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40B1 -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Google Patents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540B1 KR102273540B1 KR1020210015214A KR20210015214A KR102273540B1 KR 102273540 B1 KR102273540 B1 KR 102273540B1 KR 1020210015214 A KR1020210015214 A KR 1020210015214A KR 20210015214 A KR20210015214 A KR 20210015214A KR 102273540 B1 KR102273540 B1 KR 102273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nnecting member
- connection
- vertical plate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36—Winged profiles, e.g. with a L-, T-, U- or X-shaped cross s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메인프레임(10);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20);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되 일단부에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30);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0);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어 연결프레임(30)에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서브프레임(50); 제2연결부재(40)와 동일 구조로 되어 제2연결부재(40)와 회전 대칭되게 서브프레임(50)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4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3연결부재(60); 제2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측판(7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대칭 배치를 통해 지지가 가능한 연결부재와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퍼걸러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할 때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연결부재를 다양한 규격의 프레임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a pergola, comprising: a main frame (10) made of an aluminum extrusion; a first connecting member 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A connection frame 30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such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01 is formed at one end so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0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a second connecting member 4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frame 30; a sub-frame 50 made of an aluminum extrusion material an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the connecting frame 30; A third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and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bframe 50 to be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 and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 (60); a coupling side plate 70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60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at the same time;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djust the length at the job sit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adjusted at an angle as well as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supported through rotationally symmetrical arrangement, so that when connecting the frame of the pergola at an angle, it is quick and convenient, As well as being firmly connected, there is an effect that a single connecting member can be used in common with frames of various standards.
Description
본 발명은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대칭 배치를 통해 지지가 가능한 연결부재와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퍼걸러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할 때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단일의 연결부재를 다양한 규격의 프레임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케 한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connection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together with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length at the job site and can be supported through a rotationally symmetrical arrangement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that allows a quick, simple and robust connection when connecting the frames of the slanted frame, and at the same time, a single connecting member can be used in common with frames of various sizes.
퍼걸러(Pergola)는 마당에 덩굴식물을 올리기 위해 설치한 시설로서, 마당이나 평평한 지붕 위에 나무를 가로와 세로로 얽어 세워서 등나무, 포도나무 같은 덩굴성 식물을 올리도록 만든 시설이다.A pergola is a facility installed to put creeping plants in the yard, and it is a facility to mount creeping plants such as wisteria and vines by entwining tre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a yard or flat roof.
우리나라의 건축법에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할 때는 공개공지나 공개공간을 두어야 하는데, 이때 공개공지에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긴 의자 등과 더불어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의 하나로서, 공공을 위한 휴게시설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Under the Korean building law, when a building of a certain size or larger is built, an open space or open space must be left. At this time, a rest facility for the public is one of the facilities that must be installed along with benches so that the public can use it. installed for the purpose
일반적인 퍼걸러는 벽체가 없이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체로 이루어지는데, 과거에는 기둥 및 지붕체를 구성하는 주요 프레임을 목재로 제작하였으나, 목재의 특성상 기후 변화로 인해 뒤틀림이나 갈라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강도에 비해 무게가 무겁고, 견고한 목재의 경우 가격도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 A general pergoler consists of a roof body supported by a number of pillars without a wall. In the past, the main frame constituting the pillar and roof body was made of wood,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wood, warping or cracking may occur due to climate change. Frequently, the weight is heavy compared to the strength, and in the case of solid wood, the price is very high.
그리하여 근래에는 구조적 강도가 뛰어나면서도 목재에 비해 가볍고, 가격도 더 저렴한 도장된 각파이프를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method of using a painted square pipe as a frame, which is lighter than wood and cheaper than wood while having excellent structural strength, has become common.
한편, 각파이프로 된 프레임을 이용한 퍼걸러 제작 시, 프레임의 연결을 위해서는 프레임의 연결부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용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도장면이 손상되고, 그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용접부를 비롯하여 프레임의 연결부에 부식(녹)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manufacturing a pergola using a frame made of a square pip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frame by welding was mainly used to connect the frame, but the painted surface of the frame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welding, and as a result, time is shorten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rrosion (rust) occurs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including the welding part.
