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33B1 -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 Google Patents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7233B1 KR102267233B1 KR1020190073185A KR20190073185A KR102267233B1 KR 102267233 B1 KR102267233 B1 KR 102267233B1 KR 1020190073185 A KR1020190073185 A KR 1020190073185A KR 20190073185 A KR20190073185 A KR 20190073185A KR 102267233 B1 KR102267233 B1 KR 102267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iddle plate
- rear seat
- seat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8185 Betula X al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8212 Betula X uligin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접이식 후방시트 후면에 배치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텀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시트에 상기 탑플레이트를 탈장착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시트를 전방으로 접어 폴딩한 상태에서 회동된 상기 미들플레이트가 레그룸을 막고 회동된 상기 바텀플레이트가 차량의 전방시트 후면 또는 차량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평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시트에 장착한 상태로 운행하다가 필요 시 바로 펼쳐 사용할 수 있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dle plat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front folding rear seat of the vehicle; a top plate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middle plate; a bottom plate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and a holding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p plate to and from the rear seat, wherein the middle plat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eat is folded forward blocks the legroom and the bottom plate rotated is the vehic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type vehicle thin plate that can be used while driving while mounted on the rear seat of a vehicle by being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front seat or the floor of the vehicle to form a flat interior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평탄한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각 플레이트를 후방시트에 장착한 상태로 운행하다가 차박이나 휴식 시 후방시트를 접은 후 각 플레이트를 펼쳐 안정되게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취침, 휴식, 취식 및 놀이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탄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foil plate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 secure a flat indoor space, and in particular, after folding the rear seat while driving while driving with each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mounted on the rear sea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folding type awning plate that provides a flat indoor space that can be used for sleeping, resting, eating and playing in the state where each plate is stably supported and fixed.
일반적으로 차량은 취침을 할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운행 도중 쉬고자 할 경우 운전석이나 조수석에서 의자를 뒤로 젖힌 상태로 잠깐 동안 쉬는 정도가 일반적이다.In general, vehicles are not used for sleeping purposes. If you want to take a break while driving, it is common to take a short break in the driver's or front passenger's seat with the chair tilted back.
근래 캠핑 문화가 확산하면서 차량을 취침 공간이나 여러 사람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차량의 구조 자체를 개선하여 의자를 완전히 접어 평평하게 하는 구조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렇지만, 이는 제조 당시부터 숙박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계되지 않은 차량에만 국한된 것일 뿐이다.Recently, as the camping culture spreads, there are attempts to use the vehicle as a sleeping space or a space for several people to res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tself, a structure in which the chair is completely folded and flat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is only limited to vehicles that, from the time of manufacture, were not designed for use as lodging spaces.
이를 해결하고자 평소에 수납 또는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 시 펼쳐서 레그룸 공간을 막아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e stored or stored and unfolded when in use to block the legroom space and expand the spac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1707호 (2008.08.28.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자동차용 유아놀이방 시트 기구』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1707 (Registered on Aug. 28,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Infant playroom seat device for car』 is presented,
문헌 1은 자동차용 유아놀이방 기구를 구성하게 되는 받침판의 길이를 차량의 뒷좌석 레그 룸과 뒷좌석 좌판 전체를 거의 커버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하고, 받침판의 후단부에는 뒷좌석의 등판과 좌판 사이의 틈새로 밀어 넣을 수 있는 삽입부를 연이어 형성하며, 받침판의 선단 중앙부에는 보조보관함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보조시트와 앞좌석의 목 받침대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지지밴드를 차례로 형성한 구조로서,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공간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뒷좌석의 좌판 전체를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앞좌석의 등판에 이르기까지 다수 개의 지지밴드가 연이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성이 뛰어난 유아놀이방 시트 기구에 관한 기술이다.In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04620호 (2011.01.14.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차량용 유아놀이방 매트』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4620 (published on Jan. 14,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Infant playroom mat for car』 is proposed,
문헌 2는 본체판과 보조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차량의 후방시트에 장착되는 매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과 보조판은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내부를 충분히 개폐하기 위한 지퍼를 구비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하중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판과, 상기 본체판의 상하 변부에 각각 삽입구와 걸이구를 구비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설치의 편리성과 사용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유아들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고 사용 후 보관이 편리하여 활용성이 기대되는 차량용 유아놀이방 매트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12473호 (2015.10.07.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차량용 매트』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2473 (published on 10.07.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Vehicle Mat』 is proposed,
문헌 3은 차량의 앞좌석 후면에 접지되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앞좌석의 헤드레스트에 장착되는 장착수단이 구비되는 보조시트와, 상기 보조시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 공간에 펼쳐지는 시트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가 구비되는 본체시트와, 상기 본체시트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본체시트의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보조시트 및 본체시트를 구획하며, 구획된 부위를 기준으로 보조시트 및 본체시트의 구획된 부위의 착탈을 도모하는 제1착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제1착탈수단으로 하여금 본체시트와 보조시트를 유아 및 어린이의 성장상태나 인원에 따라 구분하여 설치하게 되어 뒷자리에 동승하는 보호자는 매량용 매트에서 이탈한 상태인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차량용 매트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트렁크 공간에 짐을 실은 상태에서도 후방시트를 전방으로 접은 후 바로 펼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가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 없이 후방시트에 장착된 상태로 운행하다가 필요 시 바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ing type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folding the rear seat forward even when the luggage is loaded in the trunk space,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mounted on the rear seat without needing to be stored and used separat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 plate.
