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3278B1 - 오버레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오버레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278B1
KR102273278B1 KR1020190111950A KR20190111950A KR102273278B1 KR 102273278 B1 KR102273278 B1 KR 102273278B1 KR 1020190111950 A KR1020190111950 A KR 1020190111950A KR 20190111950 A KR20190111950 A KR 20190111950A KR 102273278 B1 KR102273278 B1 KR 10227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overlay mark
wafer
overlay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015A (ko
Inventor
박규남
신현기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11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278B1/ko
Priority to JP2022515113A priority patent/JP7280434B2/ja
Priority to PCT/KR2020/012096 priority patent/WO2021049845A2/ko
Priority to US17/641,602 priority patent/US12085383B2/en
Priority to CN202080063499.4A priority patent/CN114424019B/zh
Publication of KR2021003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2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55Exposure light control in all parts of the microlithographic apparatus, e.g. pulse length control or light interruption
    • G03F7/70575Wavelength control, e.g. control of bandwidth, multiple wavelength, selection of wavelength or matching of optical components to waveleng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81Metrology strategies
    • G03F7/70683Mark desig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843Metrology apparatus
    • G03F7/706845Calibration, e.g. tool-to-tool calibration, beam alignment, spot position or foc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843Metrology apparatus
    • G03F7/706849Irradiation branch, e.g. optical system details, illumination mode or polarisa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843Metrology apparatus
    • G03F7/706851Detection branch, e.g. detector arrangements, polarisation control, wavelength control or dark/bright field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08Construction details, e.g. housing, load-lock, seals or windows for passing light in or out of apparatus
    • G03F7/70825Mounting of individual elements, e.g. mounts, holders or sup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5Detection arrangement, e.g. detectors of apparatus alignment possibly mounted on wafers, exposure dose, photo-cleaning flux, stray light, thermal lo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65Production of alignment light, e.g. light source, control of coherence, polarization, pulse length, waveleng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88Alignment mark detection, e.g. TTR, TTL, off-axis detection, array detector, video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6Measuring geometric parameters of semiconductor structures, e.g. profile, critical dimensions or trench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레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는 자동 초점(Auto focus) 시스템을 구비한 오버레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웨이퍼에 형성된 서로 다른 층들에 각각 형성된 제1 오버레이 마크와 제2 오버레이 마크 사이의 오차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제1 빔을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파장이 다른 제2 빔을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2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2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 집광시키고,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빔을 수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1 검출기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2 검출기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2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버레이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overlay}
본 발명은 오버레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는 자동 초점(Auto focus) 시스템을 구비한 오버레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서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집적회로의 밀도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 시기키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이 만족 되어야 하고, 그 중 오버레이 허용 오차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수많은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된다. 집적회로를 웨이퍼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특정위치에서 원하는 회로 구조 및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많은 제조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제조 프로세스는 웨이퍼 상에 패턴화된 층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되는 적층 공정들을 통해서 집적회로 안에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패턴을 생성한다. 이때, 각각의 구조들이 생산공정에서 허용하는 오차 범위 이내로 정렬되지 않으면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패턴 간에 간섭이 일어나고 이런 현상으로 인해 제조된 회로의 성능 및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층간에 정렬 오차를 측정 및 검증하기 위해서 오버레이 측정 툴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오버레이 계측 및 방법들은 두 개의 층들 간에 정렬이 허용 오차 내에 있는지 측정 및 검증을 한다. 그 중 한 가지 방법으로 기판 위에서 특정한 위치에 오버레이 마크라고 불리는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 구조물을 광학적인 이미지 획득 장비로 촬영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측정을 위한 구조물은 각각의 층마다 X 방향 및 Y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오버레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구조물은 대칭된 구조로 설계되어 있고, 대칭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물 사이의 중심 값을 계산하여 그 층의 대표 값으로 사용하고, 그 각각의 층의 대표 값의 상대적인 차이를 계산하여 오버레이 오차를 도출한다.
