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13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0813B1 KR102270813B1 KR1020190098776A KR20190098776A KR102270813B1 KR 102270813 B1 KR102270813 B1 KR 102270813B1 KR 1020190098776 A KR1020190098776 A KR 1020190098776A KR 20190098776 A KR20190098776 A KR 20190098776A KR 102270813 B1 KR102270813 B1 KR 102270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 water
- air
- port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 foreign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07 vacuum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JTJMJGYZQZDUJJ-UHFFFAOYSA-N phencyclidine Chemical class C1CCCCN1C1(C=2C=CC=CC=2)CCCCC1 JTJMJGYZQZDU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97 potass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6 potassium bi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8 potass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WHMMNNQKKPAPP-UHFFFAOYSA-L potas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K+].[K+].[O-]C([O-])=O BWHMMNNQKKPAP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TYJJADVDDVDEDZ-UHFFFAOYSA-M potassium hydrogencarbonate Chemical compound [K+].OC([O-])=O TYJJADVDDVDED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86066 potassium hydrogen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yclone vacuum cleaner in which polluted air vacuum sucked through a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spirally introduced into water and mixed with water to remove liquid, foreign substances, dust, and dirt from polluted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잡이가 장착되는 바디 어셈블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polluted air suction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a body assembly on which a handle is mounted and that sucks polluted air including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on the floo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nd is filled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polluted air sucked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put into the water, and the liquid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polluted ai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ction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a mixer for removing and purifying dust and dirt is detachably coupled to a body assembly.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연결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장관 및, 연장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는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에는 연결호스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집진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집진실에는 먼지 등의 오물을 수거하는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A general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a connecting hos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extension tube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ses, and a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extension tube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se.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chambe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filter for collecting contaminants such as dust is detachably hous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모터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공기와 함께 오물이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하고, 흡입되는 흡입공기 및 오물은 연장관 및 연결호스를 거쳐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며, 오물은 본체의 집진실에 수납된 필터에 수거되고, 흡입공기는 종이필터를 지나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In such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dirt is sucked together with suction air through a suction port by the suction power of a vacuum motor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the suction air and dirt are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an extension pipe and a connection hose, and the dirt The silver was collected in the filter housed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the intake air w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paper filter.
그런데,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먼지 및 오물들이 본체의 집진실에 수납된 하나의 필터에 모두 수거되기 때문에, 필터가 쉽게 오물들로 가득차게 되는데, 필터에 오물들이 가득차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모터의 과부하를 초래하므로, 필터를 자주 갈아 끼워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ince dust and dirt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re all collected in one filter housed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the filter is easily filled with dirt. Since the suction power of the cotton vacuum cleaner is lowered and the motor is overloaded,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filter frequently.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 중 미세먼지는 필터를 통과하여 그대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압의 공기와 함께 흡입되던 공기 중 일정크기 이상이 되는 먼지는 필터에 걸리게 되지만, 일정크기 이하의 미세먼지는 필터를 그대로 통과하여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기 중으로 배출된 미세먼지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상당시간 동안 공기 중을 떠돌아다니다가 결국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게 되는데,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면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통하여 폐 속 깊숙이 침투하게 되고, 일단 몸속으로 들어온 미세먼지는 잘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큰 먼지보다 건강에 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편리한 진공청소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세번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fatal problem in that fine dust amo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is discharged into the air as it is. That is, dust having a size larger than a certain size in the air that was inhaled with the high-pressure air is caught in the filter, but fine dust smaller than a certain size passes through the filter as it is and is discharged back into the air. Since the fine dust emitted into the atmosphere is very light, it floats in the air for a long time and eventually enters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results, the fine dust penetrates deeply into the lung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and once inside the body Since fine dust that enters the air is not well discharged, it has a more adverse effect on health than large dust. Therefore, in order to safely use a convenient vacuum cleaner, it was necessary to prevent the scattering of fine addresses to the outside.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6208호(공개일 2009.03.11.)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76057호(등록일 2012.08.16.) 등과 같이 사이클론 집진장치(원심분리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general vacuum cleaners, cyclones such as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6208 (published on March 11, 2009)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176057 (date of August 16, 2012), etc.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or (centrifuge) has been proposed.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내의 입자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비교적 큰 입자의 오물을 청소기 본체의 종이필터로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걸러 수거함으로써, 필터로 수거되는 오물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필터를 보다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필터가 쉽게 오물들로 가득 채워짐으로써 야기되는 흡입력의 저하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The cyclone vacuum cleaner, which uses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particles in the fluid, primarily filters and collects relatively large particles of dirt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before it flows into the paper filter of the cleaner body,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dirt collected through the filter. Therefore, the filter can be u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suction power and overload of the motor caused by the filter being easily filled with dir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는 액체(예를 들어 바닥면의 물기)가 흡입구로 흡입되는 경우 진공모터의 고장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시 바닥면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액체 흡입시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흡입한 액체가 진공모터의 배기구로 배출되어 주변을 더렵혀 청소를 다시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yclone type vacuum cleaner, when liquid (for example, water on the floo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ailure of the vacuum motor. Therefore,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hat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must be checked when using the vacuum cleaner. ,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huge cost was consumed due to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vacuum motor when the liquid was suck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uctioned liquid w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vacuum motor, polluted the surroundings, and had to be cleaned agai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52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34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88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0641호 등 습식 또는 세척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에 개시된 습식 진공청소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을 통과시키면서 완전히 세척을 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과 세척효율에 있어서도 일부분의 공기가 물과 접촉하는 한계가 있으며, 물과 공기가 혼합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Vacuum cleaners that can be wet or washed are disclosed, such a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5529,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4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8812,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0641 However, the wet vacuum clean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leans the sucked air while passing water,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a part of the air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in cleaning efficiency, and the water and air are mixed or flow back. There was a limit to having a complex structure to prevent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진공모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물걸레를 자동세척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olluted air vacuum sucked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put into the 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dust, and dirt from the polluted air by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n particular, when the moisture on the floor is vacuum sucked, it is mixed with water and separated from the ai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vacuum motor.