나아가 본 발명은 한 쌍의 단위체를 이용해 각 후방시트마다 장착한 후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모두를 펼쳐 사용할 수 있고 모두 펼쳐 사용할 경우 사이 공간을 서로 이을 수 있는 중계플레이트를 이용해 좀 더 넓은 바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ir of unit units to secure a wider floor space by using a relay plate that can connect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when one or all of them can be unfolded as needed after being mounted on each rear sea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car foil plate that can be
아울러 본 발명은 전방시트의 후면 공간이나 수납주머니, 실내 바닥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어 흔들림 없이 편안한 바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type car foil plate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using the rear space of the front seat, storage bag, or indoor floor, thereby securing a comfortable floor space without shaking.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ding type car f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전방 접이식 후방시트 후면에 배치되는 미들플레이트;a middle plat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vehicle's front folding rear seat;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탑플레이트;a top plate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middle plate;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텀플레이트; 및a bottom plate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and
상기 후방시트에 상기 탑플레이트를 탈장착하기 위한 홀딩수단;holding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p plate to the rear seat;
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시트를 전방으로 접어 폴딩한 상태에서 회동된 상기 미들플레이트가 레그룸을 막고 회동된 상기 바텀플레이트가 차량의 전방시트 후면 또는 차량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평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onsists of a unit body comprising a, wherein the middle plat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eat is folded forward blocks the legroom, and the rotated bottom plate is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or the floor of the vehicle, so that a flat interior space is cre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는,A folding type car f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천연목재 중 내구성이 우수한 자작나무로 제작함에 따라 자작나무가 같은 고유의 외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친환경적인 실내 인테리어가 가능하고, 차량의 후방시트에 장착한 상태로 운행하다가 필요 시 바로 펼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 등에 별도로 보관하다가 꺼내서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s it is made of birch, which has excellent durability among natural woods,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unique exterior of birch as it is, and an eco-friendly interior is possible. There is no need to take it out and install it separately after storing it in a trunk, etc.,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ease of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저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중계플레이트가 더 마련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차박 플레이트가 차량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차박 플레이트가 차량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10은 포스트가 더 마련된 것을 나타낸 일부 측면 구성도,
도 11은 여러 실시예가 구비된 중계플레이트를 나타낸 일부 평면 구성도.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ing type car f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3 is a bottom configuration view of FIG. 1;
4 and 5 are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that a relay plate is further provided;
6 and 7 are plan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foi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use;
8 and 9 are side configuration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foi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use;
10 is a partial side configuration view showing that the post is further provided;
11 is a partial plan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relay plate provided with several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6을 기준으로 전방시트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후방시트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direction of the front seat side will be specified as the front or front side, and the rear seat 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rear or rear side.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는,As shown in Figures 1 to 11, the folding type car f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미들플레이트(10), 탑플레이트(20), 바텀플레이트(30) 및 홀딩수단(40)을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다.It largely consists of a unit body U including a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미들플레이트(10)는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5,
차량의 전방 접이식 후방시트(1) 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To b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front folding rear seat (1) of the vehicle,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과 하단 그리고 내측단은 직선 형상의 변부를 갖고 외측단은 상기 후방시트(1)의 외측단과 서로 상응한 형상의 변부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upper end, lower end, and inner end have straight edges, and the outer end has a structure having edges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end of the
결국 상기 미들플레이트(10)는 후방시트(1)의 후면 형상과 서로 상응하면서 후방시트(1)에 돌출되는 요소 등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s a result, the
그리고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0)에는 상기 후방시트(1) 언폴딩 시, 즉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기립된 상태일 때에 언폴딩 된 상기 후방시트(1)를 고정하기 위한 차량의 시트고정후크(4)가 배치되는 회피공간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피공간부(11)는 상기 시트고정후크(4)의 형상과 상응하거나 이보다 큰 공간 구조이면서 상기 시트고정후크(4) 측으로 개구(開口)된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as in FIGS. 1 and 6, when the
