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3386B1 -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 Google Patents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386B1
KR102273386B1 KR1020200170559A KR20200170559A KR102273386B1 KR 102273386 B1 KR102273386 B1 KR 102273386B1 KR 1020200170559 A KR1020200170559 A KR 1020200170559A KR 20200170559 A KR20200170559 A KR 20200170559A KR 102273386 B1 KR102273386 B1 KR 10227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ose
mask body
dental
bri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권
Original Assignee
김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2020017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86B1/ko
Priority to JP2023527984A priority patent/JP2023545211A/ja
Priority to EP21903624.1A priority patent/EP4238439A4/en
Priority to US18/035,305 priority patent/US20230404188A1/en
Priority to PCT/KR2021/015693 priority patent/WO2022124577A2/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덴탈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거나 하품을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아 콧등을 벗어나지 않고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해 주게 되고,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거나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있는,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는,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고 직사각형 형상인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착용을 위한 이어밴드를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 상단 부분에 일정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콧등밀착커버가 더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Dental mask with anti-flow and fogging function}
본 발명은 덴탈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아 콧등을 벗어나지 않고, 안경에 김서림이 방지되는,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외부의 찬 공기를 차단하고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것으로, 직물지 등을 이용해 제작하는 방한용 마스크부터 각종 필터를 결합시켜 미세분진까지 차단할 수 있는 산업용 및 방진마스크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용도에 따라 판매되고 있다. 사스(SARS), 메르스(MERS)에 이어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세계적 유행 상태인 팬데믹(Pandemic)을 선포하기에 이르면서 마스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은 물론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외출시 마스크가 필수품이 되었다.
마스크는 코와 입이 가려지도록 정상적으로 착용했을 때 마스크 착용의 효과가 있는데, 코와 입을 모두 가리면 답답하기 때문에 코를 가리지 않은 상태로 착용한다거나 코와 입을 모두 가리지 않고 턱에만 걸쳐서 착용하는 사람도 일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COVID-19)의 재확산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외출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행정조치를 시행하고 있는데, 다중이용 시설이나 대중교통 또는 공공장소 등에서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고 있어서 시비가 일어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마스크 착용시 가장 많이 경험하는 문제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했어도 대화를 하다보면 마스크가 흘러내려 콧등을 벗어나서 코를 가리지 못하게 되므로 대화를 하면서 손으로 마스크 본체의 윗부분을 잡고 끌어올려서 마스크가 코를 가리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이때 손으로 마스크 본체를 잡고 올리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손에 묻어서 감염의 원인이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안경을 낀 사람들에게 가장 불편한 사항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지 않더라도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입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게 되어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전방을 주시해야 할 상황에서는 안경을 벗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1418787호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한국 특허등록 제1651728호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등이 출현했으나, 이들은 마스크 착용끈이 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일회용으로 착용하는 마스크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보건용 마스크 중에서 3D 마스크는 상부와 하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상부에 콧등에 걸쳐져서 마스크가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지지해 주는 코지지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2D 마스크는 마스크 형상의 중앙 상단이 콧등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의 흘러내림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하지만, 덴탈마스크는 마스크 본체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 노즈와이어를 매립한 구조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면 안면(顔面)이 움직이게 되므로 마스크의 흘러내림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마스크 본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마스크 본체가 콧등 주변의 굴곡부위의 틈새를 막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입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매우 심하게 발생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덴탈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거나 하품을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아 콧등을 벗어나지 않고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해 주게 되고,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거나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있는,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려 주게 되고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착용시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 상단 부분에 일정 폭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콧등밀착커버가 더 부착되어 구성되며, 콧등밀착커버는 양 측면과 상단이 마스크 본체와 융착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콧등밀착커버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마스크 본체의 상하방향 높이의 ½∼⅓이다.
