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8436B1 -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 Google Patents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436B1
KR102258436B1 KR1020200115367A KR20200115367A KR102258436B1 KR 102258436 B1 KR102258436 B1 KR 102258436B1 KR 1020200115367 A KR1020200115367 A KR 1020200115367A KR 20200115367 A KR20200115367 A KR 20200115367A KR 102258436 B1 KR102258436 B1 KR 10225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specific button
pressed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운학
Original Assignee
임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운학 filed Critical 임운학
Priority to KR102020011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436B1/en
Priority to PCT/KR2021/001295 priority patent/WO20220550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3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which comprises a control unit operable with a manipulation panel, and controlling a sensor and a diode related to a plurality of buttons on the basis of user input in the buttons of the manipulation pan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nsity of current generated in the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constant current circuit connected to the sensor of a transmitting unit when an input voltage is changed since a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urface of a specific button among the buttons, controls devi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in the sensor by controlling an ADC voltage at a point where the diode and a resistor of a receiving unit ar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or more, and can determine that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escription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조작패널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 방법 및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ng method and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including an operation panel using a non-contact switch.

다수의 불특정인들이 엘리베이터의 외부와 내부에서 조작패널의 버튼을 터치함에 따라, 세균이나 병원균에 의한 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코로나, 신종플루, 메르스 등 바이러스성 병원균으로 인한 대책으로는 소독제 및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방역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As a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touch the buttons on the operation panel outside and inside the elevator, infection by bacteria or pathogens may occur. In this regar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viral pathogens such as corona, swine flu, and MERS, a method of quarantine using disinfectants and hand sanitizers can be considered.

하지만, 소독제 및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방역 방법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사용 중에는 일반 사용자 이외에 다른 관리인이 이러한 방역을 수행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quarantine method using a disinfectant and a hand sanitizer can be performed while the elevator is not in u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managers other than general users to perform such quarantine while using the elevator.

한편, 엘리베이터 버튼을 소독하는 방법으로 소독제 등을 뿌리거나 항균 필터를 별도로 부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항균 필터를 별도로 부착하여도 사용자가 일정 횟수 이상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효과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버튼에 소독제 등을 뿌리는 경우, 엘리베이터 버튼 내부로 소독제 등이 침투하여 버튼 스위치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루에 수백명 이상의 사람들이 버튼 스위치를 계속 누를 때마다 소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as a method of disinfecting elevator buttons, a method of spraying a disinfectant or the like or attaching an antibacterial filter may be considered. However, even if the antibacterial filter is separately attached, the effect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a certain time elapses. In addition, when disinfectant or the like is sprayed on the elevator button, the disinfectant may penetrate into the elevator button and damage the button switch.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re than a few hundred people a day cannot disinfect every time a button switch is pressed continuously.