두 개의 층의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박스 형태인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대체로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비해서 작은 박스 형태인 제2 오버레이 마크(2)를 연속된 두 개의 층에 각각 형성한 후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마크(1)를 초점면(focal plane)으로 해서 얻은 신호의 위치별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을 획득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중심 값(C1)을 획득하고, 제2 오버레이 마크(2)를 초점면으로 해서 얻은 신호의 위치별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을 획득하여,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중심 값(C2)을 획득함으로써 두 층 사이의 오버레이 오차를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가 서로 다른 층에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며, 제1 오버레이 마크(1)는 제2 오버레이 마크(2)가 형성된 층에 의해서 덮여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일 광원을 사용하는 자동 초점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자동 초점 장치는 웨이퍼와의 거리에 따른 검출기 신호(detector signal)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단일 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에 따른 검출기 신호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단파장의 광원을 사용한 경우이며, (b)는 장파장의 광원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마크(1)는 먼저 형성된 이전 층에 위치하므로,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가까운 영역에서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의한 검출기 신호가 최대값을 가지며, 제2 오버레이 마크(2)는 이전 층 위에 형성된 현재 층에 위치하므로,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먼 영역에서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의한 검출기 신호가 최댓값을 가진다.
그런데 도 5의 (a)와 (b)에서 알 수 있듯이, 광원의 종류에 따라서 최댓값의 크기에 큰 차이가 있다. 단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의한 검출기 신호의 최댓값은 매우 큰 반면에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의한 검출기 신호의 최댓값은 매우 작다. 따라서 단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장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반도체 공정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높이 차이가 크며, 광학적 성질이 다른 층들 사이의 오버레이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는 현재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공개특허 특2003-0054781호 등록특허 제10-0689709호 등록특허 제10-15643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 차이가 크며, 광학적 성질이 서로 다른 층 사이의 오버레이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웨이퍼에 형성된 서로 다른 층들에 각각 형성된 제1 오버레이 마크와 제2 오버레이 마크 사이의 오차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제1 빔을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파장이 다른 제2 빔을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2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2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 집광시키고,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빔을 수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1 검출기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2 검출기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2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 중에서 장파장의 빛을 상기 대물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핫 미러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 중에서 단파장의 빛을 상기 대물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콜드 미러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의 형태를 상기 제1 오버레이 마크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제1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의 형태를 상기 제2 오버레이 마크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제2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을 라인 빔(line beam)으로 변경하는 제1 실린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을 라인 빔(line beam)으로 변경하는 제2 실린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빔은 적외선 영역의 빔이며, 제2 빔은 자외선 영역의 빔인 오버레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층별로 다른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높이를 측정하므로, 정확하게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차이가 크며, 광학적 성질이 서로 다른 층 사이의 오버레이 오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오버레이 마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버레이 마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오버레이 마크를 초점면으로 하여 획득된 신호의 위치별 강도의 변화 파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오버레이 마크를 초점면으로 하여 획득된 신호의 위치별 강도의 변화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단일 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에 따른 검출기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제1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에 따른 제1 검출기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2 광원을 사용할 경우에 웨이퍼와 대물렌즈의 거리에 따른 제2 검출기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 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 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웨이퍼(w)에 형성된 서로 다른 층에 각각 형성된 제1 오버레이 마크와 제2 오버레이 마크 사이의 오차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마크(1)는 이전 층(previous layer)에 형성된 오버레이 마크이며, 제2 오버레이 마크(2)는 현재 층(current layer)에 형성된 오버레이 마크일 수 있다. 오버레이 마크는, 다이(die) 영역에 반도체 디바이스 형성을 위한 층이 형성될 때,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오버레이 마크(1)는 절연막 패턴과 함께 형성되고, 제2 오버레이 마크(2)는 절연막 패턴 위에 형성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 오버레이 마크(2)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나, 제1 오버레이 마크(1)는 포토레지스트 층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이며, 포토레지스트 재료로 이루어진 제2 오버레이 마크(2)와는 광학적 성질이 다른 산화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는 높이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사용한다. 즉, 각각의 마크를 이루는 재료의 광학적 성질, 각각의 마크의 높이, 형상에 적합한 파장의 빔을 이용하여 각각의 마크의 높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는 적외선 빔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는 자외선 빔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오버레이 마크로는 박스 인 박스(box in box, BIB, 도 1 참조), AIM(advanced inmaging metrology) 오버레이 마크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오버레이 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로 구조가 간단한 박스 인 박스 형태의 오버레이 마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 측정에 사용되는 제1 광원(11), 제1 빔 스플리터(13, beam splitter), 핫 미러(16, hot mirror), 제1 검출기(18)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 측정에 사용되는 제2 광원(21), 제2 빔 스플리터(22), 콜드 미러(26, cold mirror), 제2 검출기(2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 측정과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 측정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대물렌즈(31), 액추에이터(32), 제어수단(41) 및 높이 검출수단(42)을 포함한다.