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 vacuum cleaner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a wet mop is provided.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가 장착되는 바디 어셈블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혼합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와;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오염공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1투입구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와;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된 후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입구는 제2유도부로 투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제2유도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luted air suction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assembly on which the handle is mounted and sucks polluted air including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on the floor surfac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In the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nd is filled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so that the polluted air sucked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put into the water by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A mixer for removing and purifying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in the polluted ai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the mixer has a first vacuum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motor formed at the top to form a vacuum inside, a casing having a first suction port on one side of which the polluted air sucked in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vacuum sucked and fill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 first induction part for transferring the polluted air sucked in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is submerged in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contaminated air in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first in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first induction unit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and put into the water. a second induction unit; The first vacuum port formed through the first vacuum port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vacuum port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acts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first inlet to be purifi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irst vacuum port. 1 vacuum part; including, wherein the first inlet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duction part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duction part is turned in a spiral direction into the water and mixed and stirred smoothly with the water do it with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는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회수되도록 제1진공구와 가까워 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cuum unit is close to the first vacuum port so that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is decelerated when it moves toward the first vacuum port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air by gravity and recove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it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상기 제1진공구와 진공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공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분분리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제1진공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2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와;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투입구와; 상기 제2진공구와 제2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투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cuum hole and the vacuum motor inside the casing, the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cuum hole is further provided, the water Separator, a second vacuum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motor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separation passage in which a vacuum is formed; a second suction por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vacuum port inside the casing and through which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ter after being purified through the mixer is vacuum sucked; a guide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purified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 second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on cylinder to inject the purified air transferred through the guide passage into the separation cylinder; and a second vacuum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vacuum port and the second inlet port, and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acts to suck the injected purified air into the second vacuum po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통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는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분리통 내부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진공흡입관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 내부에 투입된 정화공기가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과정에서 정화공기중의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만 제2진공구로 흡입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tube is formed in a cone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second inlet is eccentric so that the purified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is turned in a spiral direction inside the separation tube. A vacuum suction pipe is vertically provided so that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vacuum port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inlet in the upper center of the separation tube, and the purified air injected into the separation tube is formed in a vertical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moisture in the purified air is separated by weight in the process of turning in the spiral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and only the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is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cuum po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통 내부에는 분리수의 수위 증가로 인해 내부의 물이 제2진공구를 통해 진공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한 제2진공구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econd vacuum tool blocking member capable of flowing up and down by buoyancy to prevent the insid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motor through the second vacuum tool due to a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f the separation tank in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 내부에는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의 전방에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물걸레가 마련되고,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급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물걸레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탱크 내부의 물을 물걸레에 공급하는 세척수 배관이 내장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물이 물걸레에 공급되면 물걸레가 젖어 바닥의 이물질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며,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도록 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 wet mop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acts, and a wet mop rotated through the power of the motor is provided, and water is stored inside the body assembly on one side The tank is detachably mount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t mop, and a washing water pipe for supplying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et mop is built-in,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s transferred to the wet mop. When supplied, the wet mop becomes wet so that you can wipe off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the suction port is directed toward the floor and the wet mop at the same time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the moisture from the mop can be sucked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rotating wet mop so that both mop cleaning and wet mop cleaning are possible at the same time, and when water supply is stopped, vacuum suction power acts from the rear of the wet mop to remove residual moisture from the wet mop and allow natural dry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장착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살균수가 생성되어, 상기 전해살균수를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하여 물걸레와 바닥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are mounted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lectrolyze the water stored therein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supply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the wet mop through the washing water pipe to wash the mop and the floor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eriliz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케이싱 내부에 채워진 물과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서 물과 직접 접촉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이물질, 먼지,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수분으로부터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inside of the mixer is in a vacuum state, the water filled in the casing and the polluted air sucked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dust, and dirt in the polluted air. In particular, when the moisture on the bottom surface is vacuum sucked, it is mixed with water and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air, so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vacuum motor from mois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에 마련되는 제2유도부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하여 오염공기와 물이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되는 면적과 시간을 증대시켜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aminated air to be swirl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inlet eccentrically formed in the second induc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mixe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and water can be smoothly mixed and stirred,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can be maximized by increasing the area and time that air is in contact with wat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에서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분이 제1진공구를 통해 진공모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celerates when the first vacuum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vacuum port and the first inlet in the mixer has a wide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moves toward the first vacuum port Thus, water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can be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air by gravity, and thus moistu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cked into the vacuum motor through the first vacuum port.
