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58B1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658B1 KR102263658B1 KR1020190126150A KR20190126150A KR102263658B1 KR 102263658 B1 KR102263658 B1 KR 102263658B1 KR 1020190126150 A KR1020190126150 A KR 1020190126150A KR 20190126150 A KR20190126150 A KR 20190126150A KR 102263658 B1 KR102263658 B1 KR 1022636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bed
- control unit
- mode
- ten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06010011985 Decubitus ulce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21542 voluntary musculoskeletal m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399 Critical Ill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564 Boehmeria niv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2 numbne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3—Rotation of a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또는 고령의 사용자를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좌,우로 롤링 회전동작시켜 자발적 운신이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안전하게 재활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침대형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고 전,후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2구동축과; 상기 제1,2구동축의 일단부측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방향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2구동축에 감겨지는 지지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2구동모터 및 제1,2감속기와; 상기 제1,2구동축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의 모드 선택시 가변되는 상기 제1,2구동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지지부재; 및 욕창방지모드 또는 롤링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택일하는 모드 선택시 해당 모드에 적합하게 상기 지지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in voluntary movement by rolling left and right while lying on a bed for a patient or an elderly user, and prevents pressure sores from occurring in patients lying down for a long time. relates to an improved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and rear; an elevating mechanism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and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respectively,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ng frame;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coupled to one en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to be interlocked, respectively, and rotated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and first and second reducers for controlling the ;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to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nd the tens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which is changed when the mode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 support member; and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uit the corresponding mode when selecting a mode to select one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or the rolling motion mod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대형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 또는 고령의 사용자를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좌,우로 롤링 회전동작시켜 자발적 운신이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안전하게 재활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침대형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nd in particular, provides a saf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a user who has difficulty in voluntary movement by rolling a patient or an elderly user in a state of lying on a bed and rotating it left and right, as well as a patient lying down for a long time It relates to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prevent bedsores occurring in cases.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환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환자의 다리부에 위치하는 매트리스는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bed used for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tient's backrest is angled upward,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Separately, the mattress located in the patient's leg is manually operated or electrically operated.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upward by the driving force.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환자 스스로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Therefore,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can watch TV or read and rest by raising one side of the mattress, and the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this mattress is mad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crew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patient himself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to adjust it to a desired angl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하부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에 의한 각도 조절은 물론 수동 조작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케 구성되어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환자 스스로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수동조작에 의한 불편함으로 대부분 자동 각도조절구조를 갖는 침대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patient b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allow angle adjustment by manual operation as well as angle adjustment by the drive motor as described above, but in recent years, the patient cannot adjust the angle by himself. It is common to adopt a bed with an automatic angle adjustment structure for most of the inconvenien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각도 조절구조는 단순히 매트리스의 일측만을 상향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하는 것이므로 환자의 신체적 구조에 부합되지 않아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특히, 환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환자의 하체는 여전히 침대 상측에 머물고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무리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the patient bed as described above simply rotates one side of the mattress upward to adjust the angle, it does not conform to the patient's physical structure and causes discomfort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moving out of the bed, the patient's lower body is still on the upper side of the b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cessive movement is required for the patient with poor mobility.
또한, 단순히 상체만을 상승시켜 휴식을 취하는 경우 환자의 하체는 침대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에는 혈액순환 장애나 다리 저림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aking a break by simply raising only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horizontally on the bed, so if this stat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feeling a blood circulation disorder or numbness in the legs.
