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504B1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Google Patents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504B1 KR102272504B1 KR1020190130418A KR20190130418A KR102272504B1 KR 102272504 B1 KR102272504 B1 KR 102272504B1 KR 1020190130418 A KR1020190130418 A KR 1020190130418A KR 20190130418 A KR20190130418 A KR 20190130418A KR 102272504 B1 KR102272504 B1 KR 102272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license plate
- main body
- vehicle
- f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 판에 장착되는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홀과, 상기 홀의 주변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통하여 봉인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판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봉인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vehicl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mounted on the vehicle; an edg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license plat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license plate displaying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and a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mounted on the base plate, wherein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a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hole. and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at leas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is fitted is formed on the base plate so that the sealing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bol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번호판을 차량에 결합할 때에 이용가능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device usable when coupling a license plate to a vehicle.
차량의 번호판은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차량별 등록번호를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에 타각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의 번호판은, 통상 차량의 지정된 장소,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The license plate of a vehicle means that the registration number for each vehicle, which is given by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is engraved on a rectangular plate. The license plate of such a vehicle is usually attached to a designated place of the vehicle, for example,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국내 법령에 의해 차량의 번호판에는 봉인이 설치된다. 봉인이란 차량의 번호판 위변조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번 설치되면 의도적으로 파손시키지 않는 한 재설치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seal is installed on the license pl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Sealing is to prevent forgery or theft of the license plate of a vehicle, and once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reinstall unless it is intentionally damaged.
국산 차량에는 국내 법령의 준수를 위해 봉인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차량의 제작 시에 미리 마련되어 있다. 이를테면 봉인의 고정을 위한 봉인볼트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이 트렁크 덮개나 리어 빔과 같은 차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너트와 결합된 상태의 봉인볼트를 차체와 번호판에 형성되는 관통홀로 관통시키고, 반대쪽에서 와셔와 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봉인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comply with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eal is prepared in advance for domestic vehicles when the vehicle is manufactured. For exampl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sealing bolt for fixing the seal can pass is formed in a vehicle body such as a trunk cover or a rear beam. Accordingly, the seal can be installed by passing the sealing bolt coupled with the nu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vehicle body and the license plate, and fixing it using a washer and a pin from the opposite side.
이와 달리 수입 차량에는 봉인볼트를 설치할 수 있는 관통홀이 차체에 미리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수입 차량에는 국산 차량과 달리 수입 차량 전용의 짧은 봉인볼트와 수입 차량 전용의 너트 내장 번호판 결합장치(보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봉인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mported vehicles do not have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sealing bolt can be installed in advance in the vehicle body. Therefore, in imported vehicles, unlike domestic vehicles, a seal is installed using a short sealing bolt for imported vehicles and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auxiliary plate) with built-in nut for imported vehicles.
이러한 현재의 여건은 여러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한다.In this current situation, there are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several aspects.
먼저, 여러 가지 이유로 번호판 결합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수입 차량 전용의 너트 내장 번호판 결합장치를 국산 차량에 장착할 경우, 불필요한 너트로 인해 두꺼운 두께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Firs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using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various reasons. When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with a built-in nut for imported vehicles is installed in a domestic vehicle, it is inevitable to use a thick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due to unnecessary nuts. .
단순히 너트가 내장되지 않은 번호판 결합장치를 국산 차량에 적용하는 것으로 위와 같은 문제가 해결될 수는 있으나, 번호판 보호를 위한 번호판 결합장치가 국산 차량 전용과 수입 차량 전용으로 구분되게 되면 통일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소비자에게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차종을 국산 차량에서 수입 차량으로 변경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번호판 결합장치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자원 낭비의 문제가 발생한다.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simply applying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without a built-in nut to domestic vehicles, but if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license plate protection is divided into domestic vehicles and imported vehicles, unity cannot be provided. , which may cause confusion for consumers.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model is changed from a domestic vehicle to an imported vehicle or vice versa, there i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that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nnot be reused.
또한, 너트 내장 번호판 결합장치는 금속 재질의 너트를 제작한 후에 상기 너트를 금형에 투입한 채로 사출을 실시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인서트 사출이 아닌 일반 사출에 비해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 단가가 비싸다. 또한 금속 재질의 너트에서 녹이나 부식이 발생한 경우, 번호판 결합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nut-embedded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that performs injection while inserting the nut into the mold after manufacturing the nut of a metal material. In this case, compared to general injection rather than insert injec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lso, if rust or corrosion occurs in the metal nut, the entir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must be replaced.
본 발명의 목적은 국산 차량이나 수입 차량에 구분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domestic or imported vehicles.
