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69669B1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669B1
KR102269669B1 KR1020210014451A KR20210014451A KR102269669B1 KR 102269669 B1 KR102269669 B1 KR 102269669B1 KR 1020210014451 A KR1020210014451 A KR 1020210014451A KR 20210014451 A KR20210014451 A KR 20210014451A KR 102269669 B1 KR102269669 B1 KR 10226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water
deodorizing
air
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신
Original Assignee
김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신 filed Critical 김명신
Priority to KR102021001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취부 전단에 제1세정부에 의해 제1세정수 및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를 별도로 두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악취의 처리효율이 높은 전처리를 실시하여 전처리 없이 정화가 수행되어 약액세정을 실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약품사용량이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탈취부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제1UV조사부 및 제2UV조사부가 2중으로 배치되어 오존 및 UV에 의한 오염된 공기의 산화력을 높임으로써, 공기 내 잔류오염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ND ODOR, AND OPERATING METHOD FOR THAT DEVICE}
본 발명은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약액, 오존 또는 UV에 의해 미세먼지와 악취가 세정(정화) 또는 산화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와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이용되고 있으나, 운영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포집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에 의해 효율이 저하된 상태에서 운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촉매방식의 경우, 오염된 세정수 등에 의해 촉매가 쉽게 오염되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UV램프가 장치 내부에 설치된 경우, 오염된 세정수 등에 의해 램프 외부가 오염되어 램프를 투과하는 UV의 양이 저하됨에 따라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오존(O3)을 별도로 공급하는 방식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오존과 UV가 동시에 공급되어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을 생성하는 방식보다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더욱이,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방법도 있으나, 과산화수소를 이용할 경우, 다른 방식에 비해 운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현장에 용이하게 적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786호(이하 ‘문헌 1’)의 “집진장치”에서, 분사제거부를 이용하여 공급된 물을 노즐에서 분사하여 상승하는 공기에 분진을 흡착 제거한 다음, 저장부에서 수용함으로서 분진 제거효율을 높인 집진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물에 의해 분진을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장치 후단에 자외선램프가 형성되어 분진이 걸러진 공기를 살균하여 세균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오존램프가 제1분사제거부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제1노즐과 연동 형성되어 물에 흡착된 분진에 의해 오존램프가 오염되어 오존램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073호(이하 ‘문헌 2’)의 “탈취 및 공기정화용 전기화학적 촉매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에서,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유분이 있고, 흡착성이 강한 유해가스 및 공기오염물질을 상온의 전도성촉매에 접촉 및 통과시키는 도중에 전기화학적 촉매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악취나 대기오염물질을 일부 처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미처리된 오염물질을 플라즈마의 활성분자 라디칼 오존과 반응시켜 촉매의 활성화를 극대화하여 적은 에너지로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을 시킬 수 있도록 한 탈취 및 공기정화용 전기화학적 촉매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대기 중의 분진을 집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과 플라즈마 처리된 외부공기 및 전기에너지가 인가된 촉매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점성이 있는 유분, 니코틴, 솔벤트, 유증기, 수분을 포함하는 유해가스 등에 함유된 유기성 분자를 무기화시켜 오염 기체에 포함된 악취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온화수단 또는 이온화수단 전, 후면에 형성된 자외선램프가 오염 기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의해 자외선램프가 오염될 경우, 오염 기체에 포함된 악취분자의 산화-환원반응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5820호(이하 ‘문헌 3’)의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서,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 축산 등의 의류나 종이공장 및 가축을 키우는 축사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하나의 필터 케이스에 다수의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필터링 단계, 소각 단계, 여과단계를 통과하여 크고 작은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여과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노즐에 의해 수조에 형성된 물이 분사되어 미세먼지가 물에 함침 되어 물과 함께 노즐에 연결 형성된 수조를 포함하는 워터스크린에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워터스크린의 부직포 또는 여과망에 막힘 현상이 발생될 경우, 수조에 정화된 물이 공급되지 않아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살균램프와 UV램프에 공기 중의 오염된 물질들이 부착됨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029호(이하 ‘문헌 4’)의 “자체 세척기능을 가진 건습식 복합 공기청정기”에서, 통상 시에는 스프레이분무에 의한 습식 스크러버와 세척가능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을 달성시키며, 장시간 사용 시 오염된 여과필터는 스프레이 분무노즐의 각도변환에 의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자체 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습식과 건식을 병행하여 고효율 공기청정기능을 부여시키면서, 통상의 습식 공기청정기의 분무노즐을 건식필터 세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UV 램프가 필터 전단에 형성되어 오염된 공기에 의해 오염될 경우, UV 램프에 의한 살균 또는 멸균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085호(이하 ‘문헌 5’)의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에서, 산업현장 및 일반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휘발성 유기화합물류(VOCs) 및 악취 등을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제를 사용하여 분해하여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작업자 또는 일반인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5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오존, 유해가스 분해촉매제를 혼합한 세정액을 분사시켜 유해가스를 분해/처리하고 배출공기에 잔존하는 오존을 오존 분해촉매제를 내장한 필터로 제거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를 신속하게 분해/처리하여 신속하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오존분해촉매제를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더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오존과 UV가 동시에 공급되어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방식보다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7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0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5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0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08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제1세정수 