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669B1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9669B1 KR102269669B1 KR1020210014451A KR20210014451A KR102269669B1 KR 102269669 B1 KR102269669 B1 KR 102269669B1 KR 1020210014451 A KR1020210014451 A KR 1020210014451A KR 20210014451 A KR20210014451 A KR 20210014451A KR 102269669 B1 KR102269669 B1 KR 102269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ashing water
- deodorizing
- air
- l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1세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1투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탈취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에 포함된 제2투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제1통로
100: 유입부
200: 제1세정부, 201: 제1세정수, 210: 제1저장부, 211: 제1분리막, 212: 제2분리막, 220: 제1세정부밸브, 230: 제1세정부여과필터, 240: 제1세정부펌프, 241: 제1파이프, 250: 제1세정부노즐, 260: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
300: 제1투입부, 310: 접촉부, 320: 제1UV조사부, 330: 제1램프, 331: 제2램프, 340: 제1투입부밸브, 350: 제1투입로, 351: 제1투입공간, 360: 제1투입관
400: 탈취부, 401: 제2세정수, 410: 제2세정수유입밸브, 420: 탈취부여과필터, 430: 제2세정수펌프, 431: 제2연결관, 440: 접촉여재, 450: 탈취부분사노즐, 460: 데미스터, 470: 배출구, 480: 제2UV조사부, 481: 제3램프, 490: 송풍팬
500: 제2투입부, 501: 제3세정수, 510: 제2저장부, 520: 제2투입부펌프
600: 액화부
700: 이동부, 701: 연결부, 710:이동부배출부
S110 : 제1단계, S111 : 제1-1단계, S120 : 제2단계, S130 : 제3단계, S140 : 제4단계, S150 : 제5단계, S160 : 제6단계
Claims (9)
-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100);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200);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UV조사부(320)에 의해 발생된 오존 또는 UV에 의해 산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부(300);
제1투입부(3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400); 및
탈취부(400) 내에 외부로부터 약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연동 형성된 제2투입부(500);를 포함하고,
제1세정수(201)는 기-액 접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될 수 있도록 살균수 또는 물이 적용되며,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는 접촉부(31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는 제1UV조사부(320); 및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된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며,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제1램프(330)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UV조사부(320)로부터 관통 형성된 제2램프(331);
제2램프(331)가 인입되도록 제1투입로(350) 내측에 형성된 제1투입공간(351);을 포함하고,
제1투입관(360)은 접촉부(310) 내측에 인입된 제1통로(10) 일측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제2램프(331)에 의해 직접살균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탈취부(400) 상측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 제2UV조사부(480); 및
제2UV조사부(480) 내측에 하나 이상 형성된 제3램프(4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세정부(200)는,
내측에 제1세정수(201)를 저장하도록 공간을 포함하는 제1저장부(210);
제1세정수(201)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제1저장부(210)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펌프(240); 및
제1세정부펌프(240)와 연동 형성되어 제1세정수(2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노즐(2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저장부(210) 내측에 제1세정수(201)가 초음파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세정부초음파분사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램프(330), 제2램프(331) 또는 제3램프(481)는 오존 및 UV를 오염된 공기 흐름에 투입시키기 위해 UV램프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취부(400)는,
탈취부(400) 내측에 형성된 제2세정수(401);
제2세정수(40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세정수(40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세정수펌프(430);
탈취부(400) 내측에 제2세정수(4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접촉여재(440);
접촉여재(440)로부터 이격되며, 단부가 제2세정수펌프(430)와 연동 형성되어 제2세정수(401)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취부분사노즐(450);
탈취부분사노즐(450)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접촉여재(440) 또는 탈취부분사노즐(450)에 의해 정화된 오염된 공기가 통과됨으로서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데미스터(460); 및
데미스터(46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된 배출구(4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된 후 형성된 오염된 공기가 제1투입부(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액화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취부(400) 또는 제2투입부(500)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 오염된 공기를 유입부(100)에 의해 흡입시키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세정부(200)에 의해 1차 정화시키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제1투입부(300)에 의해 오존 또는 UV와 1차 접촉시키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를 거친 오염된 공기를 탈취부(400)에 의해 2차 정화시키는 제4단계(S140); 및
제4단계(S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하고,
제1세정부(200)는 유입부(1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세정수(20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세정수(201)는 기-액 접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악취분자가 흡착, 용해 또는 산화될 수 있도록 살균수 또는 물이 적용되며,
제1투입부(300)는,
제1세정부(200)를 거친 오염된 공기가 오존 또는 UV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투입관(360)을 내측에 포함하는 접촉부(310);
내측에 오존 또는 UV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제1램프(330)를 포함하는 제1UV조사부(320); 및