또한, 본 발명은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수분분리기로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분리수가 점차 모이면서 수분분리기 내부의 수위가 증가할 경우 제2진공구 차단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2진공구를 차단하여 진공모터로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by allowing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separator, an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separator increases as the separated water gradually collects, the second vacuum tool The blocking member rises by buoyancy to block the second vacuum tool,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vacuum mo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수탱크의 물이 물걸레에 공급되면 물걸레가 젖어 바닥의 이물질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으며,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후 물걸레를 세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is supplied to the wet mop, the wet mop is wet and the foreign material on the floor can be wiped cleanly, and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is directed toward the floor and the wet mop at the same time to simultaneously suck the foreign matter and the moisture from the wet mop Through this, when cleaning the wet mop, water is supplied to the continuously rotating wet mop, making it possible to clean the wet mop and wash the mop at the same time. When water supply is stopped, the vacuum suction force acts from the rear of the mop to remove the residual moisture from the mop. It can be allowed to dry natural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the operation of washing the wet mop after cleaning.
또한, 급수탱크 내부에 전기분해장치가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생성하여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함으로써, 물걸레와 바닥을 살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 electrolysis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supply it to the wet mop through the washing water pipe, which has a remarkable effect of sterilizing the wet mop and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예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통해 오염공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예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분리기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기와 수분분리기가 연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진공구 차단부재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2 및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ction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emplary views of a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urifying polluted air through a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mix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exemplary views of a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mixer and the water separator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second vacuum tool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p cl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schematic illustrations for comparing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vacuum cleaning capable of suck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진공청소기라 함은 바디 어셈블리(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손잡이(20)와 진공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30)가 구비되는 통상의 청소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refers to a suction power of the
본 발명은 상기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 혼합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청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오염공기와 함께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여 진공모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cuum cleaner, the cleaning effect can be maximized by allowing the vacuum-suctioned polluted air to be put into the water and mixed with the water to remove the liquid, foreign substances, dust, and dirt in the polluted air, especially the floor surface. The technical feature is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vacuum motor by allowing the moisture of the air to be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air while being mixed with the water when it is vacuum sucked together with the polluted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과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기(100)를 포함한다. 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혼합기(100)는 바디 어셈블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싱(110)과,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와 제1진공부(1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케이싱(110)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형태로서, 상기 진공모터(M)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된다. The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진공흡입된 오염공기와 혼합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물이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다. The inside of the casing is filled with water for purifying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in the polluted air to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mixed with the vacuum sucked polluted air.
상기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1유도부(120)는 상기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며, 상기 제2유도부(130)는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오염공기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1투입구(131)가 형성된다. The
상기 제1진공부(14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되면서 오염공기 중에 함유된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 후 정화되어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공간부로서, 제1진공구(111)와 제1투입구(131) 사이에 형성된다. The
상기와 같은 혼합기(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오염공기 흡입부재(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정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수분으로부터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혼합기(10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진공흡입력에 의해 제2유도부(130) 내부에 충전된 물과 오염공기 흡입부재(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제1투입구(131)를 통해 케이싱(110) 내부에 채워진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31)가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에 편심되게 형성되면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으로 선회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케이싱(110) 내부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발생시켜 물과 오염공기가 지속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 속에서 오염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염공기와 물의 지속적인 혼합교반에 의해 수중에서 발생된 기포를 자연스럽게 제거하여 수면에 기포가 부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발생시 오염공기의 투입과 흐름에 저항이 줄어 진공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When the inside of the
만약, 상기 제1투입구(131)가 편심되게 형성되지 않으면 물 속에 오염공기를 단순히 투입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오염공기와 물의 혼합교반을 유도할 수 없으며, 물 속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체류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수중에 기포가 형성되면서 기포의 면적만큼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저하되며, 정화공기가 물 밖으로 배출될 때 수면에 부유되는 기포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If the
도 4a 내지 4c는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면서 정화 효율성이 향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4A to 4C are schematic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while the contaminated air is swirl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먼저, 도 4a와 같이 제1진공부(140), 제2유도부(130)의 내부에 동일 수위까지 물(W)이 채워져 제1투입구(131)가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혼합기(100) 내부에 진공모터(M)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제1진공부(140)가 진공이 형성되어 제2유도부(130) 내부의 물이 제1투입구(131)를 통해 배출되어 제1진공부(140) 내부에 채워진 물과 합쳐진다. First, as shown in FIG. 4a, water (W)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이후, 도 4c와 같이 오염공기 흡입부재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바닥면의 오염공기가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되어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1진공부 내부에 충전된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어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다.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는 제1진공부(140)를 거쳐 제1진공구(111)로 배출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the vacuum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nd the polluted air on the floor is sucked through the
종래의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의 오염공기를 흡입한 다음 원심분리를 통해 이물질, 먼지, 오물을 공기와 분리하는 방식으로서, 액체(수분)가 오염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경우 공기로부터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바닥면에 액체가 존재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액체(물, 음료수, 음식물)가 흡입될 경우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cyclone type vacuum cleaner sucks polluted air from the floor and then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dust, and dirt from the air through centrifugation. When liquid (moisture) is sucked together with the polluted air, the liquid is removed from the air. Since the separation function could not be provided,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in which it was necessary to check whether liquid was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If liquid (water, beverage, food) is suck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uge cost is incurred fo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vacuum motor.