따라서, 특허등록 제0622342호와 같이, 침대 프레임을 복수로 분할 형성하여 이를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기 구분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서, 이에 의해 사용자의 등받이측 매트리스의 상향 각도 조절은 물론 환자의 대퇴부 및 종아리, 발목부로 분할되는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환자 하체부의 각도 조절을 가능케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침대에 누운상태에서도 다양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을 통해 환자의 몸상태에 따라 가장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환자가 침대밖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트리스를 완전한 의자형태로 각도조절되게 하여 그 침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다시 누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등록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Therefore, as in Patent Registration No. 0622342, the bed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angle is separately adjusted by the actuator, thereby adjusting the upward angle of the user's back mattress as well as the patient's thighs, calves, and ankles. By rotating the divided fra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patient's lower body, allowing for a more comfortable rest, while maintaining the most stable state according to the patient's body condi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various mattresses even when lying on the bed. A fram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ttress of the patient's bed is registered,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mattress to be angle-adjusted to a complete chair shape and to move from the bed more easily or to lie down again when the patient wants to move out of the bed It is published in the Patent Gazett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다단 분할된 프레임 구조를 환자용 침대는 환자가 일어나거나 누울 경우 혹은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한적인 형태의 움직임만을 갖게 되므로 그 침대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중환자 등이 장시간 누워있을 경우에는 각 관절의 움직임이 거의 없어 관절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뻣뻣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patient bed with the multi-stage divided fr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only a limited form of movement when the patient gets up, lies down, or wants to take a rest, the patient or the critically ill patient who is inconvenient in movement can lie on the bed for a long time. If there is, there is almost no movement of each joint, so the function of the joint is damaged or it becomes stiff.
즉, 인체의 중요 관절인 고관절 및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은 보행 및 거동을 위해 특히 중요한 관절인 것으로서 장시간 침상에 누워있을 경우에는 이들 관절의 움직임이 거의 없어 관절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뻣뻣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hip, knee, and ankle joints, which are important joints of the human body, are particularly important joints for walking and mov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becomes stiff.
특히, 중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고령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대하게 작용하는 데 이를 방지하고자 환자 본인 스스로 또는 간병인은 강제적으로 신체 각부를 움직여 이들 관절의 유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ritically ill, mobility-impaired, or elderly patients, the above problems become more serious. To prevent this, the patient himself or the caregiver forcibly moves each part of the body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flexibility of these joints. is doing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운동 환경이 열악하거나 환자 본인의 의지에 의해 운동을 할 수 없는 경우 부득이하게 간병인 등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간접 외력에 의한 운동은 환자 스스로 신체를 컨트롤할 수 없게 되어 무리한 운동이 되거나 관절에 심각한 손상을 가할 수 있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ercise environment is poor or the patient cannot exercise by their own will, the exercise is inevitably performed with the help of a caregiver. It is impossible to do it, and it can cause excessive exercise or serious damage to the joints, which is the cause of harming health.
한편, 침대형 운동기구로서 종래의 "운동기구를 구비한 침대"가 실용신안공개 제2008-0003515호가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bed with exercise equipment" as a bed-type exercise equipment,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8-0003515 has been published in the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2008-0003515호의 "운동기구를 구비한 침대"는 페달부와 침대부가 구성되고 침대부는 액튜에이터가 결합된 작동로드로 침대 양쪽이 상하 이동을 하며, 침대부의 내부에 설치된 바퀴달린 또 하나의 내부 침대부와 페달이 달린 페달부는 각각 바퀴와 레일에 의해 침대부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을 하게 되어 있어 침대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환자 및 취침 전에 간단한 운동이 필요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구비한 침대이다.The "bed with exercise equipment" of th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8-0003515 has a pedal part and a bed part, and the bed part is an actuating rod coupled with an actuator, and both sides of the bed move up and down, and the wheeled or bed part installed inside the bed part One inner bed part and the pedal part with pedals, respectively, move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bed part by wheels and rails, so it is a convenient exercise for patients who live in bed for a long time and when simple exercise is needed before going to bed. It is a bed with equipment.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2008-0003515호의 "운동기구를 구비한 침대"는 오직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페달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페달을 밟아 페달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다리 장애 환자는 사용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the "bed provided with exercise equipment" of th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8-0003515 is that only the user can exercise the leg by stepping on the pedal, and whether the user has the ability to rotate the pedal shaft by stepping on the pedal. Because it was not taken into account, there was a drawback that it was difficult or impossible to use for a patient with a leg disorder who had a lower ability to rotate the pedal shaft by stepping on the pedal.