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45B1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1945B1 KR102271945B1 KR1020190016858A KR20190016858A KR102271945B1 KR 102271945 B1 KR102271945 B1 KR 102271945B1 KR 1020190016858 A KR1020190016858 A KR 1020190016858A KR 20190016858 A KR20190016858 A KR 20190016858A KR 102271945 B1 KR102271945 B1 KR 102271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r
- river
- image
- disaster
- imag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01S13/9021—SAR image post-processing techniques
- G01S13/9027—Pattern recognition for feature extra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01S13/9004—SAR image acquisi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현 과정을 구현하는 과정을 구체화하한 작용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 및 실시예 적용예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110: 변화감지부 112: 전처리부
114: 영역분리부 116: 상관분석비교부
120: 변경영역추출부 130: 클러스터링부
132: 퍼지입력분석부 134: DR 산출부
136: DN 산출부 140: 유형별 분류부
150: 재해예측분석부
Claims (11)
- 실시간으로 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이용하여 특정지역의 고해상도 영상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재난재해 여부를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대한 서로 다른 시점의 두개의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되는 2개의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에서 동일 지역의 SAR 이미지 세트 간의 변화여부를 감지(detection) 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변화가 감지되는 SAR 이미지 세트의 경우,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변경된 영역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3단계;
피해 지역의 SAR 영상으로서 새롭게 제공된 SAR 이미지를 상기 3단계에서 수행된 클러스터 세트를 기반으로 유형을 맵핑하고 분류하는 4단계;
상기 분류된 SAR 이미지를 사용하여 재난 및 재해 여부에 대한 자동 확률 분포분석을 수행하는 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단계의 상기 특정 지역은 하천을 포함하는 지역이며, 입력되는 영상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동일 하천 지역을 포함하는 SAR 이미지 세트이며,
상기 3단계는 상기 SAR 이미지 세트 상에 노출되는 하천의 폭의 차이 값을 기준으로 하천의 재해유무를 클러스터링하며,
상기 5단계는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홍수 및 가뭄의 예측을 수행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되는 하천을 포함하는 이미지 세트에서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를 유형화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3단계는, 퍼지논리 모델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동상태를 분류하되,
상기 특정 지역에 포함되는 하천의 이미지에 대하여,
특정시간에 기준이 되는 강폭(Sr)과 현재의 강폭(Sti)의 차이를 계산하고,현재 강폭 이미지(Sti)와 다음 영상 강폭 이미지(St+1)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기준이 되는 강폭(Sr)과 현재의 강폭(Sti)의 차이를 계산은, 하천 초기 상태(RIS의 경우 FIS) 퍼지 논리 모듈에 대한 퍼지 추론 시스템에 입력되어, 하천의 현재 상태의 이상 유무를 분류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입력되는 두개의 상기 SAR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전처리는, SAR 이미지의 신호 레벨의 변화를 줄이기 위한 정규화(normalization) 및 표적의 화소로부터 분리(segmentation)를 수행하여 영상을 다른 세그먼트로 나누고 관심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입력되는 2개의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이미지 간의 변화여부를 감지하여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는 감지과정이 수행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리의 수행 시에는,
분할 알고리즘(Color Thresholder(CT)을 사용하여 색상 이미지를 이진 영상으로 변환하는 색상 임계값 지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변경감지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 대한 두개의 이미지를 정지영상으로 추출하고,
변경영역추출부에서 두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변경사항의 여부를 감지하고, 이미지 차이점 보관 방법을 통해 얻은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현재 상태의 이상 유무를 분류 및 분석하는 것은, 퍼지 추론 시스템에 의해 하천의 유동유무를 분석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하천 초기 상태(RIS의 경우 FIS)의 입력변수는 기준(DR)과의 차이, 출력은 하천 흐름 초기 상태(RIS)의 결과를 임피던스(DR)(St-Sr) 변수와 차이에 대한 다섯가지 멤버십 함수(MF)인 HN(High Negative), LN(Low Negative), Z(Zero), LP(Low Positive), HP(High Positive)로 정의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며,
하천 흐름 초기상태(RIS)는 D(Draught), LD(Low Draught), NF(Normal Flow), LF(Low Flood), F(Flood)의 멥버쉽 함수로 정의되는,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 삭제
- 청구항 9에 따른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6858A KR102271945B1 (ko) | 2019-02-13 | 2019-02-13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PCT/KR2020/001980 WO2020166972A1 (ko) | 2019-02-13 | 2020-02-12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6858A KR102271945B1 (ko) | 2019-02-13 | 2019-02-13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180A KR20200103180A (ko) | 2020-09-02 |
KR102271945B1 true KR102271945B1 (ko) | 2021-07-02 |
Family
ID=7204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6858A Active KR102271945B1 (ko) | 2019-02-13 | 2019-02-13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1945B1 (ko) |
WO (1) | WO202016697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9089B1 (ko) * | 2022-01-17 | 2022-05-17 | 이승철 | 인공위성 영상정보를 이용한 홍수 피해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833842B1 (ko) | 2023-06-14 | 2025-07-14 | (주)아이옵스 | Sar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물지도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36590B (zh) * | 2021-01-13 | 2022-07-08 | 四川轻化工大学 | 洪涝灾害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3609898B (zh) * | 2021-06-23 | 2023-09-29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泗水县供电公司 | 基于sar图像的输电线路覆冰监测方法及系统 |
