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9698B1 - 인테리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698B1
KR102259698B1 KR1020200138133A KR20200138133A KR102259698B1 KR 102259698 B1 KR102259698 B1 KR 102259698B1 KR 1020200138133 A KR1020200138133 A KR 1020200138133A KR 20200138133 A KR20200138133 A KR 20200138133A KR 102259698 B1 KR102259698 B1 KR 102259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interior
rolle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명
최현아
Original Assignee
임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명 filed Critical 임상명
Priority to KR102020013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6Office buildings; B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도어를 설치함으로써 개방감을 살리면서도 인테리어 대상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 내에 각 종 인테리어 소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습실 인테리어 시공방법은, 인테리어 대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준비하는 인테리어 소품 준비 단계, 그리고 제1구획 및 제2구획 사이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구획 단계, 그리고 상기 인테리어 소품을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는 소품 배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시공방법{INTERIOR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도어를 설치함으로써 개방감을 살리면서도 인테리어 대상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 내에 각 종 인테리어 소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공공기관, 병원, 사무실, 실습실 등(이하 공공기관 등)에서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하여 협소한 공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인테리어를 연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공기관 등에는 당해 목적에 맞는 근무 환경 등이 조성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공공기관 등의 경우에는 공공기간 등에 사용되는 각 종 물품, 장비들 탓에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고, 아울러 공간구획을 수행하였더라도 구획된 공간끼리 실내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조화되지 못하여 인테리어 공사를 재실시하는 등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원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비경제적이었다.
한편,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에 대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5134호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방감 및 시야 확보가 우수한 폴딩도어를 설치시킴으로써 공간 구획은 물론 공간 내부를 전시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 구획된 공간을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획된 공간과 공간 사이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키고, 심미적으로도 안정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습실 인테리어 시공방법은, 인테리어 대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준비하는 인테리어 소품 준비 단계, 그리고 제1구획 및 제2구획 사이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구획 단계, 그리고 상기 인테리어 소품을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는 소품 배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는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트랙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단위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도어는 상기 단위도어의 상단부에 상부 프레임 및 하단부에 하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각각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롤러는 옆면이 상부와 하부를 바라보는 수평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롤러는 롤러의 옆면이 전면과 후면을 바라보는 수직 롤러 및 상기 수평 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윈도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는 틈새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 12 중량부, 백금이온 0.3 중량부, 폴리페닐메틸실록산 12 중량부, 폴리디메톡시실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 5 중량부, 이소토 3.8 중량부, 탄산인회석 2 중량부, 칼슘인산염 0.1 중량부 및, 수산화인회석 0.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개방감 및 시야 확보가 우수한 폴딩도어를 설치시킴으로써 공간 구획은 물론 공간 내부를 전시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 구획된 공간을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구획된 공간과 공간 사이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키고, 심미적으로도 안정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습실의 평면도.
도 2는 실습실의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4는 실습실의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26은 인테리어 소품 및 그 배치 공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27 내지 34는 폴딩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35 내지 37은 사무실을 도시한 도면.
