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045B1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Google Patents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4045B1 KR102274045B1 KR1020200062044A KR20200062044A KR102274045B1 KR 102274045 B1 KR102274045 B1 KR 102274045B1 KR 1020200062044 A KR1020200062044 A KR 1020200062044A KR 20200062044 A KR20200062044 A KR 20200062044A KR 102274045 B1 KR102274045 B1 KR 102274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shing
- fixing part
- roof
- side wall
- reinforcing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6—Devices for sealing the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한다. 그 구조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붕고정부,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벽고정부 및 지붕고정부와 상기 측벽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보강재와, 지붕고정부에 결합되는 상면 및 측벽고정부에 결합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후레싱을 포함한다. We present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ement material that blocks damage from strong winds that prevents the flashing from being separated by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and fundamentally prevents secondary damage to the roof due to separation of the flashing. The structure includes a roof fixing part fixed to the roof of the building, a side wall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and a stiffener positioned between the roof fixing part and the side wall fixing part and including a bent bent part, and the roof fixing part. It includes a flashing having a side surfac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wall fixing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후레싱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지붕의 피해를 차단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부착하여 후레싱의 분리를 방지하는 지붕 마감을 하는 후레싱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 which a roof is finish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lashing by attach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order to block damage to the roof by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는 주로 아스팔트 슁글, 금속 지붕재가 많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슁글은 통상적으로, 유리섬유나 종이매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화시키고, 포화된 표면에 돌가루를 뿌려서 만들어진다. 슁글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수성이 뛰어나다. 슁글은 가벼우며 쉽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금속지붕재는 금속기와, 칼라강판, 동판, 아연판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기와는 금속을 기와의 형태로 성형하여, 지붕재로 사용하는 건축용 자재를 말한다. 금속기와는 금속 또는 금속으로 성형된 기와의 형태에 돌가루나 기타 재료들을 덧입혀 사용하기도 한다. 금속기와는 가볍고 튼튼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기간이 대폭 단축되어 건축비가 절감되며, 수명이 길며, 유지보수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As roof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asphalt shingles and metal roofing materials are mostly used. Asphalt shingle is usually made by saturating asphalt on a basic material made of glass fiber or paper mat, and sprinkling stone powder on the saturated surface. The shingle is inexpensive and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The shingle is lightweight and can be easily cut or bent, making it easy to install. Metal roofing materials include metal tiles, colored steel sheets, copper sheets, and zinc sheets. For example, metal tiles refer to building materials that are used as roofing materials by forming metal in the form of tiles. Metal tiles are sometimes used by adding stone powder or other materials to the shape of metal or metal tiles. Compared to metal tiles, it is light and strong, easy to construc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greatly shortene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has a long service life and low maintenance costs.
한편, 후레싱은 지붕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용 금속판 구조물을 통칭한다. 이러한 후레싱은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23102호는 슁글 및 후레싱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을 감싸고, 건축물의 측면에 고정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lashing refers to a metal plate structure for waterproofing to block a gap in the roof. These flashings are coupled to the roof end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entering or permeating the inside of the roof or building.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3102 proposes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cluding a waterproof sheet fixed to the side of a building and surrounding the upper and lateral directions of the shingle and flashing.
그런데, 종래의 후레싱 마감구조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노출되면, 상기 마감구조는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지붕으로부터 분리된다. 태풍과 같은 강풍의 위력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방법을 시도함에도 후레싱 마감구조의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은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태풍과 같은 강풍으로 인하여 마감구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마감구조가 분리되면, 상기 마감구조가 시발점이 되어 지붕 전체가 분리되는 2차 피해가 발생하므로, 후레싱 마감구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s exposed to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the finishing structure is detached by the strong wind and separated from the roof. Since the power of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is too strong,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has not been solved even though various methods are tri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the finished structure from being separated due to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In addition, when the finishing structure is separated, the finishing structure becomes the starting point and secondary damage occurs in which the entire roof is sepa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econdary damage by preventing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from being separa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lashing from being separated by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and to fundamentally prevent secondary damage to the roof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ash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nishing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붕고정부, 상기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벽고정부 및 상기 지붕고정부와 상기 측벽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보강재 및 상기 지붕고정부에 결합되는 상면 및 상기 측벽고정부에 결합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후레싱을 포함한다.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ing material for blocking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of fixing part fixed to the roof of a building, a side wall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roof fixing part and the It is located between the side wall fixing part and includes a flashing having a reinforcement member including a bent bent part and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roof fixing part and a side surface coupled to the side wall fixing part.
