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302B1 - switch assembly - Google Patents
switch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9302B1 KR102269302B1 KR1020190175296A KR20190175296A KR102269302B1 KR 102269302 B1 KR102269302 B1 KR 102269302B1 KR 1020190175296 A KR1020190175296 A KR 1020190175296A KR 20190175296 A KR20190175296 A KR 20190175296A KR 102269302 B1 KR102269302 B1 KR 102269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plate
- terminal
- pair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를 구성하는 바디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는 무브 지지벽을 형성하고, 바디의 좌우 벽면 내측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형 안내홈을 마주보도록 형성하여, 무브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무브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무브의 안정된 움직임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wi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a move support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is formed on a body constituting the switch, and a V-shaped guide groove with a narrow lower portion and an open upper portion inside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witch assembly capable of stably moving the move through a stable support of the move, as well as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move by forming it to face each other.
일반적으로, 전원 스위치는 등화를 점등시키는 등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벽면에 매립 설치된다.In general, the power switch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wall to control the on/off of the power, such as turning on the light.
상기와 같이 매립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는 벽면에 일정 부분 매립된 상태로 소정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이 고정되도록 소켓을 지지한 상태에서 양측 선단이 케이싱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브라켓과, 이와 같이 벽면에 일정 부분 매립된 상태에서 설치된 전원 스위치의 전면에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다.The power switch embedd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casing that can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while being partially embedded in the wall, and a socket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standard to control the on/off state of the switch; , a bracket in which both ends are fixed to the casing with screws, etc. 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is supported so that the socket is fixed, and a cove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wer switch installed in a state partially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in this way to enhance the aesthetics is composed of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원 스위치는 기존 스위치 모듈의 푸쉬 키 파트(Push Key Part)의 역할을 모듈 어세이(Module Assy)당 푸쉬 키 파트 2EA, 플레이트 스프링 파트(Plate Spring Part) 4EA가 사용되어 이에 따른 부품 원가 및 조립 비용 등의 제조 원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ower switch with such a configuration, 2EA of push key parts and 4EA of plate spring parts per module assembly are used to play the role of push key parts of the existing switch modul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s such as component cost and assembly cost are high.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등록특허공보 제10-1942869호의 '결선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 가 개시되었다.Accordingly, a 'switch device for easy wiring operation'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942869 was discl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가압버튼을 2개로 분할하여서 각각의 전선을 분리 고정하게 하는 것이므로, 무브의 하단을 움직임없이 지지하기 위해 제 1 터미널의 제 1 상부지지판-수직지지판-수평지지판으로 이어지는 경로상에서, 상기 수평지지판 타측으로 연장부에 V홈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경사지지판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무브공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무브 설치가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무브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위한 지지력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divides the press button into two and separates and fixes each electric wire, the first upper support plate of the first terminal-vertical support plate-horizontal support plate is connect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ove without movement. On the path, first and second inclined support plates forming a V-groove are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a move hole is formed therebetween, but this makes the move installation complicated, and the support force for stable movement of the m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is not provided properly.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제 1 터미널의 제 1 측면지지판과 제 2 터미널의 제 2 측면지지판의 외측날개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제 2 터미널의 제 2 측면지지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자지지판이 안정된 위치에 놓이지 못하면서,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른 전기적 접속이 불량해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wing portions of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of the second terminal are not stably fixed, and are inclined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s of the second terminal. As the terminal support plate was not placed in a stable position,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on/off switching of the switch was po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위치를 구성하는 바디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는 무브 지지벽을 형성하고, 바디의 좌우 벽면 내측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형 안내홈을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무브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선행기술과 같이 수평지지판 위에 V홈을 이루는 경사지지판을 추가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브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무브의 안정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move support wall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n the body constituting the switch, and by forming a V-shaped guide groove with a narrow lower part and an open upper part to face inside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body. , To provide a power switch assembly that not only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move, but also enables the stable movement of the move through stable support of the move even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n inclined support plate forming a V-groove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s in the prior art.