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4694B1 -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94B1
KR102274694B1 KR1020200129799A KR20200129799A KR102274694B1 KR 102274694 B1 KR102274694 B1 KR 102274694B1 KR 1020200129799 A KR1020200129799 A KR 1020200129799A KR 20200129799 A KR20200129799 A KR 20200129799A KR 102274694 B1 KR102274694 B1 KR 10227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silicone
parts
siloxan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찬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신광에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신광에코(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2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 D06N3/18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the layers are one next to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 D06M15/356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containing silic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silic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thermal properties
    • D06N2209/065Insul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thermal properties
    • D06N2209/067Flame resistant, fire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4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chemical properties
    • D06N2209/146Soilproof, soil repell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35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71Resistance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친환경 플라스틱인 실리콘계 스킨층과,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백크로스층을 합포시킴으로서, 신축성,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및 투과성이 우수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for covering variable protruding switc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친환경 플라스틱인 실리콘계 스킨층과,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백크로스층을 합포시킴으로서, 신축성,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및 투과성이 우수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인조피혁은 PVC 외에도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TPO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질 PVC는 다이옥신의 발생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대체 소재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개선된 PU계 원단은 고급화를 이룰 수 있었으나 적층 소재별 접착제를 사용 및 높은 원료비로 제품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TPO 원단은 접합시 본드가 사용되지 않으며 공정 및 원료비용에서 상대적으로 원가절감이 가능하나, 표면 촉감이 딱딱하고 진공성형과 같은 특정한 공법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 투자비가 많이 발생하여 범용적으로 쉽게 생산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친환경 생활패턴의 변화로 자동차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 자동차 인테리어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공간에서 운전자 및 승객과 항상 같이 움직이며 호흡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그 역할과 기능에서 무엇보다도 다양한 기능 및 성능이 요구되며, 다른 일반적인 자동차 부품에 비해 소비자가 차이점을 쉽게 알고 몸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감성 요소 및 심미적 요소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백라이트 발광형태의 내장재 스위치를 넘어서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와 같은 고급 기능과 심미적인 디자인 형태를 갖춘 차별화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에 적용되는 커버용 원단은 기본적으로 높은 인장력, 신축성 및 내구성은 물론이며, 투과성 까지 필요하나 이를 충족하는 원단은 거의 미비한 수준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70930호 (등록일자 : 2012.07.3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친환경 플라스틱인 실리콘계 스킨층과,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백크로스층을 합포시킴으로서, 신축성,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및 투과성이 우수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는 실리콘계 스킨층; 및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킨층은 비닐오가노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흄드실리카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은 슬립용 실리콘층; 부가용 실리콘층; 및 점착용 실리콘층을 포함하며,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가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점착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3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액 내지 제3코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촉매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촉매는 백금, 실리콘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변성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물, 클로로백금산-알케닐실록산 착물 및 클로로백금산-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 외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코튼, 울, 레이온 또는 폴리아미드 소재의 원사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폴리에스터 원사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상기 폴리에스터 원사의 중량비는 95:5 ~ 60:40일 수 있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더블 니트 메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백크로스층을 이루는 원사의 굵기는 10 내지 80 D(denier)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0.1 내지 1.0 mm이고, 상기 백크로스층은 0.2 내지 0.8 mm일 수 있다.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착색제인 무기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상기 무기안료를 0.2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제조방법은
(a) 슬립용 엠보싱이 형성된 이형지 상에 제1코팅액을 도포하여 슬립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 상에 제2코팅액을 도포하여 부가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부가용 실리콘층 상에 제3코팅액을 도포하여 점착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용 실리콘층에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을 합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코팅액 내지 제3코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촉매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는 백금, 실리콘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변성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물, 클로로백금산-알케닐실록산 착물 및 클로로백금산-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는 도포 후 100~16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제조방법은 (e) 슬립용 실리콘층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고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는 유해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폴리실록산류를 주성분으로 하여 내가수분해성, 내열성, 내한성, 내오염성, 방수성, 방오성능, 절연성, 복원성, 반발탄성과 신율 및 항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높은 투광성이 뛰어나므로, 몰핑과 같은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원단으로 적합하다.