본 발명은 오염공기 중의 액체가 케이싱(110) 내부의 물과 혼합되면서 공기와 분리되므로 청소시 바닥면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액체 흡입으로 인한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in the polluted air is mixed with the water inside the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혼합기(1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110′)이 구비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된다. Next, FIG. 5 is a schematic exemplary view showing a
또한, 상기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되고,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단에 제1투입구(131′)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130′)가 케이싱(110′)의 내부에 마련된다. In addition, a first induction part 120'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12'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ing 110', and the lower part is submerged in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casing 110' is provided with a second induction part 130' having a first inlet 131'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first induction part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and put into the water. ) is provided inside.
또한, 상기 제1진공구(111′)와 제1투입구(131′) 사이에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상기 제1진공구(111′)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부(14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vacuum port 111' and the first inlet 131', after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are removed by contact with water,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vacuum port. A first vacuum portion 140'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to be sucked into (111') acts is formed.
여기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오염공기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 the first inlet 131' is preferably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duction part 130'. The reason for this is to provide a turning force in the spiral direction to the contaminated ai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100′)는 진공모터(M)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케이싱(11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2유도부(130′) 내부로 투입된 후 제1흡입구(112′)를 통해 오염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오염공기는 제1유도부(120′)를 통해 케이싱(110)′내부로 인입된 다음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2유도부(130′) 내부로 흡입된다. In the
여기에서, 오염공기는 편심된 위치의 제1투입구(131′)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흡입(투입)되어 물과 활발하게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되며, 정화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는 제1진공구(111′)를 통해 배출된다. Here, the polluted air is sucked (injected) while turning in a spir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inlet 131' at an eccentric position, and is actively mixed and stirred with water to be purified,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after purification is the firs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vacuum hole (111').
한편, 도 2 내지 4c의 혼합기(100)는 케이싱(110)의 바닥면 중앙부에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되어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케이싱의 내부 중앙부의 제1유도부와 제2유도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반하여 도 5의 혼합기(100′)는 제1흡입구(112′)와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되어 오염공기가 외부에서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후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도 5와 같이 제1흡입구(112′)와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청소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오염공기가 제2유도부(120′) 내부에 투입되는 시점부터 원심력이 발생되므로 효율성이 좋지 않다. 이에, 청소기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고,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시점부터 균일한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도 2 내지 4c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140)는 제1진공구(111)와 가까워 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는 유체(기체, 액체)가 가진 운동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단면적이 차츰 넓게 형성되는 디퓨저(diffuser)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진공부(140)는 제1진공구(111)와 가까워 질수록 압력이 감소하여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111)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 회수되고, 수분이 제거된 정화공기는 제1진공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진공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제1진공구(111)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존수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This uses the principle of a diffuser whos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widened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of a fluid (gas, liquid) into pressure energy. 111), the pressure decreases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ter is decelerated when moving toward the
본 발명에 따른 혼합기(100,100′)의 상세한 설명이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2 내지 5에서는 케이싱의 상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케이싱의 상부에 제1진공구(111,111′)가 형성되고, 케이싱의 하부에 제1흡입구(112,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케이싱의 하부에 제1진공구(111,111′)가 형성되고, 케이싱의 상부에 제1흡입구(112,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FIGS. 2 to 5 for helping detailed description or understanding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은 혼합기(100)를 통해 정화된 공기 중에 함유된 잔존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200)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분리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2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210)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6 , the water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혼합기의 상부에는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도록 상기 제1진공구(111)와 연통되는 제2흡입구(212)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22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안내유로(220)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분리통의 일측에는 제2투입구(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진공구(211)와 제2투입구(213) 사이에는 제2흡입구(212)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23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도 6과 같이, 상기 수분분리기(200)는 제2흡입구(212)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이송된 정화공기를 제2투입구(213)를 통해 분리통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시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F1은 분리수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6 , the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분리통(210)의 상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분리통의 상부에 제2진공구(211)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12)가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통의 하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분리통의 하부에 제2진공구(211)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12)가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6 , the vacuum suction force acts on the upper part of the