본 발명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벽고정부의 끝단에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에 수용되어 상기 보강재와 상기 후레싱을 결합시키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고정부의 끝단에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를 수용하여 상기 보강재와 상기 후레싱을 결합시키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연결부는 라운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지붕고정부, 상기 측벽고정부 및 상기 삽입연결부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finish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of the side wall fixing part may include an insertion connection par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trench of the flashing to couple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flashing. An end of the side wall fixing part may include an insertion connection part for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trench of the flashing and coup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flashing. The insertion connection part may be rounded. The roof fixing part, the side wall fixing part, and the insertion connection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지붕고정부 및 상기 측벽고정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상기 지붕고정부 또는 상기 측벽고정부 중의 어느 하나에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상기 지붕고정부 또는 상기 측벽고정부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nish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bridge. The bridge may extend to the roof fixing part and the side wall fixing part. Either the roof fixing part or the side wall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include a recessed part. Any one of the roof fixing part or the side wall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include a bent part in which at least one bridge is formed.
본 발명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측벽고정부를 수용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nish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include a coupling frame for accommodating the side wall fixing part. The coupling frame may include a bent portion in which at least one bridge is formed. The coupling frame may include a wing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에 의하면, 후레싱에 결합되는 보강재를 활용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ing material for blocking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coupled to the flashing, the flashing is not separated by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and the flashing is separated to the roof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ashing It fundamentally prevents secondary dam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에 적용되는 제1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보강재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에 적용되는 제2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보강재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에 적용되는 제3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보강재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applied to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ildin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applied to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includ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ildin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reinforcing material applied to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cluding the third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ild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마감구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마감구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addition, on the other hand,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front, etc. are only rela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fact, the finished structure can be used in any optional orientation, and in actual use, the spatial direc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and rotation of the finished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레싱에 결합되는 보강재를 활용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보강재가 포함된 후레싱 마감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마감구조에 의해 후레싱의 분리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후레싱 마감구조는 지붕 끝단을 마감하는 구조이며, 구체적으로 보강재와 결합된 후레싱을 