또한, 부식이 발생한 부분이 빗물 등에 노출되면, 녹물이 흘러내리면서 퍼걸러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도 있으며, 부식이 발생한 부분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구조 안정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rtion where corrosion has occurred is exposed to rainwater, etc.,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rust water flows down and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pergol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ructural stability is also reduced as the portion where corrosion occurs is continuously expanded.
그리하여 근래에는 각파이프로 된 프레임을 연결할 때, 용접 대신 연결부재를 이용해 나사 결합하여 프레임를 연결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hen connecting a frame made of a square pipe, a method of connecting the frame by screwing using a connecting member instead of welding has been applied.
그런데 종래의 연결부재는 프레임의 단면 형상과 내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L" 자형 또는 “T "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결합부를 프레임 내부에 끼워 조립한 후, 결합부와 프레임을 나사 결합하거나, 연결부재의 일측면을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고, 연결부재의 타측면을 메인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외측면 또는 단부에 나사 결합하거나, 서브프레임의 단부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프레임 간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mber, at least one coup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inner diameter of the frame is formed in an "L" shape or a "T" shape, so that each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rame and assembled, and then the coupling part and the frame are screwed Or,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fix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r end of the subframe for connecting to the main frame, or at the end of the subfra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ames is made by inserting and screwing them together.
그로 인해 종래의 연결부재는 프레임이 되는 각파이프의 규격(단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별도 제작해야 하고, 그로 인해 제작에 필요한 금형 등을 각각 구비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조원가 인상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has to be separately manufactured in various specifications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cross-section) of each pipe that becomes the frame, and accordingly, the necessary molds for production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ly. There is an unavoidable drawback to this.
특히 복수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각도에 따라 연결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별도 제작해야 하고, 그로 인해 제작에 필요한 금형 등을 각각 구비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조원가 인상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In particular, even when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at an angle, the connecting member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the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and therefore, a mold, etc. required for production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resulting in an unavoidabl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There is this.
또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된 연결부재를 규격별로 보관해야 함으로써 물류, 관리 등에 따른 비용 부담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burden due to logistics, management, etc. increases because the connecting members manufactured in various standards must be stored for each standar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대칭 배치를 통해 지지가 가능한 연결부재와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퍼걸러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게 한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s well as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length at the job site and can be supported through a rotationally symmetrical arrangement to tilt the frame of the pergol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that can be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연결부재를 다양한 규격의 프레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a pergola that allows a single connection member to be commonly used in frames of various standards.
또한,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다양한 각도의 프레임 연결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a pergolas that is provided with an angle-adjustable connection member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on for frame connection of various angle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는,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메인프레임(10);Mainframe (10)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20);a first connecting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되 일단부에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30);A
상기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0);a second connecting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어 연결프레임(30)에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서브프레임(50);a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동일 구조로 되어 제2연결부재(40)와 회전 대칭되게 서브프레임(50)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4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3연결부재(60);A third connection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측판(70); 을 포함한다.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사각 파이프로 되며, 내부에는 가로세로 격자형으로 힘살부(101)가 형성되고, 힘살부(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는,In one embodiment, the
소정 길이의 제1세로판(201);a first
상기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형성된 힌지부(202);a
상기 힌지부(202)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 회전브라켓(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사각 파이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는,In one embodiment, the
소정 길이의 제2세로판(401);a second
상기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지지돌부(402);a
상기 제2세로판(401)의 일단부에 제2세로판(401)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로판(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지지돌부(402)는 제2나사결합공(402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브프레임(50)은 사각 파이프로 되며, 내부에는 가로세로 격자형으로 힘살부(501)가 형성되고, 힘살부(5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5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연결부재(60)는,In one embodiment, the
소정 길이의 제3세로판(601);a third
상기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3지지돌부(602);a
상기 제3세로판(601)의 일단부에 제3세로판(601)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3가로판(6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지지돌부(602)는 제3나사결합공(602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측판(70)은, 제2연결부재(40)에 안착된 제3연결부재(60)의 상단부와, 제2연결부재(40)의 하단부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부(701)가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공부(701)는, 제2연결부재(40)의 제2나사결합공(402a) 및 제3연결부재(60)의 제3나사결합공(602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는,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절단안내홈(2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상기 제1절단안내홈(204)은 제1세로판(201)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는,The first
상기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나사결합홈(205);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상기 제1나사결합홈(205)은 제1세로판(201)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crew coupling groove (20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201).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는,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2절단안내홈(4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는,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2나사결합홈(405);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연결부재(60)는,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3절단안내홈(6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r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연결부재(60)는,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3나사결합홈(605);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r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지지돌부(4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진 제2경사면(402b)을 더 구비하고, 제3지지돌부(6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진 제3경사면(602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경사면(402b)과 제3경사면(602b)은 요철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02b)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602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측판(70)은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제4절단안내홈(70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4절단안내홈(702)은 제2연결부재(40)의 제2세로판(401)에 형성된 제2절단안내홈(404)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fourth cutt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 간에는 간격유지부재(80); 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간격유지부재(80)는 각파이프형으로 압출 성형되어 제2연결부재(40)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대칭 배치를 통해 지지가 가능한 연결부재와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퍼걸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할 때,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한 연결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ame constituting the pergola is connected at an angle by providing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adjusted in angle as well as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length at the job site and supported through rotationally symmetrical arrangement, it is fast and simple and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strong connection.