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바디의 내벽면에 삽입홈과 밀림 억제용 벽을 형성함으로써, 터미널들의 측면지지판 외측날개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터미널의 측면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자지지판이 안정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하면서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른 전기적 접속이 불량해지는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fix the outer wing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late of the terminals by forming an insertion groove and a wall for suppression of slidi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and installed inclined while positioned between the side support plates of th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witch assembly that improves the structural problem of po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of the switch while allowing the terminal support plate to be placed in a stable posi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삽입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선 삽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이 유지되면서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버튼이 구비되는 바디; 상부 방향으로 압축되는 한 쌍의 제 1 판스프링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바디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 1 측면지지판이 포함되는 제 1 터미널; 일측을 향하는 단자지지판에 고정접점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방향으로 압축되는 한 쌍의 제 2 판스프링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바디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 2 측면지지판이 포함되는 제 2 터미널; 상기 제 1 터미널에 지지된 상태로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고정접점을 향하도록 타측에 이동접점이 구비되는 무브;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노브 기둥부를 가지며, 일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고,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좌우 벽면 중앙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무브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무브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지지하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자형 안내홈을 마주보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수직하게 절곡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지지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자지지판(31)을 안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단자지지판(31)의 기울기로 돌출되는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디의 좌우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제 1 측면지지판과 상기 제 2 터미널의 제 2 측면지지판의 외측날개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 삽입홈을 마주보게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가압버튼은 두가닥의 전선이 각각 물릴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2개씩 분할 형성되면서 그 상면에는 각각 뾰쪽한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탭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선 삽입공으로부터 전선 추출시 그 전선 추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선 삽입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witch assembly, which i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t least one wire inser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vertically, and is formed between the wire insertion holes to move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elastic force. a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essing button;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pair of first side support plates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each accommodating a pair of first plate springs com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A fixed contact is formed on the terminal support plate facing one side,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for accommodating a pair of second plate springs com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upport plate; a move reciprocating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hile supported by the first terminal, and having a moving contact point on the other side to face the fixed contact point; and a knob pilla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s an axis, and when rotating to one side, the movable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and when rotating to the other side, the movable contact is fixed a knob separating it from the contact; Including,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body, a support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and supporting the move, and a V-shaped guide groove with a narrow lower part and an upper part to support the stable movement of the move to face each other The terminal support plate protrudes at an inclination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일단에서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1 상부지지판; 상기 제 1 상부지지판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의 사이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지지판; 및, 상기 수직지지판의 하단에서 타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무브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수평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upper support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to a pair of left and right; a plate-shaped vertical support plate bent vertically downwardly between the first side support plates forming a pair at one end of the first upper support plate; and a plate-shaped horizontal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late toward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move; will include
또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판스프링은, 상기 제 1 상부지지판과 접촉되는 제 1 곡선부와, 상기 제 1 곡선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에 의해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1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ir of the first plate springs, a first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support plat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are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by the pressing button. It is to include a first straight line part that pressurizes the electric wire or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또한, 상기 제 2 터미널은, 일단에서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2 상부지지판; 상기 제 2 상부지지판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의 사이에서 일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이 돌출되는 판 형상의 상기 단자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upper support plate in a plate shap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to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terminal support plate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lower side of one side between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s forming a pair at one end of the second upper support plate, and the fixed contact point protrudes; will include
