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원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의 조합이 방부제 단독으로 사용 시보다 방부제의 항균활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형적으로 안정화시키고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한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 활성이 향상된 방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부 시스템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을 방부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는 0.005 내지 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인 경우 원하는 활성, 특히 방부제와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방부제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활성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을 방부 시스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미만으로 사용 시 방부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시너지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부 시스템은 세균 및 진균에 대하여 모두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 시스템은 세균으로 에셔리키아 콜라이(대장균, 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고, 진균으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세균”은 고균, 진핵생물과 더불어 생물의 3영역 중 한 영역을 차지하는 원핵생물의 대표적인 분류군으로, 현재까지 13,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매년 600여종의 신종이 새로 보고되어 있어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균은 에셔리키아 콜라이(대장균, 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진균”은 박테리아의 세균(작은 균)과 비교하여 '진짜 균'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 과거에는 곰팡이라는 순 우리말을 사용하였으나, 학술용어에는 점차 한자 글이 사용되는 추세에 따라 진균이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영어로는 'fungus' (복수형은 fungi)라고 하며 이 집단에는 효모모양 진균과 실 모양 진균이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이 항균활성을 발휘하는 상기 균주는 특히 화장품에 유해한 균으로 알려진 균주들이다.
본 발명의 용어, "에셔리키아 콜라이"는 대장균이라고도 하며, 인간을 포함해서 포유류의 장관을 기생장소로 하고 있는 장내세균으로 화장품 회사에서는 청정도의 지표균으로 검출되어서는 안되는 균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는 녹농균이라고도 하며,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과 췌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난치성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이다. 최근에는 녹농균이 요도 감염과 콘택트렌즈 사용자의 각막궤양에서도 검출되고 있으며 녹농균에 의한 각막궤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일단 감염되면 실명에 이를 정도로 위험하다.
본 발명의 용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포도상구균이라고도 불리는 가장 대표적인 화농균으로, 엔테로톡신 생산주(生産株)에 의한 포도상구균식중독은 장염비브리오식중독과 더불어 세균성식중독 가운데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이며 눈에 감염시 세균성 각막염에 의해 실명의 위험까지 갈 수 있는 세균이다.
본 발명의 용어, "칸디다 알비칸스"는 주로 칸디다 질염의 원인이 되는 균이다. 본 발명의 용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는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폐렴의 원인균이다.
종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포함한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에서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진균류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없거나 있더라도 매우 미비한 것으로 보고된다(KR 10-2011-0120484호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이 세균뿐만 아니라 진균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신규로 입증한 것에 특징이다.
본 발명의 용어, “방부제”는 부패를 방지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학적, 생물학적 변질을 막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로서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1,2-헥산디올"은 흡습성(hygroscopic nature)을 갖는 무색의 액체로서, 화장품 및 스킨케어제품에 연화제(emollient), 보습제(humectant) 및 습윤제(wetting agent)로 널리 사용되며, 항균 및 항염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로서 1.2-헥산디올을 0.1 내지 4 중량%,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 중량%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은 발효시킨 옥수수나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지방산으로 만든 성분으로, 1,2-알칸디올 구조이며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저위험성 성분으로 등재되어 있어 일반적인 방부제보다 자연성분에서 추출하여 위험성이 적다고 보고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로서 펜틸렌글라이콜을 0.2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1 내지 4 중량%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에틸헥실글리세린(Eethylhexylglycerin)”은 글리세린의 한 종류로 유기 화합물에 해당하고, 화장품에 사용 시 습윤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피부 컨디셔닝 역할을 하여 피부에 활력을 주고 박테리아 등을 억제하여 방부제로서도 사용된다고 보고되고 있는 안정성이 높은 성분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로서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01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3 중량%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는 코코넛 지방산의 화합물로 천연 유래인 글리세린과 카프릭애씨드의 모노에스터이며, 글리세린과 팜/코코넛 지방산에서 유래한 화합물이다. 주로 피부유연화제, 계면활성제-유연제로 쓰이며, 화학적 방부제 대신 천연 식물 제품의 안정화 용도로서 사용되고 피부를 매끄럽고 유연하게 관리하는 성분으로 보고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0.1 내지 2 중량%,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1 중량%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부 시스템은 방부제를 방부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 시 유의미한 방부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 시에는 제형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제1양태의 방부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양태의 방부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동종의 방부제를 동일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에셔리키아 콜라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칸디다 알비칸스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의 성장, 증식 또는 둘 모두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의 항균력 확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5종의 MIC 테스트로 항균활성을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평가시료를 균주 호환 배지(세균-TSB, 진균-SDB)에 용해시켜 농도 별로 제조한 후, 배양된 각 균주에 대한 접종 용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X105 ~1X106CFU/mL로 접종하였다. 이후, 이들을 각 균주에 배양 온도로 세균류는 32.5℃, 진균류는 22.5℃에 배양시켜, 세균류는 1~2일, 진균류는 2~3일 후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시험방법은 Checkerboard assay로 확인하였다.