말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that prevents the flashing from being separated by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and fundamentally prevents secondary damage to the roof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ashing by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coupled to the flashing. do. To this e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material, and a process of preventing secondary damage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lashing by the finish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is a structure for finishing the end of the roof, and specifically refers to a flashing combin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1)에 적용되는 제1 보강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reinforcing
도 1에 의하면, 제1 보강재(100)는 대략 직각으로 꺾인 절곡부(13)를 기준으로 지붕고정부(10) 및 측벽고정부(15)를 포함한다. 측벽고정부(15)의 끝단에는 삽입연결부(20)를 포함한다. 이때, 절곡부(13)의 굽힘각(θ)은 직각이 아니고, 부착되는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제1 보강재(100)는 강풍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파손이 용이하지 않은 강철과 같은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다. 지붕고정부(10), 절곡부(13), 측벽고정부(15) 및 삽입연결부(20)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에 설명하겠지만, 지붕고정부(10)는 후레싱(도 2의 30)의 상면에 결합되고, 측벽고정부(15)는 후레싱(30)의 측면에 결합된다. 후레싱(30)의 상면은 건축물의 지붕에 부착되고 측면은 측벽에 부착되므로, 지붕고정부(10)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고 측벽고정부(15)는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된다. 즉, 제1 보강재(100)는 후레싱(30)과 함께 건축물에 부착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first reinforcing
지붕고정부(10)에는 나사, 못, 볼트 등의 고정부(도 2의 50)가 삽입될 수 있는 상면고정홀(11)을 포함한다. 지붕고정부(10)에는 함몰된 형태의 제1 함몰부(12)가 존재하여, 제1 함몰부(12)는 지붕고정부(10)가 외력에 의해 뒤틀리지 않게 한다. 제1 함몰부(12)는 강풍에 기인하는 외력이 가해져도, 지붕고정부(10)가 쉽게 뒤틀리지 않도록 한다. 제1 함몰부(12)는 외력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견디는 임계치를 높인다. 제1 함몰부(12)에는 평활하게 함몰할 수 있지만, 제1 함몰부(12) 내의 다중의 함몰을 구현하여 상기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측벽고정부(15)에는 제1 함몰부(12)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제2 함몰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함몰부(12, 16)는 절곡부(13)를 거쳐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절곡부(13)는 절곡부(13)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14)를 포함한다. 브릿지(14)는 지붕 및 측벽고정부(10, 15)로 연장되며, 절곡부(13)에서 가장 깊게 패이고 지붕 및 측벽고정부(10, 15)으로 갈수록 패인 깊이가 얕아진다. 브릿지(14)는 절곡부(13)가 초기의 절곡각(θ)을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브릿지(14)가 없으면, 외력에 의해 절곡각(θ)을 쉽게 변화된다. 예컨대, 지붕 및 측벽고정부(10, 15)를 잡고 힘을 주면, 절곡각(θ)은 쉽게 달라진다. 절곡부(13)의 브릿지(14)는 강풍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제1 보강재(100)의 절곡각(θ)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급증시킨다.The
삽입연결부(20)는 후레싱(30)의 수용트렌치(33)에 삽입되어, 제1 보강재(100)가 후레싱(30)에 결합된다. 삽입연결부(20)는 결합되는 과정에서, 수용트렌치(33)에서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라운딩(rounding)된 형상을 가진다. 삽입연결부(20)가 라운딩되지 않으면, 수용트렌치(33)에서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다. 삽입연결부(20)는 제1 폭(W1)을 가지며, 제1 폭(W1)은 후레싱(30)의 크기, 수용트렌치(33)의 크기, 건축물의 종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예컨대, 실제 현장에서는 후레싱(30)의 길이는 30~120㎝가 적용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강재(100)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A1)가 건축물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1 보강재(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pplying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including the first reinforcing
도 2에 의하면, 후레싱(30)은 후레싱 본체(31), 제3 함몰부(32) 및 수용트렌치(33)를 포함한다. 후레싱 본체(31)는 강풍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파손이 용이하지 않은 강철과 같은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다. 제3 함몰부(32)는 강풍에 기인하는 외력이 가해져도, 후레싱 본체(31)가 쉽게 뒤틀리지 않도록 한다. 제3 함몰부(32)는 외력에 의해 뒤틀리지 않는 것을 견디는 임계치를 높인다. 제3 함몰부(32)에는 평활하게 함몰할 수 있지만, 제3 함몰부(32) 내의 다중의 함몰을 구현하여 상기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FIG. 2 , the flashing 30 includes a flashing
수용트렌치(33)는 제1 보강재(100)의 삽입연결부(20)가 수용되고, 트렌치(trench)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한쪽이 개방되어 있다. 삽입연결부(20)는 수용트렌치(33)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된 후, 후레싱(3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보강재(100)의 측벽고정부(15)는 후레싱(30)의 측면에 밀착된다. 즉, 제1 보강재(100)는 후레싱(30)의 내측에 결합된다. 삽입연결부(20)가 수용트렌치(33)에 삽입되고 측벽고정부(15)가 후레싱(30)의 측면에 밀착되면, 건축물(CS)에 부착하기 위한 후레싱 마감구조(A1)가 완성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1)는 제1 보강재(100) 및 후레싱(30)이 조합되어 완성된 것이다.The