도 38는 청년활동공간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도어를 설치함으로써 개방감을 살리면서도 인테리어 대상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 내에 각 종 인테리어 소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대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준비하는 인테리어 소품 준비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인테리어 대상은 공공기관, 사무실, 청년활동공간(청년쉼터), 병원, 모델하우스, 실습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소품으로는 폴딩도어, 책상, 의자, 파티션, 소파, 투명 글래스, 수납장, 전등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공공기관, 사무실, 청년활동공간, 병원, 모델하우스 등에서 인테리어 소품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요리 실습실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준비하는 인테리어 소품 준비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인테리어 소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수납장, 취사용구 하우징, 컨베이어 벨트, 인덕션 렌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리 실습실의 일 측에 실습실 출입문이 설치되고, 상기 실습실 출입문과 연결된 출입 복도, 그리고 상기 출입 복도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폴딩도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획 및 제2구획 사이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구획 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로, 출입 복도 및 실습 공간 사이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딩도어는 출입 복도와 실습 공간 사이를 구획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도 35 내지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 등에도 출입 복도와 회의실 사이에 설치되어 이를 구획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5 내지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의실 내부 공간에는 회의실 테이블 및 회의실 의자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회의실과 출입 복도 사이의 경계의 문턱을 낮추어 자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년활동공간 등에도 로비와 출입 복도 사이에 설치되어 이를 구획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딩도어를 오픈하여 출입 복도 내부로 진입을 하면, 복수의 의자와 테이블이 세팅되어 있는 오픈 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는데, 활동량이 많은 청소년들에게는 특히 폴딩도어의 넓은 개방감 확보를 통해 자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 상기 폴딩도어는 절첩식 도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복수의 단위도어(E)가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트랙(T)에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회전식 내지는 미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개방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감 및 시야가 우수하여 실습 공간 내부의 전시 기능이 구비될 수 있어, 실습 현장의 평가 등에 매우 유용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폴딩도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도어(E)의 상단부에는 상부 프레임(F1)이 구비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하부 프레임(F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F1) 및 하부 프레임(F2)의 중앙에는 윈도우(W)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I)이 구비되어 있다. 자명하게도 장착홈(I)의 폭은 상기 윈도우(W)의 폭에 상응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위도어(E)가 트랙(T)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F1) 및 하부 프레임(F2)의 외측에 각각 상부 롤러(R1) 및 하부 롤러(R2)를 구비하고 있다. 위 롤러가 트랙(T)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단위도어(E)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특징적인 점은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러(R1)와 하부 롤러(R2)의 형상 및 구조가 상이하다는 것인데, 상부 롤러(R1)의 경우 롤러의 옆면이 상부와 하부를 바라보는 수평 롤러(Rh)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롤러(R2)의 경우 롤러의 옆면이 상부와 하부를 바라보는 수평 롤러(Rh) 및 롤러의 옆면이 전면과 후면을 바라보는 수직 롤러(Rv)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은 단일도어(E)가 접히면서 돌출되는 방향을 말하고, 후면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하며, 상부는 도 27을 기준으로 위쪽을 하부는 도 27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의미한다.
하부 롤러(R2)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프레임(F2)의 하면에 구비된 롤러 브래킷(Rb)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롤러 브래킷(Rb)의 하면에는 수평 롤러(Rh)가 결합되고, 상기 롤러 브래킷(Rb)의 측면에는 수직 롤러(Rv)가 결합된다.
상부 롤러(R1)의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F1)의 상면에 구비된 롤러 브래킷(Rb)의 상면에 수평 롤러(Rh)가 결합된다.
물론 이에 상응하게 상부 트랙(Tt)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 롤러(R1)가 수용되어 가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T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트랙(Tb)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롤러(R2)의 수평 롤러(Rh)가 수용되어 가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T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홈(T1)을 둘러싸는 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롤러(R2)의 수직 롤러(Rv)가 가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T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F1) 및 하부 프레임(F2)에는 자명하게도 윈도우(W)가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용부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해서 수용부가 차지하는 공간에서 윈도우(W)가 차지하는 공간을 뺀 만큼의 공간에 해당하는 틈새를 패킹하는 가스켓(G)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G)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F1) 및 상기 하부 프레임(F2)의 양 측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고정부재(B)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구비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G)은 상기 고정부재(B)와 맞물리게 되면서 상기 틈새를 밀폐시켜 상기 단위도어(E)의 수밀성, 밀폐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B)는 상기 상부 프레임(F1)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F2)의 상기 수용부 측 일 단부에 구비되는 일 고정부재(B1)와 타 단부에 구비되는 타 고정부재(B2)를 포함한다.