참고로, 상기 균주로는 화장품의 오염원이 될 수 있는 대표적인 균주들을 선택하였으며, 세균류로 에셔리키아 콜라이(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NO. 8739),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NO. 9027)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NO. 6538)를 사용하였고, 진규류로 효모류의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NO. 10231), 및 곰팡이류의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NO. 16404)를 사용하였다.
균주 |
MIC (%) |
S. aureus
|
0.25 |
P. aeruginosa
|
0.5 |
E. coli
|
0.5 |
C. albicans
|
0.5 |
A. brasiliensis
|
1 |
그 결과, 세균류 에셔리키아 콜라이,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서 모두 0.25 내지 0.5% 정도로 사멸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진규류인 칸디다 알비칸스와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에서 0.5 내지 1% 정도로 세균류보다도 사멸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 조합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 확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과 방부제 조합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균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참고로, FIC(fractional inhibiting concentration) 계산 방법 및 판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① FIC index 계산 방법
- 물질 A의 FIC = (배합물에서의 물질 A의 MIC)/(물질 A 단독 사용 시 MIC)
- 물질 B의 FIC = (배합물에서의 물질 B의 MIC)/(물질 B 단독 사용 시 MIC)
- FIC index = 물질 A의 FIC + 물질 B의 FIC
② 시너지 판정 기준
그 결과, 하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은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각각에 대해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brasiliensis |
A |
B |
MIC(%) for material combinations |
FICIm |
Interpretation |
A |
B |
Leucidal SF MAX |
1,2-Hexanediol |
1 |
0.015 |
1.015 |
Indifferent |
Pentylene glycol |
0.25 |
2 |
0.75 |
Synergistic |
Ethylhexylglycerin |
0.125 |
0.062 |
0.625 |
Synergistic |
Glyceryl caprylate |
0.125 |
0.062 |
0.625 |
Synergistic |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 조합의 방부력 시너지 효과 확인
3-1: 방부력 확인을 위한 가용화 제형 제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 조합의 방부력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실시예(표 3)와 비교예(표 4)로 나누어 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글리세린, 킬레이팅제, 알란토인, 메틸프로판디올 함유하여 80℃ 이상에서 가온 후 1000~1500 rpm으로 분산시켰다. 이후, 45℃ 이하로 냉각시킨 후, 시트릭애씨드와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를 추가하여 분산시켰다. 이후, 알로에 베라겔, PORTULACA EXTRACT 및 향료를 추가하여 분산시켰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부제들을 실시예에 맞게 추가하여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
실시예 |
1 |
2 |
3 |
4 |
5 |
6 |
7 |
8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GLYCERINE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DISODIUM EDTA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ALLANTOIN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METHYLPROPANEDIOL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CITRIC ACID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TRISODIUM CITRATE DIHYDRATE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ALOE VERA GEL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PORTULACA EXTRACT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LACTOBACILLUS ACIDOPHILUS FERMENT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1,2-HEXANEDIOL |