다음으로,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기와 수분분리기가 연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도면부호 A 내지 E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부호이며, 도면부호 F는 수분분리기를 통해 제1정화공기로부터 분리된 분리수를 표시한 부호이고, F1은 수분분리기의 바닥면에 모인 분리수를 표시한 부호이다. Next, FIGS.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for explaining a principle in which a mixer and a water separator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illustration. In FIG. 9, reference numerals A to E are symbols sequentially indicating the flow of air in alphabetical order, reference numeral F is a symbol indicating sepa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first purified air through a moisture separator, and F1 is a moisture separator It is a symbol indicating the number of separation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도 7 및 8과 같이 상기 분리통(2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213)는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이하 "제1정화공기"라고 부르도록 함)가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유지하면서 선회투입되도록 분리통의 상부에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또한,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211)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213)보다 낮게 위치하는 진공흡입관(240)이 수직으로 구비된다. In addition, a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혼합기(100)와 수분분리기(200) 내부의 공기가 우선적으로 진공흡입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도면부호 A로부터 C와 같이 외부의 오염공기가 제1투입구(131)를 통해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흡입되어 케이싱 내부의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된다. When the vacuum suction power of the vacuum motor acts, the air inside the
물 밖으로 배출된 제1정화공기는 제1진공부(140)를 거쳐 도면부호 D와 같이 제2투입구(213)를 통해 분리통(210) 내부로 투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면서 수분(F1)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고, 수분이 제거된 제2정화공기는 도면부호 E와 같이 제2진공부(230)를 거쳐 제2진공구(211)로 흡입배출된다. The first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수분분리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혼합기를 거친 제1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잔존수분이 진공모터로 흡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water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esidual moisture contained in the first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mixer from being sucked into the vacuum motor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본 발명은 분리통 내부에서 수위 증가로 인해 수분이 제2진공구(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vacuum
만약, 다량의 액체와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공기가 지속적으로 흡입될 경우 혼합기(100)를 통해 정화된 제1정화공기 중의 수분 함량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분리통(210) 내부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수위가 되면 제2진공구를 차단하여 분리통 내부의 물이 제2진공구(211)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If the polluted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liquid and foreign substances is continuously sucked 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first purified air purified through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진공구 차단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는 분리통 내부에 채워진 물 위에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플로터(310)와, 상기 제2진공구(211)의 내주연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마개(320) 및 상기 플로터와 차단마개를 연결하는 연결편(330)을 포함한다. 10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second vacuum tool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cond vacuum
상기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는 분리통 내부의 물 위에 부유한 상태에서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터(310)를 통해 점차적으로 상승되고,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분이 모이면 차단마개(3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제2진공구(211)를 차단함으로써 분리통 내부의 물이 진공모터로 흡입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vacuum
여기에서, 상기 차단마개(320)를 통해 제2진공구(211)가 차단되면 작동흡입 소음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아 차리게 되어 전원을 차단(또는 자동차단)하고, 혼합기(100) 및 분리기(200) 내부의 물을 비우고 다시 작동을 하게 된다. Here, when the
한편, 최근들어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다양한 진공청소기가 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하는 원판형의 걸레에 소정시간동안 물을 직접분사하여 바닥면의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경우 오염공기를 진공흡입하는 동시에 물에 젖은 원판형의 걸레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의 액체가 먼지와 함께 흡입되는 경우 액체를 별도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진공모터의 고장으로 직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걸레에 분사되는 물의 양 또한 극소량이어서 물걸레질 청소효과가 현저히 낮으며, 청소 후 오염된 물걸레를 탈거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various vacuum cleaners capable of mop cleaning have been disclo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floor surface with a wet mop by directly spraying water on a rotating disk-shaped mop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aminated air is vacuumed. At the same time as suction, the wet disk-shaped mop continuously rotates to clean the floor. However, when the liquid on the floor is sucked together with dust, the vacuum cleaner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capable of separating the liquid separate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irectly leads to a failure of the vacuum moto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separate the liquid, the amount of water sprayed to the mop is also very small, so the wet mop cleaning effect is remarkably low, and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hat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moving and washing the contaminated wet mop after cleaning.