또는 제2세정수에 의해 정화되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쉽게 용해 또는 제거됨과 동시에 제1투입부 또는 제2투입부에 의해 산화시킴으로써,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투입부 또는 탈취부에 포함되는 제1램프, 제2램프 또는 제3램프는 오존이 생성되는 파장대의 UV램프를 적용시켜 형성된 오존 및 UV(UV파장)을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제1램프, 제2램프 또는 제3램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100);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200);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발생된 오존 또는 UV에 의해 산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부(300);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400); 및 탈취부(400) 내에 외부로부터 약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연동 형성된 제2투입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세정부(200)는 내측에 제1세정수(201)를 저장하도록 공간을 포함하는 제1저장부(210);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펌프(240); 및 제1세정부펌프(240)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노즐(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1저장부(210) 내측에 제1세정수(201)가 초음파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는 접촉부(31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는 제1UV조사부(320); 및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된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탈취부(400)는 탈취부(400) 내측에 형성된 제2세정수(401);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세정수(40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세정수펌프(430); 탈취부(400) 내측에 제2세정수(4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접촉여재(440); 접촉여재(440)로부터 이격되며, 단부가 제2세정수펌프(43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분사노즐(450); 탈취부분사노즐(450)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접촉여재(440) 또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가 통과됨으로서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데미스터(460); 및 데미스터(46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된 배출구(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된 후 형성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부(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액화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은 오염된 공기를 유입부(100)에 의해 흡입시키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세정부(200)에 의해 1차 정화시키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투입부(300)에 의해 오존 또는 UV와 1차 접촉시키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탈취부(400)에 의해 2차 정화시키는 제4단계(S140); 및 제4단계(S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을 액화부(600)에 의해 액화시켜 제거하는 제1-1단계(S11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취부 전단의 제1세정부에 의해 제1세정수 및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를 별도로 두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악취의 처리효율이 높은 전처리를 실시하여 전처리 없이 정화가 수행되어 약액세정을 실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약품사용량이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탈취부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제1UV조사부 및 제2UV조사부가 2중으로 배치되어 오존 및 UV에 의한 오염된 공기의 산화력을 높임으로써, 공기 내 잔류오염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투입부 또는 탈취부에 포함되는 제1램프, 제2램프 또는 제3램프는 오존이 생성되는 파장대의 UV램프를 적용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UV를 조사함에 따라 형성된 오존 및 UV를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제1램프, 제2램프 또는 제3램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1램프, 제2램프 또는 제3램프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오존 또는 UV 공급효율이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제1세정수 또는 제2세정수에 의한 정화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쉽게 흡착, 용해 또는 제거됨과 동시에 제1투입부 또는 탈취부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1세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1투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탈취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2투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제1통로
100: 유입부
200: 제1세정부, 201: 제1세정수, 210: 제1저장부, 211: 제1분리막, 212: 제2분리막, 220: 제1세정부밸브, 230: 제1세정부여과필터, 240: 제1세정부펌프, 241: 제1파이프, 250: 제1세정부노즐, 260: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
300: 제1투입부, 310: 접촉부, 320: 제1UV조사부, 330: 제1램프, 331: 제2램프, 340: 제1투입부밸브, 350: 제1투입로, 351: 제1투입공간, 360: 제1투입관
400: 탈취부, 401: 제2세정수, 410: 제2세정수유입밸브, 420: 탈취부여과필터, 430: 제2세정수펌프, 431: 제2연결관, 440: 접촉여재, 450: 탈취부분사노즐, 460: 데미스터, 470: 배출구, 480: 제2UV조사부, 481: 제3램프, 490: 송풍팬
500: 제2투입부, 501: 제3세정수, 510: 제2저장부, 520: 제2투입부펌프
600: 액화부
700: 이동부, 701: 연결부, 710:이동부배출부
S110 : 제1단계, S111 : 제1-1단계, S120 : 제2단계, S130 : 제3단계, S140 : 제4단계, S150 : 제5단계, S160 : 제6단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1) 제1단계(S110)
먼저, 오염된 공기를 유입부(100)에 의해 흡입시키는 제1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오염된 공기란 공기 중에 과잉의 비정상 물질이 존재함으로써 개인의 건강에 대해 불이익의 영향을 받고, 또는 재산에 대해 물질적인 손해를 받는 공기 상태로서,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기초한 매연, 분진, 재 및 가스, 또는 각종 화학 반응에 있어서 생산물 또는 중간 생산물에 의한 가스, 증기, 분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00)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로(1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염된 공기가 제1통로(10)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입부(100)는 팬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부(100)에 포함된 팬이 회전됨으로써, 제1통로(1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속도가 제어되어 제1세정부(200)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제2단계(S120)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세정부(200)에 의해 1차 정화시키는 제2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세정부(200)는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정부(200)는 유입부(100)와 이격되어 제1통로(10) 일측에 형성되며, 제1저장부(210), 제1세정부펌프(240) 및 제1세정부노즐(2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저장부(210)는 내측에 제1세정수(201)를 저장하도록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210) 