1.00 |
- |
- |
- |
0.50 |
0.50 |
- |
- |
PENTYLENE GLYCOL |
- |
2.00 |
- |
- |
- |
- |
1.00 |
1.00 |
ETHYLHEXYLGLYCERIN |
- |
- |
0.20 |
- |
0.05 |
- |
0.05 |
- |
GLYCERYL CAPRYLATE |
- |
- |
- |
0.10 |
- |
0.05 |
- |
0.05 |
원료명 |
비교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GLYCERINE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DISODIUM EDTA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ALLANTOIN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METHYLPROPANEDIOL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CITRIC ACID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0.04 |
TRISODIUM CITRATE DIHYDRATE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ALOE VERA GEL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PORTULACA EXTRACT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0.01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LACTOBACILLUS ACIDOPHILUS FERMENT |
- |
0.10 |
- |
- |
- |
- |
- |
- |
- |
- |
- |
- |
1,2-HEXANEDIOL |
- |
- |
1.00 |
- |
- |
- |
0.50 |
0.50 |
0.50 |
- |
- |
- |
PENTYLENE GLYCOL |
- |
- |
- |
2.00 |
- |
- |
- |
- |
- |
1.00 |
1.00 |
1.00 |
ETHYLHEXYLGLYCERIN |
- |
- |
- |
- |
0.20 |
- |
- |
0.05 |
- |
- |
0.05 |
- |
GLYCERYL CAPRYLATE |
- |
- |
- |
- |
- |
0.10 |
- |
- |
0.05 |
- |
- |
0.05 |
3-2: 방부력 시너지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한 가용화 제형을 이용하여 방부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ISO 11930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세부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 초기 미생물 제거한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12의 화장료 20g에 대장균(에셔리키아 콜라이; ATCC 8739),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균(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곰팡이(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의 접종 균액을 시료당 세균은 초기농도 1X105 ~ 1X107 CFU/g, 진균은 1X105 ~ 1X107 CFU/g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
- 접종된 시료를 22.5℃(±2.5℃)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7, 14, 28일 간격으로 화장료 1g씩 수득
- 수득된 시료 중화 후, 각 균주 해당 배지에 분주 후 배양(세균, 효모 32.5℃(±2.5℃)에서 2~3일, 곰팡이 22.5℃(±2.5℃)에서 3~5일 배양)
그 결과는 하기에 세균과 진균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세균류 - 실시예
화장료 |
S. aureu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06X106 |
<10 |
<10 |
<10 |
실시예 2 |
1.06X106 |
<10 |
<10 |
<10 |
실시예 3 |
1.85X106 |
<10 |
<10 |
<10 |
실시예 4 |
9.4X105 |
<10 |
<10 |
<10 |
실시예 5 |
1.85X106 |
<10 |
<10 |
<10 |
실시예 6 |
1.85X106 |
<10 |
<10 |
<10 |
실시예 7 |
1.85X106 |
<10 |
<10 |
<10 |
실시예 8 |
1.85X106 |
<10 |
<10 |
<10 |
화장료 |
P. aeruginosa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9.7X105 |
<10 |
<10 |
<10 |
실시예 2 |
9.7X105 |
<10 |
<10 |
<10 |
실시예 3 |
1.12X106 |
<10 |
<10 |
<10 |
실시예 4 |
1.11X106 |
<10 |
<10 |
<10 |
실시예 5 |
1.12X106 |
<10 |
<10 |
<10 |
실시예 6 |
1.12X106 |
<10 |
<10 |
<10 |
실시예 7 |
1.12X106 |
<10 |
<10 |
<10 |
실시예 8 |
1.12X106 |
<10 |
<10 |
<10 |
