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333B1 -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Google Patents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333B1 KR102273333B1 KR1020210015068A KR20210015068A KR102273333B1 KR 102273333 B1 KR102273333 B1 KR 102273333B1 KR 1020210015068 A KR1020210015068 A KR 1020210015068A KR 20210015068 A KR20210015068 A KR 20210015068A KR 102273333 B1 KR102273333 B1 KR 102273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fastened
- wooden
- support
- anchor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횡방향(체결구의 슬라이딩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방향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100)에 있어서, 제1,2 체결구(150,160)의 평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100)의 제1,2 체결구(150,160)의 요부 상세도로서, 도 7의 (a)는 제1,2 서포트 브라켓(155,165)의 상세도이고, 도 7의 (b)는 제1,2 보강 브라켓(156,166)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100)가 목재기둥(200)을 체결하는 동작도로서, 도 8의 (a)는 초기에 제1 체결구(150)의 제1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변(151a)과 제1,2 체결구(150,160)의 제2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변(161a)이 초기간격(d1)을 유지한 상태에서, 목재기둥(200)이 삽입 공간(S1)에 삽입된 상태의 동작도이고, 도 8의 (b)는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조여짐으로써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제2 지지플레이트(161)가 서로를 향해서 슬라이딩되어서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서로 당겨서 삽입 공간(S1)에 삽입되어 있는 목재기둥(200)을 압착하는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어셈블리(A)가 모험시설물(B)에 사용되는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어셈블리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E : 땅
101 : 콘크리트 지지층 102 : 금속 메쉬
110 : 앵커 볼트 111 : 제1 앵커 볼트
112 : 제2 앵커 볼트 113 : 중앙 앵커 볼트
111a,112a,113a : 앵커 볼트의 나사부
110b : 앵커 볼트의 하측 절곡부
105 : 보강바
121 : 제1 앵커 너트
122 : 제2 앵커 너트 123 : 중앙 앵커 너트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1a : 체결공
133 : 지지 너트 135 : 무수축 몰탈부
141 : 관통 볼트 142 : 관통 너트
S1 : 삽입 공간
d1 :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 사이의 초기간격
150 : 제1 체결구 151 : 제1 지지플레이트
151a : 제1 지지프레이트의 내측변 151c : 제1 체결 반홈
152 : 제1 커버부
152a : 제1 중앙 체결홀 152b : 제1 공기 유통홀
153 : 제1 플랜지 153a : 제1 조임공
154 : 제1 체결 장공 155 : 제1 서포트 브라켓
155a : 제1 서포트 브라켓의 밑변 155b : 제1 서포트 브라켓의 수직변
155c : 제1 서포트 브라켓의 외측변
155e : 제1 서포트 브라켓의 제1 중앙홈
156 : 제1 보강 브라켓
156a : 제1 보강 브라켓의 일측변 156b : 제1 보강 브라켓의 타측변
156e : 제1 보강 브라켓의 제1 중심홈
160 : 제2 체결구 161 : 제2 지지플레이트
161a : 제2 지지프레이트의 내측변 161c : 제2 체결 반홈
162 : 제2 커버부
162a : 제2 중앙 체결홀 162b : 제2 공기 유통홀
163 : 제2 플랜지 163a : 제2 조임공
164 : 제2 체결 장공
165 : 제2 서포트 브라켓
165a : 제2 서포트 브라켓의 밑변 165b : 제2 서포트 브라켓의 수직변
165c : 제2 서포트 브라켓의 외측변
165e : 제2 서포트 브라켓의 제2 중앙홈
166 : 제2 보강 브라켓
166a : 제2 보강 브라켓의 일측변 166b : 제2 보강 브라켓의 타측변
166e : 제2 보강 브라켓의 제2 중심홈
171 : 조임볼트 172 : 조임너트
200 : 목재기둥 200b : 목재기둥의 밑면
210 : 관통홀 220 : 크랙방지 장홈
S2 : 이격 공간 h1 : 이격 높이
Claims (8)
- 모험 시설물(B)에 설치되는 목재기둥(200)을 지지하기 위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로서,
땅(E)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지지층(101)과,
상측에 형성된 나사부(111a,112a,113a)가 콘크리트 지지층(10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110)와,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어서 땅(E)에 직립 설치되고, 목재기둥(200)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목재기둥(200)의 하측을 홀딩함으로써 목재기둥(200)을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에 직립 설치하는 한 쌍의 체결구(150,160)와,
목재기둥(200)을 사이에 두고 있는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를 서로 상대쪽으로 잡아 당기도록 한 쌍의 체결구(150,160)를 조임으로써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가 목재기둥(200)을 압착하도록 하는 조임부재(171,17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110)에 동시에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일측 영역에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150)와,
상기 제1 체결구(150)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타측 영역에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1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1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면상으로 접촉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직립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되고, 목재기둥(200)의 길이방향으로 목재기둥(200)의 외주면의 만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된 제1 커버부(152)와,
상기 제1 커버부(152)의 좌우측변에서 각각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 조임공(15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제1 플랜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160)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면상으로 접촉 지지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2 지지플레이트(161)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직립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되고, 목재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목재기둥(200)의 외주면의 만곡 형상과 되응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제2 커버부(162)와,