내에 제1세정수(201)가 형성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유입부(100)에 의해 제1저장부(210) 내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세정수(201)에 의해 1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세정수(201)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할 수 있는 살균수, 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이 적용되어 살균수 적용 시 살균수를 별도로 제조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세정수(201)의 기-액 접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제1세정수(201)에 용이하게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1세정수(201)는 제1세정부펌프(204) 또는 제1세정부노즐(250)에 의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에 분사됨과 동시에 순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세정수(201)는 제1저장부(210) 내측 하측에 형성되어, 세1세정부노즐(250)로부터 분사되는 제1세정수(201)가 중력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순환되며, 제1세정수(201)가 공기 중에 머무르면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1세정수(201)는 제1세정부밸브(2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과 배출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세정부밸브(220)는 제1저장부(210)와 연동 형성되며, 제1세정부밸브(220)의 개폐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으로 교체, 유입 또는 차단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세정부밸브(220)는 제1저장부(210) 하측에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하측에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세정부펌프(240)는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세정부펌프(240)는 제1세정부노즐(250)과 연동 형성되며, 제1저장부(210)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으로부터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저장부(210)와 이격 형성됨과 동시에 제1세정수(201) 및 제1세정부노즐(250)과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부펌프(240)의 유지 및 보수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1세정부펌프(240)에 제1세정부노즐(250)이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부펌프(240)에 의해 제1세정수(201)가 제1세정부노즐(250)에 의해 제1저장부(210) 내측에 분사됨으로써,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에 순환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와 기-액 접촉이 수행되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시키는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제1세정부펌프(240)가 제1저장부(210)와 외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경우, 제1세정부펌프(240)는 제1세정수(201)와 용이하게 연동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세정부펌프(240) 일측 또는 타측에 단부가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된 제1파이프(2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파이프(241)는 제1세정부펌프(240)로부터 제1저장부(2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저장부(210)를 관통함으로써,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부펌프(240)에 의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을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1파이프(241)의 제1세정부펌프(240)와 마주보는 측 단부에는 제1세정부여과필터(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세정부여과필터(230)가 더 포함됨으로써, 기-액 접촉이 수행된 제1세정수(201)가 제1세정부여과필터(230)를 거쳐 여과됨과 동시에 제1파이프(241)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1세정부펌프(240)에 의해 제1세정수(201)의 순환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1세정수(201)가 여러 번 순환됨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제1세정수(201)의 기-액 접촉이 충분히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세정수(201)의 사용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세정부노즐(250)은 제1세정부펌프(240)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세정부노즐(250)이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에 용이하게 순환됨과 동시에 제1저장부(210) 내측에 분사 및 부유되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용이하게 흡착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세정부노즐(250)은 제1세정부펌프(24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제1저장부(210) 상측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세정부펌프(240)가 제1저장부(210)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제1세정부노즐(250) 단부는 제1저장부(210) 상측 벽면과 인접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내측을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세정부노즐(250) 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세정부펌프(240)에 의해 제1세정부노즐(250)을 따라 이동된 제1세정수(201)가 제1세정부노즐(250) 단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즐에 의해 제1저장부(210) 내측으로 분사되어 제1저장부(210)에서 오염된 공기와 기-액 접촉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3)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는 제2단계(S12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투입부(300)에 의해 오존 또는 UV와 1차 접촉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S130)가 수행됨으로써,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 등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와 이격 형성되며,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발생된 오존 또는 UV에 의해 산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투입부(300)가 형성됨으로써,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제1투입부(300)에 의해 산화되어 탈취부(400)에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통로(10) 일측에 접촉부(310), 제1UV조사부(320) 및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접촉부(31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통로(10)는 접촉부(3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310) 내측에 인입된 제1통로(10) 일측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로(10) 일측에 형성된 제1투입관(360)은 통로(10)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통로(10)는 제1투입관(360) 부분에 의해 폭이 좁아졌다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제1통로(10)를 따라 접촉부(310) 내측으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관(360)의 폭 변화에 의해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발생되어 제1투입관(360) 내측에 유입된 오염된 공기의 압력은 낮아짐과 동시에 이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투입관(360) 일측은 제1UV조사부(320)와 연동 형성되어,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관(360)에 의해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접촉부(31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투입로(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투입로(350)는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될 수 있다.