먼저 일 고정부재(B1)는 수용부 측으로 향하는 수평돌기(B11)와 상기 수평돌기(B11)의 일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돌기(B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평돌기(B11)와 수직돌기(B12)를 위아래로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타 고정부재(B2)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되, 일 단부에 고리 형상을 갖는 지지돌기(B21)가 평행하게 쌍으로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B21)의 타 단부를 잇되, 일 단부에 고리형상을 갖고 상기 수용부 측으로 향하는 내향돌기(B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B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고리형상이 상기 상부 프레임(F1)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F2)의 일 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타 고정부재(B2)가 상기 상부 프레임(F1) 또는 하부 프레임(F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G)은 상기 일 고정부재(B1)와 결합하는 일 가스켓(G1) 및 타 고정부재(B2)와 결합하는 타 가스켓(G2)을 포함하는데, 상기 일 가스켓(G1)은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돌기(B12)를 수용하는 일 수용홈을 상기 수직돌기(B12)에 상응하는 자리에 구비하고 있어 상기 일 고정부재(B1)와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타 가스켓(G2)은 내향돌기(B22)의 일 단부에 형성된 고리형상을 수용하는 타 수용홈을 상기 내향돌기(B22)에 상응하는 자리에 구비하고 있어 상기 타 고정부재(B2)와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1 내지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F3) 또는 후면 프레임(F4)의 일 측에는 폴딩 힌지(H)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 힌지(H)에 의해 단일도어가 접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1 내지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힌지(H)는 전면 프레임(F3)의 전면에 힌지 축(Ha)이 배치된 다음 후면 프레임(F4)의 후면에 힌지 축(Ha)이 배치되고 그 다음 전면 프레임(F3)의 전면에 힌지 축(Ha)이 배치되는 교번적인 배치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교번적인 배치 구조를 통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도어 오픈 시 단일 도어가 모두 바깥 쪽(전면 쪽)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인테리어 소품을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는 소품 배치 단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로 요리 실습실에 대해 살펴보면, 경계 테이블은 실습 공간 중앙에 니은자 형태로 구비되어 취식자와 조리자의 경계를 만들게 되는데, 통상의 일식집과 같이 경계 테이블의 내측에는 조리자의 조리 공간이 배치되고, 경계 테이블의 외측에는 취식자의 취식 공간이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식 공간에는 실습 테이블 또한 경계 테이블의 바깥을 따라 니은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실습 테이블을 따라 의자 또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 테이블의 내측 공간에 해당하는 조리 공간에는 디귿자 형태로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다. 먼저 상기 조리 공간에는 경계 테이블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제1워크테이블 및 상기 제1워크테이블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워크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인테리어 소품은 상기 제1워크테이블, 상기 제2워크테이블 및 상기 제2워크테이블과 상기 경계 테이블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스시 컨베이어는 예외적으로 상기 경계 테이블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스시 컨베이어는 일식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시 컨베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가 보이지 않고 컨베이어 위에 자력의 힘에 의해 접시만 움직이는 제품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워크테이블의 정중앙에는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대의 하부에는 각 종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하부수납장이 구비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대를 기준으로 양 측에는 작업대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는 하부수납장이 구비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의 양 측에는 작업대 냉장고가 배치된다.
그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시 컨베이어의 후 측에는 스시 쇼케이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측은 취식 공간을 바라보는 측을 말하는 것이고, 후측은 실습 공간을 바라보는 측을 말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워크테이블은 후측으로 꺾이어진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꺾이어진 부분에 빙삭기가 구비된다. 여기서의 후측은 폴딩도어 반대 측을 말한다.