또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판스프링은, 상기 제 2 상부지지판과 접촉되는 제 2 곡선부와, 상기 제 2 곡선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에 의해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ir of the second plate springs, a second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support plat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curved portion are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by the pressing button. It is to include a second straight line part that pressurizes the electric wire or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또한, 상기 무브는, 타면 측면에 상기 이동접점이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하단 일부가 상기 수평 지지판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판 형상의 무브 평판; 및, 상기 무브 평판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의 노브 기둥부에 안착되는 상부 삽입탭;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ve may include: a plate-shaped move plate having the movable contact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nd having a lower end part of which is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an upper insertion tab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move plate and seated on the knob post portion of the knob; will include
또한, 상기 노브는,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하면 후방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중공의 상기 노브 기둥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knob may include a plate-shaped pressing plate extending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hollow knob pos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will inclu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치를 구성하는 바디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는 무브 지지벽을 형성하고, 바디의 좌우 벽면 내측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형 안내홈을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한편, 바디의 내벽면에 삽입홈과 밀림 억제용 벽을 형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무브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선행기술과 같이 수평지지판 위에 V홈을 이루는 경사지지판을 추가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브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무브의 안정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터미널들의 측면지지판 외측날개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터미널의 측면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자지지판이 안정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하면서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른 전기적 접속이 불량해지는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ove support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n the body constituting the switch, and forms a V-shaped guide groove with a narrow lower portion and an open upper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body to face, while the body An insertion groove and a wall for suppression of sliding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nit, and this makes it easy to install the move, and as in the prior art, even if an inclined support plate that forms a V groove is not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s in the prior art, the move is stable. It enables stable movement of the move through support, stably fixes the outer wing of the side support plate of the terminals, and turns the switch on/off while allowing the terminal support plat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ide support plates of the terminals and installed at an angle, in a stable position.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ructural problem of poor electrical connection due to switching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미널이 분리된 바디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미널이 결합된 바디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switch assembly as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in which a termina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to which a terminal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미널이 분리된 바디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미널이 결합된 바디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assembly from the bottom,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in which a termina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to which a terminal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is shown.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스위치 어셈블리는, 바디(10), 제 1 터미널(20), 제 2 터미널(30), 무브(40), 노브(5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1 to 5 , the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바디(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 사이에는 탄성력이 유지되면서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면에 뾰쪽한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탭(121)이 형성되는 가압버튼(12a, 12b, 12c, 12d)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The
즉, 상기 전선삽입공(11a, 11b, 11c, 11d)은 일측에 한 쌍, 타측에 한 쌍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 또한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에 대응하여 각각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wire insertion holes (11a, 11b, 11c, 11d) are respectively formed as a pair on one side and a pair on the other side, and the pressing buttons (12a, 12b, 12c, 12d) also include the wire insertion holes (11a, 11b, 11c, and 11d) may be formed in pair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그러면,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으로부터 전선 추출시 그 전선 추출은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에 대응한 개수로 형성되는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n, when the wire is extracted from the
즉, 상기 가압버튼(12a, 12b)(12c, 12d)을 각각 상기 바디(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2개씩 분할하면, 상기 바디(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버튼(12a, 12b)과 상기 바디(10)의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버튼(12c, 12d)에 각각 두가닥의 전선이 각각 독립적으로 물릴수 있으며, 이는 한 쪽의 전선을 결합시킬 때 다른 쪽의 전선 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여기서,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은 상기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면서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도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한편, 상기 바디(10)의 좌우 벽면 중앙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지벽(13), 그리고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자형 안내홈(14, 14')을 마주보게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바디(10)의 중앙에는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15)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바디(10)의 좌우 벽면 일측에는 날개 삽입홈(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상기 제 1 터미널(20)은 상부 방향으로 압축되는 한 쌍의 제 1 판스프링(301)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공간(미도시)을 가지면서 상기 바디(10)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이는 일단에서 제 1 측면지지판(21)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1 상부지지판(22)과, 