제1투입로(350)가 형성됨으로써,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형성된 오존이 제1투입관(360)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됨으로써,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형성된 오존에 의해 오염된 공기의 산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투입로(35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는 제1투입관(360)에 인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투입로(350)의 좌측면이 제1투입관(36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경우, 제1투입로(350)의 우측면은 제1투입관(360)의 외측에 닿을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관(36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유입될 경우, 제1투입로(350)의 좌측면이 제1투입관(360)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관(360)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유입될 경우, 제1투입로(350)의 우측면이 제1투입관(360)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투입로(350)의 하측면은 제1투입관(360)에 인입된 면의 단부로부터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투입로(350) 내측에 제1투입공간(3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1UV조사부(320)로부터 관통 형성된 제2램프(331)를 오염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오존이 형성되는 파장대의 제1램프(330) 또는 제2램프(331)가 제1투입부밸브(34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신선한 공기에 UV를 조사함으로써 생성된 오존이나 UV를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제1투입로(350)의 형상에 의해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1램프(330) 또는 제2램프(331)의 오염을 최소화 시켜 오존 또는 UV 공급 효율이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투입로(350) 하측면과 제1투입관(360)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에 의해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형성된 오존이나 UV가 오염된 공기에 용이하게 유입되어 오염된 공기의 산화 또는 탈취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1UV조사부(320)는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UV조사부(320)는 접촉부(3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동 형성되어 접촉부(310)에 오존 또는 UV를 공급시킴으로써, 접촉부(310) 내에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따라 흐르는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램프(33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램프(330)는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을 형성시킨다고 알려진 UV를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램프(330)에 의한 UV에 의해 오존이 발생되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램프(330)에서 발생되는 UV는 파장 길이에 따라 UV-A, UV-B 또는 UV-C로 나뉜다고 알려져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UV-A의 파장은 400~315nm, UV-B의 파장은 315~280nm, UV-C의 파장은 280~100nm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를 살균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오존이 용이하게 발생된다고 알려진 UV-C 파장이 적용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1UV조사부(32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제1투입부밸브(3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투입부밸브(340)의 개폐에 의해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외부 공기가 제1UV조사부(32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제1램프(330)의 UV와 외부 공기가 반응하여 오존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1램프(330)에 의해 형성된 오존이 접촉부(310) 또는 제1투입관(36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존을 별도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공기와 제1램프(330) 또는 제2램프(340)의 UV에 의해 오존이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산화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제1투입관(360)을 따라 흐르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가 오존에 의해 제거 또는 살균되어 탈취부(400)에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UV조사부(320)는 내측에 제2램프(33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램프(331)는 제1램프(330)보다 길게 형성된 램프로서, 제1투입공간(351) 내측에 인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UV조사부(320)의 제2램프(331)가 형성된 부분은 관통 형성되어, 제2램프(331)가 제1투입공간(351)에 인입됨으로써, 제2램프(331)에 의해 제1투입관(360)을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가 제2램프(331)에 의해 직접적으로 살균 또는 악취분자제거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4) 제4단계(S140)
제4단계(S140)는 제3단계(S13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탈취부(400)에 의해 2차 정화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4단계(S140)가 수행됨으로써, 제3단계(S130)를 거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더욱 깨끗하게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탈취부(400)는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탈취부(400)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충분히 제거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탈취부(400)는 제2세정수(401), 제2세정수펌프(430), 접촉여재(440), 탈취부분사노즐(450) 및 데미스터(4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세정수(401)는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흡착 또는 용해될 수 있도록 탈취부(4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세정수(401)는 제1세정수(201)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2세정수(401)는 탈취부(400) 하측에 형성되어 제2세정수펌프(430) 또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탈취부(400) 내측에 순환됨으로써, 탈취부(400) 내측에 유입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흡착 또는 용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세정수(401)는 제2세정수유입밸브(410) 개폐에 의해 탈취부(400)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세정수유입밸브(410)는 탈취부(40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가 탈취부(400) 하측에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부(400) 내에 외부로부터 약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연동 형성된 제2투입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투입부(500)는 탈취부(400) 외측에 이격 형성되며,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에 의해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투입부(500)는 제3세정수(501), 제2저장부(510) 및 제2투입부펌프(5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3세정수(501)는 제2세정수(401)와 혼합되어 탈취부(400) 내측으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제2세정수(401)와 제3세정수(501)의 혼합액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의 흡착 또는 용해효율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세정수(501)는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할 수 있는 공지의 오염된 공기의 정화를 위한 세정액이 적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산, 알칼리, 중성계로 형성된 약품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물질이 알칼리 성분이 많을 경우, 제3세정수(501)는 산성약품이 적용될 수 있고,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물질이 산성계 성분이 많을 경우, 알칼리성 약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오염된 공기에 중성계 물질이 많을 경우, 중성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진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저장부(510)는 