상기 제2 커버부(162)의 좌우측변에서 각각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2 조임공(16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제2 플랜지(1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부재(171,172)는,
상기 제1 플랜지(153)의 제1 조임공(153a)과 상기 제2 플랜지(163)의 제2 조임공(163a)을 나사체결하는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대향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153)와 한 쌍의 제2 플랜지(163)가 대향하여서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가 초기간격(d1)을 형성한 채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 사이의 삽입 공간(S1)에 목재기둥(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 볼트(171)에 조임 너트(172)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서로 당겨서 삽입 공간(S1)에 삽입되어 있는 목재기둥(200)을 압착하여서 목재기둥(200)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와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공(131a)과,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일측 영역에 지지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체결공(131a)과 연통되도록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내삽되어서 통과되며, 상기 조임 볼트(171)가 조임 너트(172)가 조여질 때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31a)보다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체결 장공(154)과,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타측 영역에 지지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체결공(131a)과 연통되도록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내삽되어서 통과되며, 상기 조임 볼트(171)가 조임 너트(172)가 조여질 때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31a)보다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체결 장공(164)과,
상기 제1 체결 장공(154)을 통과한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와 나사 체결되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를 앵커 볼트(110)와 견고하게 체결하는 제1 앵커 너트(121)와,
상기 제2 체결 장공(164)을 통과한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와 나사 체결되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를 앵커 볼트(110)와 견고하게 체결하는 제2 앵커 너트(12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장공(154)과 제2 체결 장공(164)이 앵커 볼트(110)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견고하게 조이면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는 그 둘의 경계선 쪽으로 무빙되어서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내삽된 목재기둥(200)을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앵커 너트(121)가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앵커 너트(122)가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수직으로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제1 커버부(152)의 외주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밑변(155a)이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고, 수직변(155b)이 상기 제1 커버부(152)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제1 커버부(152)가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제1 서포트 브라켓(155)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수평하게 제1 커버부(152)의 외주면과 제1 플랜지(153)에 동시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일측변(156a)이 상기 제1 커버부(152)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고, 타측변(156b)이 상기 제1 플랜지(153)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조임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플랜지(153)와 제1 커버부(152)의 경계에서의 조임에 의한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플랜지(153)에 작용하는 조임력이 제1 커버부(152)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제1 커버부(152)의 압착력을 강화하는 제1 보강 브라켓(156)과,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수직으로 제2 지지플레이트(161)와 제2 커버부(162)의 외주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밑변(165a)이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고, 수직변(165b)이 상기 제2 커버부(162)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제2 커버부(162)가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제2 서포트 브라켓(165)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수평하게 제2 커버부(162)의 외주면과 제2 플랜지(163)에 동시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일측변(166a)이 상기 제2 커버부(162)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고, 타측변(166b)이 상기 제2 플랜지(163)에 용접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조임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플랜지(163)와 제2 커버부(162)의 경계에서의 조임에 의한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플랜지(163)에 작용하는 조임력이 제2 커버부(162)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제2 커버부(162)의 압착력을 강화하는 제2 보강 브라켓(166)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152)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중앙 체결홀(15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앙 체결홀(152a)과 대향면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2 커버부(162)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2 중앙 체결홀(16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의 삽입 공간(S1)에 삽입되어서 압착된 상태의 목재기둥(200)에는 상기 제1 중앙 체결홀(152a)과 제2 중앙 체결홀(162a)과 연통되도록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앙 체결홀(152a)과 관통홀(210)과 제2 중앙 체결홀(162a)을 순차로 통과하여서 삽입되는 관통 볼트(141)와,