또한, 퍼걸러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된 각파이프를 사용하고,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프레임 간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 강도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무게가 가벼워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며, 부식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constituting the pergola uses a square pipe extruded from aluminum,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extru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ames is made through screw coupling, so the structural strength is excellent, and the weight is light. And it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because corrosion does not occur.
또한,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되, 프레임 단면의 가로 길이에 맞게 절단 제조되며, 퍼걸러를 구성하는 프레임 단면의 세로 길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연결부재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부재의 사용 편의성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작업 능률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extru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cut and manufactured to fi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rame cross-section,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used at the job site accor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ame cross-section constituting the pergol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not only the ease of use of the member, but also the work efficiency in the field.
또한, 연결부재는 프레임 단면의 가로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 프레임 단면의 세로 길이와 관계없이 단일종의 연결부재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부재의 보관에 따른 물류, 관리 등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is the same, a single type of connecting member can be us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ogistics and management due to the storag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또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연결프레임(30)의 일단부를 연결 각도에 맞게 가공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각도의 프레임 연결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부재의 보관에 따른 물류, 관리 등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it is possible to use it in common for connecting frames of various angles just by process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도 1은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a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All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will only refer to distinguishing ele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는 메인프레임(10), 제1연결부재(20), 연결프레임(30), 제2연결부재(40), 서브프레임(50), 제3연결부재(60), 결합측판(70)을 포함한다.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되되, 사각 파이프로 되며, 내부에는 가로세로 격자형으로 힘살부(101)가 형성되고, 힘살부(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102)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연결부재(20)는,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제1세로판(201), 힌지부(202), 회전브라켓(203)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1세로판(201)은 소정 길이의 사각 판재로 형성된다.The first
이때, 제1세로판(201)의 가로 길이는 한정하지 않으며, 제1세로판(201)의 세로 길이는 메인프레임(10) 단면의 세로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따라서 제1세로판(201)의 외측면을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세로판(201)의 내측면에서 직결나사를 투입하여 제1세로판(201)을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고정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상기 힌지부(202)는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회전브라켓(203)은 소정 크기의 상판(203a)과 하판(203b) 간에 수직연결판(203c)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판(203a)과 하판(203b)이 힌지부(202)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다. In the
이때, 회전브라켓(203)은 연결프레임(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판(203a)과 하판(203b) 간의 간격이 각파이프로 된 연결프레임(30)의 중공부(302) 상면과 하면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수직연결판(203c)의 가로 길이가 연결프레임(30)의 중공부(302)의 가로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회전브라켓(203)은 메인프레임(10)에 연결되는 서브프레임(50)의 연결 각도에 따라 필요한 각도로 회전 가능케 된다.Accordingly, the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되 일단부에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에 결합된다.The
상기 제1경사면(301)의 형성은 메인프레임(10)과 서브프레임(50)의 연결 각도에 따라 공장이나 작업 현장에서 절단 가공하여 형성된다.The formation of the first
한편, 연결프레임(30)은 사각 파이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따라서 연결프레임(30)을 제1연결부재(20)에 결합할 때에는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의 회전브라켓(203)을 연결프레임(30)의 중공부(302) 내부로 투입한 후, 회전브라켓(203)의 수직연결판(203c) 외면이 연결프레임(30)의 외측 단부와 일치하게 하고, 연결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직결나사를 투입하여 연결프레임(30)과 회전브라켓(203)의 상판(203a) 및 하판(203b)을 나사 결합한다.Therefore, when coupling the
상기 제2연결부재(40)는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밀착되게 제1연결부재(20)와 결합되도록 제2세로판(401), 제1제2지지돌부(402), 제2가로판(403)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2세로판(401)은 소정 길이의 사각 판재로 형성된다.The second