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특허등록 제0864733호의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침대"가 등록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Medical Bed with Exercise Means" of Patent Registration No. 0864733 is published in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상기 특허등록 제0864733호의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침대"는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매트가 설치된 의료용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 중앙부분에 종방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하단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구동수단인 벨트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하단 타측에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게 중앙에 축홀이 형성된 피니온기어가 내부에 설치된 연결슬라이더와, 상기 연결슬라이더는 일측이 랙기어에 가이드 되게 하고 타측은 슬라이더에 고정하며, 상기 연결슬라이더의 내측의 베어링에 설치된 피니온기어의 축홀에는 상측 양쪽에 회전되게 발받침대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의 하측 회동축이 결합되게 설치되어서, 모터의 정역회전으로 슬라이더를 전후 왕복이동시킴과 더불어 다리 운동기구의 발받침대를 상하로 회전운동시켜 환자의 무릎을 접었다 폈다 하며, 상하로 회전 이동운동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The "medical bed having an exercise means" of Patent Registration No. 0864733 is a medical bed having a ma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d frame, a guide ba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in which a longitudinal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ed frame, and the guide A slider provided to be moved by a belt as a driving means along the bar,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where the space part is formed, and a connection slider having a pinion gear having a shaft hole formed in the center to be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installed therei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lider is guided to the rack gear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lider, and the lower rotational shaft of the leg exercise mechanism in which the footrest is installed to rotat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in the shaft hole of the pinion gear installed in the bearing inside the connecting slider. It is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moves the slider back and forth and rotates the footrest of the leg exercise device up and down to fold and unfold the patient's knee, and repeat the up and down rotation movement. will be.
따라서, 환자 다리의 사용 능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모터의 정역회전으로 강제적으로 환자가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 다리의 사용 능력에 맞추어 재활 운동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뿐만 아니라 다리 이외의 신체 부분을 함께 운동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Therefore, since it is forcibly allowing the patient to exercise the leg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without considering the ability to use the patient's leg, not only the drawback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can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age ability of the patient's leg, but also other than the leg There was also the problem that the body parts of the body could not be exercised together.
또한, 기존 재활운동기구는 환자가 재활운동을 하는 중에 보조자의 실수 또는 재활기기의 오조작으로 인해 환자에게 무리가 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될 경우 환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may cause a patient's safety accident if the patient performs an operation that is burdensome to the patient due to an assistant's mistake or an erroneous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while the patient is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환자 또는 고령의 사용자를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좌,우로 롤링 회전동작시켜 자발적 운신이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안전하게 재활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침대형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afe rehabilitation exercise even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in voluntary movement by rolling left and right while lying on a bed for a patient or an elderly user. 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prevent pressure sores occurring in the case of a patient lying for a long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고 전,후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2구동축과; 상기 제1,2구동축의 일단부측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방향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2구동축에 감겨지는 지지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2구동모터 및 제1,2감속기와; 상기 제1,2구동축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의 모드 선택시 가변되는 상기 제1,2구동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지지부재; 및 욕창방지모드 또는 롤링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택일하는 모드 선택시 해당 모드에 적합하게 상기 지지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fore and after; an elevating mechanism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and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respectively,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ng frame;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coupled to one en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to be interlocked, respectively, and rotated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and first and second reducers for controlling the ;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to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nd the tens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which is changed when the mode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 support member;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uit the corresponding mode when selecting a mode to select one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or the rolling motion mod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전동실린더와, 상기 전동실린더의 구동시 상,하로 신축동작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측에 연동되도록 연결된 승강로드로 구성된다.The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n electric cylinder built in a connection fram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and a lifting rod connected so as to expand and contract vertically when the electric cylinder is driven and the upper end is link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fra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욕창방지모드 선택시 상기 지지부재의 텐션이 상기 롤링운동모드시 지지부재의 텐션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to act greater than the tension force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rolling motion mode when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is selected.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제1구동축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2구동축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안착될 경우 탄성력을 부여하는 섬유소재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be fixed to the first drive shaft, the other end is coupled to be fixed to the second drive shaft, and is made of a textile material that provides elastic force when seated in a lying state of the user.
상기 제1,2구동모터는 상기 욕창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rotate the support member in opposite directions alternately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pressure ulcer exercise mode is selected.