그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워크테이블의 일 단에 상부에 인덕션 렌지가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렌지의 바로 옆 내측으로 서랍식 낮은 냉장고가 구비된다. 여기서 서랍식이라고 함은 냉장고 문이 개방되는 형태가 서랍식임을 말하는데, 조리 시 필요한 식자재를 서랍에 분리 보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 낮은 냉장고의 바로 옆 내측으로는 콤비스팀오븐이 구비된다. 상기 콤비스팀오븐은 콤팩트한 제품으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테이블의 곳곳에 정수필터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4에 도시된 자리에 한정되지 않고, 더 편리한 자리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그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콤비스팀오븐 바로 옆 제2워크테이블의 내측으로 세정대가 구비된다. 상기 세정대는 하부에 하부 수납장을 구비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대를 기준으로 양 측에는 작업대 하부수납장이 구비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 낮은 냉장고의 상부에는 후라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라이어의 바로 옆 제2워크테이블의 내측으로는 전기식 살라만다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워크테이블의 최내측에는 테이블냉장고가 구비되며, 도 20 내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냉장고의 상부에는 반자동 커피머신이 구비되고, 상기 반자동 커피머신의 제2워크테이블 기준 외측방향으로의 옆에는 온수공급기, 커피그라인더, 넉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 및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워크테이블 및 상기 제2워크테이블 사이에는 제빙기 및 초저온 냉장고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프레임(F1) 또는 하부 프레임(F2)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섬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프레임 외면에 존재하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질소 산화물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먼지저감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상기 프레임 외면에 부착되는 프레임 시트에 침지시킴으로써 포함될 수 있겠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 12 중량부, 백금이온 0.3 중량부, 폴리페닐메틸실록산 12 중량부, 폴리디메톡시실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 5 중량부, 이소토 3.8 중량부, 탄산인회석 2 중량부, 칼슘인산염 0.1 중량부 및, 수산화인회석 0.1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 별로 살펴보면 상기 바인더로는 실리콘 알콕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하 기능성 첨가제의 각 조성물의 함량은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이산화티타늄의 전구체로, 후술할 백금 이온과 교반되어 이산화티타늄의 컨덕션 밴드와 밸런스 밴드 사이의 에너지 갭을 감소시킨 백금-이산화티타늄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백금-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활성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고, 활성상태에서 전자와 홀이 표면으로 이동해 각각 산소, 수산기와 결합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킴으로써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CH3)2CHO)2Ti(C5H7O2)2의 화학식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12 중량부가 포함되고, 1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좁은 에너지 밴드 간격을 형성하기 힘들다.
그 다음으로 백금이온은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와 교반되어 백금-이산화티타늄을 생성시키게 되며, 클로로백금산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교반 과정은 통상의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백금이온은 0.3 중량부가 포함되고, 0.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백금-이산화티타늄의 에너지 밴드 간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고,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 다음으로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은 상기한 백금-이산화티타늄과 교반되어 백금-이산화티타늄의 활성 상태를 억제시켜주는 물질로서 침지 시에 상기 백금-이산화티타늄이 다른 구성들을 급격하게 산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백금-이산화티타늄과 동일한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폴리디메톡시실란과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은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분해시켜주는 물질로 사용되는데, 백금-이산화티타늄과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교반시킨 이후에 첨가되며,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서서히 분해시키면서 활성 상태가 억제되었던 백금-이산화티타늄이 침지가 완료된 이후에 산화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디메톡시실란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은 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40 중량부,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의 분해 속도가 너무 느려져 백금-이산화티타늄의 산화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각각 40 중량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의 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져 백금-이산화티타늄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해 물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소토는 유화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고, 3.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8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화성을 증진시킬 수 없게 되고, 3.