또한,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한 다음 물걸레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 바닥면을 닦는 동시에 진공모터의 흡입력이 작용하여 바닥면의 먼지와 세척수를 함께 흡입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있어서 조작버튼을 통해 우선적으로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한 다음 물걸레로 바닥면을 닦아 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된 세척수는 세척통으로 회수되지만 오염공기 중의 먼지, 이물질, 오물을 정화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대기 중에 먼지(특히 미세먼지)가 그대로 배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오염공기와 액체를 분리하는 기능만 제공할 뿐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청소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disclosed a vacuum cleaner that sprays washing water on the floor and then wipes the floor o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a wet mop, and at the same time,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acts to suck the dust and washing water from the floor together.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button for spraying washing water, so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spray the washing water on the floor firs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and then wipe the floor surface with a wet cloth. In addition, the sucked washing water is returned to the washing tank, but there is a fatal problem in that dust (especially fine dust)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s it is because a separate means for purifying dust, foreign substances, and dirt in the polluted air is not provided. That is, since the vacuum cleaner provides only a function of separating polluted air and liquid, and lacks a function of separating dust from 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lean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11은 상술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30) 내부에는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물걸레(400)가 마련되고,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41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급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물걸레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탱크 내부의 물을 물걸레에 공급하는 세척수 배관(420)이 내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진공모터의 전원인가, 물걸레의 회전구동,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급수를 위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1 is a schematic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
본 발명은 상기 물걸레(400)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걸레(400)의 회전력과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통해 바닥면의 먼지흡입 진공청소를 할 수 있고, 물걸레(400)의 상부에 세척수가 급수되면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vely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물걸레 청소시에는 회전중인 물걸레의 상부에서 충분한 양의 물이 급수되면서 물걸레가 흠뻑 젖은 상태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으며,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가 물걸레가 지나간 바닥면 위를 통과하면서 잔존수분을 제거하므로 우수한 청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cleaning the wet mop,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p of the rotating wet mop to clean the floor while the wet mop is soaked, and the
또한,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이루어지면서 바닥면의 청소는 물론 물걸레의 자가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물걸레의 후방에서 작용하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물걸레 내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스럽게 건조되므로 청소 후 물걸레를 탈거하여 세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water is supplied to the continuously rotating wet mop, the floor surface is cleaned as well as self-cleaning of the wet mop at the same time, and the residual moisture in the mop is removed by the vacuum suction force acting at the rear of the mop and dried naturally. The work of removing and washing can be omitted.
한편, 상기 물걸레(400)는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의 전방에 마련되고, 흡입구(31)의 전방에서 바닥면과 물걸레(400)가 교차되는 공간은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12 및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31′)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31)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12 and 13 are schematic illustrations for comparing the suction port 31'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도 12과 같이 진공모터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의 전방이 막혀 있으면 물걸레 내의 잔존수분을 진공흡입력을 통해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물걸레에 충분한 양의 세척수를 급수할 수 없으므로 바닥면의 청소 상태가 우수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물걸레 청소시 오염공기 흡입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걸레에 소량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바닥면을 청소한 다음 흡입구(31)가 그 위를 통과하면서 바닥면의 잔존 이물질이나 수분을 제거해야 하므로 동일한 바닥면을 반복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청소 후 물걸레를 탈거한 후 세척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As shown in FIG. 12, if the front of the suction port 31' to which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acts is blocked, the residual moisture in the wet mop cannot be removed through the vacuum suction force. Therefore, since a sufficient amount of washing water cannot be supplied to the wet mop, the cleaning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is not excellent. In addition, during the cleaning of the wet mop,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et mop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olluted
이에 반하여, 도 13과 같이 흡입구(31)의 전방이 개방형성되면 물걸레의 후방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므로 물걸레를 통해 제거되는 바닥면의 이물질이나 오염공기가 흡입구(31)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고, 물걸레 내의 수분을 진공흡입력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세척수를 물걸레에 급수하여 물걸레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동일한 바닥면을 반복해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전해살균수가 저장되어 세척수 배관을 통해 전해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N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so that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pipe.
예를 들어,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미도시)가 장착되어 급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를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하면 물걸레와 바닥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part and a negative electrode part (not shown) are mounted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electrolyz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this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applied to a wet cloth through a washing water pipe. If supplied, the wet mop and floor can be sterilized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수돗물 또는 소금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는 티타늄(Ti)과 이리듐(Ir) 도금이 형성되거나 티타늄(Ti)과 플라티늄(Pt) 도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ap water or salt water may be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and titanium (Ti) and iridium (Ir) plating or titanium (Ti) and platinum (Pt) plating may b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
티타늄(Ti)과 이리듐(Ir) 도금을 한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구비되면 물(H20)과 소금(NaCl)과 같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HOCL) 혹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형태의 전해살균수가 생성되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는 소독제 혹은 탈취제거제로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plated with titanium (Ti) and iridium (Ir) are provided, it reacts with water (H 2 0) and salt (NaCl) and electrolytic sterilization in the form of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OCL) Water is produced, and this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can be used as a disinfectant or deodorizer.
