원공급부
400 : 사용자단말

Claims (7)

  1. 변압기의 전압, 전류, 온도를 각각 검출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검출여부를 판단하고 검출결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는 변압기 각 상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변압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변압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압검출부, 전류검출부, 온도검출부, 통신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받은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설정전압, 설정전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과전압, 과전류, 온도, 변압기 검출가스량에 따른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검출판단부 및,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검출가스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검출판단부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단말로 경고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개별 변압기마다 한계부하율을 설정한 상태에서, 개별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개별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로 세분화하여 산출한 개별 평균 과부하율 또는 전압 과부하, 전류 과부하, 온도 과부하, 가스량 과부하중 어느 개별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경보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비상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변압기의 전압, 전류, 온도를 각각 검출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검출여부를 판단하고 검출결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는 변압기 각 상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변압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변압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압검출부, 전류검출부, 온도검출부, 통신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받은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를 설정전압, 설정전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과전압, 과전류, 온도, 변압기 검출가스량에 따른 변압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검출판단부 및, 상기 검출전압, 검출전류, 검출온도, 검출가스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검출판단부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율이 한계 부하율에 근접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단말로 경고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전체 변압기의 각 상별 전압, 각 상별 전류, 온도, 검출가스량 결과로 전체 변압기의 과부하율을 산출하되,이상에서 구한 각각의 계별 한계 부하율을 모두 평균하여 산출한 전체 평균 과부하율 또는 개별 평균 전체 한계 부하율을 초과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경보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 데이터취득부는 아파트단지별 배전반에 설치하거나 수용가용 변압기 출력단에 직접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188902A 2020-12-31 2020-12-31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ctive KR10227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02A KR102274929B1 (ko) 2020-12-31 2020-12-31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02A KR102274929B1 (ko) 2020-12-31 2020-12-31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929B1 true KR102274929B1 (ko) 2021-07-08

Family

ID=7689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902A Active KR102274929B1 (ko) 2020-12-31 2020-12-31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5135A (zh) * 2021-11-01 2022-01-28 成都府河电力自动化成套设备有限责任公司 变压器短路冲击在线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20240042826A (ko) * 2022-09-26 2024-04-02 (주)이데아인포 Dc 전원 공급 장치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60517B1 (ko) * 2024-02-02 2024-04-24 주식회사 에스디이앤씨 아파트 변압기 실시간 감시 및 전원 차단 시스템
CN118169612A (zh) * 2024-05-14 2024-06-11 江西国翔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变压器运行状态在线监测系统及方法
KR102683604B1 (ko) * 2024-02-02 2024-07-10 주식회사 에스디이앤씨 변압기 실시간 감시 및 순차적 전원 차단 시스템
KR102738164B1 (ko) * 2024-03-27 2024-12-04 주식회사 정진기전 열화감시제어 및 안전관리 기능이 적용된 인공지능형 수배전반
KR102787064B1 (ko) * 2024-08-08 2025-03-26 김익현 교류발전기의 3상 전원 관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28B1 (ko) 2009-06-24 2011-03-22 한국전기안전공사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101587917B1 (ko) 2014-10-13 2016-0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방법
KR102008472B1 (ko)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KR20200091073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발전기의 고장예측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28B1 (ko) 2009-06-24 2011-03-22 한국전기안전공사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101587917B1 (ko) 2014-10-13 2016-0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사고분석 모니터링 방법
KR102008472B1 (ko)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KR20200091073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발전기의 고장예측 진단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5135A (zh) * 2021-11-01 2022-01-28 成都府河电力自动化成套设备有限责任公司 变压器短路冲击在线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20240042826A (ko) * 2022-09-26 2024-04-02 (주)이데아인포 Dc 전원 공급 장치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81917B1 (ko) * 2022-09-26 2024-07-05 (주)이데아인포 Dc 전원 공급 장치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60517B1 (ko) * 2024-02-02 2024-04-24 주식회사 에스디이앤씨 아파트 변압기 실시간 감시 및 전원 차단 시스템
KR102683604B1 (ko) * 2024-02-02 2024-07-10 주식회사 에스디이앤씨 변압기 실시간 감시 및 순차적 전원 차단 시스템
KR102738164B1 (ko) * 2024-03-27 2024-12-04 주식회사 정진기전 열화감시제어 및 안전관리 기능이 적용된 인공지능형 수배전반
CN118169612A (zh) * 2024-05-14 2024-06-11 江西国翔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变压器运行状态在线监测系统及方法
KR102787064B1 (ko) * 2024-08-08 2025-03-26 김익현 교류발전기의 3상 전원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929B1 (ko)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24718B1 (ko)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1336317B1 (ko)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US7965195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outage and restoration notification
CA2685077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a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309900B1 (ko) IoT 기반 비접촉식 피뢰기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101336571B1 (ko) 전기재해 취약장소의 전기안전관리 시스템을 관리 및 운영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KR20140042840A (ko) 태양광발전 원격 감시 시스템
CN114460888A (zh) 一种智慧能源管理系统
KR102546080B1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내에서 재해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0653A (ko) 웹기반 수변전설비 원격감시시스템
JP2016073003A (ja) 電力制御システム、方法及び遮断制御装置
KR100543891B1 (ko) 유비쿼터스 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6312B1 (ko) 인공지능형 분전반
KR101151559B1 (ko)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US10592879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al energy
KR102018235B1 (ko) Dc 전원 자동 절체기
KR102529846B1 (ko) 배전선로 정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11364B1 (ko) 배전 전력 원격 감시 제어 접속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전 전력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그 방법
JP2013005638A (ja) 停電検出システムおよび停電範囲判定方法
KR102212141B1 (ko) Bems 기반 서버형 에너지 관리 배전반
KR101113181B1 (ko)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20038B1 (ko) 전기적 이상상태 감지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