특히 본 발명은 봉인볼트와 체결 가능한 너트 구조를 가지면서도 종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입 차량에 장착 가능한 번호판 결합장치를 국산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번호판 결합장치의 두께를 종래보다 얇게 만들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prior art while having a nut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with a sealing bolt.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that can make the thickness of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thinner than in the prior art, even whe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mountable on imported vehicles is applied to domestic vehicle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단순한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단순한 작업에 의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하기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er process than the prior art, and can be installed by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재질의 너트에서 녹이나 부식이 발생한 경우, 번호판 결합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reus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when rust or corrosion occurs in a nut made of a metal materi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 판에 장착되는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홀과, 상기 홀의 주변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통하여 봉인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판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봉인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mounted on the vehicle; an edg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license plat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license plate displaying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and a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mounted on the base plate, wherein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a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hole. and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at leas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is fitted is formed on the base plate so that the sealing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bol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do.
상기 플랜지는 버링(burring)에 의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버링부이며, 상기 나사산은 버링 탭이다.The flange is a burr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by burring, and the thread is a burring tab.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버링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is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burring.
상기 플랜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lang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or at a position eccentric to one side from the center.
상기 끼움부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양 모서리는 상기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다.The fitting portion has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nd both edges of the main body are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respectively, and the flange is the through hole. inserted into the hole.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이루어진다.The through hole is made of a long hole so that the flange is inserted to allow movement of the main body.
상기 장공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 모서리를 따라 길게 연장된다.The long hole extends along both edges of the main body.
상기 베이스 판의 일면에는 리세스 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 상기 관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 홈의 상측 입구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덮는 끼움덮개가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형성된다.A recess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through hol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and a fitting cover covering at leas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at an upper entrance of the recess groove. formed parallel to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서 상기 끼움덮개를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판의 후면까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A communication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and communicat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tting cover at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는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끼움덮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상기 끼움덮개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At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limiting protrusions for limiting separa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fitting cover protrude from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fitting cover, and the limit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끼움덮개를 향하는 방향과 상기 끼움덮개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에 각각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덮개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가 상기 끼움덮개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의 경사보다 급격하다.The limiting projection has an inclination in a direction facing the fitting cover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cover, respectively, and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tting cover is steeper than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cover.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봉인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지는 홀과,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봉인볼트 결합부재; 상기 번호판에 의하여 덮이는 상기 베이스 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며,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the vehicl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base plate mounted on the vehicle; an edg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license plat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license plate displaying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having a mai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a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bolt, and a flange formed at an edge of the hole; a fitting portion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covered by the license plate and formed to fit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and into which the flange is insert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끼움부에 삽입하거나, 끼움부로부터 인출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번호판 결합장치를 수입 차량과 국산 차량 모두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into the fitting portion, or by simply withdrawing from the fitting portio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n be universally used for both imported and domestic vehicl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번호판 결합장치는 봉인볼트와 체결 가능한 너트 기능을 가지면서도, 종래보다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가지 형상, 특히 곡면의 장착부에도 장착가능한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범용성이 확장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n implement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prior art, while having a function of a nut that can be fastened with a sealing bolt. Through this, various shap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the curved mounting portion. That is, versatility can be expanded.
구체적으로 플랜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봉인볼트 결합장치는 봉인볼트와 체결 가능한 너트 기능을 제공한다.Specifically, sinc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provides a nut function that can be fastened with the sealing bolt.
그리고 종래보다 얇은 두께는 번호판 결합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종래의 너트 내장 번호판 결합장치는 봉인볼트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필요한 너트의 길이, 그리고 너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의 길이로 인해 전체 두께가 두꺼울 수 밖에 없었다.And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by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The conventional nut-built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med by double injection had no choice but to have a thick overall thickness due to the length of the nut required for solid coupling with the sealing bolt, and the length of the synthetic resin to prevent the nut from being separated.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의 메인 바디가 끼움 덮개와 리세스 홈에 의해 고정되고, 플랜지는 버링에 의해 메인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다. 속이 빈 기둥 형상의 너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두께와, 판상의 메인 바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두께를 비교하면 후자의 두께가 더욱 얇다. 또한, 메인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독립적인 구조가 불필요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shaped main body is fixed by the fitting cover and the recess groove, and the flan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by the burring. When comparing the thickness required to prevent the hollow pillar-shaped nut from being separated with the thickness required to prevent the plate-shaped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the latter is thinner. In addition, an independent 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lang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is unnecessary.