화장료 |
E. coli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0X106 |
<10 |
<10 |
<10 |
실시예 2 |
1.0X106 |
<10 |
<10 |
<10 |
실시예 3 |
9.75X105 |
<10 |
<10 |
<10 |
실시예 4 |
9.6X105 |
<10 |
<10 |
<10 |
실시예 5 |
9.75X105 |
<10 |
<10 |
<10 |
실시예 6 |
9.75X105 |
<10 |
<10 |
<10 |
실시예 7 |
9.75X105 |
<10 |
<10 |
<10 |
실시예 8 |
9.75X105 |
<10 |
<10 |
<10 |
세균류 - 비교예
화장료 |
S. aureu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06X106 |
<10 |
<10 |
<10 |
비교예 2 |
4.4X105 |
<102 |
<10 |
<10 |
비교예 3 |
1.06X106 |
<10 |
<10 |
<10 |
비교예 4 |
1.06X106 |
3.0X10 |
<10 |
<10 |
비교예 5 |
1.85X106 |
<10 |
<10 |
<10 |
비교예 6 |
9.4X105 |
<10 |
<10 |
<10 |
비교예 7 |
1.85X106 |
2.0X10 |
<10 |
<10 |
비교예 8 |
1.85X106 |
<10 |
<10 |
<10 |
비교예 9 |
1.85X106 |
<10 |
<10 |
<10 |
비교예 10 |
1.85X106 |
<10 |
<10 |
<10 |
비교예 11 |
1.85X106 |
<10 |
<10 |
<10 |
비교예 12 |
1.85X106 |
<10 |
<10 |
<10 |
화장료 |
P. aeruginosa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9.7X105 |
<10 |
<10 |
<10 |
비교예 2 |
9.3X105 |
<102 |
<10 |
<10 |
비교예 3 |
9.7X105 |
<10 |
<10 |
<10 |
비교예 4 |
9.7X105 |
<10 |
<10 |
<10 |
비교예 5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6 |
1.11X106 |
<10 |
<10 |
<10 |
비교예 7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8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9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10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11 |
1.12X106 |
<10 |
<10 |
<10 |
비교예 12 |
1.12X106 |
<10 |
<10 |
<10 |
화장료 |
E. coli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0X106 |
2.24X104 |
TNTC |
3.8X103 |
비교예 2 |
1.05X106 |
<102 |
<10 |
<10 |
비교예 3 |
1.0X106 |
2.1X102 |
<10 |
<10 |
비교예 4 |
1.0X106 |
1.424X104 |
1.2X103 |
<102 |
비교예 5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6 |
9.6X105 |
<10 |
<10 |
<10 |
비교예 7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8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9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10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11 |
9.75X105 |
<10 |
<10 |
<10 |
비교예 12 |
9.75X105 |
<10 |
<10 |
<10 |
진균류 - 실시예
화장료 |
C. albican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4.6X104 |
<102 |
<10 |
<10 |
실시예 2 |
4.6X104 |
<102 |
<10 |
<10 |
실시예 3 |
1.04X105 |
<102 |
<10 |
<10 |
실시예 4 |
7.6X104 |
<102 |
<10 |
<10 |
실시예 5 |
1.04X105 |
<102 |
<10 |
<10 |
실시예 6 |
1.04X105 |
<102 |
<10 |
<10 |
실시예 7 |
1.04X105 |
<102 |
<10 |
<10 |
실시예 8 |
1.04X105 |
<102 |
<10 |
<10 |
화장료 |
A. brasilliensi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7.1X104 |
5.7X103 |
2.0X102 |
<10 |
실시예 2 |
7.1X104 |
6.6X103 |
7.0X102 |
<10 |
실시예 3 |
7.5X104 |
1.4X103 |
1.4X102 |
<10 |
실시예 4 |
9.5X104 |
6.0X103 |
1.5X103 |
1.0X102 |
실시예 5 |
7.5X104 |
1.4X104 |
1.8X103 |
<102 |
실시예 6 |
7.5X104 |
5.0X103 |
3.1X103 |
1.0X102 |
실시예 7 |
7.5X104 |
2.3X104 |
2.7X103 |
<102 |
실시예 8 |
7.5X104 |
1.0X104 |
4.1X103 |
2.0X102 |
진균류 - 비교예
화장료 |
C. albican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4.6X104 |
1.4X105 |
TNTC |
TNTC |
비교예 2 |
7.9X104 |
<102 |
<10 |
<10 |
비교예 3 |
4.6X104 |
2.9X103 |