상기 롤링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1,2구동모터 중 하나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텐션을 줄이도록 역방향으로 구동된 후에, 상기 지지부재를 좌,우로 롤링운동시키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가 서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rolling motion mode is selected, aft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duce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are driven to the left and right for rolling motion of the support member 1 and 2 drive motors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lternately.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마련된 침대 매트리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체중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It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bed mattres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weight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평상시 침대 본연의 기능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기존 침대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운동시에는 사용자가 지지부재 상에서 침대 매트리스로부터 상승동작된 후에, 롤링운동모드시 지지부재를 통해 롤링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을 가지게 되고,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뭉쳐진 근육이 이완됨과 아울러, 관절부위의 운동으로 인해 유연해지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롤링운동되거나, 욕창방지모드시 상기 지지부재가 수평상태로 좌측 및 우측으로 번갈아 이동되는 중에 사용자의 등부위가 제1각도 및 제2각도로 번갈아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등부위를 자극함에 따라 사용자의 등부위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창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재활운동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ed in normal times,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beds, and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after the user is lifted from the bed mattress on the support member, it is rotated by roll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in the rolling motion mode. Accordingly, it has a centrifugal force, and by the centrifugal force, the blood circulation is smoothed and the muscles are relaxed, and as well as a rolling exercise that can obtain an exercise effect of becoming flexible due to the movement of the joint area, or in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the support member is horizontal While the user's back is alternately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t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alternately to stimulate the back, blood circulation in the user's back is made smooth By doing so, it has a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승강프레임의 높이 및 지지부재의 좌,우 회전속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ecause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speed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the user's preference by using the lifting mechanism.
그리고 본 발명은 자체 운신이 어려운 고령의 사용자 혹은 환자의 경우에도 침대에 누워서 편안하게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재활운동방식을 채택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fortably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while lying in bed even for an elderly user or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self-movement, and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adopt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that does not put a strain on the body. .
또, 본 발명은 체중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체조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재활운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by being able to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function to be suitable for a user having various physical conditions using a weight sen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재활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프레임과 지지부재가 상승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욕창방지모드 시의 사용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욕창방지모시 지지부재의 좌측 및 우측 이동 상태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are lifted by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use in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Figures 8a and 8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tate from the front of the bedsore prevention rami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재활운동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재활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에 지지되고 전,후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승강프레임(300)을 상,하로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00)와;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좌,우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구동축(410,420)과;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의 일단부측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방향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감겨지는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2구동모터(610,620) 및 제1,2감속기(615,625)와;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모드 선택시 가변되는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지지부재(500); 및 욕창방지모드 또는 롤링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택일하는 모드 선택시 해당 모드에 적합하게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a fix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전,후로 이격된 위치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지면 바닥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상기 고정프레임(100) 각각의 상측에는 지지프레임(130)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연결프레임(150)이 배치된다.A
상기 연결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승강기구(200)가 구비된다.An elevating mechanism 200 is provided inside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구(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50) 내에 내장되는 전동실린더(210)와, 상기 전동실린더(210)의 구동시 상기 연결프레임(150)에 지지되어 상,하로 신축동작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하측에 연동되도록 연결된 승강로드(2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lifting mechanism 200 includes an
상기 승강로드(220)는 하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단부가 연결프레임(150)의 상측으로 출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lifting
또한, 상기 승강로드(220)는 각형관 구조를 갖는 연결프레임(150)의 중공 내부에 끼워져 신축되도록 사각형 단면구조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ifting
여기서 상기 승강기구(200)는 연결프레임(15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전동실린더(210)가 지지프레임(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Here, the lifting mechanism 20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side the