제1UV조사부(320) 하측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하측 단부가 제1투입관(360)과 연동 형성된 제1투입로(350);를 포함하며,
제1UV조사부(320) 내측에 제1램프(330)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UV조사부(320)로부터 관통 형성된 제2램프(331);
제2램프(331)가 인입되도록 제1투입로(350) 내측에 형성된 제1투입공간(351);을 포함하고,
제1투입관(360)은 접촉부(310) 내측에 인입된 제1통로(10) 일측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제2램프(331)에 의해 직접살균 또는 악취분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단계(S110)를 거친 오염된 공기 중의 수분을 액화부(600)에 의해 액화시켜 제거하는 제1-1단계(S11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451A KR102269669B1 (ko) | 2021-02-02 | 2021-02-02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451A KR102269669B1 (ko) | 2021-02-02 | 2021-02-02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9669B1 true KR102269669B1 (ko) | 2021-06-25 |
Family
ID=7662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4451A Active KR102269669B1 (ko) | 2021-02-02 | 2021-02-02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966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8807B1 (ko) * | 2021-07-05 | 2022-03-25 |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
KR102458555B1 (ko) * | 2022-06-27 | 2022-10-26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오염물질처리장치 |
KR102488248B1 (ko) * | 2022-07-18 | 2023-01-13 | 우림환경산업(주) |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습식스크러버 |
KR20230164777A (ko) * | 2022-05-25 | 2023-12-05 | 정종현 |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060Y1 (ko) * | 2006-08-07 | 2006-12-15 | 성호 김 |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
KR20140023857A (ko) * | 2012-08-17 | 2014-02-27 | 주식회사 진우통상 |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KR101804117B1 (ko) * | 2017-07-04 | 2017-12-04 | 차진명 |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
KR20180075367A (ko) * | 2016-12-26 | 2018-07-04 | (주) 테크윈 | UV 부착 세정탑과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VOCs 제거 시스템 및 제거방법 |
KR102188763B1 (ko) * | 2020-09-10 | 2020-12-08 | 주식회사 송림 |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
-
2021
- 2021-02-02 KR KR1020210014451A patent/KR10226966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060Y1 (ko) * | 2006-08-07 | 2006-12-15 | 성호 김 |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
KR20140023857A (ko) * | 2012-08-17 | 2014-02-27 | 주식회사 진우통상 |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KR20180075367A (ko) * | 2016-12-26 | 2018-07-04 | (주) 테크윈 | UV 부착 세정탑과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VOCs 제거 시스템 및 제거방법 |
KR101804117B1 (ko) * | 2017-07-04 | 2017-12-04 | 차진명 |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
KR102188763B1 (ko) * | 2020-09-10 | 2020-12-08 | 주식회사 송림 |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8807B1 (ko) * | 2021-07-05 | 2022-03-25 |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
KR20230164777A (ko) * | 2022-05-25 | 2023-12-05 | 정종현 |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
KR102800837B1 (ko) | 2022-05-25 | 2025-04-25 | 정종현 | 플라즈마 3단계 복합 시스템 |
KR102458555B1 (ko) * | 2022-06-27 | 2022-10-26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오염물질처리장치 |
KR102488248B1 (ko) * | 2022-07-18 | 2023-01-13 | 우림환경산업(주) |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습식스크러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9669B1 (ko)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
KR101937316B1 (ko) |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모듈형 악취제거장치 | |
KR102022476B1 (ko) |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
KR101396537B1 (ko) |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 |
CN208018394U (zh) | UV光解-吸附一体式VOCs废气净化设备 | |
KR101401992B1 (ko) |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 |
KR101768007B1 (ko) | 악취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
KR20100118643A (ko) | 배출가스 정화장치 | |
KR100858355B1 (ko) |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 |
KR101498536B1 (ko) | 탈취장치 | |
KR20140114119A (ko) | 실험실 장비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 |
KR101237817B1 (ko) | 기체간의 중화반응을 이용한 유해가스 및 악취가스 정화장치 | |
KR102188763B1 (ko) |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 |
KR100925165B1 (ko) |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 |
KR101611538B1 (ko) |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 |
CN214972995U (zh) | 一种废气净化干燥设备 | |
CN110772912A (zh) | 生物制药厂综合废气的净化设备 | |
KR20090062058A (ko) |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저감시스템 | |
KR102253569B1 (ko) | 활성탄소섬유 필터의 연속재생과 티타늄스크랩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고농도악취가스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악취가스 처리방법 | |
KR101655767B1 (ko) |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 |
KR200407830Y1 (ko) |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 |
KR20100123787A (ko) | 일체형 악취제거 시스템 | |
KR100212876B1 (ko) | 연소실이나 소각로의 유독개스와 매연, 악취 제거장치 | |
KR200449319Y1 (ko) | 액비 저장조 탈취장치 | |
KR200408896Y1 (ko) | 오존수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