이로 인해 종래보다 얇은 두께의 번호판 결합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여러가지 형상에 대응하여 굽힘이나 휨이 가능한 번호판 결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Due to this, a plate coupling device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prior art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pable of bending or bending in response to various shapes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의 번호판 결합장치가 국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봉인볼트 결합장치가 배제될 수 있으므로, 봉인볼트 결합장치가 갖는 두께가 번호판 결합장치에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번호판 결합장치가 국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너트 기능이 내장되지 않은 번호판 결합장치와 동일한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omestic vehicle, since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can be excluded,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is not reflected i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Therefore, when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omestic vehicle, it can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thickness as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without a built-in nut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베이스판이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금속으로 구성되는 번호판 결합장치가 버링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중사출의 공정이 불필요하여 종래보다 단순화된 공정으로 번호판 결합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composed of synthetic resin is formed by injection, and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omposed of metal is formed by burring. Therefore, since the process of double injection is unnecessary,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ified process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재질에서 녹이나 부식이 발생한 경우, 이 녹이나 부식은 봉인볼트 결합장치에서만 발생한 것이지 베이스판에서 발생한 것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봉인볼트 결합장치는 베이스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상이므로, 봉인볼트 결합장치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녹이나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이나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번호판 결합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ust or corrosion occurs in a metal material,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rust or corrosion occurs only in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and not in the base plate. In addition, since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is a subjec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rust or corrosion problems can be solved only by replacing the sealing bolt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ntir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rust or corrosion problem.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번호판과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봉인볼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의 끼움부에 끼워지기 전을 보인 부분 확대도다.
도 4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봉인볼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의 끼움부에 끼워진 후를 보인 부분 확대도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 위치에 해당하는 단면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vehicl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cense plate and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shown in FIG.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before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by sliding movement.
Figure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fter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by sliding move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A shown in FIG. 4 .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10)의 번호판 결합장치(CA)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 of the
번호판(110)은 규정된 형상으로,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번호판(110)은 직사각형 판, 혹은 꼭지점 부분이 둥근 직사각형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번호판(110)에는 차량(10)의 종류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차량 등록 번호(114)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표시된다.The
또한, 번호판(110)은 차량(10)의 지정된 위치, 예를 들어 차량(1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다. 번호판(110)은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차량 등록 번호(114)를 시각적으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량(1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번호판 장착부(15)가 형성되며, 번호판(110)은 차량(10)의 번호판 결합장치(CA)에 결합된 상태로 차량(10)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번호판 결합장치(CA)는 번호판(110)을 보호하거나, 번호판(110)을 차량(10)의 번호판 장착부(15)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다. 차량(10)의 번호판 결합장치(CA)는 번호판(110)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차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된다. 차량(10)의 번호판 결합장치(CA)는 번호판(110)보다 조금 큰 둘레를 가지며, 번호판(11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다.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 i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번호판 결합장치(CA)가 차량(10)의 번호판 장착부(15)에 장착된 상태에서, 번호판(110)이 번호판 결합장치(CA)에 결합된다. 이어서 봉인(120)이 설치되면, 번호판(110)을 차량(10)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CA is mounted on the licens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번호판(110)과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번호판(110)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판은 바디(112)로 이름할 수 있다.A rectangular plate constituting the
번호판(110)은 바디(1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선(11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선(116)은 바디(112)의 테두리를 따라 양각 또는 음각으로 돌출된다. 테두리 선(116)은 번호판(110)에 타각된 차량 등록 번호(114)를 감싸도록 폐곡선으로 형성된다. 번호판(110)의 바디(112), 차량 등록 번호(114), 및 테두리 선(116)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 판(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130)은 차량(10)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판(130)에는 번호판(1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번호판(110)을 차량(10)에 설치하는 작업에서는, 베이스 판(130)이 번호판(110)과 결합 전에 차량(10)의 번호판(110) 장착될 수 있다.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includes a
베이스 판(130)은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판(130)은 번호판(11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혹은 꼭기점 부분이 둥근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베이스 판(130)은 합성수지(플라스틱)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판(130)이 금속 또는 기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The