상기 승강프레임(300)은 상기 승강로드(22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상기 지지부재(500)는 재활운동기구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침대 매트리스(50)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기 매트리스(50)의 커버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이와 반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기 승강기구(200)에 의해 승강프레임(300)이 상승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기 침대 매트리스(5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를 고정된 침대 매트리스(50)로부터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4 and 5 , when the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500)는 일측단이 상기 제1구동축(4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2구동축(4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안착될 경우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자체 텐션을 갖는 섬유소재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이와 반대로, 재활운동이 아닌 평상시에는 지지부재(500)가 침대 매트리스(50)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측 포지션 위치에 위치하도록 승강프레임(300)이 하강 동작된다.On the contrary, the
재활운동시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높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지부재(500)에 누운 상태로 사용자의 무게로 인한 지지부재(500)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중간부위가 처진 지지부재(500)가 침대 매트리스(50)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height of the
본 발명의 승강기구(200)는 전,후로 배치된 연결프레임(15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후방측의 연결프레임(150) 중 하나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levating mechanis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side 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150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it may be applied only to one of the connection frames 15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은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베어링이 구비된 지지구(415,425)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1 and 3, the first and
또한, 제1구동모터(610)는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1감속기(615)측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구동모터(620)는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2감속기(625)측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는 AC모터를 채용할 수 있으며, 모터축이 상기 제1,2감속기(615,625)에 연동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and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는 미도시된 조작 버튼에 의해 구동 속도가 가변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0)의 롤링(rolling)운동모드 및 욕창방지모드시 제1,2구동축(410,4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Since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and
상기 제어부(700)는 롤링운동모드 또는 욕창방지모드 중 선택된 해당모드에 적합하도록 제1,2구동모터(610,620)측에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The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0)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The first and
상기 롤링운동모드 선택시 먼저,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 중 하나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줄이도록 역방향으로 구동된 후에, 상기 지지부재(500)에 안착된 사용자를 좌,우로 롤링운동시키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가 서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selecting the rolling motion mode, first, one of the first and
상기 지지부재(50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욕창방지모드 시의 텐션이 상기 롤링운동모드 시의 텐션보다 더 큰 텐션력을 갖게 된다.The
도 6에서의 "50"은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것이고, "55"는 상기 각각의 연결프레임(150) 또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침대 매트리스(50)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50" in FIG. 6 indicates a bed mattress, and "55" indicates a main frame that is coupl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상기 승강프레임(300)은 롤링운동모드 또는 욕창방지모드 선택시 상기 승강기구(200)에 의해 상승동작되므로,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기 메인프레임(55)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승동작된다.Since the
상기 침대 매트리스(50)는 상기 승강기구(200)에 의한 승강프레임(3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측에 안착되어 침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즉, 본 발명은 상기 욕창방지모드 또는 롤링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승강기구(200)를 이용하여 승강프레임(300)을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제1,2구동모터(610,6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을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정,역 회전시켜 지지부재(500)를 좌,우측으로 번갈아 이동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or the rolling motion mode is selected,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0)의 하측에 마련된 침대 매트리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체중감지센서(71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under the bed mattres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체중감지센서(710)는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에 누워 있을 때의 체중을 감지하고, 상기한 체중 정보를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가변 체중에 적합하도록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양측단이 감겨진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지부재(500)의 양단부가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지지되어 침대 매트리스(50)의 상측을 덮는 커버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위한 롤링운동모드 또는 욕창방지모드 선택시 제어부(700)가 승강기구(200)를 동작시켜 승강프레임(30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전동실린더(210)를 동작시키게 되며, 상기 전동실린더(210)에 의해 승강로드(220)가 연결프레임(150)의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상승동작되고, 상기 상승되는 승강로드(220)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oth ends of the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상승시 상기 제1,2구동축(410,420) 및 지지부재(500)가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5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간극(h1)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2구동축(410,420)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결합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누워있는 중간부위가 침대 매트리스(50)로부터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이후에,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조작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롤링운동모드 또는 욕창방지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Thereafter, the user or caregiver operates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to select one of the rolling exercise mode or the pressure sore prevention mode.