후레싱 마감구조(A1)가 완성되면, 나사, 못, 볼트와 같은 고정부(50)에 의해 건축물(CS)에 고정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1)가 건축물(CS)에 고정되면, 건물 안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1)는 지붕의 틈을 방호하는 방수용 구조물로써,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후레싱 마감구조(A1)가 건축물(CS)에 부착된 후, 후레싱 마감구조(A1) 상에는 다양한 지붕 구조물(RS)가 결합된다. 지붕 구조물(RS)에는 슁글, 금속지붕재, 각종 방수를 위한 구조물 등과 같이 공지된 구조물이 있다. 예컨대, 지붕 구조물(RS)는 국내등록특허 제10-1923102호와 같은 지붕 구조물(RS)일 수 있다.Whe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is completed, it is fixed to the building (CS) by the fixing part (50) such as screws, nails, and bolts. Whe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is fixed to the building (CS), penetration of rainwater or moisture into the building is prevented.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is a waterproof structure that protects the gap in the roof, and is coupled to the roof end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entering or permeating the inside of the roof or building. After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is attached to the building CS, various roof structures RS are combined o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1. The roof structure RS includes a well-known structure such as a shingle, a metal roofing material, and various waterproof structures. For example, the roof structure RS may be a roof structure RS as in Korean Patent No. 10-19231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1)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부딪치면, 제1 보강재(100)에 의해 마감구조(A1)가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건축물(CS)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보강재(100)의 브릿지(14)는 마감구조(A1)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마감구조(A1)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면, 마감구조(A1)의 분리가 지붕 구조물(RS) 전체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지붕 전체가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When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ides with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the finishing structure (A1) is detached by the strong wind by the first reinforcin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2)에 적용되는 제2 보강재(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제2 보강재(200)는 후레싱(3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보강재(100)와 동일하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reinforcing
도 3에 의하면, 제2 보강재(200)는 지붕고정부(10), 절곡부(13), 측벽고정부(40) 및 삽입연결부(60)를 포함한다. 제2 보강재(200)의 지붕고정부(10), 상면고정홀(11), 제1 함몰부(12), 절곡부(13), 브릿지(14)는 제1 보강재(100)와 동일하다. 제2 보강재(200)의 측벽고정부(40)에는 제2 함몰부(16)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4 함몰부(41)를 포함하고, 상면고정홀(11)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측면고정홀(44)을 포함한다. 측벽고정부(40)는 굴곡진 굴곡부(42)를 마련되고, 굴곡부(42)에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43)는 측벽고정부(4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높인다. 브릿지(43)는 제1 및 제2 보강재(100, 200)의 지붕고정부(10) 및 제1 보강재(100)의 측벽고정부(15)에도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reinforcing
제2 보강재(200)의 삽입연결부(60)는 후레싱(30)의 수용트렌치(33)를 삽입되어 제2 보강재(200)가 결합된다. 삽입연결부(60)와 수용트렌치(33)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수용트렌치(33)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라운딩된 형상을 가진다. 삽입연결부(60)가 라운딩되지 않으면, 수용트렌치(33)에서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다. 삽입연결부(60)는 제2 폭(W2)을 가지며, 제2 폭(W2)은 후레싱(30)의 크기, 수용트렌치(33)의 크기, 건축물의 종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예컨대, 실제 현장에서는 후레싱(30)의 길이는 30~120㎝가 적용된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강재(200)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A2)가 건축물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보강재(200)는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pplying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2) including the second reinforcing