2.0X102 |
<10 |
비교예 4 |
4.6X104 |
6.0X102 |
1.3X102 |
<10 |
비교예 5 |
1.04X105 |
<102 |
<10 |
<10 |
비교예 6 |
7.6X104 |
1.0X102 |
<10 |
<10 |
비교예 7 |
1.04X105 |
9.18X104 |
1.28X105 |
TNTC |
비교예 8 |
1.04X105 |
<102 |
<10 |
<10 |
비교예 9 |
1.04X105 |
3.0X102 |
<10 |
<10 |
비교예 10 |
1.04X105 |
2.08X105 |
1.6X105 |
TNTC |
비교예 11 |
1.04X105 |
<102 |
<10 |
<10 |
비교예 12 |
1.04X105 |
7.7X103 |
1.0X102 |
<10 |
화장료 |
A. brasilliensi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7.1X104 |
1.2X105 |
6.3X104 |
3.4X104 |
비교예 2 |
1.26X105 |
4.1X104 |
4.1X104 |
2.7X104 |
비교예 3 |
7.1X104 |
3.8X104 |
4.3X104 |
1.8X104 |
비교예 4 |
7.1X104 |
4.2X104 |
3.1X104 |
1.7X104 |
비교예 5 |
7.5X104 |
3.8X104 |
3.1X104 |
1.1X104 |
비교예 6 |
9.5X104 |
3.4X104 |
3.0X104 |
2.4X104 |
비교예 7 |
7.5X104 |
5.4X104 |
3.6X104 |
2.9X104 |
비교예 8 |
7.5X104 |
2.9X104 |
3.5X104 |
1.5X104 |
비교예 9 |
7.5X104 |
2.5X104 |
4.8X104 |
2.6X104 |
비교예 10 |
7.5X104 |
5.0X104 |
4.9X104 |
3.7X104 |
비교예 11 |
7.5X104 |
4.0X104 |
3.7X104 |
2.3X104 |
비교예 12 |
7.5X104 |
4.5X104 |
5.3X104 |
3.3X104 |
그 결과, 상기 표 5 내지 표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균류 및 진균류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을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혼합하여 사용 시 세균류와 진균류 모두에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진균류에 대해서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 시 방부력이 나오지 않는 농도일지라도, 방부제인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혼합 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과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을 혼합한 경우에는 단독을 사용하거나, 1종만을 혼합한 경우의 사용 농도보다 적은 양으로도 안정적인 방부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방부 안정성 테스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 조합의 방부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시료 에이징(aging)을 통한 방부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ISO 11930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세부 시험방법은 상기 시료 중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3 내지 6 에 대해 2개월 간 45℃ 에서 보관 후 상기 방부력 시험 규격에 따라 방부력 시험 진행 후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에 세균류와 진균류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세균류 - 실시예
화장료 |
S. aureu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57X106 |
2.0X102 |
<10 |
<10 |
실시예 2 |
1.57X106 |
6.4X102 |
<10 |
<10 |
실시예 3 |
8.82X107 |
<10 |
<10 |
<10 |
실시예 4 |
8.82X107 |
<10 |
<10 |
<10 |
화장료 |
P. aeruginosa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69X106 |
<10 |
<10 |
<10 |
실시예 2 |
1.69X106 |
<10 |
<10 |
<10 |
실시예 3 |
1.05X107 |
<10 |
<10 |
<10 |
실시예 4 |
1.05X107 |
<10 |
<10 |
<10 |
화장료 |
E. coli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16X106 |
<10 |
<10 |
<10 |
실시예 2 |
1.16X106 |
<10 |
<10 |
<10 |
실시예 3 |
1.06X106 |
<10 |
<10 |
<10 |
실시예 4 |
1.06X106 |
<10 |
<10 |
<10 |
세균류 - 비교예
화장료 |
S. aureu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57X106 |
2.368X104 |
1.0X102 |
<10 |
비교예 3 |
1.57X106 |
1.02X103 |
2.0X10 |
<10 |
비교예 4 |
1.57X106 |
1.4X103 |
1.0X10 |
<10 |
비교예 5 |
8.82X107 |
<10 |
<10 |
<10 |