또한, 자동차 내장재로 적용 시, 승객의 피부에 직접 닿고 접촉되는 부위에 적용되므로 차내 안락감 및 고급감 향상은 물론 터치 시 보다 부드럽고 쿠션성 높은 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킨층에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이 형성되므로, 차량용 내장재로서 감싸기 작업성이 보다 용이해지며, 스위치 형태에 따른 신축 및 복원성능 자유도도 더욱 우수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가변 돌출형 스위치의 돌출 과정을 나타내는 이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킨층의 세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실리콘 합성 피혁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무가안료 첨가량에 따른 투과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의 커버용 표피재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란 일정한 가압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형태가 변경되는 스위치로서, 도 1에 가변 돌출형 스위치가 예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를 ‘모핑 스위치(Morphing switch)’라고 부른다. 이러한 가변 돌출형 스위치는 최근 히든 스위치로서 필요한 경우에만 돌출시켜 사용한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을 및 인터리어의 고급화를 위해 자동차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신축성은 물론 방오성능 및 터치 고감성이 요구되며 최근에는 IT 디스플레이 기술이 스위치에 접목되면서 투광성까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 성능을 충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실리콘계 스킨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오가노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흄드실리카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스킨층에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킨층은 비닐오가노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흄드실리카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슬립용 실리콘층, 부가용 실리콘층 및 점착용 실리콘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 각 층별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 슬립용 실리콘층
슬립용 실리콘층은 슬립(slip)용 엠보싱이 형성된 이형지 상에 제1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이형지는 박리의 용이성을 위해 엠보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고온에 견딜 수 있고, 표면에 일정한 슬립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지에 일정한 문양을 넣을 경우, 상기 문양이 형성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 제조과정에서, 상기 상기 이형지는 제거되고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제1코팅액을 도포 후 100~160℃의 온도에서 건조 경화시켜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제1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는 비닐터미네이티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으로도 불리우며,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6314528-pat00001
또한, 상기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는 다이메틸 메틸하이드로겐 실록산으로도 불리우며,,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06314528-pat00002
(b) : 부가용 실리콘층
부가용 실리콘층은 앞서 설명한 슬립용 실리콘층 상에 제2코팅액을 도포 후 100~160℃의 온도에서 건조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제2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비닐, 비닐기-터미네이드]는 (비닐메틸실록산)-다이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코폴리머로도 불리우며,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06314528-pat00003
(c) 점착용 실리콘층
점착용 실리콘층은 앞서 설명한 부가용 실리콘층 상에 제3코팅액을 도포 후 100~160℃의 온도에서 건조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제3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킨층의 제조 시, 상기 제1코팅액 내지 제3코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촉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촉매는 백금, 실리콘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변성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물, 클로로백금산-알케닐실록산 착물 및 클로로백금산-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백크로스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으로서, 통상 스판텍스(Spandex) 또는 엘라스테인(Elastane), 크레오라(Creora) , 라이크(Lycra)라고 호칭되는 원단일 수 있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원착사 스킨층의 실리콘 재질 칼라 매칭성이 용의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내구성을 더욱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신축성 및 반복내구력 등의 성능 역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 외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코튼, 울, 레이온 또는 폴리아미드 소재의 원사 등을 함께 교편, 교직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주재로 하고, 폴리에스터 원사와 혼?d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폴리에스터 원사가 내열성, 내습성 및 기계적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때 주재인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폴리에스터계 원사를 각각 95:5 내지 60:40 비율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백크로스층은 원사를 니트 또는 트리코트 형태로 형성시키고, 루프 형태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켜 더블 니트 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더블 니트 메쉬 원단이라 함은 원사를 더블 니트 방식으로 제직(製織)하여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사를 원단의 폭 방향으로 제공하며, 제공된 원사를 루프 형태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루프 형태를 순차적으로 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크로스층을 이루는 원사의 굵기가 10 내지 80 D(denier)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D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범위에서 신율 및 원단의 신축성에 대한 원단 복원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킨층은 0.1 내지 1.0 mm일 수 있고, 상기 백크로스층은 0.2 내지 0.8 mm일 수 있는데, 상기 범위에서 보다 신율 및 원단 복원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착색제인 무기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투입량은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상기 무기안료를 0.2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도 6에서 투입되는 무기안료의 첨가량에 따른 투과성 및 선명도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는 도 4의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제조 과정은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는 일 예로 실리콘 합성 피혁 제조장치(100)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립용 엠보싱이 형성된 이형지(10)에 슬립용 실리콘층 (20)을 형성하는 제1실리콘층 형성유닛(200)과, 제1실리콘층 형성유닛(200)에 인라인되게 배치되어 슬립용 실리콘층에 부가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실리콘층 형성유닛(300)과, 제2실리콘층 형성유닛(300)에 인라인되게 배치되며 최외각의 부가용 실리콘층에 점착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되 점착용 실리콘층에 백크로스층 원단을 합포하는 합포유닛(400)과, 합포유닛(400)에 인라인되게 배치되어 슬립용 실리콘층에서 이형지를 박리시키고 슬립용 실리콘층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유닛(500)을 포함하는 실리콘 합성 피혁 제조장치(100)일 수 있다.