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제성 저하 및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탄산인회석, 칼슘인산염 및 수산화인회석은 산성 분위기에서 연화되거나 용해되는 물질들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상기 프레임 시트의 외면에 도포되는 산성 분위기를 갖는 산성 염료 등과 접촉하기 이전에는 상기 탄산인회석, 칼슘인산염 및 수산화인회석이 인간에게 유해한(눈 등에 들어갈 경우 강한 자극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소토를 감싸게 되어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산성 염료 등과 접촉된 이후에는 상기 탄산인회석, 칼슘인산염 및 수산화인회석이 연화되거나 분해되면서 상기 이소토의 유화안정성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산인회석은 2 중량부, 칼슘인산염은 0.1 중량부, 수산화인회석은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소토의 유해한 성질을 억제시키기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소토의 유화성 증진 효과를 얻기가 힘들게 된다. 물론 이 때 상기 프레임 시트에 사용되는 염료는 산성 염료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트랙
F1 : 상부 프레임 F2 : 하부 프레임
F3 : 전면 프레임 F4 : 후면 프레임
B : 고정부재 G : 가스켓

Claims (4)

  1. 인테리어 대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준비하는 인테리어 소품 준비 단계;
    제1구획 및 제2구획 사이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간 구획 단계; 및
    상기 인테리어 소품을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는 소품 배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도어는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트랙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단위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도어는 상기 단위도어의 상단부에 상부 프레임 및 하단부에 하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각각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롤러는 옆면이 상부와 하부를 바라보는 수평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롤러는 롤러의 옆면이 전면과 후면을 바라보는 수직 롤러 및 상기 수평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폴딩도어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윈도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는 틈새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 12 중량부, 백금이온 0.3 중량부, 폴리페닐메틸실록산 12 중량부, 폴리디메톡시실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 5 중량부, 이소토 3.8 중량부, 탄산인회석 2 중량부, 칼슘인산염 0.1 중량부 및, 수산화인회석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38133A 2020-10-23 2020-10-23 인테리어 시공방법 Active KR10225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133A KR102259698B1 (ko) 2020-10-23 2020-10-23 인테리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133A KR102259698B1 (ko) 2020-10-23 2020-10-23 인테리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698B1 true KR102259698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133A Active KR102259698B1 (ko) 2020-10-23 2020-10-23 인테리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32B1 (ko) * 2022-12-21 2023-07-03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설 Gmp 공장 시공방법
KR102558837B1 (ko) * 2022-11-29 2023-07-21 김종상 구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558833B1 (ko) * 2022-11-29 2023-07-24 김종상 인테리어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60A (ko) * 2013-04-05 2014-10-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벽 유닛을 이용한 공간 제어 시스템
KR101745399B1 (ko) * 2015-03-30 2017-06-12 (주)이지폴딩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60A (ko) * 2013-04-05 2014-10-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벽 유닛을 이용한 공간 제어 시스템
KR101745399B1 (ko) * 2015-03-30 2017-06-12 (주)이지폴딩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837B1 (ko) * 2022-11-29 2023-07-21 김종상 구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558833B1 (ko) * 2022-11-29 2023-07-24 김종상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550432B1 (ko) * 2022-12-21 2023-07-03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설 Gmp 공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69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JP2023055964A (ja) 壁面造作家具及び部屋構造
JP2015083755A (ja) 建物
JP3140203U (ja) 住宅
JP2024144714A (ja) 住宅
JP6444624B2 (ja) 建物
JP2017110470A (ja) 住宅
JP2023134001A (ja) 住宅
KR101764252B1 (ko)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 구조
JP2022115422A (ja) 住宅
JP7642897B1 (ja) 住戸
JP7488411B1 (ja) 住宅
JP2015081487A (ja) 住宅
JP6479312B2 (ja) 住宅
JP2015083754A (ja) 建物
Mahmoud A Vision to Achieve Minimalist: Negative Space in interior design by Using Hidden Furniture
CN212154272U (zh) 靠墙体的多功能包厢
JP2012067472A (ja) キッチン構造
JP2018071133A (ja) 間仕切収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玄関構造
JP2023149588A (ja) 住宅
JP2024087482A (ja) 住宅
Canepa Mechanization takes command, again
JPH0613996Y2 (ja) ドア構造
KR20250020960A (ko) 도시형 생활주택 구조
JP2014094066A (ja) 収納構造及び収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