이때, 제2세로판(401)의 가로 길이는 연결프레임(30) 중공부(302)의 가로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또한, 제2세로판(401)의 세로 길이는 연결프레임(30) 단면의 세로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따라서 제2세로판(401)의 외측면을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세로판(401)의 내측면에서 직결나사를 투입하여 제2세로판(401)을 제1연결부재(20)의 수직연결판(203c) 외측면에 고정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상기 제2지지돌부(402)는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서 제2세로판(401)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제2가로판(403)은 제2세로판(401)의 일단부에 제2세로판(401)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The second
이때, 제2세로판(401)에서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로판(403)의 길이는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지지돌부(402)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econd
한편, 제2연결부재(40)는 압출 성형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압출 성형 과정에서 제2세로판(401), 제2지지돌부(402), 제2가로판(403)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ng
또한, 제2연결부재(40)를 압출 성형함에 있어서, 소재는 한정하지 않으나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xtrusion molding of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서브프레임(50)은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되되, 사각 파이프로 되며, 내부에는 가로세로 격자형으로 힘살부(501)가 형성되고, 힘살부(5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502)이 형성되어 연결프레임(30)에 일직선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제3연결부재(60)는 제2연결부재(40)와 동일 구조로 되어 제2연결부재(40)와 회전 대칭되게 서브프레임(50)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40)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제3세로판(601), 제3지지돌부(602), 제3가로판(603)을 포함한다.The third connecting
상기 제3세로판(601)은 소정 길이의 사각 판재로 형성된다.The third
이때, 제3세로판(601)의 가로 길이는 서브프레임(50) 단면의 가로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또한, 제3세로판(601)의 세로 길이는 메인프레임(10) 단면의 세로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third
따라서 제3세로판(601)의 외측면을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3세로판(601)의 내측면에서 직결나사를 투입하여 제3세로판(601)을 세로판의 일단부에 고정한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이때, 직결나사는 서브프레임(50)에 형성된 힘살부(501)에 구비된 나사체결공(502)으로 투입됨으로써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3세로판(601)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케 된다. At this time, the direct screw is inserted into the
상기 제3지지돌부(602)는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서 제3세로판(601)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의 상부에 안착된다.The
상기 제3가로판(603)은 제3세로판(601)의 일단부에 제3세로판(601)과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The third
이때, 제3세로판(601)에서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3가로판(603)의 길이는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지지돌부(602)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third
한편, 제3연결부재(60)는 압출 성형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압출 성형 과정에서 제3세로판(601), 제3지지돌부(602), 제3가로판(603)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connecting
또한, 제3연결부재(60)를 압출 성형함에 있어서, 소재는 한정하지 않으나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xtrusion molding of the third connecting
한편, 제3연결부재(60)는 제2연결부재(4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부재(40)를 그대로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hird connecting
따라서,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20)에 의해 메인프레임(10)에 소정 각도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30)의 외측 단부에 제2연결부재(40)를 설치하고, 메인프레임(10)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고자 하는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제3연결부재(60)를 설치한 후,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의 상부에 제3연결부재(60)의 제3지지돌부(602)를 안착시키면 제3연결부재(60)가 제2연결부재(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서브프레임(50)의 지지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결합측판(70)은 제2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부(701)가 구비된다.The
따라서, 제2연결부재(40)에 제3연결부재(60)가 지지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40)의 측면에 결합측판(70)을 밀착시키고, 일측 통공부(701)를 통해 체결나사를 투입하여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 측면에 나사 결합하고, 타측 통공부(701)를 통해 체결나사를 투입하여 제3연결부재(60)의 제3지지돌부(602) 측면에 나사 결합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connecting