탑플레이트(20)는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5,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상단에 힌지(H1) 결합되는 것으로,As a hinge (H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시트(1)의 상단에서 헤드레스트(1a)가 장착되는 영역과 서로 상응한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바텀플레이트(30)는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5,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하단에 힌지(H2) 결합되는 것으로,As a hinge (H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들플레이트(10)로부터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시트(1)의 하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후방시트(1)의 하단과 트렁크 매트 간의 사이 공간에 삽입 지지될 수 있는 정도의 상하 길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후방시트(1)가 전방으로 폴딩 된 상태에서 회동된 상기 미드플레이트(10)가 레그룸(2)을 막고 회동된 상기 바텀플레이트(30)가 차량의 전방시트(3) 후면에 움푹 들어간 공간 또는 수납주머니 등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Doedoe mad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while being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차량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하단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둘 이상의 포스트(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31)는 둘 이상의 관체(311)가 펼쳐지거나 줄어드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역할을 하는 하나의 관체(311)가 브래킷(312) 등에 의해 상기 바텀플레이트(30)에 고정됨으로써, 필요 시 다른 하나의 관체(311)를 잡아당겨 늘인 상태에서 차량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후, 다른 하나의 관체(311)에 체결되는 볼트(313)의 조임에 의해 볼트(313)의 단부가 하나의 관체(31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상기 탑플레이트(20)를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H1)는 일단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 상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전면(前面) 하단에 장착됨에 따라 폴딩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상단과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하단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90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30)를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H2)는 일단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 하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전면(前面) 상단에 장착됨에 따라 폴딩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하단과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상단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90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미드플레이트(10)에 사람이 앉거나 눕더라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 two or more posts 31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 addition, one end of the hinge H1 coupling the
In addition, one end of the hinge H2 for coupling the
한편, 상기 미들, 탑 및 바텀 플레이트(10, 20, 30)에는 직물, 천연이나 합성 가죽, 필름 중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피복부(C)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middle, top, and
우선 상기 미들, 탑 및 바텀 플레이트(10, 20, 30)는 천연목재 중 강도가 우수한 자작나무를 이용해 제작하게 되는데, 일반 성인이 앉거나 올라서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적정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middle, top, and
아울러 자작나무의 외관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직물이나 가죽, 필름 등을 씌워 자작나무를 보호하면서 사용시간을 늘리고 오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차량 내부 색상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인테리어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terior of the birch tree can be used as it is, and the interior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the user's taste while protecting the birch tree by covering it with fabric, leather, or film, increasing the usage time and having resistance to contamination. It can also be implemented so that
홀딩수단(40)은The holding means 40 i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5,
상기 후방시트(1)에 상기 탑플레이트(20)를 탈장착하기 위한 것으로,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상기 후방시트(1)의 헤드레스트(1a)에 구비된 한 쌍의 인서트핀(1b)이 삽입되게 상기 탑플레이트(2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인서트홀(41)로 이루어진다.A pair of insert holes 41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각 인서트홀(41)은 상기 인서트핀(1b)과 서로 상응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차량 운행 시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인서트핀(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서트홀(41)이 미세하게나마 움직일 수 있고, 이때 마찰로 인해 미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서트홀(41)의 내주연을 감싸는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의 환형(環形) 보조캡(4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 each of the insert holes 41 preferably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차박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시트(1)의 헤드레스트(1a)를 상기 후방시트(1)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후방시트(1)의 상단에 상기 탑플레이트(20)를 놓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1a)의 인서트핀(1b)을 상기 인서트홀(41)에 끼우고 최종적으로 상기 후방시트(1)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끼움으로써 손쉽게 고정 장착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vehicle foi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parating the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박 플레이트는The thi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시트(1)를 전방으로 접어 폴딩한 상태에서 회동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가 레그룸(2)을 막고 회동된 상기 바텀플레이트(30)가 차량의 전방시트(3) 후면 또는 차량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평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실내 공간에서 취침이나 휴식, 놀이, 취식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6 to 9 , the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미들, 탑, 바텀 플레이트(10, 20, 30)와 상기 홀딩수단(40)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단위체(U)는 한 쌍이 구비되되,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의 후방시트(1) 각각에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to 5 , the unit body U formed by the middle, top, and
일반적으로 후방시트(1)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6:4, 7:3 등의 다양한 폴딩 구조에 따라 하나의 후방시트(1)가 좀 더 큰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pair of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후방시트(1) 중 좀 더 작은 후방시트(1)의 크기에 맞게 제작된 단위체(U)가 좀 더 큰 후방시트(1)에도 장착되도록 하면서 서로 대향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구현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ody (U) manufactured to fit the size of the smaller rear seat (1) of the pair of rear seats (1) is also mounted on the larger rear seat (1) and has a structure opposite to each other. implemented.