상기 제 1 상부지지판(22)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측면지지판(21)의 사이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지지판(23),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판(23)의 하단에서 타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무브(40)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24a)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수평지지판(24)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제 1 측면지지판(21)의 외측날갭부분(21a)은 상기 바디(10)의 좌우 벽면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 삽입홈(16)에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터미널(20)은 상기 바디(10)에서 전후 방향에 대한 유동, 즉 상기 제 2 터미널(30)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uter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판스프링(301)은 상기 제 1 상부지지판(22)과 접촉되는 제 1 곡선부(301a), 그리고 상기 제 1 곡선부(301a)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12a, 12b)에 의해 상기 제 1 측면지지판(21)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1 직선부(301b)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상기 제 2 터미널(30)은 일측을 향하는 단자지지판(31)에 고정접점(31a)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방향으로 압축되는 한 쌍의 제 2 판스프링(302)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공간(미도시)을 가지면서 상기 바디(10)의 타측으로 삽입되며, 일단에서 제 2 측면지지판(32)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2 상부지지판(33)과, 상기 제 2 상부지지판(33)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측면지지판(32)의 사이에서 일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31a)이 돌출되는 판 형상의 상기 단자지지판(33)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제 2 측면지지판(32)의 외측날갭부분(32a)은 상기 바디(10)의 좌우 벽면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 삽입홈(16')에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터미널(20)은 상기 바디(10)에서 전후 방향에 대한 유동, 즉 상기 제 1 터미널(20)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uter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판스프링(302)은 상기 제 2 상부지지판(33)과 접촉되는 제 2 곡선부(302a), 그리고 상기 제 2 곡선부(302a)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12c, 12d)에 의해 상기 제 2 측면지지판(32)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2 직선부(302b)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또한, 상기 단자지지판(31)은 상기 제 2 터미널(30)의 제 2 측면지지판(32)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바디(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15)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단자지지판(31)에 형성되는 고정접점(31a) 또한 안정적인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고정접점(31a)으로의 이동접점(40a)에 대한 전기적 온 접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301, 302)을 각각 제 1 터미널(20)과 제 2 터미널(30)에 복수개 적용하면, 상기 제 1 판스프링(301)의 일단은 제 1 터미널(20)에 포함되는 한 쌍을 이루는 제 1 측면지지판(21)의 일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 2 스프링(302)의 일단은 제 2 터미널(30)에 포함되는 한 쌍을 이루는 제 2 측면지지판(32)의 타측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상기 무브(40)는 상기 제 1 터미널(20)에 지지된 상태로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접점(31a)을 향하도록 타측에 이동접점(40a)을 구비하여둔 것으로, 이는 타면 측면에 상기 이동접점(40a)이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하단 일부가 상기 수평 지지판(24)의 안착홈(24a)에 안착되는 판 형상의 무브 평판(41), 그리고 상기 무브 평판(4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50)의 노브 기둥부(51)에 안착되는 상부 삽입탭(4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무브(50)는 상기 바디(10)의 좌우 벽면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벽(13)과 V자형 안내홈(14)에 지지되면서, 상기 V자형 안내홈(14)을 통해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무브(50)에 형성되는 이동접점(40a)은 상기 고정접점(31a)과의 온 접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노브(50)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일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접점(40a)을 상기 고정접점(31a)에 접촉시키고,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접점(40a)을 상기 고정접점(31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며, 이는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누름판(51), 그리고 상기 누름판(51)의 하면 후방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중공의 노브 기둥부(5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노브기둥부(52)에는 상기 무브(40)에 형성되는 상부 삽입탭(42)이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기 노브(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무브(4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전원스위치로 단선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4개로 이루어진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으로 전선 삽입시,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에 대응하는 4개의 가압버튼(12a, 12b, 12c, 12d)을 각각 하부에서 상부로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에 각각 형성되는 가압탭(121)이 각각 한 쌍을 이루는 제 1 판스프링(301) 및 한 쌍을 이루는 제 2 판스프링(302)을 각각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301, 302)의 직선부(301b, 302b)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을 이루는 제 1 측면지지판(21) 및 제 2 측면지지판(32)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므로, 전선을 상기의 틈새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이때,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을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전선 삽입공(11a, 11b, 11c, 11d)으로 단선을 삽입하여 가압하면, 단선 자체의 강성으로 인해 휘어지지 않으면서 스위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다음으로, 상기 가압버튼(12a, 12b, 12c, 12d)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부로 압축되었던 상기 제 1 판스프링(301) 및 제 2 판스프링(302)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판스프링(301, 302)의 직선부(301b, 302b)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지지판(21, 32)으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전선은 제 1 터미널(20) 및 제 2 터미널(20)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Nex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다음으로,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여 노브(5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노브(50)의 노브 기둥부(52)에 상부 삽입탭(42)이 끼움된 무브(40)는 상기 바디(10)에 형성되는 지지벽(13)과 V자형 안내홈(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무브(40)의 무브 평판(41)에 형성되는 이동접점(40a)이 이동하여 고정접점(31a)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온 상태로 전환된다.Next, when the
즉, 상기 무브 평판(41)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접점(40a)은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15)에 의해 안정된 위치에 놓인 경사진 단자지지판(31)의 고정접점(31a)과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반면, 상기 노브(50)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노브(50)의 노브 기둥부(52)에 상부 삽입탭(42)이 끼움된 무브(40)는 상기 바디(10)에 형성되는 지지벽(13)과 V자형 안내홈(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일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무브(40)의 무브 평판(41)에 형성되는 이동접점(40a)이 이동하여 고정접점(31a)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상기 무브 평판(41)에 형성되는 상기 이동접점(40a)은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15)에 의해 안정된 위치에 놓인 경사진 단자지지판(31)의 고정접점(31a)으로부터 안정적인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ving