한편,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버튼 및 엘리베이터 버튼의 온/오프와 연관된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1a (a)를 참조하면, 스위치가 내장된 엘리베이터 버튼 표면을 직접 접촉에 의해 눌러야 한다. 도 1a (b)과 같이, 엘리베이터 버튼 내부에 접촉 스위치(contact switch)가 내장되어 있어, 사람들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를 때마다 접촉을 해야 한다. 따라서, 여러 사람들이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접촉을 통해,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가 전파되거나 다른 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러 사람들이엘리베이터 버튼을 사용하여 누름으로서 스위치 표면이 바이러스로 오염되는 문제가 있어,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다수에 사람들 감염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FIG. 1A shows an elevator button and a switch associated with on/off of the elevator butt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a (a),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surface of the elevator button in which the switch is embedded by direct contact. As shown in Fig. 1a (b), a contact switch is built into the elevator button, so that people must make contact each time they press the elevator butt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virus such as COVID-19 may be spread or contaminated by other bacteria or the like through several people's contact to the elevator button.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of the switch is contaminated with a virus as several people press the elevator butt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people are infected by exposure to the corona viru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elevator using a non-contact switch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버튼만을 인식하고 인접한 다른 버튼에 대한 선택이 제한되는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in which only a specific button to be selected by a user is recognized and selection of other adjacent buttons is restrict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조작 패널과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패널의 복수의 버튼들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들과 연관된 센서 및 다이오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특정 버튼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물체가 근접하여 입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송신부의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정전류 회로를 통해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하고, 수신부의 상기 다이오드와 저항이 연결된 지점에서의 ADC 전압을 소정 비트 수 이상으로 제어하여, 상기 센서에서의 전류 세기 편차를 제어하고, 상기 ADC 전압이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may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operable with an operation panel and configured to control a sensor and a diode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buttons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operation pan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nsity of current generated by the sensor through a constant current circuit connected to the sensor of the transmitter within a certain range when an object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a specific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input voltage is changed. And, by controlling the ADC voltage at the point where the diode and the resistor of the receiver ar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or more, the current intensity deviation in the sensor is controlled, and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specifi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utton has been pres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와 연관된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includes an operation panel configured to control stopping of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utside or inside the elevator; And a driving unit that performs driving control associated with stopping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a result determined based on the user inpu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상기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의 하한보다 낮거나 상기 일정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상기 ADC 전압이 상기 하한 또는 상기 상한에서 벗어남을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된 지점에서의 ADC 전압이 다시 검출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ADC voltag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predetermined range or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predetermined range at the connected point of the receiving uni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ADC voltage deviates from the lower limit or the upper limit. The rece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an indicating first message and to detect the ADC voltage at the connected point aga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generates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C voltage has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he specific button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pressed, and th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based 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해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가 변경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면, 상기 ADC 전압이 정밀 제어되는 비트 수가 증가되도록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제2 ADC 전압을 다시 검출하고, 상기 제2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performs analog-to-digital conversion so that the number of bits at which the ADC voltage is precisely controlled is increased when the rate at which the current intensity generated by the sensor is changed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te. 2 The ADC voltage is detected again, and when the second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cond ADC voltage has reached a threshold voltage is genera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and th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based 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다른 버튼들이 눌려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주기인 CYCLE_TIME 값 및 상기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주기인 CHECK COUNT 값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nsor output for the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the controller sets a CYCLE_TIME value, which is a period for controlling other buttons not to be pressed, and a CHECK COUNT value, which is a period for detecting the sensor output, It may be initialized so that the sensor output for the plurality of buttons becomes 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가 상기 소정 시간보다 적은 제2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상기 CYCLE_TIME 값이 경과하면 상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is maintain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or output to the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when the CYCLE_TIME value elapses, the other It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상기 제2 소정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a LOW state for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the controller initializes the sensor output to be 0 and the specific button Whether or not the button is pressed can be determined aga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상기 제2 소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면, 상기 CYCLE_TIME 값에 따라 상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고 상기 CHECK COUNT 값에 해당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a LOW state for more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the control unit prevents the other button from being pressed according to the CYCLE_TIME value. When a time corresponding to the CHECK COUNT value elapses, the sensor output for the specific button may be initialized to be 0, and whether or not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may be determined aga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인 눌려지면 제1 자외선 LED 및 제2 자외선 LED가 각각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상기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가장 인접한 제3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which are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are pressed, the first ultraviolet LED and the second ultraviolet LED may be driven, respectively.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V LED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during UV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V LE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hird UV LED closest to the first UV LED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button.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perform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상기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고,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제4 버튼 주변으로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제4 버튼에 대응하는 제4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touch operation around a fourth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utton while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dur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ltraviolet LED. Then, by driving a fourth ultraviolet LED corresponding to the fourth button,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are perform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butt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 비접촉 스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인접한 경우 특정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at a specific button is selected when a user is adjacent to a non-contact switch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out directly pressing a specific butt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버튼만을 인식하고 인접한 다른 버튼에 대한 선택이 제한되는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in which only a specific button to be selected by a user is recognized and selection of other adjacent buttons is restricted.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버튼 및 엘리베이터 버튼의 온/오프와 연관된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티이터 버튼에서의 스위치와 LED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외부 조작 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내부 조작 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부 조작 패널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와 LED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 적외선 센서와 수신부 포토 다이오드와 다른 회로를 구비한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DC 전압 값 판독/검출에 따른 제어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의 닫힘/열립 버튼 및 업/다운 버튼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가 도달하는 층에 대응하는 숫자 버튼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인접 버튼 눌림 방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1A shows an elevator button and a switch associated with the on/off of the elevator butt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1B shows a switch and an LED in the elevator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vator external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Figure 2b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vator interi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nsor and an LED are operatively coupled to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shown in FIG. 1.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infrared sensor and a receiving unit photodiode and other circu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reading/detecting an ADC voltag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shows a close/open button and an up/down button of an elevator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shows the numeric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floor to which the elevator reache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pressing of an adjacent button in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n't.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Suffix modules, blocks, and parts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operating method and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와 관련하여,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에서의 스위치와 LED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버튼이 눌려져 스위치가 눌려지면, K1, K2가 도통되어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응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에 의해 K1, K2이 도통되면 D1에 연결된 LED를 통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regard, Figure 1b shows the switch and the LED in the elevator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A and 1B, when the elevator button is pressed and the switch is pressed, K1 and K2 are turned on, so tha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button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when K1 and K2 are conducted by the switch, light may be emitted through the LED connected to D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를 장착한 비접촉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외부 조작 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내부 조작 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에 구비되는 적외선 센서와 LED를 나타낸 것이다. Meanwhile, a non-contact elevator switch equipped with an optic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In this regard, Figure 2a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vator external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Figure 2b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vator interior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shows the infrared sensor and the LED provided in the elevator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외부 조작 패널(100)의 업 버튼(110a) 및 다운 버튼(110b)은 외부 조작 패널(100)의 바디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만큼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업 버튼(110a) 및 다운 버튼(110b)은 변경 전의 외부 조작 패널(100)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업 버튼(110a) 및 다운 버튼(110b)은 동일한 사이즈의 사출물로 외부 조작 패널(100)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up button 110a and the down button 110b of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10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ased on the body of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100. The up button 110a and the down button 110b may be configured to utilize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100 before the change. The up button 110a and the down button 110b may be molded products of the same size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100.