[제조예 1]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조성을 가지는 제1,2,3 코팅액을 각각 마련하였다. 이후 슬립용 엠보싱이 형성된 이형지에 상기 제1,2,3 코팅액을 순차적으로 도포 후 매번 120℃ 온도로 건조시켰다.
* 제1코팅액 :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30 중량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0 중량부, 실리콘백금 0.005 중량부, 프탈로시아닌 블루 안료 4.7 중량부
* 제2코팅액 :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30 중량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0 중량부, 실리콘백금 0.005 중량부, 프탈로시아닌 블루 안료 4.7 중량부
* 제3코팅액 :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30 중량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0 중량부, 실리콘백금 0.005 중량부, , 프탈로시아닌 블루 안료 4.7 중량부
마지막으로, 상기 제조된 실리콘 위에 폴리우레탄계 스판덱스 원단(원사 굵기 30 D)를 합포하여 최종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콘(스킨층)의 두께는 0.55mm, 스판덱스 원단(백크로스층)의 두께는 0.63 mm 이었다.
[실험예]
실리콘계 스킨층의 두께 별 물성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재 원단에 대한 기계적 물성 및 내구력시험 평가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시험평가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계적 물성시험 : UTM 시험장비, 평가방법 기준 : MS300-31
- 반복 내구력 시험 : 차량내 모핑 스위치 작동시 반복되는 복합재 원단의 신축성에 대한 신뢰성 검증 평가
①시험방법 : 상기 제조예 1의 복합재 원단를 스위치에 접착 고정시켜 스위치의 돌출부를 10만회 상하 반복운동 후 상기 다층복합재 원단 표면 상태 유관 품질 평가 (상하 높이: 3mm, 속도 : 분당 60회, 시험평가 횟수 : 10만회 실시)
구분 제조예 1
스킨층 두께[mm] 0.55
백크로스층 두께[mm] 0.63
인장강도 MD 8.67
[Mpa] TD 5.63
파단신율 MD 195
[%] TD 329
인열강도 MD 4.06
[kgf/mm] TD 5.21
반복 내구력 시험
(시험 후 원단 품질 평가)
양호
실험결과, 신율이 우수하였으며, 반복 내구력시험 결과 역시 품질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실리콘계 스킨층; 및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은 슬립용 실리콘층; 부가용 실리콘층; 및 점착용 실리콘층을 포함하며,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부가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점착용 실리콘층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3코팅액을 도포 후 중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제1코팅액 내지 제3코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촉매 0.001 내지 0.1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촉매는 백금, 실리콘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변성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물, 클로로백금산-알케닐실록산 착물 및 클로로백금산-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 외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코튼, 울, 레이온 또는 폴리아미드 소재의 원사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크로스층은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폴리에스터 원사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상기 폴리에스터 원사의 중량비는 95:5 ~ 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크로스층은 더블 니트 메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크로스층을 이루는 원사의 굵기는 10 내지 80 D(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0.1 내지 1.0 mm이고,
    상기 백크로스층은 0.2 내지 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은 착색제인 무기안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상기 무기안료를 0.2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11. 제1항에 따른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슬립용 엠보싱이 형성된 이형지 상에 제1코팅액을 도포하여 슬립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슬립용 실리콘층 상에 제2코팅액을 도포하여 부가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부가용 실리콘층 상에 제3코팅액을 도포하여 점착용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용 실리콘층에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백크로스층을 합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에틸렌 호모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코팅액은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비닐기-터미네이티드](Siloxanes and Silicones, di-Me, vinyl group-terminated) 100 중량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1 내지 50 중량부; 및 [실록산과 실리콘, 다이-메틸, 메틸 수소](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 hydrogen)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팅액 내지 제3코팅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촉매 0.001 내지 0.1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촉매는 백금, 