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56B1 -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456B1 KR102263456B1 KR1020190113512A KR20190113512A KR102263456B1 KR 102263456 B1 KR102263456 B1 KR 102263456B1 KR 1020190113512 A KR1020190113512 A KR 1020190113512A KR 20190113512 A KR20190113512 A KR 20190113512A KR 102263456 B1 KR102263456 B1 KR 102263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iezoelectric energy
- energy harvesters
- monitoring target
- sel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316 response fun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CWXUUIWCKQGHC-UHFFFAOYSA-N Zirconium Chemical compound [Zr] QCWXUUIWCKQG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2 electric spa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6 thermoelec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1—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고장 예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장 예지 장치 내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2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장 예지 장치의 외형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장 예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고장 예지 장치 내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20)를 일 실시예에 따라 배관에 부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대상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3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20-1 내지 120-3)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파형도(a) 및 예상되는 주파수 대비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의 표(b)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20)를 3개로 하여 구성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20)를 4개로 하여 구성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20: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130: 복수개의 신호 감지기
140: 복수개의 정류기
150: 전력 저장부
160: 레귤레이터
170: 송신 제어부
180: 무선 송신부
200: 수신 모듈
220: 무선 수신부
240: 수신 제어부
260: 무선 알람부
280: 배터리
Claims (11)
- 다른 크기를 가진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복수개의 신호 감지기, 복수개의 정류기, 전력 저장부, 레귤레이터, 송신 제어부 및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저장부는 복수개의 하베스터별 전력 저장부 및 총 전력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스위칭부 및 제어 유닛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송신 모듈; 및
무선 수신부, 수신 제어부, 무선 알람부 및 배터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장 예지 장치를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에서 진동에 민감한 모니터링 대상 장비에 부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고장 예지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모듈이 크기가 다른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의 전력원으로 사용하고, 추출 전력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a) 단계; 및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에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알람으로 알리는 (b)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주파수 응답 함수는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출력 움직임이 변화하지 않아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각각의 전력을 주파수 영역에서 예상 주파수 값과 동일하게 발생시키며,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가 비정상 작동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주파수 응답 함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출력 움직임이 변하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각각의 전력을 시간 영역에서 상이하게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진동 전달부가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a-2)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압전 소자가 상기 진동에 의한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a-3) 복수개의 신호 감지기가 상기 추출된 추출 전력 데이터의 전력의 전압 및 주파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4) 복수개의 정류기가 상기 추출된 추출 전력 데이터로부터 전력의 전류 성분을 직류로 전환하는 단계;
(a-5) 복수개의 하베스터별 전력 저장부가 상기 전환된 직류 전류를 인가받아 커패시터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a-6) 송신 제어부가 상기 임시 저장된 전류로 생성된 전력의 총합이 무선 통신 가능 전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7) 상기 임시 저장된 전류로 생성된 전력의 총합이 무선 통신 가능 전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전력에 대한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송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a-8) 무선 송신부가 상기 송신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상기 수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와 상기 (a-6) 단계 사이에
총 전력 저장부가 상기 복수개의 하베스터별 전력 저장부 각각에 임시 저장된 전력을 인가받아 합하여 전력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단계; 및
레귤레이터가 상기 전력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전력의 총합을 인가받아 전압 성분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무선 수신부가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2) 수신 제어부가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를 전달받아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진동수 및 진동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진동이 허용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무선 알람부가 상기 무선 알람으로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주파수 응답 함수가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출력 움직임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의 주파수 응답 함수가 변화함에 따라 출력 움직임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때 예상되는 주파수대로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가 '이상 없음'으로 판정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전력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전력 데이터베이스와 상이한 때 상기 예상되는 주파수대로 진동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가 '이상 있음'으로 판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전송 스위치로 상기 무선 알람부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바닥판 외면에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일부분이 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인 현상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 장비에 부가 질량 또는 편심의 발생, 베어링 이상 및 체결용 구성요소의 풀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512A KR102263456B1 (ko) | 2019-09-16 | 2019-09-16 |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512A KR102263456B1 (ko) | 2019-09-16 | 2019-09-16 |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2597A KR20210032597A (ko) | 2021-03-25 |
KR102263456B1 true KR102263456B1 (ko) | 2021-06-11 |
Family
ID=7522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3512A Active KR102263456B1 (ko) | 2019-09-16 | 2019-09-16 |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4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76649A (zh) * | 2021-08-16 | 2021-12-10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基于压电自取能的变压器振动无源无线监测方法及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2319A (ja) * | 2007-05-24 | 2008-12-04 | Kobe Steel Ltd | 振動センサシステム |
KR101901146B1 (ko) * | 2017-11-16 | 2018-09-21 | 한국세라믹기술원 | 자가발전 IoT 센서 모듈 및 이를 갖는 안전사고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162B1 (ko) | 2012-03-12 | 2014-08-20 | 한국세라믹기술원 | 압전을 이용한 해양용 하이브리드 하베스팅 장치 |
KR20140072331A (ko) * | 2012-11-30 | 2014-06-13 |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 이상진단 사전감시 방법 |
KR101961827B1 (ko) * | 2016-12-08 | 2019-03-25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진동 감지 장치 |
KR102039946B1 (ko) * | 2017-09-18 | 2019-11-04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평발 보행을 경고하는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2019
- 2019-09-16 KR KR1020190113512A patent/KR10226345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2319A (ja) * | 2007-05-24 | 2008-12-04 | Kobe Steel Ltd | 振動センサシステム |
KR101901146B1 (ko) * | 2017-11-16 | 2018-09-21 | 한국세라믹기술원 | 자가발전 IoT 센서 모듈 및 이를 갖는 안전사고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2597A (ko) | 2021-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05127B2 (ja) |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電気機械式発電機および方法 | |
Lefeuvre et al.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optimization by synchronous electric charge extraction | |
Sodano et al. | Use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s for charging batteries | |
Mohamed et al. | Power harvesting for smart sensor networks in monitor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 |
US20110125417A1 (en) |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having integrated power supply | |
CN201909670U (zh) | 无源无线振动传感器 | |
EP3306286A1 (en) | Bridge abnormality sensing device | |
Fang et al. | Exploring piezoelectric for sound wave as energy harvester | |
CA2778950A1 (en) | Nonlinear oscillator for vibration energy harvesting | |
JP6522454B2 (ja) | センサ情報無線送信装置 | |
Zhu et al. | Vibration energy harvesting in automobiles to power wireless sensors | |
Galchev et al. | Harvesting traffic-induced bridge vibrations | |
KR102263456B1 (ko) |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한 자가 발전형 고장 예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
CN108988684A (zh) | 一种吸振与振动能量采集一体化装置 | |
Ali et al. | Design considerations for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s | |
CN102118054A (zh) | 桥梁振动智能供电系统及方法 | |
KR20170002137U (ko) |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 |
Samal et al. | Energy harvesting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a review | |
CN112377567B (zh) | 自供能组合式隔振装置 | |
KR20110006884A (ko) | 진동주파수 변환장치, 진동주파수 변환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포집기 및 에너지 포집방법 | |
US20240369092A1 (en) | Fastener,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KR20220077227A (ko) | 압전 하베스터를 이용한 흡진 방법 및 장치 | |
Weddell et al. | A practical self-powered sensor system with a tunable vibration energy harvester | |
Park et al. | Development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modules for impedance-based wireles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 |
KR101961827B1 (ko) | 진동 감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