결국 한 쌍의 후방시트(1) 중 하나를 폴딩한 상태에서 폴딩한 후방시트(1)의 단위체(U)를 이용해 취침이나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는 평탄한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고, 모두를 폴딩하여 좀 더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end, in a state in which one of the pair of
특히 모두를 폴딩한 상태에서 두 단위체(U)의 각 미들플레이트(10) 간의 사이 공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everything is folded, a space between each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각 단위체(U) 중 하나의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후방시트(1) 폴딩 시 타단이 나머지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중계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한다.4 and 5 , one end is hinged to the
이때 상기 중계플레이트(50)는 상기 미들, 탑 바텀 플레이트(10, 20, 30)와 마찬가지로 자작나무로 제작되며 별도의 피복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사각의 판재 구조이면서 차량 내부의 구성 요소(예 : 콘솔 박스 등)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결국 펼쳐진 상기 중계플레이트(50)는 레그룸(2)을 막고 있는 두 미들플레이트(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면서 두 구성 간을 서로 잇게 됨으로써, 좀 더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나머지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는 상기 중계플레이트(50)가 삽입 안착되는 단턱공간부(12)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단턱공간부(12)에 상기 중계플레이트(50)의 단부가 삽입 안착됨에 따라 상기 중계플레이트(50)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함께 평탄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the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의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와 이의 후면에 밀착되게 접힌 상기 중계플레이트(50) 각각의 접면 또는 그 내부에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자성체(60A) 및 피자성체(60B)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후방시트(1) 언폴딩 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후면에 상기 중계플레이트(50)가 고정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as shown in FIG. 5, the
한편, 상기 중계플레이트(50)는 자작나무 대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여 고온의 음료 용기나 조리 용기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또는 도 11에서와 같이, 음료 용기가 삽입 지지되는 홀딩공간부(51)와, 상기 홀딩공간부(51)의 개폐를 담당하는 홀딩도어(52)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 , a holding
이때 상기 홀딩도어(52)는 상기 홀딩공간부(51)를 모두 차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일단이 핀 등에 의해 상기 홀딩공간부(51)의 주변 단부에 장착됨으로써, 핀을 기준으로 상기 홀딩도어(52)의 회동이 가능하여 상기 홀딩공간부(51)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홀딩공간부(51)의 내주연 하측에 환형의 단턱부(53)를 두고 이 단턱부(53)에 안착되는 홀딩커버(54)를 이용해 상기 홀딩공간부(51)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lding
아울러 상기 홀딩커버(54)는 상기 홀딩공간부(51)의 단턱부(53)에 마련된 홀딩자성체(55)와, 상기 홀딩커버(54)에 마련된 홀딩피자성체(56)에 의해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홀딩커버(54)에 대한 분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홀딩자성체(55)는 상기 홀딩커버(54)에, 홀딩피자성체(56)는 상기 홀딩공간부(51)의 단턱부(53)에 배치되도록 서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the holding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의 사용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the use state of the folding type car foi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상기 홀딩수단(40)을 이용해 차량의 후방시트(1)에 탑플레이트(20)를 고정 장착하고,Fixing the
상기 후방시트(1)의 하단과 트렁크 매트 간의 사이 공간에 상기 바텀플레이트(30)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후방시트(1)에 상기 단위체(U)의 장착이 완료된다.(도 6 및 도 8 참조)By inserting the
평상 시 운행하다가 휴식이나 음식 조리, 취침 등의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후방시트(1)를 전방으로 접어 폴딩 시키고, 상기 후방시트(1)의 하단과 트렁크 매트 간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바텀플레이트(30)를 잡아당겨 빼낸 후 전방 측으로 회동시켜 차량의 전방시트(3) 후면에 움푹 들어간 공간이나 수납주머니, 또는 차량 실내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중계플레이트(50)를 펼친다.(도 7 및 도 9 참조)In order to secure an indoor space for rest, cooking, sleeping, etc. while driving normally, the
결국 트렁크 공간과,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상기 중계플레이트(50)가 이루는 평탄한 공간과, 접힌 후방시트(1)의 후면 공간이 서로 합쳐져 하나의 평탄한 실내 공간이 확보된다.As a result, the trunk space, the flat space formed by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ding type thin plat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 : 후방시트
1a : 헤드레스트
1b : 인서트핀
2 : 레그룸
3 : 전방시트
4 : 시트고정후크
U : 단위체
C : 피복부
10 : 미들플레이트
11 : 회피공간부
12 : 단턱공간부
20 : 탑플레이트
30 : 바텀플레이트
31 : 포스트
40 : 홀딩수단
41 : 인서트홀
42 : 보조캡
50 : 중계플레이트
51 : 홀딩공간부
52 : 홀딩도어
53 : 단턱부
54 : 홀딩커버
55 : 홀딩자성체
56 : 홀딩피자성체
60A : 자성체
60B : 피자성체1: rear seat
1a: headrest
1b: insert pin
2: Legroom
3: front seat
4: Seat fixing hook
U: unit
C: Covered part
10: middle plate
11: avoid space part
12: step space part
20: top plate