바람직하게는, 콧등밀착커버는 두겹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 상단부분에 일정 폭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콧등밀착커버를 덧붙여서 양 측면 및 상면을 마스크 본체에 융착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덴탈마스크를 착용할 때 콧등밀착커버의 하부 즉 융착되지 않은 부분이 마스크 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콧등에 얹히도록 착용하므로 덴탈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거나 하품을 하더라도 마스크가 콧등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콧등밀착커버에는 노즈와이어(nosewire)가 매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콧등밀착커버가 콧등에 더욱 밀착되면서 안면(顔面)이 움직이더라도 콧등과의 밀착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주게 되고, 콧등밀착커버가 부착된 위치보다 상부에 있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부직포 필터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콧등밀착커버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콧등밀착커버가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에 밀착되어 틈새를 완전히 막아 줄 수 있게 되어 틈새를 통한 바이러스의 침투를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거나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콧등밀착커버의 양 측면이 마스크 본체와 융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여 이어밴드가 귀에 걸쳐지면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 측면의 상단과 하단이 이어밴드에 의해 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콧등밀착커버는 콧등에 걸쳐지면서 마스크 본체 양 측면을 내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이 들뜨지 않고 착용자의 볼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덴탈마스크 착용시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이 착용자의 볼에서 들뜨게 된다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해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의 외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덴탈마스크의 내측부에 콧등밀착커버를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콧등밀착커버를 마스크 본체에서 분리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덴탈마스크의 내측 상단부에 마스크 본체와 같은 형상의 콧등밀착커버를 부착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하면 콧등밀착커버가 콧등에 완전히 밀착되게 되어 대화를 할 때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착용시 콧등 주위의 틈새를 완전히 막아서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주고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이 착용자의 볼에 밀착되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콧등밀착커버(12)가 부착된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1)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덴탈마스크 및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력이 주로 사용하는 서지컬마스크(surgical mask)에 적용되고, 마스크 본체의 상부와 하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의 상부에 콧등에 걸쳐지는 코지지대가 별도로 형성된 3D 마스크와, 코지지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마스크가 접어지면서 접혀진 부분의 상단부가 자연스럽게 콧등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2D 마스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덴탈마스크'라고 기재한 것은 덴탈마스크는 물론 서지컬마스크도 포함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덴탈마스크(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려 주게 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11)와, 마스크 본체(11)의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착용시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밴드(13)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직사각형 형상에서 상단부의 중앙부분에는 착용시 콧등 형상으로 접어서 착용하는 노즈와이어(112)가 매립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11)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필터를 삽입하고 직사각형 형상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융착하여 제작되며, 마스크 본체(11)에는 마스크 착용시 안면(顔面) 형상에 따라 벌어져서 면적이 넓어지도록 2단 또는 3단 주름구조로 형성된 주름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덴탈마스크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덴탈마스크(10)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이 콧등밀착커버(12)인데, 콧등밀착커버(12)는 일정 폭('폭'은 상하방향의 높이를 말함)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과 같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마스크 본체(11)의 내측부 상단 부분에 부착되어 구성되며, 콧등밀착커버(12)는 양 측면과 상단이 마스크 본체(11)와 융착(여기서 융착시킨다는 것은 두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봉제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포함한다)되어 부착된다(도 2 참조). '콧등밀착커버'는 봉제용어로 '후레쉬'라고도 한다.
콧등밀착커버(12)에서 하부는 마스크 본체(11)와 융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시 노즈와이어(112)를 콧등 형상으로 접고 콧등밀착커버(12)의 하부를 마스크 본체(11)에서 분리하면, 콧등밀착커버(12)와 마스크 본체(11)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공간이 형성된 부분의 콧등밀착커버(12)를 콧등에 얹은 상태로 덴탈마스크(10)를 착용한다(도 3, 4 참조).
콧등밀착커버(12)의 상단을 마스크 본체(11)와 융착시킬 때, 콧등밀착커버(12)의 상단이 마스크 본체(11)에서 노즈와이어(112)가 매립된 부분의 아래부분에 부착되도록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콧등밀착커버(12)가 마스크 본체(11)에서 노즈와이어(112)가 매립된 부분의 아래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콧등밀착커버(12)가 노즈와이어(112)의 간섭을 받지 않고 콧등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콧등밀착커버(12)의 양 측면이 마스크 본체(11)와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콧등밀착커버(12)의 양측에서 콧등밀착커버(12)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콧등밀착커버(12)의 상단이 노즈와이어(112) 보다 아래부분에서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11)를 손으로 잡고 밑으로 잡아당겨도 마스크 본체(11)만 밑으로 약간 내려오고 콧등밀착커버(12)는 콧등에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콧등밀착커버(12)를 마스크 본체(11)에서 노즈와이어(112)가 매립된 부분의 윗부분에 융착시키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콧등밀착커버(12)가 콧등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노즈와이어(112)가 콧등에 접촉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콧등밀착커버(12)가 마스크 본체(11)의 상부에서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미관도 좋지 않고 시야를 방해할 수도 있어서 마스크 착용이 불편해진다.
콧등밀착커버(12)에는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 필터 등으로 제작되어 유연한 콧등밀착커버(12)가 콧등에 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막아 주기 때문에 틈새를 통한 바이러스의 침투를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거나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또, 콧등밀착커버(12)의 양 측면이 마스크 본체(11)와 융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여 이어밴드(13)가 귀에 걸쳐지면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11) 측면의 상단과 하단이 이어밴드(13)에 의해 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콧등밀착커버(12)는 콧등에 걸쳐지면서 마스크 본체(11) 양 측면을 내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마스크 본체(11)의 양 측면이 들뜨지 않고 착용자의 볼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덴탈마스크 착용시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이 착용자의 볼에서 들뜨게 된다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해 주게 된다.
하지만, 3D 마스크의 경우에는 상단 부분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부에 별도의 구성으로 코지지대를 형성하고, 코지지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할 때 노즈와이어를 콧등 형상으로 접어서 착용하면 처음에는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의 틈새를 막아 주다가 시간이 조금만 경과해도 틈새를 막아주고 있던 노즈와이어가 탄성에 의해 펴지면서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의 틈새를 막아 줄 수 없게 되므로, 틈새를 통한 바이러스의 침투는 물론 김서림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2D 마스크의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어서 3D 마스크의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콧등밀착커버(12)에는 노즈와이어가 매립되어 있지 않고 유연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면(顔面)의 크기에 상관없이 콧등에 밀착되게 되므로 2D 마스크와 3D 마스크에서 발생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 줄 수 있다.