[롤링운동모드 시][In rolling motion mode]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롤링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 중 하나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된 제어신호가 인가된 제1,2구동모터(610,620) 중 하나가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지지부재(500)의 중간부위가 하측으로 처지게 된다.When the rolling motion mode is selected using the operation button, the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500)에 누운 상태에서 지지되며, 제1,2구동축(410,420)이 좌,우로 번갈아 회전되고,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의 교번적 회전시 상기 지지부재(500)가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0)의 처져 있는 중간 부위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좌,우로 롤링 회전시키게 된다.The user is supported while lying on the
상기 롤링운동의 동작은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가 서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의 회전 구동력이 제1,2감속기(615,625)를 통해 제1,2구동축(410,42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재(500)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좌,우로 롤링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rolling motion, as the first and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가 상기 지지부재(500)를 상기 제1구동축으로 감을 수 있도록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2구동모터는 상기 제2구동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구동축에 감겨져 있는 지지부재(500)를 풀어내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1,2구동모터(610,620)의 구동 전과 동일하게 상기 지지부재(500)가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롤링 회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drive motor rotates the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2구동축(410,420)의 좌,우측 번갈아 회전 구동되는 중에 사용자를 중간부위가 처져 있는 지지부재(500) 상에서 원심력이 발생하도록 롤링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욕창방지모드 시][In Bedsore Prevention Mode]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욕창방지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700)는 제1,2구동모터(610,620) 중 하나에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상기 롤링운동모드 선택시의 텐션보다 더 큰 텐션력을 갖도록 제1,2구동모터(610,62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is selected using the operation button, the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50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텐션이 조절되어 수평상태에 근접되도록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lying, the
이후에,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에 제어부(700)의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1,2구동모터(610,620)가 서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제1,2구동축(410,42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재(500)를 좌,우 양측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reafter, as the control signal of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500)가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지지부재(500)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부재(500)의 상측과 경사진 제1각도(θ1)로 들뜨게 되면서 미도시된 사용자의 등 부위가 지지부재(500)로부터 이격된다.At this time, when the
이와는 반대로 상기 지지부재(500)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지지부재(500)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부재(500)의 상측과 경사진 제2각도(θ2)로 들뜨게 되면서 미도시된 사용자의 등 부위가 지지부재(500)로부터 이격된다.Conversely, when the
즉, 상기 지지부재(500)가 좌측 및 우측으로 번갈아 이동되는 중에 사용자의 등부위가 제1각도 및 제2각도로 번갈아 상기 지지부재(500)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등부위를 자극함에 따라 사용자의 등부위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창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il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침대 본연의 기능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기존 침대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운동시에는 사용자가 지지부재(500) 상에서 침대 매트리스로부터 상승동작된 후에, 롤링운동모드시 지지부재(500)를 통해 롤링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을 가지게 되고,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뭉쳐진 근육이 이완됨과 아울러, 관절부위의 운동으로 인해 유연해지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롤링운동되거나, 욕창방지모드시 상기 지지부재(500)가 수평상태로 좌측 및 우측으로 번갈아 이동되는 중에 사용자의 등부위가 제1각도 및 제2각도로 번갈아 상기 지지부재(500)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등부위를 자극함에 따라 사용자의 등부위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창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재활운동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be applied to an existing bed becaus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ed in normal times, but also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fter the user is lifted from the bed mattress on the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구(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승강프레임(300)의 높이 및 지지부재(500)의 좌,우 회전속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자체 운신이 어려운 고령의 사용자 혹은 환자의 경우에도 침대에 누워서 편안하게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재활운동방식을 채택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fortably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while lying in bed even for an elderly user or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self-movement, and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adopt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that does not put a strain on the body. .