상기 관통 볼트(141)와 체결되어서 목재기둥(200)을 지지하여서 체결하는 관통 너트(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목재기둥(200)의 밑면(200b)과 제1,2 지지플레이트(151,161) 사이에 이격 공간(S2)이 형성되도록, 목재기둥(200)이 상기 제1,2 지지플레이트(151,161)로부터 상방으로 설정된 이격 높이(h1)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기둥(200)은 상기 관통 볼트(141)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브라켓의 밑변(155a)과 수직변(155b)의 경계에는 제1 중앙홈(155e)이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 브라켓의 일측변(156a)과 타측변(156b)의 경계에는 제1 중심홈(156e)이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서포트 브라켓의 밑변(165a)과 수직변(165b)의 경계에는 제2 중앙홈(165e)이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보강 브라켓의 일측변(166a)과 타측변(166b)의 경계에는 제2 중심홈(166e)이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에 체결되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너트(13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지지 너트(133)에 지지되어서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모험 시설물(B)에 설치되는 목재기둥(200)을 지지하기 위한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로서,
땅(E)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지지층(101)과,
상측에 형성된 나사부(111a,112a,113a)가 콘크리트 지지층(10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110)와,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어서 땅(E)에 직립 설치되고, 목재기둥(200)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목재기둥(200)의 하측을 홀딩함으로써 목재기둥(200)을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에 직립 설치하는 한 쌍의 체결구(150,160)와,
목재기둥(200)을 사이에 두고 있는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를 서로 상대쪽으로 잡아 당기도록 한 쌍의 체결구(150,160)를 조임으로써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가 목재기둥(200)을 압착하도록 하는 조임부재(171,17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지지층(10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110)에 동시에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0,1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일측 영역에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150)와,
상기 제1 체결구(150)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타측 영역에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1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1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면상으로 접촉 지지되어서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직립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되고, 목재기둥(200)의 길이방향으로 목재기둥(200)의 외주면의 만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된 제1 커버부(152)와,
상기 제1 커버부(152)의 좌우측변에서 각각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 조임공(15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제1 플랜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160)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면상으로 접촉 지지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2 지지플레이트(161)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직립되도록 상방으로 형성되고, 목재기둥의 길이방향으로 목재기둥(200)의 외주면의 만곡 형상과 되응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제2 커버부(162)와,
상기 제2 커버부(162)의 좌우측변에서 각각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2 조임공(16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제2 플랜지(1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부재(171,172)는,
상기 제1 플랜지(153)의 제1 조임공(153a)과 상기 제2 플랜지(163)의 제2 조임공(163a)을 나사체결하는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대향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153)와 한 쌍의 제2 플랜지(163)가 대향하여서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가 초기간격(d1)을 형성한 채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 사이의 삽입 공간(S1)에 목재기둥(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 볼트(171)에 조임 너트(172)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서로 당겨서 삽입 공간(S1)에 삽입되어 있는 목재기둥(200)을 압착하여서 목재기둥(200)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와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공(131a)과,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일측 영역에 지지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체결공(131a)과 연통되도록 제1 지지플레이트(15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내삽되어서 통과되며, 상기 조임 볼트(171)가 조임 너트(172)가 조여질 때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31a)보다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체결 장공(154)과,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타측 영역에 지지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체결공(131a)과 연통되도록 제2 지지플레이트(161)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가 내삽되어서 통과되며, 상기 조임 볼트(171)가 조임 너트(172)가 조여질 때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31a)보다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체결 장공(164)과,
상기 제1 체결 장공(154)을 통과한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와 나사 체결되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를 앵커 볼트(110)와 견고하게 체결하는 제1 앵커 너트(121)와,