즉, 결합측판(70)에 의해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에 동시에 결합되면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연결프레임(30)과 서브프레임(50)은 일직선으로 연결된다.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한편, 결합측판(70)을 제2연결부재(40) 및 제3연결부재(60)의 양 측면에 나사 결합할 때, 통공부(701)를 통해 투입되는 체결나사의 체결이 원활하도록 제2지지돌부(402)에는 제2세로판(401)의 가로 방향으로 제2나사결합공(402a)이 더 구비되고, 제3지지돌부(602)에는 제3세로판(601)의 가로 방향으로 제3나사결합공(602a)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는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된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제1연결부재(20)를 설치하고, 알류미늄재로 압출 성형된 연결프레임(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연결프레임(30)을 제1연결부재(20)에 결합하며,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제2연결부재(40)를 나사 결합하고, 제2연결부재(40)와 동일한 구조로 된 제3연결부재(60)를 제2연결부재(40)와 회전 대칭되게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제2연결부재(40)에 제3연결부재(6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의 양 측면에 결합측판(70)을 결합함으로써 퍼걸러의 메인프레임(10)에 서브프레임(50)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할 때,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한 연결이 가능케 된다. Th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stalls th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는,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절단안내홈(2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상기 제1절단안내홈(204)은 제1세로판(201)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따라서, 연결프레임(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세로판(201)이 연결프레임(30)의 중공부(302) 내부로 완전 삽입되게 제1세로판(201)의 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first vertical plate screwed to one side of the
이때, 제1절단안내홈(204)을 이용한 제1세로판(201)의 가로 길이 조절은 제1절단안내홈(204)을 칼로 절단하거나, 꺾어 부러뜨리는 등의 방식으로 제1세로판(201)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가능케 된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20)는,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나사결합홈(205); 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상기 제1나사결합홈(205)은 제1세로판(201)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부재(20)를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직결나사를 투입할 때, 직결나사가 투입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정확한 결합력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직결나사가 완전히 투입되면 직결나사의 머리부가 제2나사홈 내부로 투입되면서 머리부가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는,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2절단안내홈(4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상기 제2절단안내홈(404)은 제2세로판(40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부재(40)가 밀착되는 연결프레임(30)의 단면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의 제2절단안내홈(404)을 칼로 절단하거나, 꺾어 부러뜨리는 등의 방식으로 제2세로판(401)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세로판(401)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일의 제2연결부재(40)를 다양한 규격의 연결프레임(3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는,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2나사결합홈(405); 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2나사결합홈(405)은 제2세로판(40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부재(40)를 제1연결부재(20)의 수직연결판(203c)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직결나사를 투입할 때, 직결나사가 투입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정확한 결합력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직결나사가 완전히 투입되면 직결나사의 머리부가 제2나사홈 내부로 투입되면서 머리부가 돌출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 간에 간격유지부재(80)를 설치할 때, 머리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The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연결부재(60)는,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3절단안내홈(6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상기 제3절단안내홈(604)은 제3세로판(60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3연결부재(60)가 결합되는 서브프레임(50)의 단면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의 제3절단안내홈(604)을 칼로 절단하거나, 꺾어 부러뜨리는 등의 방식으로 제3세로판(601)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제3세로판(601)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일의 제3연결부재(60)를 다양한 규격의 프레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thir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연결부재(60)는, 제3세로판(601)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3나사결합홈(605); 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3나사결합홈(605)은 제3세로판(60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3나사결합홈(605) 간의 간격은 서브프레임(50)에 형성된 나사체결공(502)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따라서, 제3연결부재(60)를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직결나사를 투입할 때, 직결나사가 서브프레임(50)의 나사체결공(502)으로 정확하게 체결되면서 정확한 결합력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직결나사가 완전히 투입되면 직결나사의 머리부가 제3나사홈 내부로 투입되면서 머리부가 돌출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제3연결부재(60)와 제3연결부재(60) 간에 간격유지부재(80)를 설치할 때, 머리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inserting the direct screw in order to screw the third connect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진 제2경사면(402b)을 구비하고, 제3연결부재(60)의 제3지지돌부(6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진 제3경사면(602b)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따라서,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제2연결부재(40)를 설치하고, 메인프레임(10)과 직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제3연결부재(60)를 설치한 후,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의 상부에 제3연결부재(60)의 제3지지돌부(602)를 안착시키면 제2지지돌부(402)의 제2경사면(402b)에 제3지지돌부(602)의 제3경사면(602b)이 밀착되면서 제3연결부재(60)가 서브프레임(50)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제2경사면(402b)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3지지돌부(602)의 외면이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결합측판(70)을 나사 결합할 