도 2b를 참조하면, 내부 조작 패널(200)의 열림 버튼(210a), 닫힘 버튼(210b) 및 정지할 층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튼들(220)은 내부 조작 패널(200) 바디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만큼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열림 버튼(210a), 닫힘 버튼(210b) 및 다수의 버튼들(220)은 변경 전의 내부 조작 패널(200)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림 버튼(210a), 닫힘 버튼(210b) 및 다수의 버튼들(220)은 동일한 사이즈의 사출물로 내부 조작 패널(200)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2B, the open button 210a, the close button 210b of the internal operation panel 200, and a plurality of buttons 220 corresponding to the layer to be stopped are predetermined based on the body of the internal operation panel 200. It can be arranged in the inner area by the interval. The open button 210a, the close button 210b, and the plurality of buttons 220 may be configured to utilize the internal operation panel 200 before the change. The open button 210a, the close button 210b, and the plurality of buttons 220 may be formed of the same sized injection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internal operation panel 200.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외부 조작 패널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와 LED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As described above, FIG.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nsor and an LED are operatively coupled to the external operation panel shown in FIGS. 2A and 2B. Meanwhile, FIG.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적외선 송수신 센서(120a)를 층별 버튼 옆에 별도 사출물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버튼들(110a, 110b, 210a, 210b, 220)을 소정 거리 (예: 1cm) 이내에서 소정 시간 (예: 0.5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해당 버튼이 눌려지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송수신 센서(120a)가 송신부를 구성하고, LED(130a)와 같은 포토 다이오드가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to 3, the infrared transmission/reception sensor 120a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injection material next to the button for each layer and attached thereto. In this regard, when each elevator button (110a, 110b, 210a, 210b, 220) is pres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cm)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the button is pressed.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infrared transceiving sensor 120a constitutes the transmitting unit, and a photodiode such as the LED 130a may constitute the receiving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송수신 광센서를 장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 (스위치) 표면에서 2cm 앞에 손이나 물체를 가까이 대면 동작하는 비접촉 엘리베이터 버튼 (스위치)를 이용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조작 패널(100, 200), 송신부(120), 수신부(13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구동부(410) 및 출력부(4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on-contact elevator button (switch) that operates when a hand or an object is placed 2 cm in front of the elevator button (switch) surface by mounting a transmission/reception optical sensor. 2 to 4,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panel 100 and 200, a transmission unit 120, a reception unit 130, and a control unit 300. In addition,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410 and an output unit 420.