실리콘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변성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물, 클로로백금산-알케닐실록산 착물 및 클로로백금산-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는 도포 후 100~16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e) 슬립용 실리콘층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고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20200129799A 2020-10-08 2020-10-08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27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99A KR102274694B1 (ko) 2020-10-08 2020-10-08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99A KR102274694B1 (ko) 2020-10-08 2020-10-08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94B1 true KR102274694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799A Active KR102274694B1 (ko) 2020-10-08 2020-10-08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2B1 (ko) * 2007-01-29 2008-06-30 동방화성 주식회사 합포섬유의 제조방법
KR101170930B1 (ko) 2011-02-09 2012-08-03 박천진 무늬가 형성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KR101955243B1 (ko) * 2018-08-16 2019-03-08 윤주섭 실리콘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실리콘 합성 피혁
JP2019052391A (ja) * 2017-09-14 2019-04-04 ミツカワ株式会社 複合布帛
KR102063827B1 (ko) * 2019-07-12 2020-03-02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용제형 다기능성 실리콘 코팅 원단의 제조방법
KR20200030071A (ko) * 2017-07-12 2020-03-1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액체 실리콘 고무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2B1 (ko) * 2007-01-29 2008-06-30 동방화성 주식회사 합포섬유의 제조방법
KR101170930B1 (ko) 2011-02-09 2012-08-03 박천진 무늬가 형성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KR20200030071A (ko) * 2017-07-12 2020-03-1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액체 실리콘 고무 조성물
JP2019052391A (ja) * 2017-09-14 2019-04-04 ミツカワ株式会社 複合布帛
KR101955243B1 (ko) * 2018-08-16 2019-03-08 윤주섭 실리콘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실리콘 합성 피혁
KR102063827B1 (ko) * 2019-07-12 2020-03-02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용제형 다기능성 실리콘 코팅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14B1 (ko) 서로 다른 액상 실리콘 고무 코팅액을 이용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JP6625392B2 (ja) 耐久性が向上され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カバー用人造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579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 피혁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EP3427941B1 (en) Light-transmitting conductive laminate and light-transmitting conductive molded body using same
KR20190030574A (ko)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83002A1 (ja) 伸縮性の複合フィルムおよび複合生地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7507022B2 (ja) 自動車内装材
EP1565310B1 (en) Barrier fabric
JPWO2013125653A1 (ja) 内装用表皮材及びそれを用いた内装用成形体
KR101582573B1 (ko) 크래쉬 패드 커버용 복합기능성 인조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210860986U (zh) 发光式蒙护组件
CA2570592A1 (en) Enhanced elastomer coated, protective barrier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3310569B1 (en) Flexible composite material, method of obtention and uses thereof
KR20070058600A (ko) 실리콘 고무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12297B (zh) 共挤压防水透湿薄膜结构及纺织品
KR102274694B1 (ko) 가변 돌출형 스위치 커버용 다층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EP0786333A1 (en) Composite product consisting of a leather-like microfibrous material and polymer film, useful for coating cold injection molding manufactured articles
JP2014129622A (ja) 合成皮革
JP2015223883A (ja) 車両用天井材
JPH10298874A (ja) 耐摩耗性に優れる合成皮革
JPH09111671A (ja)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49770B1 (ko) 실리콘 코팅 천
KR102108897B1 (ko) 자동차 내장 기재용 다층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3454A (ko) 크래쉬 패드용 인조가죽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크래쉬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