콧등밀착커버(12)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마스크 본체(11)의 상하방향 높이의 ½∼⅓ 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일 콧등밀착커버(12)의 상하방향 높이를 마스크 본체(11)의 상하방향 높이의 ½보다 크게 형성하면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할 수가 없게 되며, ⅓ 이하로 작게 형성하면 대화를 할 때 콧등밀착커버(12)가 콧등에서 미끄러져서 마스크 본체(11)가 콧등을 벗어날 가능성이 많아진다.
콧등밀착커버(12)는 마스크 본체(11)와 동일한 구조(겉감과 안감 사이에 필터를 삽입한 구조) 또는 부직포 필터,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만들어서 두겹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겹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콧등밀착커버(12)가 콧등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강해지면서 마스크 본체(11)가 콧등을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힘이 강해질 뿐만 아니라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의 틈새를 막아서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덴탈마스크
11 : 마스크 본체 111 : 주름부
112 : 노즈와이어
12 : 콧등밀착커버 121 : 융착부
13 : 이어밴드

Claims (3)

  1.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려 주게 되고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착용시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덴탈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덴탈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노즈와이어가 매립되는 부분의 아래부분에 일정 폭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콧등밀착커버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콧등밀착커버는 양 측면과 상단이 마스크 본체와 융착되어 부착되며, 콧등밀착커버는 두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등밀착커버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마스크 본체의 상하방향 높이의 ½∼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3. 삭제
KR1020200170559A 2020-12-08 2020-12-08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Active KR10227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59A KR102273386B1 (ko) 2020-12-08 2020-12-08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JP2023527984A JP2023545211A (ja) 2020-12-08 2021-11-02 ずれ落ち防止及び曇り止め機能を有するデンタルマスク
EP21903624.1A EP4238439A4 (en) 2020-12-08 2021-11-02 SURGICAL MASK WITH SLIPPING AND FOG PREVENTION FUNCTION
US18/035,305 US20230404188A1 (en) 2020-12-08 2021-11-02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PCT/KR2021/015693 WO2022124577A2 (ko) 2020-12-08 2021-11-02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59A KR102273386B1 (ko) 2020-12-08 2020-12-08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386B1 true KR102273386B1 (ko) 2021-07-05

Family

ID=7689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559A Active KR102273386B1 (ko) 2020-12-08 2020-12-08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577A3 (ko) * 2020-12-08 2022-12-01 김강권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KR102515012B1 (ko) 2022-12-15 2023-03-30 주식회사 퓨리엔 컬러 마스크
KR20230047336A (ko) 2022-12-15 2023-04-07 주식회사 퓨리엔 상이한 색상의 외피 및 내피를 갖는 마스크
KR102528194B1 (ko) 2022-12-27 2023-05-04 황태명 마스크
KR102637975B1 (ko) * 2023-07-10 2024-02-19 김제담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590A (ja) * 2013-03-13 2014-09-25 Eiko Sakai プロペラ型プリーツによる使い捨て立体密着マスク
KR101951300B1 (ko) * 2018-08-30 2019-05-21 배경호 마스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590A (ja) * 2013-03-13 2014-09-25 Eiko Sakai プロペラ型プリーツによる使い捨て立体密着マスク
KR101951300B1 (ko) * 2018-08-30 2019-05-21 배경호 마스크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577A3 (ko) * 2020-12-08 2022-12-01 김강권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KR102515012B1 (ko) 2022-12-15 2023-03-30 주식회사 퓨리엔 컬러 마스크
KR20230047336A (ko) 2022-12-15 2023-04-07 주식회사 퓨리엔 상이한 색상의 외피 및 내피를 갖는 마스크
KR20230047337A (ko) 2022-12-15 2023-04-07 주식회사 퓨리엔 컬러 마스크
KR102528194B1 (ko) 2022-12-27 2023-05-04 황태명 마스크
KR102637975B1 (ko) * 2023-07-10 2024-02-19 김제담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386B1 (ko)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US20230404188A1 (en)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CN211379732U (zh) 防雾垫及具备该防雾垫的口罩
JP2020532666A (ja) 透明なプラスチック片を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2292047B1 (ko) 흘러내림과 누설방지 기능을 갖고 체온 감응 표시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568995B1 (ko) 마스크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20110009652U (ko) 마스크
JP2015009151A (ja) 医療用フェースマスク
JP7472288B2 (ja) マウスカバー
KR102273387B1 (ko) 흘러내림방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US20080017196A1 (en) Respiratory hood system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US20220312867A1 (en) Facemask with an Integrated Slit to Exhaust Exhaled Air
JP3110058U (ja) マスク付き医療用フード装置
KR102800586B1 (ko) 측면이 착용자의 볼에 밀착되는 유연형 덴탈마스크
KR102612147B1 (ko) 3d 마스크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0495592Y1 (ko) 안경 김서림 방지 마스크
US20220295919A1 (en) Anti-fogging face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