구체적으로, 송신부(120)에서 송신한 신호가 엘리베이터 버튼 표면에서 2cm(조절가능) 앞에 근접한 손이나 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부(13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특정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제어부(300)에서 처리하여 구동부(410)를 거처 출력부(420)가 동작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에서는 ADC 변환을 통해 송수신 신호 세기 제어를 하고 또한 인접 버튼 누름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할 수 있다. 송수신 신호 세기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300) MCU의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로 송신 신호 세기 제어를 하여 엘리베이터 버튼과 사람이 너무 가까울경우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20 may receive a signal reflected from a hand or object that is 2 cm (adjustable) in front of the elevator button surface, at the receiver 130. By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30, the control unit 300 processes whether or not a corresponding specific button is pressed, and the output unit 420 operates through the driving unit 410, so that a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button. hav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strength of a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through ADC conversion and may also perform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pressing of an adjacent button. Regard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strength control,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with the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of the MCU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incorrectly when the elevator button is too close to a person.

적외선 송신부 및 수신부 PHODE DIODE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저항을 사용하여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적외선 LED 송신 및 PHODE DIODE 수신 시, 신호 세기 편차가 많아 1-2cm 거리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각의 송수신 정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입력 정전압을 사용하더라도 전압 값이 조금이라도 변동하면 적외선 송신부에서의 송신되는 신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거리가 기준이 2cm라면 어떤 경우는 1cm, 어떤 경우는 3cm에서 동작하여 사람이 엘리베이터 버튼 근처에 가면 버튼이 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receiver PHODE DIODE,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adjusted by using a resistor. When transmitting an infrared LED and receiving a PHODE DIODE, it may be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order to operate at a distance of 1-2cm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Also, even if the input constant voltage is used, if the voltage value changes even a little, the signal value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may change. For example, if the operating distance is 2cm, the operation distance is 1cm in some cases and 3cm in some c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tton is pressed when a person goes near the elevator button.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에서, 송신부(120)는 입력전압이 변동되어도 정전류 방식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정밀한 전류 값을 갖도록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0)는 CPU ADC 에서 수신 전압값을 10비트(256단계)로 정밀 제어하여 적외선 센서의 송수신 세기의 편차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조작 버튼의 눌림 인식을 1-2cm 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사용자의 손과 버튼과의 거리에 따라 버튼이 눌려지고 안 눌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levator operation method using the non-contac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unit 120 can generate a current to stably have a precise current value by using a constant current method even if the input voltage is fluctuated.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30 has the advantag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received voltage value in the CPU ADC in 10 bits (256 steps) to adjust the deviation of the transmit/receive strength of the infrared sensor, respectively. Also. Since the elevator operation button can be freely adjusted for each 1-2 cm,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utton is pressed or not pres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hand and the button,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 적외선 센서와 수신부 포토 다이오드와 다른 회로를 구비한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전술한 기술적 특징 및 구성과 도 2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조작 패널(100, 200), 제어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C)를 수행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 ADC, 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ADC(3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버튼 입력 인식 및 제어를 수행하는 CPU(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DC(310)와 CPU(320)를 포함하는 제어부(300)는 micro control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regard, 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infrared sensor, a receiving unit photodiode, and anothe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s and configurations and Figs. 2A to 5,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panel 100 and 200, a control unit 300 and a driving unit 400. Meanwhile, the controller 300 may include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310 that performs analog digital conversion (ADC).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CPU 320 that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ADC 310 and performs elevator button input recognition and control. Here, the controller 300 including the ADC 310 and the CPU 32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control unit (MCU).