30: bottom plate
31 : Post
40: holding means
41: insert hole
42: auxiliary cap
50: relay plate
51: holding space part
52: holding door
53: step part
54: holding cover
55: holding magnetic material
56: holding pizza body
60A: magnetic material
60B: Adult Pizza
Claims (7)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상단에 힌지(H1) 결합되는 탑플레이트(20);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하단에 힌지(H2) 결합되는 바텀플레이트(30); 및
상기 후방시트(1)에 상기 탑플레이트(20)를 탈장착하기 위한 홀딩수단(40);
을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시트(1)를 전방으로 접어 폴딩한 상태에서 회동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가 레그룸(2)을 막고 회동된 상기 바텀플레이트(30)가 차량의 전방시트(3) 후면 또는 차량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평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수단(40)은 상기 후방시트(1)의 헤드레스트(1a)에 구비된 한 쌍의 인서트핀(1b)이 삽입되게 상기 탑플레이트(2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인서트홀(41)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들플레이트(10)에는 언폴딩 된 상기 후방시트(1)를 고정하기 위한 시트고정후크(4)가 배치되는 회피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체(U)는 한 쌍이 구비되되,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의 후방시트(1) 각각에 장착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상기 탑플레이트(20)를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H1)는 일단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 상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전면(前面) 하단에 장착됨에 따라 폴딩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상단과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하단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90도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1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30)를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H2)는 일단이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 하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전면(前面) 상단에 장착됨에 따라 폴딩된 상기 미들플레이트(10)의 하단과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상단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90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
a middle plate 10 disposed on the rear of the vehicle's front folding rear seat 1;
a top plate 2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by a hinge (H1);
a bottom plate 3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by a hinge (H2); and
holding means (4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p plate (20) to the rear seat (1);
The middle plate 10, which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eat 1 is folded forward, blocks the legroom 2, and the bottom plate 30 rotated is the vehicle's By being suppor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3 or the floor of the vehicle, a flat interior space is formed,
The holding means 40 is a pair of insert hole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op plate 20 so that a pair of insert pins 1b provided in the headrest 1a of the rear seat 1 is inserted. 41),
The middle plate 10 is formed with an avoidance space 11 in which a seat fixing hook 4 for fixing the unfolded rear seat 1 is disposed,
The unit body (U) is provided with a pair, and is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rear seats (1) having a structure opposite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hinge H1 for coupling the middle plate 10 and the top plate 20 to each other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0 and the other end is the front surface of the top plate 20 (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top plate 20, which are folded as they are mounted on the lower end,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a 90 degree angle,
One end of the hinge H2 for coupling the middle plate 10 and the bottom plate 30 to each other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0 and the other end is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0 ( A folding type car foi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10) and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30), which are folded as they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a 90 degree angle.
상기 미들, 탑 및 바텀 플레이트(10, 20, 30)에는 직물, 천연이나 합성 가죽, 필름 중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피복부(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middle, top and bottom plates (10, 20, 30) are foldabl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coating (C) made of one selected from fabric, natural or synthetic leather, and film.