또한, 티타늄(Ti)과 플라티늄(Pt) 도금을 한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구비되면 물(H20)과 탄산칼륨(K2CO3)과 반응하여 수산화 칼륨(KOH)와 탄산수소칼륨(KHCO3) 형태의 전해살균수가 생성되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는 기름기 제거와 같은 세척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plated with titanium (Ti) and platinum (Pt) are provided, potassium hydroxide (KOH) and potassium hydrogen carbonate (KHCO) are reacted with water (H 2 0) and potassium carbonate (K 2 CO 3 ) 3 ) form of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generated, and this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can be used for cleaning purposes such as oil remov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급수탱크 내부에 전기분해장치가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생성하여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함으로써 물걸레와 바닥을 살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remarkable effect of sterilizing the wet mop and the floor by providing an electrolytic devic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supply it to the wet mop through a washing water pipe.
10 : 바디 어셈블리 20 : 손잡이
30 : 오염공기 흡입부재 31 : 흡입구
100,100′ : 혼합기
110,110′ : 케이싱
111,111′ : 제1진공구 112,112′ : 제1흡입구
120,120′ : 제1유도부 121,121′ : 오염공기 투입구
130,130′ : 제2유도부 131,131′ : 제1투입구
140,140′ : 제1진공부
200 : 수분분리기
210 : 분리통
211 : 제2진공구 212 : 제2흡입구
213 : 제2투입구
220 : 안내유로
230 : 제2진공부
240 : 진공흡입관
300 : 제2진공구 차단부재
310 : 플로터 320 : 차단마개
330 : 연결편
400 : 물걸레 410 : 급수탱크
420 : 세척수 배관
M : 진공모터10: body assembly 20: handle
30: polluted air intake member 31: intake port
100,100′ : mixer
110,110′ : casing
111,111′: 1st vacuum port 112,112′: 1st suction port
120,120′: first induction part 121,121′: contaminated air inlet
130,130′: 2nd induction part 131,131′: 1st inlet
140,140′: 1st vacuum unit
200: water separator
210: separator
211: second vacuum port 212: second suction port
213: second inlet
220: guide euro
230: second vacuum unit
240: vacuum suction tube
300: second vacuum tool blocking member
310: plotter 320: blocking stopper
330: connection
400: wet mop 410: water tank
420: washing water pipe
M : vacuum motor
Claims (9)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100)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혼합기(1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110)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120)와;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오염공기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1투입구(131)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130)와;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된 후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로 투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제2유도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In the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polluted air suction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assembly to which the handle is mounted and for sucking polluted air including liquid, foreign matter, dust, and dirt on the floo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and is filled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polluted air sucked through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put into the water, and liquid, foreign substances, and dust in the polluted ai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 a mixer 100 for removing and purifying di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The mixer 100,
A first vacuum port 111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motor is formed at the top to form a vacuum therein, and a first suction port 112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air sucked through the contaminated air suction member is vacuum sucked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asing 110 fill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 first induction unit 120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is submerged in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olluted air inlet 1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first inlet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polluted air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first induction part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and put into the water. a second induction part 130 on which (131) is formed;
The first vacuum port formed through the first vacuum port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vacuum port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acts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first inlet to be purifi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irst vacuum port 1 vacuum unit 140; including;
The first inlet 131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duction part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njected into the second induction part is turned in a spiral direction in the water and mixed and stirred smoothly with the water. possible vacuum cleaner.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cuum unit (140) decelerates the purified air discharged out of the water when it moves toward the first vacuum port (111)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air by gravity.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ction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wider as it approaches the first vacuum hole to be recovered.