먼저, 오버레이 측정장치의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 측정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광원(11)으로는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슈퍼컨티늄 레이저(supercontinuum laser),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여기 램프(laser induced lam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광원(11)은 이전 층에 형성된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 사용된다.
제1 빔 스플리터(13)는 제1 광원(11)으로부터 나온 빔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빔 스플리터(13)는 제1 광원(11)으로부터 나온 빔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켜서 제1 광원(11)으로부터 나온 빔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시킨다.
핫 미러(16)는 제1 빔 스플리터(13)를 투과한 빔의 경로에 대해 45°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핫 미러(16)는 제1 빔 스플리터(13)를 투과한 빔 중에서 장파장의 빔을 반사시키고, 단파장의 빔은 투과시킨다.
대물렌즈(31)는 핫 미러(16)에서 반사된 장파장의 빔을 웨이퍼(w)의 측정위치에 집광시키고, 측정위치에서의 반사된 빔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대물렌즈(31)는 대물렌즈(31)를 광축 방향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32, actuator)에 설치된다. 제어수단(41)은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여,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31)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한다.
제1 검출기(18)는 대물렌즈(31)에서 수집된 후 콜드 미러(26)를 투과하고, 핫 미러(16)에서 반사된 후 제1 빔 스플리터(13)에서 반사된 제1 빔을 검출한다.
높이 검출수단(42)은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31)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제1 검출기(18)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출기(18)에서 획득된 신호의 크기 변화를 확인하여, 신호의 크기가 최고점일 때의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31)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11)을 이용한 경우에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의한 제1 검출기(18) 신호의 크기의 최댓값이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의한 제1 검출기(18) 신호의 크기의 최댓값에 비해서 크다. 따라서 제1 광원(11)으로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음,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 측정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광원(21)도 제1 광원(11)과 마찬가지고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슈퍼컨티늄 레이저(supercontinuum laser),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여기 램프(laser induced lam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광원(21)은 현재 층에 형성된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 사용된다. 제2 광원(21)의 빔은 제1 광원(11)의 빔에 비해서 단파장의 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1)의 빔은 적외선 영역의 빔이고 제2 광원(21)의 빔은 자외선 영역의 빔일 수 있다.
제2 빔 스플리터(23)는 제2 광원(21)에서 나온 빔을 두 개의 빔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콜드 미러(26, cold mirror)는 제2 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한 빔의 경로에 대해 45°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콜드 미러(26)는 제2 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한 빔 중에서 단파장의 빔을 반사시키고, 장파장의 빔은 투과시킨다.
대물렌즈(31)는 콜드 미러(26)에서 반사된 단파장의 빔을 웨이퍼(w)의 측정위치에 집광시키고, 측정위치에서의 반사된 빔을 수집한다. 제어수단(41)은 액추에이터(32, actuator)를 제어하여,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31)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한다.
제2 검출기(28)는 대물렌즈(31)에서 수집된 후 콜드 미러(26)에서 반사된 후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반사된 제2 빔을 검출한다.
높이 검출수단(42)은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31)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제2 검출기(28)의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검출기(28)에서 획득된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의한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확인하여, 신호의 크기가 최고점일 때의 웨이퍼(w)에 대한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21)을 이용한 경우에는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의한 제2 검출기(28) 신호의 크기의 최댓값이 제1 오버레이 마크(1) 이미지에 의한 제2 검출기(28) 신호의 크기의 최댓값에 비해서 훨씬 크다. 따라서 제2 광원(21)으로는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오버레이 오차 측정을 위해서,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를 촬영하기 위한 제3 조명(51), 제3 검출기(53) 및 튜브 렌즈(52)를 더 포함한다.
오버레이 오차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앞에서 획득된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과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사이에 초점면이 위치하도록 한다. 초점면은, 예를 들어,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 제1 오버레이 마크(1)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이미지를 한꺼번에 획득한다.