베이스 판(130)에는 문자 및 도형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판(130)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호 및/또는 로고가 표시된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The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 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테두리부(131), 그리고 번호판(110)을 수용할 수 있게 번호판 결합장치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함몰된 번호판 수용부(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두께 방향이란 베이스 판(130)의 앞뒤 방향을 가리킨다.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includes a
번호판 수용부(132)는 테두리부(131)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테두리부(131)가 베이스 판(13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해당하는 영역은 자연스럽게 두께 방향에서 함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테두리부(131)가 돌출됨에 따라 번호판 수용부(132)가 형성된다고 이해되거나, 번호판 수용부(132)가 함몰됨에 따라 테두리부(131)가 형성된다고 이해될 수 있다.The license
번호판 수용부(132)는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 혹은 꼭지점 부분이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으며, 번호판(110)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The license
번호판 수용부(132)에는 차량(10)에 결합되는 체결 요소(161, 1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요소(161, 162)의 개념에는 볼트, 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체결 요소(161, 162)가 베이스 판(130)을 관통하여 차량(10)에 체결되면, 베이스 판(130)이 차량(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복수의 관통홀(135)은 차량(10)에 결합되는 체결 요소(161, 162)의 개수에 비해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또한 다양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요소(161, 162)가 볼트인 경우에, 차량(10)의 종류 별로 상기 볼트의 결합 위치가 상이하므로, 상기 베이스 판(130)을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The plurality of through-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홀(135)은, 예를 들면, 일 측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 요소(161, 162)의 위치의 편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판(130)은 상기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의 번호판 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다음으로는, 상기 차량(10)에 결합된 상기 베이스 판(130)에 상기 번호판(110)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베이스 판(130)의 테두리부(131) 또는 번호판 수용부(1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1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1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테두리부(131)의 일측에서 상기 테두리부(131)의 타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도 2에는 테두리부(131)의 하측 변부에서 상측 변부를 향해 고정 돌기(133)가 돌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테두리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ixing
상기 고정 돌기(133)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장변부 및/또는 단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변부란 번호판 수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 측 변부를 지칭하며, 길이방향은 상기 베이스 판(130)에서 보다 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에서 길이 방향은 번호판 수용부(132)의 가로 방향에 해당한다. 반면, 상기 단변부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폭방향(혹은 높이 방향, 혹은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부가 될 수 있다.The fixing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하측 변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133)와 상기 테두리부(131)의 측벽 및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이 상기 번호판(110)의 일측이 삽입 배치되는 배치 공간 또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ower side of the license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133)는 테두리부(131)에서 돌출되거나 테두리부(131) 또는 베이스 판(130)에 결합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일측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돌기(13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소정 돌기(13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xing
한편, 베이스 판(130)에는 고정 돌기(133)에 대응되는 고정 부재(150)가 결합된다. 고정 부재(150)는 번호판 수용부(132)를 기준으로 고정 돌기(133)의 반대측에서 베이스 판(130)에 삽입 및 결합된다. Meanwhile, the fixing
번호판 수용부(132)를 기준으로 고정 돌기(133)의 반대측에는 고정 부재(150)가 수용될 수 있는 고정 부재 수용홈(134)이 형성된다. 고정 부재 수용홈(134) 내에서 고정 부재(155)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베이스 판(130)에 고정 부재(150)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A fixing
고정 부재(150)의 적어도 일부는 번호판 수용부(132)에 수용되는 번호판(110)과 오버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고정 부재(150)는 번호판(11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번호판(110)이 기준점을 지나는 순간 원위치로 복원되어 번호판(110)을 번호판 수용부(132)에 밀착되게 하도록 가압한다.The fixing
이에 의해, 도면상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변부를, 먼저 상기 고정 돌기(133)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한 후에,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변부를 회동하면 고정 부재(150)가 번호판(110)에 의해 가압되다가 번호판(110)이 기준점을 지나는 순간 고정 부재(150)는 가압 전의 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상기 번호판(110)을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by, after inserting the lower edge of the
번호판(110)이 번호판 수용부(132)에 삽입되고 나면, 봉인(120)과 체결 부재(170)가 결합되어 번호판을 고정하게 된다.After the
봉인(120)은 설치 대상이 국산 차량인지, 수입 차량인지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설치 대상 차량이 국산 차량이라면, 봉인(120)은 롱타입(long type) 봉인볼트(미도시), 봉인너트(미도시), 와셔(122), 핀(미도시) 및 봉인 덮개(123)로 구성된다.The
반면, 설치 대상 차량(10)이 수입 차량이라면 봉인(120)은 숏타입(short type) 봉인볼트(121), 와셔(122), 봉인 덮개(1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핀은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입 차량을 설치 대상으로 하는 봉인(1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번호판(110)에는 봉인볼트(121)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홀(118)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가공되어 있다. 예컨대 차량 등록 번호(114)가 시작되는 가장 첫 번째 숫자의 왼쪽에 관통홀(118)이 형성되어 있다. 봉인볼트(121)는 번호판(110)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18)을 관통하여 번호판 결합부재(140)와 체결된다. 반면, 체결 부재(170)는 차량 등록 번호(114)가 끝나는 가장 마지막 숫자의 오른쪽 관통홀(119)에 삽입된다.Th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번호판 결합부재(140)는 숏타입 봉인볼트(121)와 결합되는 너트에 해당한다. 번호판 결합부재(140)는 베이스 판(130)의 끼움부(136)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번호판 결합부재(140)와 끼움부(136)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icense