도 4에 의하면, 제2 보강재(200)와 결합되는 후레싱(30)은 후레싱 본체(31), 제3 함몰부(32) 및 수용트렌치(3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수용트렌치(33)는 제1 보강재(200)의 삽입연결부(60)에 수용된다. 수용트렌치(33)를 삽입연결부(60)에 삽입된 후, 후레싱(30)을 제2 보강재(200)로 회전시키면 후레싱(30)의 측면은 제2 보강재(200)의 측벽고정부(15)에 밀착된다. 즉, 제2 보강재(200)는 후레싱(30)의 외측에 결합된다. 삽입연결부(60)가 수용트렌치(33)를 수용하고 측벽고정부(15)가 후레싱(30)의 측면에 밀착되면, 건축물(CS)에 부착하기 위한 후레싱 마감구조(A2)가 완성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2)는 제2 보강재(200) 및 후레싱(30)이 조합되어 완성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flashing 30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후레싱 마감구조(A2)가 완성되면, 나사, 못, 볼트와 같은 고정부(50)에 의해 건축물(CS)에 고정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2)가 건축물(CS)에 고정되면, 건물 안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2)는 지붕의 틈을 방호하는 방수용 구조물로써,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후레싱 마감구조(A2)가 건축물(CS)에 부착된 후, 후레싱 마감구조(A2) 상에는 다양한 지붕 구조물(RS)가 결합된다. 지붕 구조물(RS)에는 슁글, 금속지붕, 각종 방수를 위한 구조물 등과 같이 공지된 구조물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붕 구조물(RS)는 국내등록특허 제10-1923102호와 같은 지붕 구조물(RS)일 수 있다.When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2) is completed, it is fixed to the building (CS) by the fixing part (50) such as screws, nails, and bolts. Whe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2) is fixed to the building (CS),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or moisture into the building is prevented.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2) is a waterproof structure that protects the gap in the roof, and is coupled to the roof end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entering or permeating the inside of the roof or building. After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2) is attached to the building (CS), various roof structures (RS) are coupled o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2). A known structure such as a shingle, a metal roof, and various waterproof structures may be coupled to the roof structure RS. For example, the roof structure RS may be a roof structure RS as in Korean Patent No. 10-19231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2)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부딪치면, 제2 보강재(200)에 의해 마감구조(A2)가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건축물(CS)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제2 보강재(200)의 브릿지(14)는 마감구조(A2)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마감구조(A2)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면, 마감구조(A2)의 분리가 지붕 구조물(RS) 전체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지붕 전체가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When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ides with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the finishing structure (A2) is detached by the strong wind by the second reinforc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3)에 적용되는 제3 보강재(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제3 보강재(300)는 후레싱(30)의 외측에 결합되고 삽입연결부(20)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보강재(100)와 동일하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reinforcing
도 5에 의하면, 제3 보강재(300)는 지붕고정부(10), 절곡부(13), 측벽고정부(70) 및 결합프레임(80)을 포함한다. 제3 보강재(300)의 지붕고정부(10), 상면고정홀(11), 제1 함몰부(12), 절곡부(13), 브릿지(14)는 제1 보강재(100)와 동일하다. 제3 보강재(300)의 측벽고정부(70)에는 제2 함몰부(16)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5 함몰부(71)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벽고정부(70)에는 제2 보강재(200)와 마찬가지로 굴곡부(42), 브릿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강재(300)는 제1 및 제2 보강재(100, 200)와는 달리, 삽입연결부(20, 60)는 구비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third reinforcing
결합프레임(80)은 프레임 몸체(81), 절곡부(82), 날개(84) 및 날개고정홀(85)을 포함한다. 프레임 몸체(81)는 날개(84)와 연결되며 대략 ㄷ자 형태를 가진다. 프레임 몸체(81)에는 제3 보강재(300)의 측벽고정부(70)가 수용된다. 절곡부(82)의 꺾인 부분에는 절곡부(82), 브릿지(8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83)는 절곡부(82)를 포함하는 프레임 몸체(81)의 형상을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브릿지(83)가 없으면, 외력에 의해 프레임 몸체(81)의 형상은 쉽게 변화된다. 예컨대, 날개(84)를 잡고 힘을 주면, 프레임 몸체(81)의 형상을 쉽게 달라진다. 특히, 절곡부(82)의 브릿지(83)는 강풍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결합프레임(80)이 변형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힘이 증가된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보강재(300)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A3)가 건축물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3 보강재(300)는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pplying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3) including the third reinforcing