그리고 제1 오버레이 마크(1) 이미지의 중심과 제2 오버레이 마크(2) 이미지의 중심을 서로 비교하여 오버레이 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버레이 마크(1) 이미지와 제2 오버레이 마크(2) 이미지를 각각 획득한 후 두 이미지를 비교하여 오버레이 오차를 측정할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오버레이 마크(1)를 촬영할 때에는 높이 검출수단(42)에서 획득된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를 이용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에 초점면이 위치하도록 한 후, 제3 조명(51)으로 이미지 획득을 위한 빔을 조사한 후, 반사된 빔을 제3 검출기(53)로 검출하여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다음, 제2 오버레이 마크(2)를 촬영할 때에는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이용하여 제2 오버레이 마크(2)에 초점면이 위치하도록 한 후,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1 오버레이 마크(1) 이미지와 제2 오버레이 마크(2) 이미지의 중심을 서로 비교하여 오버레이 오차를 측정한다.
또한,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제1 조리개(12, aperture)와 제2 조리개(22)를 더 포함한다.
제1 조리개(12)는 제1 광원(11)과 제1 빔스플리터(1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조리개(22)는 제2 광원(12)과 제2 빔스플리터(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조리개(12)는 제1 빔을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촬영에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마크(1)가 BIB(box in box) 오버레이 마크의 외부 박스일 경우에는 제1 빔(B1)을 도넛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BIB 오버레이 마크의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중심부가 비어있는 사각 프레임 형태이므로, 중심부에 제1 빔(B1)을 조사할 필요가 없다.
제2 조리개(22)는 제2 빔을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촬영에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버레이 마크(2)가 BIB(box in box) 오버레이 마크의 내부 박스의 경우에는 제2 빔(B2)을 지름이 내부 박스의 대각선 길이 정도인 원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제1 오버레이 마크(1)의 높이와 제2 오버레이 마크(2)의 높이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제1 실린더 렌즈(14, cylinder lens)와 제2 실린더 렌즈(15)를 포함한다.
실린더 렌즈는 라인 빔(line beam)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실린더 렌즈는 한쪽에만 곡면이 있는 렌즈로서, 실린더 렌즈를 통과한 빔은 라인 빔이 된다. 라인 빔을 사용하면 광학 수차(astigmatism)로 인해 민감도가 상승하여, 보다 정교한 높이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오버레이 측정장치는 핫 미러(16)와 콜드 미러(26)의 전단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편광상태로 바꿔어주는 편광판(waveplate, 15, 25)과 제1 검출기(18)와 제2 검출기(28)의 전단에 배치되어 빛을 모으는 렌즈(17, 2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 웨이퍼
B1: 제1 빔
B2: 제2 빔
1: 제1 오버레이 마크
2: 제2 오버레이 마크
11: 제1 광원
13: 제1 빔 스플리터
14: 제1 실린더 렌즈
16: 핫 미러
18: 제1 검출기
21: 제2 광원
23: 제2 빔 스플리터
24: 제2 실린더 렌즈
26: 콜드 미러
28: 제1 검출기
31: 대물렌즈
32: 액추에이터
41: 제어수단
42: 높이 검출수단
51: 제3 광원
53: 제3 검출기

Claims (8)

  1. 웨이퍼에 형성된 서로 다른 층들에 각각 형성된 제1 오버레이 마크와 제2 오버레이 마크 사이의 오차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제1 빔을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파장이 다른 제2 빔을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상기 제2 빔에 의한 신호를 획득하는 제2 검출기와,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상기 웨이퍼의 상기 측정위치에 집광시키고, 상기 측정위치에서 반사된 빔을 수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1 검출기의 신호의 크기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웨이퍼에 대한 상기 대물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2 검출기의 신호의 크기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2 오버레이 마크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 중에서 장파장의 빛을 상기 대물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핫 미러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 중에서 단파장의 빛을 상기 대물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콜드 미러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의 형태를 상기 제1 오버레이 마크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제1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의 형태를 상기 제2 오버레이 마크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제2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1 빔을 라인 빔(line beam)으로 변경하는 제1 실린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온 상기 제2 빔을 라인 빔(line beam)으로 변경하는 제2 실린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빔은 적외선 영역의 빔이며, 제2 빔은 자외선 영역의 빔인 오버레이 측정장치.