상기 제2 체결 장공(164)을 통과한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와 나사 체결되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를 앵커 볼트(110)와 견고하게 체결하는 제2 앵커 너트(12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장공(154)과 제2 체결 장공(164)이 앵커 볼트(110)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견고하게 조이면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는 그 둘의 경계선 쪽으로 무빙되어서 상기 제1 커버부(152)와 제2 커버부(162)가 내삽된 목재기둥(200)을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앵커 너트(121)가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앵커 너트(122)가 상기 앵커 볼트(110)의 나사부(111a,112a,113a)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체결되며,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120:110,122,123)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체결되기 위한 제1 앵커 볼트(111)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와 체결되기 위한 제2 앵커 볼트(112)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와 제2 지지플레이트(161)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앵커 볼트(1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51)의 내측변(151a)에는 제1 체결 반홈(151c)이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61)의 내측변(161a)에는 제2 체결 반홈(161c)이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 볼트(171)와 조임 너트(172)가 조여져서 제1 체결구(150)와 제2 체결구(160)가 서로 당기는 경우, 상기 중앙 앵커 볼트(113)는 상기 제1 체결 반홈(151c)과 제2 체결 반홈(161c)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 체결 반홈(151c)과 제2 체결 반홈(161c) 사이에 위치한 중앙 앵커 볼트(113)와 나사 체결되어서 제1 지지플레이트(151)의 내측변과 제2 지지플레이트(161)의 내측변을 압착하여서 누르는 중앙 앵커 너트(12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068A KR102273333B1 (ko) | 2021-02-02 | 2021-02-02 |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068A KR102273333B1 (ko) | 2021-02-02 | 2021-02-02 |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333B1 true KR102273333B1 (ko) | 2021-07-07 |
Family
ID=7686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068A Active KR102273333B1 (ko) | 2021-02-02 | 2021-02-02 |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3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04148A (zh) * | 2022-03-31 | 2022-07-05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4489U (ko) * | 2009-10-29 | 2011-05-06 | 이해문 | 고정앙카 클램프 |
KR200464866Y1 (ko) * | 2010-08-23 | 2013-01-22 | 주식회사 창일 | 목재기둥 |
KR101238283B1 (ko) * | 2011-09-01 | 2013-02-28 | (주)지티씨코퍼레이션 | 전봇대 지주 보강을 위한 보강커버판을 사용한 보강 방법 |
KR101237518B1 (ko) * | 2011-02-22 | 2013-03-04 | 류준수 | 지주용 기초구조물 |
KR20130025189A (ko) * | 2011-09-01 | 2013-03-11 |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
KR101663747B1 (ko) | 2015-09-02 | 2016-10-14 | 어드벤처닷케이알(주) | 모험시설용 안전확보 체결장치 |
KR101919031B1 (ko) | 2018-05-26 | 2018-11-19 |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 모험시설물 |
-
2021
- 2021-02-02 KR KR1020210015068A patent/KR10227333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4489U (ko) * | 2009-10-29 | 2011-05-06 | 이해문 | 고정앙카 클램프 |
KR200464866Y1 (ko) * | 2010-08-23 | 2013-01-22 | 주식회사 창일 | 목재기둥 |
KR101237518B1 (ko) * | 2011-02-22 | 2013-03-04 | 류준수 | 지주용 기초구조물 |
KR101238283B1 (ko) * | 2011-09-01 | 2013-02-28 | (주)지티씨코퍼레이션 | 전봇대 지주 보강을 위한 보강커버판을 사용한 보강 방법 |
KR20130025189A (ko) * | 2011-09-01 | 2013-03-11 |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
KR101663747B1 (ko) | 2015-09-02 | 2016-10-14 | 어드벤처닷케이알(주) | 모험시설용 안전확보 체결장치 |
KR101919031B1 (ko) | 2018-05-26 | 2018-11-19 |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 모험시설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04148A (zh) * | 2022-03-31 | 2022-07-05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
CN114704148B (zh) * | 2022-03-31 | 2024-01-26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一种提高输电塔侧向承载力的网格加固结构及工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5488B1 (ko) |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 |
US9038324B2 (en) | Field paver connector and restraining system | |
KR101003011B1 (ko) |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 |
NZ620475A (en) | High-protein beverages comprising whey protein | |
KR102273333B1 (ko) | 모험시설물의 목재기둥 지지체 | |
JP2015025288A (ja) | 柱脚補強方法及び装置 | |
KR20200122912A (ko) | 프리캐스트콘크리트기둥의 브라켓 | |
KR101087607B1 (ko) | 조립식 배관 트레이 | |
KR20190000117A (ko) | 경량철 목구조 모듈러 하우스 체결장치 | |
KR200282684Y1 (ko) |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 |
JP5315498B1 (ja) | 無垢の木の化粧打ち込み型枠の型枠組工法。 | |
US2020017316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nchoring air separation unit structures to concrete foundations | |
JP7294034B2 (ja) | 仮設手摺構造及び仮設手摺の施工方法 | |
KR20100007718A (ko) |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 |
JP2009270432A (ja) | 鉄骨露出型柱脚構造の施工方法 | |
JP5159430B2 (ja) | 木造建築物の基礎構造 | |
JP3611876B2 (ja) | 柱脚基礎・基礎梁構造 | |
JP5032804B2 (ja) | 射撃場の構造 | |
KR102485138B1 (ko) | 탄소섬유패널과 보강철물을 조립한 필로티 rc 기둥의 자가 휨 보강 공법 및 구조 | |
JP5528128B2 (ja) |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 |
KR20180012535A (ko) | 각도조절용 타이 | |
JP2005256424A (ja) | 鉄骨露出型柱脚構造 | |
JP2001227094A (ja) | 鉄骨ビルの階床構造 | |
JP6752006B2 (ja) |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 |
KR102644028B1 (ko) | 콘크리트에 탄소섬유패널과 석고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방법 및 그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