상기 케이싱(110) 내부의 상기 제1진공구(111)와 진공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공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2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분분리기(2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2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21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제1진공구(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2흡입구(212)와;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220)와;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투입구(213)와;
상기 제2진공구(211)와 제2투입구(213) 사이에 형성되며, 투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cuum hole 111 and the vacuum motor inside the casing 110, and a water separator 200 for separat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cuum hole 111. More is provided,
The water separator 200,
a separation tube 210 having a second vacuum tool 211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motor formed therein to form a vacuum therein;
a second suction port 212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vacuum port 111 inside the casing and through which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ter after being purified through the mixer is vacuum sucked;
a guide passage 220 for transferring the purified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 second inlet 213 form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barrel so that the purified air transported through the guide passage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barrel;
A second vacuum portion 230 formed between the second vacuum port 211 and the second inlet port 213,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to suck the injected purified air into the second vacuum port, acts; include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ction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분리통(2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213)는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분리통 내부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211)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진공흡입관(240)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 내부에 투입된 정화공기가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과정에서 정화공기중의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만 제2진공구로 흡입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paration tube 210 is made in the shape of a cone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second inlet 213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so that the purified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barrel in a spiral direction,
A vacuum suction pipe 240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eparation tube so that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vacuum port 211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inlet port,
In the process in which the purified air injected into the separation container turns in a spiral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moisture in the purified air is separated by weight, and only the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is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cuum port. A vacuum cleaner that can absorb moistur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tub is a second flowable up and down by buoyancy force to prevent the insid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motor through the second vacuum port due to a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f the separated water.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ction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vacuum ball blocking member.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도록 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ide of the polluted air su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wet mop rotated through the power of the motor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which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acts, and water is stored therein at one side of the body assembly A water supply tank is detachably mount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t mop, and a washing water pipe for supplying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et mop is built-in,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s stored with a wet mop When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the wet mop gets wet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can be wiped clea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is directed to the floor and the wet mop at the same time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the moisture from the wet mop can be suck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water supply is stopped, the vacuum suction force acts from the rear of the wet mop to remove the residual moisture of the wet mop and to dry naturally.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ositive electrode part and a negative electrode part are mounted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o electrolyze the water stored therein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supply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the wet mop through the washing water pipe to wash the wet mop and the floor at the same tim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inhal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eriliz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8776A KR102270813B1 (en) | 2019-08-13 | 2019-08-13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8776A KR102270813B1 (en) | 2019-08-13 | 2019-08-13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757A KR20210019757A (en) | 2021-02-23 |
KR102270813B1 true KR102270813B1 (en) | 2021-06-29 |
Family
ID=746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8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2270813B1 (en) | 2019-08-13 | 2019-08-13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8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3513A (en) | 2022-10-17 | 2024-04-24 | 주식회사 티제이씨 | Vacuum cleaner |
KR20240053512A (en) | 2022-10-17 | 2024-04-24 | 주식회사 티제이씨 | Vacuum clea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231Y1 (en) * | 1998-11-13 | 2002-01-12 | 이충전 | Wet, Dry Vacuum Cleaner |
JP2002336631A (en) * | 2001-05-15 | 2002-11-26 | Gorin Sangyo:Kk | Dust removing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same |
KR200356670Y1 (en) * | 2004-04-09 | 2004-07-21 | 순 택 임 | The cyclone for a vacuum cleaner |
KR101360001B1 (en) * | 2006-02-10 | 2014-02-06 | 텐난트 컴파니 | Mobile surface cleaner having a sparg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7816A (en) * | 2012-05-22 | 2015-11-18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
-
2019
- 2019-08-13 KR KR1020190098776A patent/KR1022708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231Y1 (en) * | 1998-11-13 | 2002-01-12 | 이충전 | Wet, Dry Vacuum Cleaner |
JP2002336631A (en) * | 2001-05-15 | 2002-11-26 | Gorin Sangyo:Kk | Dust removing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same |
KR200356670Y1 (en) * | 2004-04-09 | 2004-07-21 | 순 택 임 | The cyclone for a vacuum cleaner |
KR101360001B1 (en) * | 2006-02-10 | 2014-02-06 | 텐난트 컴파니 | Mobile surface cleaner having a sparg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3513A (en) | 2022-10-17 | 2024-04-24 | 주식회사 티제이씨 | Vacuum cleaner |
KR20240053512A (en) | 2022-10-17 | 2024-04-24 | 주식회사 티제이씨 |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757A (en) | 2021-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39348C2 (en) | Vacuum cleaner | |
CN109805832B (en) | Dirty liquid recovery subassembly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 |
CN210043932U (en) | Dirty liquid recovery unit and wet or dry dust collecting equipment | |
CN108378777B (en) | Recovery barrel and dust collector thereof | |
CN100381090C (en) | Complex type cleaner | |
CN111802972A (en) | Vacuum cleaner | |
CN209863666U (en) | Dirty liquid recovery unit and wet and dry dust catcher | |
KR102270813B1 (en) | Vacuum cleaner | |
CN109700378B (en) | Surface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 |
KR100565262B1 (en) | Wet and dry hybrid upright cleaner | |
CN100413446C (en) | Complex type cleaner | |
CN113440071A (en) | Water tank for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equipment | |
CN100369572C (en) | Complex type cleaner | |
CN215605451U (en) | A sewage recycling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 |
CN114617496A (en) | Low-noise surface cleaning machine | |
CN212307699U (en) | Water absorption brush with water-gas separation structure | |
KR200381912Y1 (en) | A robot cleaner | |
KR100595551B1 (en) | Composite cleaner | |
CN209808205U (en) | Dirty liquid recovery subassembly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 |
KR101065675B1 (en) |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 |
KR100595576B1 (en) | Cistern of wet upright cleaner | |
JP2008049102A (en) | Simplified vacuum apparatus | |
KR20130119284A (en) | Vacuum cleaner using water filter | |
CN216020849U (en) | A cleaning equipment water tank and cleaning equipment | |
CN216147978U (en) | Low-noise surface clean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