KR102626758B1 (ko) * | 2021-08-23 | 2024-01-1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태풍 진로를 중기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N113870224B (zh) * | 2021-09-28 | 2024-12-20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洪水监测方法、系统、设备和介质 |
CN114037903B (zh) * | 2021-10-29 | 2025-02-25 | 应急管理部国家减灾中心 | 洪涝灾害水体范围检测方法及装置、设备和存储介质 |
CN114397660B (zh) * | 2022-01-24 | 2022-12-06 |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 用于sar实时成像的处理方法及处理芯片 |
KR102496740B1 (ko) * | 2022-06-02 | 2023-02-07 | 대한민국 | 위성영상 기반 저수지 수표면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KR102533185B1 (ko) * | 2023-02-10 | 2023-05-17 | 주식회사 솔디아 | Cctv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하천 종합 안전관리 장치 |
CN116778232B (zh) * | 2023-06-01 | 2024-07-26 | 自然资源部国土卫星遥感应用中心 | Sar图像竖条纹检测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
CN116434072B (zh) * | 2023-06-12 | 2023-08-18 | 山东省国土空间生态修复中心(山东省地质灾害防治技术指导中心、山东省土地储备中心) | 基于多源数据的地质灾害早期识别方法、装置 |
WO2025042232A1 (ko) * | 2023-08-24 | 2025-02-27 | 주식회사 스텔라비전 |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에 기초한 물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8465764B (zh) * | 2024-07-09 | 2024-10-29 | 华诺星空技术股份有限公司 | 落石检测方法、设备、存储介质及产品 |
CN119377769A (zh) * | 2024-10-22 | 2025-01-28 | 成都信息工程大学 | 基于毫米波sar的高原山地地质灾害预测方法及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15248A (ja) * | 2016-06-01 | 2017-12-07 |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 変状度判定方法及び変状度判定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422300B (sv) * | 1980-10-27 | 1982-03-01 | Skega Ab | Injektionsaggregat for gummi eller annat viskost material |
KR101368535B1 (ko) | 2011-10-20 | 2014-03-0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
KR101317961B1 (ko) | 2013-03-13 | 2013-10-16 | 최승욱 |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
KR101900949B1 (ko) * | 2015-12-30 | 2018-09-21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쿼드콥터를 위한 2-입력 퍼지논리제어기 |
-
2019
- 2019-02-13 KR KR1020190016858A patent/KR102271945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2-12 WO PCT/KR2020/001980 patent/WO202016697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15248A (ja) * | 2016-06-01 | 2017-12-07 |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 変状度判定方法及び変状度判定システ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9089B1 (ko) * | 2022-01-17 | 2022-05-17 | 이승철 | 인공위성 영상정보를 이용한 홍수 피해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833842B1 (ko) | 2023-06-14 | 2025-07-14 | (주)아이옵스 | Sar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물지도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66972A1 (ko) | 2020-08-20 |
KR20200103180A (ko) | 2020-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1945B1 (ko) |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
D'Addabbo et al. | A Bayesian network for flood detection combining SAR imagery and ancillary data | |
Ren et al. | Detecting and positioning of traffic incidents via video‐based analysis of traffic states in a road segment | |
US9852342B2 (en) | Surveillance system | |
KR102168024B1 (ko) | 머신러닝을 이용한 홍수 또는 가뭄 위험 분석 장치 및 방법 | |
Keramitsoglou et al. | Automatic identification of oil spills on satellite images | |
Nguyen et al. | Multistage real-time fire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 |
Xie et al. | Spatial analysis of highway incident durations in the context of Hurricane Sandy | |
US20180278894A1 (en) | Surveillance system | |
CN104239851A (zh) | 基于行为分析的智能小区巡检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2614856B1 (ko) | 군중 난류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
Yaseen et al. | Real-time crowd density mapping using a novel sensory fusion model of infrared and visual systems | |
JP5992681B2 (ja) | 混雑の非通常状態検知システム | |
Andersson et al. | Recognition of anomalous motion patterns in urban surveillance | |
CN118229085A (zh) | 基于注意力预测机制的智慧园区能管风险视觉管理系统 | |
Liu et al. | Learning traffic as images for incident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
CN119047820A (zh) | 基于ai的建筑施工现场风险评估系统 | |
Hao et al. | Estimating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urban street ponding levels from surveillance videos based on computer vision | |
Chang et al. | A spatial–temporal deep learning-based warning system against flooding hazards with an empirical study in Taiwan | |
CN119694062A (zh) | 一种智慧消安一体化大数据平台系统 | |
CN104077571A (zh) | 一种采用单类序列化模型的人群异常行为检测方法 | |
Gnanavel et al. | Smart Surveillance System and Prediction of Abnormal Activity in ATM Using Deep Learning | |
Khudov et al. | The development of a management decision-mak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from space observation systems | |
KR102641428B1 (ko) | Cctv 영상을 이용한 침수 재해 예측 및 경보 방법 | |
KR102825351B1 (ko) | 건설 현장의 영상 분석에 의한 인공 신경망 기반 침수 판정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