제3세정수(501)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저장부(510) 내측에 제3세정수(501)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3세정수(501)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투입부펌프(520)는 제2저장부(51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저장부(510) 내측에 저장된 제3세정수(501)가 탈취부(400) 내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투입부펌프(520)는 제2저장부(510)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투입부펌프(520)는 제2저장부(510) 외측에 이격 형성되어 제2투입부펌프(520)의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투입부펌프(520)가 제2저장부(510)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제2투입부펌프(52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제3연결관(521)이 형성됨으로써, 제2저장부(510)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제3연결관(521)은 제2저장부(5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탈취부(400)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제3연결관(521) 단부는 제2세정수(401)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2투입부펌프(520)에 의해 이동된 제3세정수(501)가 제2세정수(401)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세정수펌프(430)는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세정수(40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2세정수펌프(430)는 탈취부(400)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세정수펌프(430)는 탈취부(400) 외측에 형성되어 제2세정수펌프(430)의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제2세정수펌프(430)가 탈취부(400)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제2세정수펌프(430)는 탈취부(4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도록 제2세정수펌프(430) 일측 또는 타측에 탈취부(4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관(43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관(43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2세정수펌프(430)에 의해 제2세정수(401)가 탈취부(400) 내측으로 이동되어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탈취부(400) 내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연결관(431)은 탈취부(400) 내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에 탈취부여과필터(4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세정수(401)가 제2세정수펌프(430)에 의해 제2연결관(431)에 유입될 경우, 제2연결관(431) 단부에 형성된 탈취부여과필터(420)를 거쳐 유입됨으로써, 제2세정수(401)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여과된 제2세정수(401)가 제2연결관(431)에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세정수(401)는 제2세정수펌프(430)에 의해 여러 번 탈취부(400) 내측에 순환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충분히 흡착 또는 용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접촉여재(440)는 탈취부(400) 내측에 제2세정수(4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여재(440)는 제2세정수(401)의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탈취부(400) 내측에 유입됨과 동시에 확산에 의해 접촉여재(440)를 통과하여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여재(440)는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여재(440)는 종래의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시키기 위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오염된 공기의 특성에 따라 형상 또는 재질을 사용자의 기호에 알맞게 적용시킬 수 있다.
만약, 오염된 공기 내에 오염물질이 많을 경우, 정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여재(440)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오염된 공기의 특성이 부식성이 강할 경우, 내식성이 우수한 접촉여재(44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오염된 공기의 온도가 높을 경우, 내열성이 우수한 접촉여재(440)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접촉여재(440)는 다공질 여재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접촉여재(440)는 플라스틱계열로 형성된 접촉여재(440)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하나 이상의 필터로 형성될 경우, 데미스터 필터,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는 탈취부(400) 내의 제2세정수(401)와 접촉여재(440)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탈취부분사노즐(450)은 접촉여재(440)로부터 이격되며, 단부가 제2세정수펌프(43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탈취부분사노즐(450)은 제2세정수펌프(430)와 연동 형성되며, 단부가 탈취부(4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세정수(401)가 제2세정수펌프(430)에 의해 탈취부분사노즐(450)로 유입되어 흐름으로써, 탈취부(400) 내측을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탈취부분사노즐(450) 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즐이 형성되어 제2세정수펌프(430)에 의해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유입된 제2세정수(401)가 탈취부(400)에 순환됨과 동시에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와 접촉되어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제2세정수(401)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 제거 또는 용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탈취부분사노즐(450)의 단부는 접촉여재(440)의 상측방향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여재(440)를 관통한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분사된 제2세정수(401)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분사된 제2세정수(401)는 접촉여재(440)를 중력에 의해 관통됨과 동시에 접촉여재(440)에 의해 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접촉여재(440)를 관통한 제2세정수(401)는 탈취부(4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제1투입부(300)를 통과한 오염된 공기와 접촉되어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데미스터(460)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통과됨으로서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분사되는 제2세정수(401)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가 데미스터(460)에 의해 한 번 더 여과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미스터(460)는 필터로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 10μm 이상의 미세먼지 또는 유수분을 포집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수분이 데미스터(460)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용이하게 제거시키기 위해, 필터의 효율을 나타내는 MERV( Minimum Efficiency Reporting Value, 최소 효율 보고 값)이 1~16등급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MERV가 4~5등급인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데미스터(460)에 의해 더욱 깨끗하게 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제5단계(S150)