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합이 가능케 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한편, 제2경사면(402b)과 제3경사면(602b)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사진 요철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측판(70)은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제4절단안내홈(7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제4절단안내홈(702)은 제2연결부재(40)의 제2세로판(401)에 형성된 제2절단안내홈(404)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urth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2연결부재(40)의 제2세로판(401)에 형성된 제2절단안내홈(404)을 이용하여 제2세로판(401)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때, 결합측판(70)도 제4절단안내홈(702)을 칼로 절단하거나, 꺾어 부러뜨리는 등의 방식으로 제2세로판(401)의 길이에 대응되게 함으로써 퍼걸러 설치 현장에서 프레임을 연결할 때, 결합측판(70)의 길이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능률 및 편의성의 더욱 향상된다.Therefore, when necessary, the second
도 4는 본 발명의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 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상기 간격유지부재(80)는 각파이프형으로 압출 성형되어 제2연결부재(40)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간격유지부재(80)의 저면은 제2연결부재(4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며, 간격유지부재(80)의 상면은 제3연결부재(60)의 저면에 대응되는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연결프레임(30)의 단면 세로 길이가 길고, 서브프레임(50)의 단면 세로 길이가 긴 경우에 연결프레임(30)의 일단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40)의 제2세로판(401)의 세로 길이를 길게 유지하고, 서브프레임(5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60)의 제3세로판(601)의 세로 길이를 길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80)를 올린 후, 그 간격유지부재(80)의 상부에 제3연결부재(60)의 제3지지돌부(602)를 안착시키고, 결합측판(70)을 결합함으로써 간격유지부재(80)에 의해 제2지지돌부(402)와 제3지지돌부(602) 간 이격이 방지됨과 동시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 유지가 가능케 된다. Therefore, when the cross-sectional vertical length of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 메인프레임 101: 힘살부
102: 나사체결공 20: 제1연결부재
201: 제1세로판 202: 힌지부
203: 회전브라켓 203a: 상판
203b: 하판 203c: 수직연결판
204: 제1절단안내홈 205: 제1나사결합홈
30: 연결프레임 301: 제1경사면
302: 중공부 40: 제2연결부재
401: 제2세로판 402: 제2지지돌부
402a: 제2나사결합공 402b: 제2경사면
403: 제2가로판 404: 제2절단안내홈
405: 제2나사결합홈 50: 서브프레임
501: 힘살부 502: 나사체결공
60: 제3연결부재 601: 제3세로판
602: 제3지지돌부 602a: 제3나사결합공
602b: 제3경사면 603: 제3가로판
604: 제3절단안내홈 605: 제3나사결합홈
70: 결합측판 701: 통공부
702: 제4절단안내홈 80: 간격유지부재10: mainframe 101: strength
102: screw fastening hole 20: first connection member
201: first vertical plate 202: hinge portion
203:
203b:
204: first cutting guide groove 205: first screw coupling groove
30: connection frame 301: first inclined surface
302: hollow 40: second connection member
401: second vertical plate 402: second support protrusion
402a: second
403: second horizontal plate 404: second cutting guide groove
405: second screw coupling groove 50: subframe
501: force sal part 502: screw fastening hole
60: third connecting member 601: third vertical plate
602:
602b: third inclined surface 603: third horizontal plate
604: third cutting guide groove 605: third screw coupling groove
70: coupling side plate 701: through part
702: fourth cutting guide groove 80: gap maintaining member
Claims (5)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20);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되 일단부에 제1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제1경사면(301)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30);
상기 연결프레임(30)의 타단부에 밀착되도록 제1연결부재(20)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0);
알루미늄 압출재로 되어 연결프레임(30)에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서브프레임(50);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동일 구조로 되어 제2연결부재(40)와 회전 대칭되게 서브프레임(50)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4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3연결부재(60);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서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측판(70); 을 포함하는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
Mainframe (10)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a first connecting member 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A connection frame 30 made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such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01 is formed at one end so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0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a second connecting member 4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frame 30;
a sub-frame 50 made of an aluminum extrusion material an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the connecting frame 30;
A third connection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bframe 50 to be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 and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 member 60;
a coupling side plate 70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60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at the same time;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comprising a.