또, 본 발명은 체중감지센서(7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체조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재활운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function to be suitable for users having various physical conditions us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50 : 침대 매트리스 55 : 메인프레임
100 : 고정프레임 130 : 지지프레임
150 : 연결프레임 200 : 승강기구
210 : 전동실린더 220 : 승강로드
300 : 승강프레임 410,420 : 제1,2구동축
500 : 지지부재 610,620 : 제1,2구동모터
615,625 : 제1,2감속기 700 : 제어부
710 : 체중감지센서50: bed mattress 55: main frame
100: fixed frame 130: support frame
150: connection frame 200: elevator mechanism
210: electric cylinder 220: elevating rod
300: elevating
500:
615,625: first and second reducers 700: control unit
710: weight sensor
Claims (7)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승강프레임(300)을 상,하로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00)와;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좌,우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구동축(410,420)과;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의 일단부측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방향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감겨지는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2구동모터(610,620)및 제1,2감속기(615,625)와;
상기 제1,2구동축(410,4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2구동축(410,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700)의 모드 선택시 가변되는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지지부재(500); 및
욕창방지모드 또는 롤링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택일하는 모드 선택시 해당 모드에 적합하게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a fixed frame 100 supported on the groun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fore and after;
an elevating mechanism 2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100 and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300 up and down,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0 and 420),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respectively,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ng frame (300);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0 and 420 are coupled to be interlocked with one end side, respectively, and are driven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700,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0, the first,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610 and 620 and first and second reducers 615 and 625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500 wound around the second drive shaft 410 and 420;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0 and 420 to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0 and 420 ,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s that are variable when the control unit 700 selects a mode a support member 500 whose tens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motors 610 and 620;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610 and 62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500 to suit the corresponding mode when selecting a mode to select one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ode or the rolling motion mode Control unit 700;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승강기구(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50) 내에 내장되는 전동실린더(210)와,
상기 전동실린더(210)의 구동시 상,하로 신축동작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하측에 연동되도록 연결된 승강로드(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mechanism 200 includes an electric cylinder 210 built into the connection frame 15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100 and,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with a lifting rod 220 tha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up and down when the electric cylinder 210 is driven and the upper end is link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frame 300 .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욕창방지모드 선택시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이 상기 롤링운동모드시 지지부재(500)의 텐션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700 is a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ressure sore prevention mode is selected,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500 is controlled to be greater than the tension force of the support member 500 in the rolling motion mode. .
상기 지지부재(500)는 일측단이 상기 제1구동축(4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2구동축(4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안착될 경우 탄성력을 부여하는 섬유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500 is coupled such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drive shaft 4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be fixed to the second drive shaft 420 , and when the user is seated in a lying state, a fibrous material that provides elasticity Be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는 상기 욕창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0)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610 and 620 rotate the support member 500 in opposite directions alternately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0 when the bedsore exercise mode is selecte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상기 롤링운동모드 선택시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 중 하나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00)의 텐션을 줄이도록 역방향으로 구동된 후에, 상기 지지부재(500)를 좌,우로 롤링운동시키도록 상기 제1,2구동모터(610,620)가 서로 번갈아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olling motion mode is selected, aft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610 and 62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duce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mber 50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0, the support member ( 500), the be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610, 620) are alternately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rotate left and right.