제5단계(S150)는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에 오존 또는 UV를 2차 접촉시키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제5단계(S150)가 수행됨으로써,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가 제2UV조사부(480)를 거침으로써,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오존 또는 UV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UV조사부(480)는 제3램프(481) 및 송풍팬(49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UV조사부(480)는 탈취부(400) 상측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미스터(460)와 인접한 위치에 제2UV조사부(480)가 형성됨으로써, 데미스터(46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제2UV조사부(480)에 의해 형성된 오존 또는 UV와 접촉되어 깨끗한 공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UV조사부(480)에 포함된 제3램프(481)에 의해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산화되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UV조사부(480) 내측에 제3램프(481)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3램프(481)의 UV 조사에 의해 생성된 오존 또는 UV가 공급되어 제4단계(S140)를 거친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3램프(481)에 의해 발생되는 파장은 UV파장으로서, 제1램프(330)와 같이, 제3램프(481)의 UV 조사로 발생된 오존과 UV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등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램프(481)에서 발생되는 파장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UV-B 또는 UV-C로 나뉜다고 알려져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UV-A의 파장은 400~315nm, UV-B의 파장은 315~280nm, UV-C의 파장은 280~100nm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를 살균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오존이 용이하게 발생된다고 알려진 UV-C 파장이 적용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3램프(481)에 UV-C 파장이 적용됨으로써, 송풍팬(490)으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제3램프(481)의 UV가 반응하여 오존을 형성시킴으로써,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산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송풍팬(490)은 제2UV조사부(480) 내측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제2UV조사부(48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490)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2UV조사부(480) 내측에 유입됨과 동시에 제3램프(481)에 의해 오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송풍팬(490)은 제2UV조사부(480) 내측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490)이 형성됨으로써, 송풍팬(490)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제2UV조사부(480)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제4단계(S140)를 거친 공기가 제3램프(481)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3램프(481)에 의한 오존 또는 UV 공급 효율이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외부공기가 송풍팬(490)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제2UV조사부(480) 하측 일측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90)에 의해 외부공기가 제3램프(481)에 의해 발생되는 UV와 반응하여 오존이 형성됨으로써, 오존과 제4단계(S140)를 거친 오염된 공기와 접촉되어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존을 별도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공기와 제3램프(481)의 UV에 의해 오존이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6) 제6단계(S160)
제6단계(S160)는 제4단계(S140) 또는 제5단계(S150)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6단계(S160)가 수행됨으로써, 제4단계(S140) 또는 제5단계(S150)를 거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6단계(S160)는 데미스터(46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된 배출구(4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70)는 탈취부(400) 상측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470)의 관통홀을 따라 확산에 의해 통과됨으로써,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470)의 상측면은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470)의 형상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이 상측방향으로 솟아오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부(400) 상측 형상은 일측 또는 타측이 상측방향으로 솟아오르는 형태로 형성되며, 솟아오른 상단은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탈취부(400) 상측 형상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470)에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은 제1투입부(300) 또는 탈취부(400)에 포함되는 제1램프(330), 제2램프(331) 또는 제3램프(481)는 오존이 생성되는 파장대의 UV램프를 적용시켜 형성된 오존 및 UV를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제1램프(330), 제2램프(331) 또는 제3램프(481)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1램프(330), 제2램프(331) 또는 제3램프(481)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오존 또는 UV 공급효율이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제1세정수(201) 또는 제2세정수(401)에 의한 정화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쉽게 흡착, 용해 또는 제거됨과 동시에 제1투입부(300) 또는 탈취부(400)에 의해 산화시킴으로써,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210) 내측에 제1세정수(201)가 초음파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는 제1저장부(210) 내측에 형성된 제1세정수(201) 내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의 초음파에 의해 제1세정수(201)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세정수(201)가 진동됨으로써, 제1저장부(210) 내에 제1세정수(201)가 오랫동안 부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의 처리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는 제1세정부여과필터(230)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의 초음파 분사에 의해 제1세정부여과필터(23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저장부(210) 상측 또는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분리막(211) 및 제2분리막(2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제1분리막(211)은 제1저장부(210) 상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세정부노즐(250)은 제1세정부여과필터(230)가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세정부노즐(250)에 의해 제1세정수(201)가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에 의해 부유되는 제1세정수(201)와 분리되어 낙하에 의해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분리막(211)이 하측방향으로 충분히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저장부(210) 내에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제1분리막(211)에 의해 부유됨과 동시에 일시 정체됨에 따라,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에 의해 부유되는 제1세정수(201)에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충분히 흡착 또는 용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분리막(212)은 제1분리막(211)과 마주보는 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분리막(212)은 제1세정수(201) 내측에 인입되며, 제1세정수(20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와 제1세정부여과필터(230)가 각각 제1세정수(201)에 분리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의 초음파에 의해 제1세정수(201)에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제1저장부(210) 내측을 부유하는 제1세정수(201)와 제1세정부여과필터(230), 제1세정부펌프(240) 또는 제1세정부노즐(250)에 의해 순환되는 제1세정수(201)가 서로 분리되어 제1저장부(210) 내측에 부유 및 분사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탈취부(400) 전단의 제1세정부(200)에 의해 제1세정수(201) 및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를 별도로 두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악취분자의 처리효율이 높은 전처리를 실시하여 전처리 없이 정화가 수행되어 약액세정을 실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약품사용량이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탈취부(400)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제1UV조사부(320) 및 제2UV조사부(480)가 2중으로 배치되어 오존 및 UV에 의한 오염된 공기의 산화력을 높임으로써, 공기 내 잔류오염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1-1) 제1-1단계(S111)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을 액화부(600)에 의해 액화시켜 제거하는 제1-1단계(S111)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1-1단계(S111)에 