비교예 6 |
8.82X107 |
<10 |
<10 |
<10 |
화장료 |
P. aeruginosa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69X106 |
<10 |
<10 |
<10 |
비교예 3 |
1.69X106 |
<10 |
<10 |
<10 |
비교예 4 |
1.69X106 |
<10 |
<10 |
<10 |
비교예 5 |
1.05X107 |
<10 |
<10 |
<10 |
비교예 6 |
1.05X107 |
<10 |
<10 |
<10 |
화장료 |
E. coli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16X106 |
2.784X104 |
6.08X104 |
<10 |
비교예 3 |
1.16X106 |
2.03X103 |
<102 |
<10 |
비교예 4 |
1.16X106 |
7.2X103 |
<10 |
<10 |
비교예 5 |
1.06X106 |
<10 |
<10 |
<10 |
비교예 6 |
1.06X106 |
<10 |
<10 |
<10 |
진균류 - 실시예
화장료 |
C. albican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1.86X105 |
<102 |
<10 |
<10 |
실시예 2 |
1.86X105 |
<102 |
<10 |
<10 |
실시예 3 |
1.1X105 |
<102 |
<10 |
<10 |
실시예 4 |
1.1X105 |
<102 |
<10 |
<10 |
화장료 |
A. brasilliensi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실시예 1 |
3.3X104 |
<102 |
<10 |
<10 |
실시예 2 |
3.3X104 |
<102 |
<10 |
<10 |
실시예 3 |
7.0X104 |
<102 |
<10 |
<10 |
실시예 4 |
7.0X104 |
<102 |
8.0X10 |
<10 |
진균류-비교예
화장료 |
C. albican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1.86X105 |
8.16X104 |
TNTC |
TNTC |
비교예 3 |
1.86X105 |
1.8X103 |
2.0X102 |
<10 |
비교예 4 |
1.86X105 |
3.9X103 |
3.0X102 |
3.0X10 |
비교예 5 |
1.1X105 |
<10 |
<10 |
<10 |
비교예 6 |
1.1X105 |
<10 |
<10 |
<10 |
화장료 |
A. brasilliensi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 |
3.3X104 |
1.4X104 |
4.0X103 |
3.4X103 |
비교예 3 |
3.3X104 |
2.0X102 |
<10 |
<10 |
비교예 4 |
3.3X104 |
2.0X102 |
<10 |
<10 |
비교예 5 |
7.0X104 |
<102 |
<10 |
<10 |
비교예 6 |
7.0X104 |
8.0X103 |
8.8X103 |
9.0X103 |
상기 표 15 내지 2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균류 및 진균류의 실시예와 비교예 비교 시 실시예는 AGING 후에도 안정적인 방부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하여 방부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AGING 후의 방부력 안정성은 불안정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진균류에 대하여도 AGING 후 불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피부 안전성 테스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in vivo 상에서 피부 안전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4시간 단일 첩포 시험을 통하여 피부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과,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20 ~ 60세의 32명에게 24시간 동안 첩포 시험을 수행하였다. 첩포는 피험자 등 상부에 부착하고, 시험물질을 IQ Ultra chamber 에 20㎕씩 적하한 다음, 70% 에탄올로 연구대상자의 시험부위를 닦고 건조시킨 후에 부착하였다. 시험물질은 24시간 동안 폐쇄 첩포하고, 첩포 제거 30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SK101-3X, SeKi optical, Korea)으로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험물질 |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
1,2-헥산디올 |
펜틸렌글라이콜 |
에틸헥실글리세린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
피부자극도 |
0.00 |
0.00 |
0.00 |
0.00 |
0.00 |
자극판정 |
저자극 |
저자극 |
저자극 |
저자극 |
저자극 |
그 결과, 상기 표 2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과,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모두 피부에 미치는 자극이 없어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의 함량 확인
상기 실시예 3의 가용화 제형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26의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
비교예 |
13 |