도 3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베이스 판(130)의 끼움부(136)에 끼워지기 전을 보인 부분 확대도다.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before the sealing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는 메인 바디(141)와 플랜지(142)를 구비한다. 메인 바디(141)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판(130)에 대응되도록 평평한 원형 혹은 다각형 판의 형상을 갖는다.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는 베이스 판(130)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는데, 이 때 메인 바디(141)는 베이스 판(13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sealing
메인 바디(141)의 중심, 혹은 메인 바디(14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메인 바디(14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H)이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에 상기 홀(H)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hole H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이 홀(H)의 주변에는 플랜지(142)가 형성된다. 플랜지(142)는 홀(H)의 주변에서 메인 바디(14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다. 플랜지(142)의 외경은 홀(H)의 내경보다 크다.And a
플랜지(142)의 돌출 길이가 과도하게 두꺼우면 번호판(110)이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거리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142)의 돌출 길이는 종래의 너트 내장 번호판 결합장치의 너트보다 작은 길이만큼 돌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플랜지(142)의 돌출 길이는 메인 바디(141)의 두께의 2.5배 이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플랜지(142)는 구멍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메인 바디(141)를 버링(burr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링 드릴 혹은 플로우 드릴이라고 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판(plate)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키면, 판에 홀(H)이 형성되고, 홀(H) 주변에 버(burr) 혹은 버링부라고 하는 버링의 결과물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42)는 버링 가공에 의해 메인 바디(141)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버링부에 해당한다.The
플랜지(142)의 내주면에는 봉인볼트(121)에 대응되는 나사산(143)이 형성된다. 플랜지(14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43)은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버링 탭에 해당한다. 버링 가공 시 버링 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버링 드릴 혹은 플로우 드릴을 사용하면, 버링부의 내주면에 자연스럽게 나사산(143)이 형성된다. 이때 봉인볼트(12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버링 탭이 형성되도록 정밀한 버링 드릴 혹은 플로우 드릴이 사용되면, 상기 플랜지(142)의 내주면에는 봉인볼트(121)에 대응되는 나사산(143)이 형성된다.A
버링 가공이 가능하기 위해서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burring, the sealing
위와 같은 구조의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는 베이스 판(130)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된다. 여기서 정해진 위치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110)의 관통홀(135)을 마주보는 위치를 가리키며, 이 위치에는 끼움부(136)가 형성된다.The sealing
베이스 판(130)에 형성되는 끼움부(136)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장착을 위해 마련된 영역이며, 메인 바디(141)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끼움부(136)에 끼워진다.The
끼움부(136)에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를 삽입할 수 있는 리세스 홈(136a)이 형성된다. 베이스 판(130)의 번호판 수용부(132)는 테두리부(131) 대비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데, 끼움부(136)의 리세스 홈(136a)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으로 번호판 수용부(132)보다 더 함몰되어 형성된다.A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메인 바디(141)가 리세스 홈(136a)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기 위해서 리세스 홈(136a)의 크기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메인 바디(141)보다 크게 형성된다. 직사각형 형상을 기준으로 메인 바디(141)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리세스 홈(136a)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비교한다면, 가로와 세로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비슷하지만, 나머지 하나는 리세스 홈(136a)의 길이가 메인 바디(141)의 그것보다 크게 형성된다.In order for the
예컨대 메인 바디(141)의 세로 길이는 리세스 홈(136a)의 세로 길이보다 아주 조금 작다. 반면, 리세스 홈(136a)의 가로 길이는 메인 바디(141)의 가로 길이보다 상당히 길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메인 바디(141)는 리세스 홈(136a)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rtical length of the
끼움부(136)는 끼움홈(136c1, 136c2)을 형성하는 끼움덮개(136b1, 136b2)를 구비한다. 끼움홈(136c1, 136c2)이란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메인 바디(141)가 끼워지는 영역을 가리킨다. 끼움홈(136c1, 136c2)은 리세스 홈(136a)에 형성되는 관통홀(136e)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끼움홈(136c1)과 제2 끼움홈(136c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1 끼움홈(136c1)과 제2 끼움홈(136c2)은 리세스 홈(136a)에서 메인 바디(141)가 슬라이딩 하는 방향에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41)가 리세스 홈(136a)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면, 제1 끼움홈(136c1)과 제2 끼움홈(136c2)은 리세스 홈(136a)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irst fitting groove 136c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6c2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or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메인 바디(141)의 두 모서리 어느 하나는 제1 끼움홈(136c1)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제2 끼움홈(136c2)에 끼워진다. 여기서 메인 바디(141)의 두 모서리란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서리를 가리킨다. 도 3에서 메인 바디(141)가 가로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되므로, 상기 두 모서리는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두 모서리를 가리킨다.One of the two corners of the
끼움홈(136c1, 136c2)은 끼움덮개(136b1, 136b2)에 의해 형성된다. 끼움덮개(136b1, 136b2)는 리세스 홈(136a)의 상측 입구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세스 홈(136a)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데, 함몰의 시작 지점이 리세스 홈(136a)의 상측 입구라고 할 수 있다.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끼움홈(136c1, 136c2)으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끼워지기 위해서는 먼저 리세스 홈(136a)의 함몰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이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측이란 개념은 리세스 홈(136a)의 함몰 방향을 리세스 홈(136a)의 깊이라고 전제할 때, 함몰의 시작 지점이 리세스 홈(136a)의 깊이 방향에서 가장 위에 해당하는 것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The fitting grooves 136c1 and 136c2 are formed by th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Th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are formed at the upper inlet of the
끼움덮개(136b1, 136b2)는 베이스 판(13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끼움덮개(136b1, 136b2)는 베이스 판(130)의 번호판 수용부(13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끼움덮개(136b1, 136b2)는 번호판 수용부(132)로부터 돌출되어 번호판 수용부(132)와 하나의 면을 형성하며,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는 리세스 홈(136a)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 홈(136a)과 끼움덮개(136b1, 136b2)의 사이에 끼움홈(136c1, 136c2)이 형성된다.Fitting cover (136b1, 136b2) is form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130). More specifically, the fitting cover (136b1, 136b2)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icense