일단이 상기 각 단위체(U) 중 하나의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후방시트(1) 폴딩 시 타단이 나머지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중계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A relay in which one end is hinged to the middle plate 10 of one of the units U, and the other end is seated on the middle plate 10 of the other unit U when the rear seat 1 is folded. Folding type foi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ate (50).
상기 나머지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에는 상기 중계플레이트(50)가 삽입 안착되는 단턱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단위체(U)의 미들플레이트(10)와 이의 후면에 밀착되게 접힌 상기 중계플레이트(50) 각각의 접면 또는 그 내부에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자성체(60A) 및 피자성체(60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iddle plate 10 of the remaining unit body (U) is formed with a stepped space portion 12 in which the relay plate 50 is inserted and seated,
The middle plate 10 of the single unit (U) and the contact surface of each of the relay plates 50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thereof or in the inside thereof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60A and a magnetic body 60B that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A folding type thi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상기 중계플레이트(50)에는 음료 용기가 삽입 지지되는 홀딩공간부(51)와, 상기 홀딩공간부(51)의 개폐를 담당하는 홀딩도어(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차박 플레이트.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lay plate 50 includes a holding space 51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a holding door 52 responsib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ding space 51.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185A KR102267233B1 (en) | 2019-06-19 | 2019-06-19 |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185A KR102267233B1 (en) | 2019-06-19 | 2019-06-19 |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925A KR20200144925A (en) | 2020-12-30 |
KR102267233B1 true KR102267233B1 (en) | 2021-06-18 |
Family
ID=7408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3185A Active KR102267233B1 (en) | 2019-06-19 | 2019-06-19 |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72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3746B1 (en) | 2022-06-16 | 2023-01-09 | (주)아름다운형제들 | Telescoping bed platform |
KR102631371B1 (en) | 2023-04-11 | 2024-01-31 | (주)아름다운형제들 | Folding bed platfor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1317B1 (en) * | 1995-12-30 | 1999-08-02 | 정몽규 | Sturcture of panel for utilizing backspace of rear sea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2352A (en) * | 2004-04-22 | 2005-10-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for expansion back board of rear seatback |
KR200441707Y1 (en) | 2007-01-24 | 2008-09-03 | 박상원 | Nursery Seats for Cars |
KR20110004620A (en) | 2009-07-08 | 2011-01-14 | 박삼술 | Car Nursery Mat |
KR20150112473A (en) | 2014-03-28 | 2015-10-07 | 김가희 | Mat for a vehicle |
-
2019
- 2019-06-19 KR KR1020190073185A patent/KR1022672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1317B1 (en) * | 1995-12-30 | 1999-08-02 | 정몽규 | Sturcture of panel for utilizing backspace of rear sea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3746B1 (en) | 2022-06-16 | 2023-01-09 | (주)아름다운형제들 | Telescoping bed platform |
KR102631371B1 (en) | 2023-04-11 | 2024-01-31 | (주)아름다운형제들 | Folding bed platfo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925A (en) | 2020-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07569A (en) | Backseat storage container apparatus | |
US5971487A (en) | Automobile seat divider for children | |
US5215346A (en) | Pick-up truck tailgate seating and entertainment system | |
US8123271B1 (en) | Collapsible built-in tailgate bench seat | |
CA2568125C (en) | Seating accessory | |
US7976099B2 (en) | Travel tray liner | |
US4153958A (en) | Compact seating and bed arrangement | |
CN107914884A (en) | Privacy sept and the privacy spacer system for aircraft | |
JP2004345638A (en) | Folding type toy wagon | |
US10625680B1 (en) | Seating assembly | |
US10449882B2 (en) | Travel sleeping aids | |
US4118812A (en) | Child separating and support device | |
KR102267233B1 (en) | Sleeping plate of folding type | |
EP2957457B1 (en) | Foldable seating structure | |
CN204687888U (en) | Seat saved system | |
US7083236B1 (en) | Vehicle seat cushion assembly | |
US7559602B2 (en) | Cooler having an integrated seat | |
RU2703738C2 (en) | Vehicle interior trim assembly (embodiments) and vehicle (embodiments) | |
US9693635B1 (en) | Combination back cushion and front cushion with a connecting member having an opening to removably receive a support member into the interior rear of the back cushion | |
US5301998A (en) | Foldable furniture | |
US6968960B1 (en) | Digital video disc holding assembly | |
KR20240000488U (en) | Foldable Wagon For Child | |
KR20230128628A (en) | Multifunctional storage device for passanger seat of vehicles | |
JP2561822Y2 (en) | Seat arrangement structure for vehicles | |
JP7371503B2 (en) | arm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