14 |
15 |
16 |
17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GLYCERINE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DISODIUM EDTA |
0.03 |
0.03 |
0.03 |
0.03 |
0.03 |
ALLANTOIN |
0.20 |
0.20 |
0.20 |
0.20 |
0.20 |
METHYLPROPANEDIOL |
5.00 |
5.00 |
5.00 |
5.00 |
5.00 |
CITRIC ACID |
0.04 |
0.04 |
0.04 |
0.04 |
0.04 |
TRISODIUM CITRATE DIHYDRATE |
0.10 |
0.10 |
0.10 |
0.10 |
0.10 |
ALOE VERA GEL |
0.01 |
0.01 |
0.01 |
0.01 |
0.01 |
PORTULACA EXTRACT |
0.01 |
0.01 |
0.01 |
0.01 |
0.01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LACTOBACILLUS ACIDOPHILUS FERMENT |
0.001 |
0.001 |
0.001 |
0.001 |
0.001 |
1,2-HEXANEDIOL |
- |
1.00 |
- |
- |
- |
PENTYLENE GLYCOL |
- |
- |
2.00 |
- |
- |
ETHYLHEXYLGLYCERIN |
- |
- |
- |
0.20 |
- |
GLYCERYL CAPRYLATE |
- |
- |
- |
- |
0.10 |
또한, 상기 함량에 따른 비교예 13 내지 17의 제형의 시너지 효과 유무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
S. aureu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3 |
1.0X106 |
5.0 X 10 |
<10 |
<10 |
비교예 14 |
1.0X106 |
4.0 X 10 |
<10 |
<10 |
비교예 15 |
1.0X106 |
4.0 X 10 |
<10 |
<10 |
비교예 16 |
1.0X106 |
4.0 X 10 |
<10 |
<10 |
비교예 17 |
1.0X106 |
4.0 X 10 |
<10 |
<10 |
화장료 |
P. aeruginosa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3 |
1.0X106 |
5.0 X 10 |
<10 |
<10 |
비교예 14 |
1.0X106 |
4.0 X10 |
<10 |
<10 |
비교예 15 |
1.0X106 |
4.0 X 10 |
<10 |
<10 |
비교예 16 |
1.0X106 |
4.0 X 10 |
<10 |
<10 |
비교예 17 |
1.0X106 |
4.0 X 10 |
<10 |
<10 |
화장료 |
E. coli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3 |
1.0X106 |
5.0X104 |
TNTC |
3.8X103 |
비교예 14 |
1.0X106 |
4.0X103 |
<10 |
<10 |
비교예 15 |
1.0X106 |
5.0X104 |
<10 |
<10 |
비교예 16 |
1.0X106 |
<102 |
<10 |
<10 |
비교예 17 |
1.0X106 |
<102 |
<10 |
<10 |
화장료 |
C. albican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3 |
1.0X105 |
5.0X104 |
TNTC |
TNTC |
비교예 14 |
1.0X105 |
3.0X104 |
2.0X104 |
5.0X103 |
비교예 15 |
1.0X105 |
5.0X104 |
5.0X104 |
4.0X104 |
비교예 16 |
1.0X105 |
1.0X104 |
1.0X103 |
2.0X102 |
비교예 17 |
1.0X105 |
1.0X104 |
1.0X103 |
2.0X102 |
화장료 |
A. brasilliensis
(CFU/g)
|
초기균수 |
7일차 |
14일차 |
28일차 |
스킨 |
비교예 13 |
1.0X105 |
6.0X104 |
TNTC |
TNTC |
비교예 14 |
1.0X105 |
3.0X104 |
4.0X104 |
2.0X104 |
비교예 15 |
1.0X105 |
5.6X104 |
4.5X104 |
3.3X104 |
비교예 16 |
1.0X105 |
5.0X104 |
4.0X104 |
1.0X104 |
비교예 17 |
1.0X105 |
4.4X104 |
2.2X104 |
2.1X104 |
상기 표 27 내지 표 3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3 내지 17의 가용화 제형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을 방부시스템 총 중량 대비 0.005 중량% 미만에서 포함할 경우, 방부제와 조합한다 하더라도 시너지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상기 결과를 토대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은 방부제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조합하여 사용 시, 특정 함량 이상에서 세균 및 진균, 특히 진균에 대하여 우수한 방부력을 가질 뿐 아니라, aging 후에도 안정한 방부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2-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과 혼합 시에는 1종만을 혼합한 경우 대비, 더 적은 함량에서도 우수한 방부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또는 이와 방부제의 조합이 우수한 방부 시스템으로서 사용되고, 이를 포함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