소정 길이의 제1세로판(201);
상기 제1세로판(201)의 내면에 형성된 힌지부(202);
상기 힌지부(202)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 회전브라켓(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0),
a first vertical plate 201 of a predetermined length;
a hinge portion 2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201;
a rotation bracket 203 hinged to the hinge portion 202 so as to be rotatable;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소정 길이의 제2세로판(401);
상기 제2세로판(40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지지돌부(402);
상기 제2세로판(401)의 일단부에 제2세로판(401)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로판(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a second vertical plate 401 of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support protrusion 402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401;
a second horizontal plate 403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40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vertical plate 401;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2지지돌부(4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진 제2경사면(402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연결부재(60)의 제2지지돌부(402)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진 제3경사면(602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40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further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402b that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402)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60) is a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inclined surface (602b)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ner side from the outside.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제3연결부재(60) 간에는 간격유지부재(80); 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걸러용 프레임 경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gap maintaining member 80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60; Frame inclined connection structure for pergola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214A KR102273540B1 (en) | 2021-02-03 | 2021-02-03 |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214A KR102273540B1 (en) | 2021-02-03 | 2021-02-03 |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540B1 true KR102273540B1 (en) | 2021-07-05 |
Family
ID=7689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214A Active KR102273540B1 (en) | 2021-02-03 | 2021-02-03 |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54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7217A (en) * | 1998-03-31 | 1999-10-19 | Sekisui Jushi Co Ltd | Connecting joint and connecting structure using it |
KR20130088208A (en) * | 2012-01-31 | 2013-08-08 | (주)이건환경 | Angle and direction adjusting joint of design fence between parapet and rail |
KR102154625B1 (en) * | 2019-09-04 | 2020-09-10 | 최훈정 | Seismic retrofit using length-controlled steel moment frame |
KR102198692B1 (en) * | 2020-03-09 | 2021-01-05 | 김종탁 | pavilion type pergola |
-
2021
- 2021-02-03 KR KR1020210015214A patent/KR1022735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7217A (en) * | 1998-03-31 | 1999-10-19 | Sekisui Jushi Co Ltd | Connecting joint and connecting structure using it |
KR20130088208A (en) * | 2012-01-31 | 2013-08-08 | (주)이건환경 | Angle and direction adjusting joint of design fence between parapet and rail |
KR102154625B1 (en) * | 2019-09-04 | 2020-09-10 | 최훈정 | Seismic retrofit using length-controlled steel moment frame |
KR102198692B1 (en) * | 2020-03-09 | 2021-01-05 | 김종탁 | pavilion type pergol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79263B2 (en) | Adjustable baluster assembly | |
KR102027278B1 (en) | Curvature-controllable concrete structure formwork | |
KR102273540B1 (en) | Frame Slope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
KR102322996B1 (en) | Frame Perpendicular Connection Structure for Fugler | |
KR200492348Y1 (en) | Support which can adjust height using a popnut | |
KR200425100Y1 (en)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 |
KR20170000826A (en) | The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for fixing a window | |
KR101264529B1 (en) | Drain pipe supporting device of bridge | |
KR101052076B1 (en) | Truss for ceiling structure | |
KR200396804Y1 (en) | Deck system for floor | |
KR200454218Y1 (en) | Handrail | |
JP3726103B2 (en) | Frame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
CN2568756Y (en) | Three-rod, three-post combined framework carriage | |
JP2004036182A (en) | Fixed structure for building base | |
CN212453199U (en) | Combined foamed concrete wall and building | |
CN214943542U (en) | Timber structure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 |
CN222879078U (en) | An antique building eaves rafter structure | |
KR102649895B1 (en) | fence assembly with free rotatable construction of transverse bar easily | |
KR200280824Y1 (en) | Floor construction work device | |
CN219671621U (en) | Hidden moun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house transportation frame | |
CN209369325U (en) | The adjustable fixed support bracket of the big punching block of exterior wall | |
CN209942605U (en) | Composite wooden door with assembled structure | |
JP4750572B2 (en) | Embedded bracket | |
JPH10331397A (en) | Floor post and its manufacture | |
KR20230001469U (en) | Head of support for inclined form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