도 6에 의하면, 제3 보강재(300)와 결합되는 후레싱(35)의 후레싱 본체(31) 및 제3 함몰부(3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3 보강재(300)의 후레싱(35)은 수용트렌치(33)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3 보강재(300)를 후레싱(35)에 밀착시키면, 건축물(CS)에 부착하기 위한 후레싱 마감구조(A3)가 완성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3)는 제3 보강재(300) 및 후레싱(35)이 조합되어 완성된 것이다. 후레싱 마감구조(A3)가 완성되면, 건축물(CS)의 상면은 나사, 못, 볼트와 같은 고정부(50)으로 고정되고, 건축물(CS)의 측면은 나사, 못, 볼트와 같은 고정부(51)에 의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6 , the flashing
후레싱 마감구조(A3)가 건축물(CS)에 고정되면, 건물 안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된다. 후레싱 마감구조(A3)는 지붕의 틈을 방호하는 방수용 구조물로써,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후레싱 마감구조(A3)가 건축물(CS)에 부착된 후, 후레싱 마감구조(A3) 상에는 다양한 지붕 구조물(RS)가 결합된다. 지붕 구조물(RS)에는 슁글, 금속지붕, 각종 방수를 위한 구조물 등과 같이 공지된 구조물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붕 구조물(RS)는 국내등록특허 제10-1923102호와 같은 지붕 구조물(RS)일 수 있다.Whe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3) is fixed to the building (CS),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or moisture into the building is prevented.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3) is a waterproof structure that protects the gaps in the roof, and is coupled to the roof end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entering or permeating the inside of the roof or building. After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3) is attached to the building (CS), various roof structures (RS) are combined on the flashing finish structure (A3). A known structure such as a shingle, a metal roof, and various waterproof structures may be coupled to the roof structure RS. For example, the roof structure RS may be a roof structure RS such as Korean Patent No. 10-19231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 마감구조(A3)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부딪치면, 제3 보강재(300)에 의해 마감구조(A3)가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건축물(CS)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제3 보강재(300)의 결합프레임(80)은 마감구조(A3)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마감구조(A3)가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면, 마감구조(A3)의 분리가 지붕 구조물(RS) 전체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지붕 전체가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When the flashing finishing structure (A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ides with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the finishing structure (A3) is detached by the strong wind by the third reinforcing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00, 200, 300; 제1 내지 제3 보강재
10; 지붕고정부 11; 상면고정홀
12, 16, 32, 41, 71; 제1 내지 제5 함몰부
13, 82; 절곡부
14, 43, 83; 브릿지
15, 40, 70; 측벽고정부
20, 60; 삽입연결부
30, 35; 후레싱
31; 후레싱 본체 33; 수용트렌치
42; 굴곡부 44; 측면고정홀
50, 51; 고정부
80; 결합프레임 81; 프레임 몸체
84; 날개 85; 날개고정홀
A1, A2, A3; 후레싱 마감구조100, 200, 300; first to third reinforcing materials
10;
12, 16, 32, 41, 71; first to fifth depressions
13, 82; bend
14, 43, 83; bridge
15, 40, 70; side wall fixing
20, 60; insert connection
30, 35; flashing
31; flashing
42;
50, 51; fixed part
80; combined
84;
A1, A2, A3; Flashing finish structure
Claims (6)
상기 지붕고정부에 결합되는 상면 및 상기 측벽고정부에 결합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후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고정부의 끝단에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에 수용되어 상기 보강재와 상기 후레싱을 결합시키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측벽고정부의 끝단에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를 수용하여 상기 보강재와 상기 후레싱을 결합시키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연결부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에 수용되어 상기 삽입연결부가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후레싱의 수용트렌치를 수용하여 상기 수용트렌치가 회전하도록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A roof fixing part fixed to the roof of the building, a side wall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and a reinforcement positioned between the roof fixing part and the side wall fixing part and including a bent bent part; and
It includes a flashing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roof fixing part and a side surface coupled to the side wall fixing part,
The end of the side wall fix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trench of the flashing and includes an insertion connection part for coupling the reinforcement and the flashing, or the end of the side wall fixing part receives the receiving trench of the flashing to accommodate the reinforcement and the flashing. It includes an insertion connection for coupling the