끼움덮개(136b1, 136b2)에 의해 끼움홈(136c1, 136c2)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끼움덮개(136b1, 136b2)는 끼움홈(136c1, 136c2)이 형성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이를테면 제1 끼움홈(136c1)과 제2 끼움홈(136c2)이 형성되는 위치마다 끼움덮개(136b1, 136b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끼움덮개(136b1, 136b2)를 제1 끼움덮개(136b1)와 제2 끼움덮개(136b2)로 이름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fitting grooves 136c1 and 136c2 are formed by th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th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are naturally form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fitting grooves 136c1 and 136c2 are formed. For exampl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are form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first fitting groove 136c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6c2 are formed, and accordingly, the fitting covers 136b1 and 136b2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fitting cover 136b1. ) and the second fitting cover (136b2).
제1 끼움덮개(136b1)와 제2 끼움덮개(136b2)는 리세스 홈(136a)에서 메인 바디(141)가 슬라이딩 하는 방향에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41)가 리세스 홈(136a)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면, 제1 끼움덮개(136b1)과 제2 끼움덮개(136b2)는 리세스 홈(136a) 또는 번호판 수용부(132)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irst fitting cover (136b1) and the second fitting cover (136b2)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or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각각의 끼움덮개(136b1, 136b2)는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지는 메인 바디(141)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다. 끼움덮개(136b1, 136b2)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메인 바디(141)의 모서리를 덮음에 따라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Each fitting cover (136b1, 136b2) covers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리세스 홈(136a)의 바닥에서 끼움덮개(136b1, 136b2)를 마주보는 위치에는 연통홀(136d)이 형성된다. 연통홀(136d)은 베이스 판(130)을 관통하여 베이스 판(130)의 후면까지 연통된다. 베이스 판(130)은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이라는 공정으로 가공하여 제작되는데, 연통홀(136d)은 사출 공정을 이용하여 끼움덮개(136b1, 136b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구조다.A
일반적으로 사출이란 금형에 사출 원재료를 투입하고 고열 및 고압을 인가해 원재료를 금형에 미리 디자인된 형상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때 끼움덮개(136b1, 136b2)와 같이 리세스 홈(136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된 대상을 가공한 금형이 제작 완료된 베이스 판(130)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통홀(136d)과 같은 구멍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injec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producing raw materials in a pre-designed shape in a mold by putting raw materials for injection into a mold and applying high heat and high pressure. At this time, in order to separate the mold for processing the object protruding from the
연통홀(136d)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끼움덮개(136b1, 136b2)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통홀(136d)의 형상은 끼움덮개(136b1, 136b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대응된다. 연통홀(136d)의 크기는 끼움덮개(136b1, 136b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다.The
제1 끼움덮개(136b1)가 제2 끼움덮개(136b2)가 베이스 판(130)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듯, 두 연통홀(136d)도 베이스 판(130)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리세스 홈(136a)은 두 연통홀(136d)의 사이에 형성된다.As the first fitting cover (136b1) and the second fitting cover (136b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베이스 판(130)에는 상기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판(130)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앞서 설명하였다 리세스 홈(136a)에도 관통홀(136e)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136e)은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플랜지(142)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관통홀(136e)의 내경은 플랜지(142)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커야 한다.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enetrating the
플랜지(142)가 메인 바디(141)의 일 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메인 바디(141)가 리세스 홈(136a)에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플랜지(142)는 리세스 홈(136a)의 관통홀(136e)에 삽입된다. 관통홀(135)은 플랜지(142)가 삽입되어 메인 바디(14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이루어진다.Since the
관통홀(136e)은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플랜지(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공은 메인 바디(141)와 플랜지(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장공은 메인 바디(141)의 양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through
여기서 양 모서리란 끼움부(136)의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지는 두 모서리를 가리킨다. 상기 두 모서리는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장공도 메인 바디(141)와 플랜지(14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Here, both corners refer to two corner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36c1 and 136c2 of the
관통홀(136e)이 장공으로 이루어진다면, 플랜지(142)가 메인 바디(141)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메인 바디(14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컨대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어도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갖는 본래의 기능에는 영향이 없다. 따라서 장공은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를 제작함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부여하게 된다.If the through hole (136e) is made of a long hole, the
리세스 홈(136a)의 바닥에는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진 메인 바디(141)가 끼움홈(136c1, 136c2)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돌기(136f)가 형성된다. 제한 돌기(136f)는 리세스 홈(136a)의 바닥으로부터 베이스 판(13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A limiting
제한 돌기(136f)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경사는 끼움홈(136c1, 136c2)을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두 경사는 메인 바디(14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limiting