KR1020190111950A 2019-09-10 2019-09-10 오버레이 측정장치 Active KR10227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50A KR102273278B1 (ko) 2019-09-10 2019-09-10 오버레이 측정장치
JP2022515113A JP7280434B2 (ja) 2019-09-10 2020-09-08 オーバーレイ測定装置
PCT/KR2020/012096 WO2021049845A2 (ko) 2019-09-10 2020-09-08 오버레이 측정장치
US17/641,602 US12085383B2 (en) 2019-09-10 2020-09-08 Overlay measurement device
CN202080063499.4A CN114424019B (zh) 2019-09-10 2020-09-08 套刻测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50A KR102273278B1 (ko) 2019-09-10 2019-09-10 오버레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015A KR20210031015A (ko) 2021-03-19
KR102273278B1 true KR102273278B1 (ko) 2021-07-07

Family

ID=7487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50A Active KR102273278B1 (ko) 2019-09-10 2019-09-10 오버레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85383B2 (ko)
JP (1) JP7280434B2 (ko)
KR (1) KR102273278B1 (ko)
CN (1) CN114424019B (ko)
WO (1) WO20210498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0425B2 (en) 2022-11-09 2024-06-11 Auros Technology, Inc. Overlay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cus movement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375B2 (en) * 2020-11-20 2024-02-13 Kla Corporation Massive overlay metrology sampling with multiple measurement columns
US11592755B2 (en) * 2021-03-31 2023-02-28 Kla Corporation Enhancing performance of overlay metrology
CN113985711B (zh) * 2021-10-28 2024-02-02 无锡卓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套刻测量装置
KR102524462B1 (ko) * 2022-03-28 2023-04-21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측정장치
CN114935877A (zh) * 2022-05-24 2022-08-23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一种改善光刻胶形貌不对称的辅助图形设计方法
KR102519813B1 (ko) 2022-10-17 2023-04-11 (주)오로스테크놀로지 오버레이 계측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526522B1 (ko) * 2022-11-02 2023-04-27 (주)오로스테크놀로지 포커스를 제어하는 오버레이 계측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2550408B1 (ko) * 2023-02-14 2023-07-03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측정장치 및 방법
US12235588B2 (en) * 2023-02-16 2025-02-25 Kla Corporation Scanning overlay metrology with high signal to noise ratio
KR102577325B1 (ko) * 2023-03-02 2023-09-12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계측 장치 및 오버레이 계측 방법
KR102750985B1 (ko) * 2023-03-29 2025-01-09 (주) 오로스테크놀로지 파장 가변형 광섬유 광원 및 이를 구비한 오버레이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2928A1 (en) * 2003-07-17 2005-01-20 Abdurrahman Sezg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verlay by diffraction gratings
KR101906098B1 (ko) 2018-01-12 2018-10-10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마크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 계측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104A (ja) 1989-07-17 1991-03-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重ね合せ偏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JPH07190735A (ja) * 1993-12-27 1995-07-28 Tosok Corp 光学式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JP3590940B2 (ja) 1995-04-27 2004-11-17 株式会社ニコン アライメント装置及び露光装置
JPH10122820A (ja) 1996-10-16 1998-05-15 Nikon Corp パターン間寸法測定装置及び方法
JP2000216077A (ja) * 1999-01-22 2000-08-04 Nec Corp 重ね合わせ精度測定装置の焦点位置調整方法及び調整装置
US7009704B1 (en) * 2000-10-26 2006-03-07 Kla-Tencor Technologies Corporation Overlay error detection
JP2002196223A (ja) 2000-12-26 2002-07-12 Nikon Corp 光学的位置ずれ検出装置
KR100417212B1 (ko) 2001-12-26 2004-02-05 동부전자 주식회사 오버레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 측정 방법
SG152898A1 (en) 2002-09-20 2009-06-29 Asml Netherlands Bv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for lithographic systems
EP1755152B1 (en) * 2004-04-23 2016-02-24 Nikon Corporation Measuring method, measuring equipment, exposing method and exposing equipment
KR100689816B1 (ko) * 2004-11-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노광장치 및 레티클 정렬상태 측정방법
JP4883751B2 (ja) 2005-06-17 2012-02-22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3次元形状測定装置及び3次元形状測定方法
KR100689709B1 (ko) 2005-08-10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한 오버레이 마크 및 이를이용한 오버레이 측정방법