한편, 상기 전원스위치의 바디(10)로부터 전선을 제거하고자 할 때, 가압버튼(12a, 12b, 12c, 12d)을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가압탭(121)이 한 쌍을 이루는 제 1 판스프링(301) 및 한 쌍을 이루는 제 2 판스프링(302)을 가압하게 되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판스프링(301)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 1 측면지지판(21)의 사이,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판스프링(302)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측면지지판(32) 사이에는 각각 틈새가 형성되면서, 상기 전선을 각각 순차적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전선은 상기 바디(10)의 전선삽입공(11a, 11b, 11c, 11d)으로부터 각각 손쉽게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want to remove the wire from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ower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바디 11a, 11b, 11c, 11d; 전선 삽입공
12a, 12b, 12c, 12d; 가압버튼 121; 가압 탭
13; 지지벽 14; V자형 안내홈
15; 밀림 억제용 벽부 16; 날개 삽입홈
20; 제 1 터미널 21; 제 1 측면지지판
21a; 외측날개부분 22; 제 1 상부지지판
23; 수직지지판 24; 수평지지판
24a; 안착홈 30; 제 2 터미널
31; 단자지지판 31a; 고정접점
32; 제 2 측면지지판 32a; 외측날개부분
33; 제 2 상부지지판 40; 무브
40a; 이동접점 41; 무브 평판
42; 상부 삽입탭 50; 노브
51; 누름판 52; 노브 기둥부
301; 제 1 판스프링 301a; 제 1 곡선부
301b; 제 1 직선부 302; 제 2 판스프링
302a; 제 2 곡선부 302b; 제 2 직선부10;
12a, 12b, 12c, 12d;
13;
15;
20; Terminal 1 21; first side support plate
21a;
23;
24a; seating
31;
32; second
33; a second
40a; moving
42;
51;
301;
301b; a first
302a; a second
Claims (9)
상기 바디의 좌우 벽면 중앙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무브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무브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지지하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벌어지는 V자형 안내홈을 마주보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수직하게 절곡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지지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자지지판(31)을 안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단자지지판(31)의 기울기로 돌출되는 단자지지판 밀림 억제용 벽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디의 좌우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제 1 측면지지판과 상기 제 2 터미널의 제 2 측면지지판의 외측날개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 삽입홈을 마주보게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가압버튼은 두가닥의 전선이 각각 물릴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2개씩 분할 형성되면서 그 상면에는 각각 뾰쪽한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탭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선 삽입공으로부터 전선 추출시 그 전선 추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선 삽입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a body having at least one or more wire inser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bottom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having at least one pressing button formed between the wire insertion holes to move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elastic force;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pair of first side support plates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each accommodating a pair of first plate springs com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A fixed contact is formed on the terminal support plate facing one side,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while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for accommodating a pair of second plate springs com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upport plate; a move reciprocating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hile supported by the first terminal, and having a moving contact point on the other side to face the fixed contact point; and a knob pilla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s an axis, and when rotating to one side, the movable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and when rotating to the other side, the movable contact is fixed a knob separating it from the contact; including,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body, a support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and supporting the move, and a V-shaped guide groove with a narrow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stable movement of the move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order to place the terminal support plate 31 inclined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second side support plates that are vertically bent in the center of the body in a stable position, the terminal support plate 31 protruding at an inclination of the terminal support plate 31 For suppression of sliding forming a wall,
O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surfaces of the body, wing insertion grooves for fixing the outer wing portions of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of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pressing button is divided into two piece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two wires can be intertwined, respectively, an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pressure tabs protruding upward in a pointed shape are formed, respectively, from the wire insertion hole. Power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wire insertion hole so that the wire extraction is performed independently when the wire is extracted.
상기 제 1 터미널은,
일단에서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1 상부지지판;
상기 제 1 상부지지판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의 사이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지지판; 및,
상기 수직지지판의 하단에서 타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무브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수평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is
a first upper support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to a pair of left and right;
a plate-shaped vertical support plate bent vertically downwardly between the first side support plates forming a pair at one end of the first upper support plate; and;
a horizontal support plate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late toward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move; A power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판스프링은, 상기 제 1 상부지지판과 접촉되는 제 1 곡선부와, 상기 제 1 곡선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에 의해 상기 제 1 측면지지판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1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5. The method of claim 4,
A pair of the first plate springs includes a first curved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support plate, and an electric wire extending from the first curved part while being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pport plate by the pressing button. Power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traight portion pressurized or the pressurized is released.