두 경사의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테면 메인 바디(141)가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끼움홈(136c1, 136c2)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가 메인 바디(141)의 일면과 접촉하게 된다. 메인 바디(141)가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부드러운 움직임에 의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메인 바디(141)와 접촉하는 경사는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s of the two slop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반면, 메인 바디(141)가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진 이후에는 끼움홈(136c1, 136c2)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가 메인 바디(141)와 접촉하게 된다. 메인 바디(141)가 끼움홈(136c1, 136c2)에 끼워진 이후에는 급격한 경사를 통해 메인 바디(141)의 이탈을 제한해야 하므로, 끼움홈(136c1, 136c2)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의 각도는 급격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따라서 제한 돌기(136f)의 두 경사 중 끼움홈(136c1, 136c2) 혹은 끼움덮개(136b1, 136b2)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는 끼움홈(136c1, 136c2) 혹은 끼움덮개(136b1, 136b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경사보다 급격하다.Therefore, the slope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tting groove (136c1, 136c2) or the fitting cover (136b1, 136b2) of the two slopes of the limiting projection (136f) toward the fitting groove (136c1, 136c2) or the fitting cover (136b1, 136b2) toward the steeper than the slop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제한 돌기(136f)는 끼움덮개(136b1, 136b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된다. 제한 돌기(136f)와 끼움덮개(136b1, 136b2)의 이격 방향은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이다. 제한 돌기(136f)는 메인 바디(141)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이지,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을 막아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한 돌기(136f)는 끼움덮개(136b1, 136b2)로부터 이격되어야 하고, 그래야 그 사이로 메인 바디(141)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limiting
제한 돌기(136f)는 관통홀(135)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관통홀(135)의 양측이란 메인 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교차 내지 직교하는 방향에서 장공의 한쪽과 그 반대쪽을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연통홀(136d)도 장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limiting
도 4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베이스 판(130)의 끼움부(136)에 끼워진 후를 보인 부분 확대도다.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fter the sealing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 위치에 해당하는 단면도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A shown in FIG. 4 .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베이스 판(130)의 끼움부(136)에 끼워지면 메인 바디(141)의 양 모서리는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끼움덮개(136b1, 136b2)와 연통홀(136d)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끼움덮개(136b1, 136b2), 메인 바디(141)의 양 모서리, 연통홀(136d)은 서로 오버랩된다.When the sealing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홀(H)은 제1 끼움덮개(136b1)와 제2 끼움덮개(136b2)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플랜지(142)는 장공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장공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142)는 봉인볼트(121)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장공보다 베이스 판(130)의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hole (H) of the sealing
끼움부(136)에 끼워진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임의적인 이동은 리세스 홈(136a)의 형상, 제한 돌기(136f), 그리고 끼움덮개(136b1, 136b2)에 의해 제한된다. 먼저, 베이스 판(130)의 세로 방향 이동은 리세스 홈(136a)의 세로 길이가 메인 바디(141)의 세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아주 조금 큰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가로 방향 이동은 제한 돌기(136f)의 경사에 의해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판(130)의 두께 방향에서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의 이동은 끼움덮개(136b1, 136b2)와 리세스 홈(136a)에 의해 제한된다.Arbitrary movement of the sealing
이에 따라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140)와 나사 체결되는 봉인볼트(121), 그리고 상기 봉인볼트(121)에 결합되는 와셔(122) 및 봉인 덮개(123)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ling
수입 차량(10)과 같이 봉인너트 없이 봉인(120)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필수로 요구된다. 따라서 베이스 판(130)의 끼움부(136)에는 반드시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미리 끼워져 있어야 한다.When the
반면, 국산 차량(10)과 같이 봉인너트가 차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국산 차량(10)에 번호판(110)과 봉인(1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를 끼움부(136)에서 인출하고, 끼움부(136)가 비워진 상태에서 봉인(120)을 설치한다. 이 경우 플랜지(142)의 돌출된 길이가 없어지므로, 번호판 결합장치(14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번호판(110)은 차체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ling nut is disposed inside the vehicle body as in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봉인볼트 결합부재(140)를 끼움부(136)에 삽입하거나, 끼움부(136)로부터 인출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번호판 결합장치(140)를 수입 차량(10)과 국산 차량(10) 모두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inserting the sealing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the vehicl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Claims (12)
상기 베이스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 판에 장착되는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는 홀과, 상기 홀의 주변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봉인볼트 결합부재를 통하여 봉인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판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봉인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양 모서리는 상기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 base plate mounted on a vehicle;
an edg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license plat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license plate displaying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and
a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mounted on the base plate;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A main body dispos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a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hole,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at leas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is fitted is formed on the base plate so that the sealing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bol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The fitting portion has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nd both edges of the main body are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respectively,
The flange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플랜지는 버링(burring)에 의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버링부이며, 상기 나사산은 버링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lange is a burr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burring, and the screw thread is a burring tab.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버링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burring.