The insertion connecti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trench of the flashing and the insertion connection portion rotates, or the receiving trench of the flashing is received and the receiving trench is rounded so that the receiving trench rotates. Flashing finish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2044A KR102274045B1 (en) | 2019-12-16 | 2020-05-25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423A KR102122691B1 (en) | 2019-12-16 | 2019-12-16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KR1020200062044A KR102274045B1 (en) | 2019-12-16 | 2020-05-25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423A Division KR102122691B1 (en) | 2019-12-16 | 2019-12-16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816A KR20210076816A (en) | 2021-06-24 |
KR102274045B1 true KR102274045B1 (en) | 2021-07-08 |
Family
ID=710885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423A Active KR102122691B1 (en) | 2019-12-16 | 2019-12-16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KR1020200062044A Active KR102274045B1 (en) | 2019-12-16 | 2020-05-25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423A Active KR102122691B1 (en) | 2019-12-16 | 2019-12-16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1226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7401Y1 (en) * | 2021-02-26 | 2023-10-31 |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9264Y1 (en) | 1996-07-23 | 1999-10-15 | 김평기 | Waterproof roof of architecture |
KR200362810Y1 (en) | 2004-06-22 | 2004-09-23 | (주)엘엔비 | The corner connector for eaves flashing of a prefabricated hous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0721Y1 (en) * | 1995-09-04 | 1998-12-15 | 홍성기 | Tool for roof working |
KR101426881B1 (en) * | 2012-07-26 | 2014-08-06 | 주식회사 견준씨에스 | Waterproofing roof shingle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blowing of roof shingle |
KR101465396B1 (en) * | 2014-04-24 | 2014-11-25 | 장정일 | Stainless stell windows frame with excellent adiabatic propert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KR101923102B1 (en) * | 2016-10-26 | 2018-11-28 | 석민건설(주) |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7423A patent/KR102122691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5-25 KR KR1020200062044A patent/KR1022740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9264Y1 (en) | 1996-07-23 | 1999-10-15 | 김평기 | Waterproof roof of architecture |
KR200362810Y1 (en) | 2004-06-22 | 2004-09-23 | (주)엘엔비 | The corner connector for eaves flashing of a prefabricated ho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2691B1 (en) | 2020-06-12 |
KR20210076816A (en)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4045B1 (en) |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 |
KR102345836B1 (en) | Reinforcing structure of metal roof parts for blocking damaged by strong wind having | |
KR20220002144U (en) | Flashing finish structure including reinforcing material to block damage caused by strong wind | |
US20250075507A1 (en) | Draining member | |
JP3103835B2 (en) | Window surrounding structure | |
KR20200087498A (en) | Corner finishing member of coner for building structures | |
JPH0433288Y2 (en) | ||
KR100508211B1 (en) | Roof handrail structure using waterproof member for appartment house | |
JP2007297847A (en) | Karaba structure | |
KR100577090B1 (en) | Prefab siding | |
JPH027129Y2 (en) | ||
JPH06185160A (en) | Base plate for roof | |
JPH08326202A (en) | Roof panel for covering rain gutter and mounting structure of rain gutter | |
JPH11303292A (en) | Hood | |
GB2304778A (en) | Render or plastic profile with means to provide a drip groove | |
JP2002227347A (en) | Roof edge structure | |
GB2612314A (en) | Dry verge unit | |
JPH027128Y2 (en) | ||
KR20220000420U (en) | Auxiliary cover for a pannel | |
JP2003119963A (en) | Flat roof tile | |
JP2502825B2 (en) | Tiled roof structure | |
JPH0813706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thatched roof | |
JP2001323601A (en) | Tile and tile laying method | |
JPH017782Y2 (en) | ||
JPH0430252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121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167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