상기 제 2 터미널은,
일단에서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이 좌우 한 쌍으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2 상부지지판; 및,
상기 제 2 상부지지판의 일단에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의 사이에서 일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이 돌출되는 판 형상의 상기 단자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terminal is
a second upper support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to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the terminal support plate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lower side of one side between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s forming a pair at one end of the second upper support plate, and the fixed contact point protrudes; A power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판스프링은, 상기 제 2 상부지지판과 접촉되는 제 2 곡선부와, 상기 제 2 곡선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버튼에 의해 상기 제 2 측면지지판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전선을 가압 또는 그 가압이 해제되는 제 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7. The method of claim 6,
A pair of the second plate springs includes a second curved part in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support plate, and an electric wire extending from the second curved part and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second side support plate by the pressing button. Power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traight part pressurized or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상기 무브는, 타면 측면에 상기 이동접점이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하단 일부가 상기 수평 지지판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판 형상의 무브 평판; 및, 상기 무브 평판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의 노브 기둥부에 안착되는 상부 삽입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8. The method of claim 7,
The move may include: a plate-shaped move plate having the movable contact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nd having a lower end portion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and an upper insertion tab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move plate and seated on the knob post portion of the knob; A power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상기 노브는,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하면 후방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중공의 상기 노브 기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9. The method of claim 8,
The knob may include a plate-shaped pressing plate extending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hollow knob pos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 power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296A KR102269302B1 (en) | 2019-12-26 | 2019-12-26 | switch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296A KR102269302B1 (en) | 2019-12-26 | 2019-12-26 | switch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9302B1 true KR102269302B1 (en) | 2021-06-28 |
Family
ID=7660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5296A Active KR102269302B1 (en) | 2019-12-26 | 2019-12-26 | switch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9302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8718A (en) | 1992-07-28 | 1994-02-22 | Nanba Kk |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e carbon |
JPH0648718Y2 (en) * | 1989-03-28 | 1994-12-12 | 松下電工株式会社 | Seesaw switch |
JPH0711388A (en) | 1993-06-28 | 1995-01-13 | Kobe Steel Ltd | Reinforcement material for high strength non-magnetic prestressed concrete |
JPH0711388Y2 (en) * | 1988-05-26 | 1995-03-15 | 松下電工株式会社 | switch |
JP2002170460A (en) * | 2000-11-30 | 2002-06-1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witch |
KR20080047999A (en) | 2006-11-27 | 2008-05-30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Fastening terminal device |
KR20180019034A (en) * | 2016-07-18 | 2018-02-23 | (주)대성 | Tumbler switch |
KR101942869B1 (en) | 2018-06-22 | 2019-01-28 |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 Switch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
-
2019
- 2019-12-26 KR KR1020190175296A patent/KR1022693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388Y2 (en) * | 1988-05-26 | 1995-03-15 | 松下電工株式会社 | switch |
JPH0648718Y2 (en) * | 1989-03-28 | 1994-12-12 | 松下電工株式会社 | Seesaw switch |
JPH0648718A (en) | 1992-07-28 | 1994-02-22 | Nanba Kk |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e carbon |
JPH0711388A (en) | 1993-06-28 | 1995-01-13 | Kobe Steel Ltd | Reinforcement material for high strength non-magnetic prestressed concrete |
JP2002170460A (en) * | 2000-11-30 | 2002-06-1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witch |
KR20080047999A (en) | 2006-11-27 | 2008-05-30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Fastening terminal device |
KR20180019034A (en) * | 2016-07-18 | 2018-02-23 | (주)대성 | Tumbler switch |
KR101942869B1 (en) | 2018-06-22 | 2019-01-28 |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 Switch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65428B2 (en) | Terminal module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for wiring, and circuit breaker for wiring equipped with terminal module assembly | |
US7294022B1 (en) | Vehicle power plug with a control switch | |
KR200376471Y1 (en) | A Terminal Connecting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actor | |
KR101284824B1 (en) | Seesaw switch of plate springtype with support plate | |
CN1042679C (en) | Device for associating a contactor with a circuuit-breaker | |
EP2797174A1 (en) | Safe electrical outlet | |
CN102341880B (en) | Electromagnetism contact arrangement | |
CN106847566A (en) | A kind of ultra-thin key switch with balance high | |
KR101670011B1 (en) | 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changing | |
KR101631649B1 (en) | toggle switch | |
KR101886116B1 (en) | Lever type 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replacement | |
KR101234349B1 (en) | One touch typed concent | |
KR102269302B1 (en) | switch assembly | |
KR101942869B1 (en) | Switch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 |
US10266101B2 (en) | Terminal fixed lamp switch for parking brake | |
JP2012512512A (en) | Rocker switch unit with fuse | |
JP5191952B2 (en) | Tabletop | |
CN109119278B (en) | Double-pole single-throw type seesaw switch | |
KR200446415Y1 (en) | Movable Core Assembly of Electronic Contactor | |
KR101810213B1 (en) | one body type multi-switch | |
CN215834459U (en) | Rocker switch | |
CN107591289B (en) | Contactor | |
US20210151921A1 (en) | Plug receiving device | |
KR102177144B1 (en) | Trigger switch | |
CN218676907U (en) | Wall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