상기 플랜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lange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sition eccentric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r the center of the main body.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hole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inserted into a long hole to enable movement of the main body.
상기 장공은 상기 메인 바디의 양 모서리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long hole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long along both edges of the main body.
상기 베이스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봉인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지는 홀과,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봉인볼트 결합부재;
상기 번호판에 의하여 덮이는 상기 베이스 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며,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판의 일면에는 리세스 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 상기 관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 홈의 상측 입구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덮는 끼움덮개가 상기 베이스 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 base plate mounted on a vehicle;
an edg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license plat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license plate displaying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 sealing bolt coupling member having a mai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a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bolt, and a flange formed at an edge of the hole;
a fitting portion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covered by the license plate and formed to fit the main body; and
It passes through the base plate and includes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lange is inserted,
A recess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through hol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At the upper entrance of the recess groove, a fitting cover for covering at leas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서 상기 끼움덮개를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베이스 판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판의 후면까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t a position facing the fitting cover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a communication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to communica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상기 리세스 홈의 바닥에는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끼움덮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상기 끼움덮개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t the bottom of the recess groove, a limiting protrusion for limiting that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cover protrudes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tting cover,
The limiting projection is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respectively.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끼움덮개를 향하는 방향과 상기 끼움덮개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에 각각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덮개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가 상기 끼움덮개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의 경사보다 급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miting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in a direction facing the fitting cover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cover, respectively,
A license plate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tting cover is steeper than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418A KR102272504B1 (en) | 2019-10-21 | 2019-10-21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418A KR102272504B1 (en) | 2019-10-21 | 2019-10-21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6963A KR20210046963A (en) | 2021-04-29 |
KR102272504B1 true KR102272504B1 (en) | 2021-07-01 |
Family
ID=7572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0418A Active KR102272504B1 (en) | 2019-10-21 | 2019-10-21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50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0114A (en) * | 1999-05-19 | 2001-02-06 | Enami Seiki:Kk | Working tool for burring tap working, mounting tapper for the tool, and worked product worked by using the tool |
KR200258189Y1 (en) * | 2001-09-27 | 2001-12-29 | 김우성 | Union unit for licence plat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12U (en) * | 1991-02-12 | 1993-01-14 | 太平洋工業株式会社 | Dividable license plate frame |
KR101883988B1 (en) * | 2017-03-23 | 2018-07-31 | 황선준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
2019
- 2019-10-21 KR KR1020190130418A patent/KR1022725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0114A (en) * | 1999-05-19 | 2001-02-06 | Enami Seiki:Kk | Working tool for burring tap working, mounting tapper for the tool, and worked product worked by using the tool |
KR200258189Y1 (en) * | 2001-09-27 | 2001-12-29 | 김우성 | Union unit for licence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6963A (en) | 202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3914B2 (en) | Hole plug | |
US7392725B2 (en) | Steering wheel | |
US8979460B2 (en) | Fastening device | |
US4676706A (en) | Clip nut | |
US4850773A (en) | Clip | |
US10532715B2 (en) | Steering wheel unit,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body | |
US11286695B2 (en) | Vehicle door handle mounting structure | |
JP4682049B2 (en) | Retractable marking pillar | |
US6779802B2 (en) | Appliance with seal between two housing shells | |
KR102272504B1 (en) | 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 |
JP2017187046A (en) | Stud engagement unit | |
US20030146042A1 (en) | Fastening arrangement for an upholstery part covering a vehicle loudspeaker | |
JPH0139922Y2 (en) | ||
JP3747384B2 (en) | Tire case | |
JP4816485B2 (en) | Exterior parts for vehicles | |
JP2007333030A (en) | Fixture | |
JP2007162733A (en) | Cushion member and its forming method | |
JPS6346280Y2 (en) | ||
JP3229369B2 (en) | Vehicle console box | |
JP7688938B2 (en) | Antenna device having a double cover structure | |
KR102551673B1 (en) | Tube holder for vehicle | |
JPH086624Y2 (en) | Bumper mounting structure | |
JP6367898B2 (en) | Mirror device for vehicle | |
JPH0430411Y2 (en) | ||
JP3757690B2 (en) | Electronic control unit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