US8432541B2 (en) * 2007-12-17 2013-04-30 Accuri Cytometers, Inc. Optical system for a flow cytometer with an interrogation zone
CN101286010B (zh) * 2008-04-25 2010-10-20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用于光刻设备的对准系统及其对准方法和光刻设备
JP2010164832A (ja) * 2009-01-16 2010-07-29 Sony Corp 光照射装置、光照射方法
JP6025346B2 (ja) * 2012-03-05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出装置、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
CN103616166B (zh) * 2013-12-04 2016-08-17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投影物镜焦面形状测量标记装置及应用
KR101565242B1 (ko) * 2014-04-17 2015-11-03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기판의 오버레이 에러를 계측하는 계측장치
CN105446082B (zh) * 2014-08-20 2018-03-02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套刻误差测量装置及方法
CN105807573B (zh) * 2014-12-31 2017-12-29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套刻误差检测的装置和方法
KR101564312B1 (ko) 2015-07-07 2015-10-29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마크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 계측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JP6489999B2 (ja) * 2015-11-19 2019-03-27 東芝メモリ株式会社 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パターン形成システム
WO2018053192A1 (en) * 2016-09-15 2018-03-22 Kla-Tenco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focus for imaging-based overlay metrology
JP6900702B2 (ja) 2017-02-24 2021-07-07 株式会社リコー 計測装置および計測方法
US10572990B2 (en) * 2017-04-07 2020-02-25 Nuflare Technology, Inc.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pattern 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aerial image measurement system, method for measuring aerial image, pattern position repairing apparatus, method for repairing pattern position, aerial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aerial image data, pattern exposure apparatus, method for exposing pattern,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and mask manufacturing system
EP3470923A1 (en) * 2017-10-10 2019-04-17 ASML Netherlands B.V. Metrology method
KR102120551B1 (ko) * 2018-09-14 2020-06-09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측정장치
KR102524462B1 (ko) * 2022-03-28 2023-04-21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2928A1 (en) * 2003-07-17 2005-01-20 Abdurrahman Sezg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verlay by diffraction gratings
KR101906098B1 (ko) 2018-01-12 2018-10-10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오버레이 마크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 계측방법 및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0425B2 (en) 2022-11-09 2024-06-11 Auros Technology, Inc. Overlay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cus movement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for
US12244926B2 (en) 2022-11-09 2025-03-04 Auros Technology, Inc. Overlay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cus movement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0556A (ja) 2023-01-10
CN114424019A (zh) 2022-04-29
US20220326008A1 (en) 2022-10-13
US12085383B2 (en) 2024-09-10
WO2021049845A3 (ko) 2021-06-10
KR20210031015A (ko) 2021-03-19
WO2021049845A2 (ko) 2021-03-18
CN114424019B (zh) 2025-03-14
JP7280434B2 (ja)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278B1 (ko) 오버레이 측정장치
US12001146B2 (en) Overlay measurment device
US11835865B2 (en) Overlay measurement apparatus
TW391035B (en) Proximity exposure device provided with gap setting mechanism
JP5944850B2 (ja) 欠陥検査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TWI729380B (zh) 測量設備、曝光設備和製造物品的方法
JP2019509477A (ja) 構造を測定する方法、検査装置、リソグラフィシステム、デバイス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で使用する波長選択フィルタ
KR102461662B1 (ko) 오버레이 측정장치
KR20160093021A (ko) 비접촉 광학 방법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629056B2 (ja) 焦点移動を制御するオーバーレイ計測装置と方法、及びこのためのプログラム貯蔵媒体
JP2002025879A (ja) 光学的位置ずれ検出装置
US202301845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verlay
KR102750969B1 (ko) 자동 초점 장치, 이를 구비한 오버레이 측정장치 및 자동 초점 장치의 교정 방법
JP7620355B2 (ja) オーバーレイ測定装置及び方法
CN222213198U (zh) 具备光路保护机构的套刻测量装置
JPH09260269A (ja) 投影露光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5166722A (ja) 位置検出装置及び該位置検出装置を用いた投影露光装置及び露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