의해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된 후 제1투입부(300)에 유입됨으로써, 액화처리 과정을 거친 오염된 공기가 제1램프(330)에 의해 형성된 오존 및 UV와 오염된 공기의 접촉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부(6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된 후 형성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부(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화부(600)에 의해 오염된 공기는 보일-샤를의 법칙에 의해 체적이 증가됨에 따라 온도가 저하되어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낙하되고, 액화부(600) 내측 하측에 형성되어 배수됨으로써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화부(600)는 팽창탱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액화부(600)는 기체형태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응축시킴으로, 수냉식, 공랭식 또는 증발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가 간단한 냉각 매체를 활용하는 수냉식 또는 공랭식으로 형성된 액화부(600)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4>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탈취부(400)가 종 또는 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될 경우, 탈취부(400) 내에 포함된 각 구성은 둘 이상의 탈취부(400) 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가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될 경우,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연결부(701)에 의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유입부(100), 제1세정부(200), 제1투입부(300), 액화부(60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탈취부(4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탈취부(400)가 연결부(701)에 의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701)의 일측 단부는 횡방향으로 일측에 형성된 탈취부(400) 상측에 연결되어 탈취부(4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연결부(701)에 유입되어 횡 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된 탈취부(400) 내측에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701) 타측 단부는 타측에 형성된 탈취부(4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701) 타측 단부는 탈취부(400) 내의 제2세정수(401)와 접촉여재(44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일측에 형성된 탈취부(4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타측에 형성된 탈취부(400)에 유입됨과 동시에 반복 정화되어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47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일측 탈취부(400)의 상측면은 막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701)가 일측 탈취부(400)의 상측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탈취부(400)가 연결부(701)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면, 타측에 형성된 탈취부(400)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측에 배출구(47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된 두 개의 탈취부(400) 상측은 막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7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투입부(500)는 탈취부(400)의 개수에 따라 각각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로, 둘 이상의 제2투입부(500)가 탈취부(400)의 개수에 따라 종 또는 횡 방향으로 각각 연동 형성될 경우, 각각의 탈취부(400) 내에 형성된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된 제2투입부(500) 내에 형성된 제3세정수(501)는 오염된 공기의 성상에 따라 서로 다른 물질이 각각 적용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오염된 공기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세정수유입밸브(410)는 제2투입부(500)와 같이, 탈취부(400)의 개수에 따라 각각 연동 형성되어, 둘 이상의 탈취부(400) 내에 형성되는 제2세정수(401)의 유입, 차단 또는 배출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2UV조사부(480)는 타측 단부에 형성된 탈취부(400)에 형성되어 제2UV조사부(480)에 의해 형성된 오존 또는 UV와 최종 정화된 공기가 산화됨으로써, 최종 정화된 공기 내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가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탈취부(400)가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경우, 탈취부(400) 내에 포함된 데미스터(460) 및 제2UV조사부(480)를 제외한 구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유입부(100), 제1세정부(200), 제1투입부(300), 액화부(600)는 최 하단에 형성된 탈취부(4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둘 이상의 탈취부(400)가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경우, 이동부(700)에 의해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하단에 형성된 탈취부(40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부(700)가 상단에 형성된 탈취부(400) 하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 탈취부(400)에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이동부(700)로 이동되어 상단에 형성된 탈취부(400) 하측에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부(700)는 상단에 형성된 탈취부(400) 내에 포함되는 제2세정수(401)의 깊이보다 높게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부(700) 상측에 일측이 솟아오르는 형태로 형성된 이동부배출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배출부(710)의 형상에 의해 상단에 형성된 탈취부(400) 내에 포함되는 제2세정수(401)가 외부자극 또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한 분사에 의해 하단에 형성된 탈취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둘 이상의 탈취부(400)가 형성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반복적으로 정화되어 더욱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세정부 또는 탈취부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제1램프 또는 제2램프가 오염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거 효율을 높게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미세먼지 및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1.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100);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200);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발생된 오존 또는 UV에 의해 산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부(300);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400); 및
    탈취부(400) 내에 외부로부터 약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연동 형성된 제2투입부(500);를 포함하고,
    제1세정수(201)는 기-액 접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될 수 있도록 살균수 또는 물이 적용되며,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는 접촉부(31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는 제1UV조사부(320); 및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된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며,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제1램프(330)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UV조사부(320)로부터 관통 형성된 제2램프(331);
    제2램프(331)가 인입되도록 제1투입로(350) 내측에 형성된 제1투입공간(351);을 포함하고,
    제1투입관(360)은 접촉부(310) 내측에 인입된 제1통로(10) 일측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제2램프(331)에 의해 직접살균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탈취부(400) 상측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 제2UV조사부(480); 및
    제2UV조사부(480) 내측에 하나 이상 형성된 제3램프(4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세정부(200)는,
    내측에 제1세정수(201)를 저장하도록 공간을 포함하는 제1저장부(210);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펌프(240); 및