상기 지지부재(500)의 하측에 마련된 침대 매트리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부(700)측으로 출력하는 체중감지센서(7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low the bed mattres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500, and further comprises a weight sensor 710 that measures the user's weight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700 sid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150A KR102263658B1 (en) | 2019-10-11 | 2019-10-11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150A KR102263658B1 (en) | 2019-10-11 | 2019-10-11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3786A KR20210043786A (en) | 2021-04-22 |
KR102263658B1 true KR102263658B1 (en) | 2021-06-11 |
Family
ID=7573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6150A Active KR102263658B1 (en) | 2019-10-11 | 2019-10-11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6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394A (en) * | 2021-12-02 | 2023-06-12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Multifunctional bed which can be converted to a sitting posture and various postures for the prevention of bedsores, and has a moving function and a bath aid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66565A (en) * | 2022-01-23 | 2022-04-19 | 贵州多么多实业有限公司 | Motion auxiliary device of intelligence be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482Y1 (en) | 2002-01-31 | 2002-05-04 | 최진복 | Bed for patients |
JP3962868B2 (en) | 2003-12-16 | 2007-08-22 | 中嶋メディカルサプライ株式会社 | Bed and bed slip prevention device used for bed |
KR100868384B1 (en) | 2008-01-30 | 2008-11-12 | 구경순 | Chiropractic Treatment |
US8683626B1 (en) | 2013-01-17 | 2014-04-01 | Karen S. Kaczmarek | Hospital bed with conveyor mattress |
KR101630381B1 (en) | 2015-03-31 | 2016-06-1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Bed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Having Lift |
KR101822751B1 (en) | 2016-07-21 | 2018-03-08 | 김훈 | Medical bed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98804Y (en) * | 1997-05-26 | 1998-12-02 | 薛广顺 | Massage bed |
KR20080003515A (en) | 2006-07-03 | 2008-01-08 | 노철현 | How to provide real-time job search automatic matching job information. |
KR100864733B1 (en) | 2008-06-19 | 2008-10-23 | 남궁민우 | Medical beds with means of exercise |
KR101246669B1 (en) * | 2011-04-20 | 2013-03-25 | 노태호 | Aerobic exercise and separated working bed |
KR20130039988A (en) * | 2011-10-13 | 2013-04-23 | 김진일 | Bed runs on electricity for preventing bedsores |
KR101493467B1 (en) * | 2012-09-04 | 2015-02-16 | 백창현 | Medical bed |
KR101623255B1 (en) * | 2014-06-18 | 2016-05-20 | 김진일 | Bed for a patient |
KR20160089640A (en) * | 2015-01-20 | 2016-07-28 | 박태준 | Prevention of bedsore bed |
KR101794684B1 (en) * | 2016-02-15 | 2017-11-08 | 신광의료기산업(주) |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whole body |
KR20170114268A (en) * | 2017-09-21 | 2017-10-13 | 김영식 | Medical bed |
-
2019
- 2019-10-11 KR KR1020190126150A patent/KR1022636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482Y1 (en) | 2002-01-31 | 2002-05-04 | 최진복 | Bed for patients |
JP3962868B2 (en) | 2003-12-16 | 2007-08-22 | 中嶋メディカルサプライ株式会社 | Bed and bed slip prevention device used for bed |
KR100868384B1 (en) | 2008-01-30 | 2008-11-12 | 구경순 | Chiropractic Treatment |
US8683626B1 (en) | 2013-01-17 | 2014-04-01 | Karen S. Kaczmarek | Hospital bed with conveyor mattress |
KR101630381B1 (en) | 2015-03-31 | 2016-06-1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Bed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Having Lift |
KR101822751B1 (en) | 2016-07-21 | 2018-03-08 | 김훈 | Medical be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394A (en) * | 2021-12-02 | 2023-06-12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Multifunctional bed which can be converted to a sitting posture and various postures for the prevention of bedsores, and has a moving function and a bath aid function |
KR102788702B1 (en) * | 2021-12-02 | 2025-04-02 | 대한민국 | Multifunctional bed which can be converted to a sitting posture and various postures for the prevention of bedsores, and has a moving function and a bath aid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3786A (en)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888128B (en) | Medical bed for preventing bedsore | |
US9649236B1 (en) | Dynamic seating and walking wheelchair with an active seat with powerlift to stand | |
KR100878358B1 (en) | Leg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 |
KR102058242B1 (en) | Massage chair with stretch functions | |
KR102123610B1 (en) | Electric hospital beds for patient | |
JP6441149B2 (en) | Trunk support device for transfer support | |
JP5770101B2 (en) | Nursing bed | |
CN109907901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nursing bed for the elderly | |
KR20130139470A (en) | Powered wheel rider having multi-functions | |
KR102263658B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
WO2007055051A1 (en) | Bed for nursing care | |
KR100621350B1 (en) | Patient bed with working structure for lower leg joint movement | |
CN113038915A (en) | Device for supporting the self-propelled movement ability of a person who is limited in its activity | |
KR102063145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 |
CN205947947U (en) | Can realize that waist twists reverse and 360. Stand up and get up seat wheelchair | |
KR101320168B1 (en) | Multi-functional motorized bed for immobilized bedridden patient | |
JP2008264095A (en) | Bed for medical treatment | |
CA2756079A1 (en) | Bed with linen changing means | |
JP5386334B2 (en) | Multipurpose bed equipment | |
KR102241730B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
JP6089253B2 (en) | Tilt table for crus movement support | |
CN113456375B (en) | Bed and sickbed using same | |
JP2008029676A (en) | Walking assisting apparatus | |
CN113018032A (en) | Multifunctional nursing bed capable of turning over and back-up | |
KR20190015795A (en) | Safety belt with movement for prevent decubi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503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