    제1세정부펌프(240)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노즐(2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저장부(210) 내측에 제1세정수(201)가 초음파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램프(330), 제2램프(331) 또는 제3램프(481)는 오존 및 UV를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키기 위해 UV램프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취부(400)는,
    탈취부(400) 내측에 형성된 제2세정수(401);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세정수(40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세정수펌프(430);
    탈취부(400) 내측에 제2세정수(4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접촉여재(440);
    접촉여재(440)로부터 이격되며, 단부가 제2세정수펌프(43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분사노즐(450);
    탈취부분사노즐(450)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접촉여재(440) 또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가 통과됨으로서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데미스터(460); 및
    데미스터(46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된 배출구(4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된 후 형성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부(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액화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8. 오염된 공기를 유입부(100)에 의해 흡입시키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세정부(200)에 의해 1차 정화시키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투입부(300)에 의해 오존 또는 UV와 1차 접촉시키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탈취부(400)에 의해 2차 정화시키는 제4단계(S140); 및
    제4단계(S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하고,
    제1세정부(200)는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세정수(201)는 기-액 접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될 수 있도록 살균수 또는 물이 적용되며,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는 접촉부(31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는 제1UV조사부(320); 및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된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며,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제1램프(330)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UV조사부(320)로부터 관통 형성된 제2램프(331);
    제2램프(331)가 인입되도록 제1투입로(350) 내측에 형성된 제1투입공간(351);을 포함하고,
    제1투입관(360)은 접촉부(310) 내측에 인입된 제1통로(10) 일측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제2램프(331)에 의해 직접살균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을 액화부(600)에 의해 액화시켜 제거하는 제1-1단계(S11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
KR1020210014451A 2021-02-02 2021-02-02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ctive KR10226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51A KR102269669B1 (ko) 2021-02-02 2021-02-02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51A KR102269669B1 (ko) 2021-02-02 2021-02-02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669B1 true KR102269669B1 (ko) 2021-06-25

Family

ID=7662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51A Active KR102269669B1 (ko) 2021-02-02 2021-02-02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807B1 (ko) * 2021-07-05 2022-03-25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KR102458555B1 (ko) * 2022-06-27 2022-10-26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488248B1 (ko) * 2022-07-18 2023-01-13 우림환경산업(주)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습식스크러버
KR20230164777A (ko) * 2022-05-25 2023-12-05 정종현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060Y1 (ko) * 2006-08-07 2006-12-15 성호 김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KR20140023857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진우통상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20180075367A (ko) * 2016-12-26 2018-07-04 (주) 테크윈 UV 부착 세정탑과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VOCs 제거 시스템 및 제거방법
KR102188763B1 (ko) * 2020-09-10 2020-12-08 주식회사 송림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060Y1 (ko) * 2006-08-07 2006-12-15 성호 김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KR20140023857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진우통상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20180075367A (ko) * 2016-12-26 2018-07-04 (주) 테크윈 UV 부착 세정탑과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VOCs 제거 시스템 및 제거방법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102188763B1 (ko) * 2020-09-10 2020-12-08 주식회사 송림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807B1 (ko) * 2021-07-05 2022-03-25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KR20230164777A (ko) * 2022-05-25 2023-12-05 정종현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KR102800837B1 (ko) 2022-05-25 2025-04-25 정종현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KR102458555B1 (ko) * 2022-06-27 2022-10-26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488248B1 (ko) * 2022-07-18 2023-01-13 우림환경산업(주)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습식스크러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669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937316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모듈형 악취제거장치
KR102022476B1 (ko)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CN208018394U (zh) UV光解-吸附一体式VOCs废气净化设备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KR101768007B1 (ko) 악취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KR20100118643A (ko)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0858355B1 (ko)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KR101498536B1 (ko) 탈취장치
KR20140114119A (ko) 실험실 장비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1237817B1 (ko) 기체간의 중화반응을 이용한 유해가스 및 악취가스 정화장치
KR102188763B1 (ko)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925165B1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CN214972995U (zh) 一种废气净化干燥设备
CN110772912A (zh) 生物制药厂综合废气的净化设备
KR20090062058A (ko)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저감시스템
KR102253569B1 (ko)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연속재생과 티타늄스크랩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고농도악취가스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악취가스 처리방법
KR101655767B1 (ko)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20100123787A (ko) 일체형 악취제거 시스템
KR100212876B1 (ko) 연소실이나 소각로의 유독개스와 매연, 악취 제거장치
KR200449319Y1 (ko) 액비 저장조 탈취장치
KR200408896Y1 (ko) 오존수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