조작 패널(100, 200)은 엘리베이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조작 패널(100, 200)과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조작 패널(100, 200)의 복수의 버튼들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버튼들과 연관된 센서(120a) 및 다이오드(130a)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1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와 연관된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operation panels 100 and 2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topping of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outside or inside the elevator. The controller 300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with the operation panels 100 and 200, an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operation panels 100 and 200, a sensor 120a and a diode ( 130a). Meanwhile, the driving unit 410 may perform driving control associated with stopping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a result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제어부(300)는 복수의 버튼들 중 특정 버튼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물체가 근접하여 입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전류 세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입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송신부(120)의 센서(120a)에 연결된 정전류 회로(120b)를 통해 센서(120a)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he current intensity within a certain range when an object approaches a specific button surfac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input voltage is changed. Specifically, when the input voltage is changed, the controller 300 can control the current intensity generated by the sensor 120a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0b connected to the sensor 120a of the transmitter 120. have.

한편, 제어부(300)는 수신부(130)의 다이오드(130b)와 저항(130b)이 연결된 지점에서의 ADC 전압을 소정 비트 수 이상으로 제어하여, 센서(120a)에서의 전류 세기 편차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ADC 전압이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DC voltage at the point where the diode 130b and the resistor 130b of the receiver 130 ar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or more, thereby controlling the current intensity deviation in the sensor 120a. have. Accordingly,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ler 300 may determine that a specific button has been pressed.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DC 전압 값 판독/검출에 따른 제어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ADC 전압 값 판독/검출 과정(S110)을 수행하여,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 또는 임계 전압(V_th)에서 소정 범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 또는 임계 전압(V_th)에서 소정 범위 이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ADC 전압 =V_th’임을 출력하는 제2 메시지 생성 및 출력 과정(S150)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regard, FIG. 6 shows a flowchart of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reading/detecting an ADC voltag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DC voltage reaches a threshold voltage V_th or a threshold voltage V_t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performing the ADC voltage reading/detecting process S110 (S120). In this reg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DC voltage has reach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threshold voltage (V_th) or the threshold voltage (V_th), a second message generating and outputting process (S150) that outputs “ADC voltage = V_th” is performed. I can.

한편,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 또는 임계 전압(V_th)에서 소정 범위 이내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130)할 수 있다.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ADC 전압 > V_th’임을 출력하는 제1 메시지 생성 및 출력 과정(S140a)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ADC 전압이 임계 전압(V_th) 미만으로 임계 전압(V_th)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DC 전압 < V_th’임을 출력하는 제1 메시지 생성 및 출력 과정(S140b)임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ADC voltage has not reach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threshold voltage V_th or the threshold voltage V_th,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DC voltage exceeds the threshold voltage V_th (S1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DC voltage exceeds the threshold voltage V_th, a first message generating and outputting process (S140a) for outputting “ADC voltage> V_th”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C voltag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oltage V_th and has not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V_th, a first message generating and outputting process (S140b) for outputting “ADC voltage <V_th” may be performed. .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수신부(130)의 연결된 지점에서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의 하한보다 낮거나 상기 일정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ADC 전압이 하한 또는 상한에서 벗어남을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30)의 연결된 지점은 다이오드(130a)와 저항(130b)이 연결된 지점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ADC 전압이 일정 범위에서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에 기반하여 구동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2A to 6, when the ADC voltag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certain range or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certain range at the point where the receiver 130 is connected, the ADC voltage deviates from the lower limit or the upper limi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a first message indicating to.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ceiving unit 130 means a point where the diode 130a and the resistor 130b are connected. Meanwhile,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a certain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ler 300 may generate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C voltage has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and determine that a specific button has been pressed.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410 based 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button.

한편, 본 발명에서 ADC 전압이 정밀 제어되는 비트 수를 조절하여 특정 버튼 터치 여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버튼 및/또는 인접한 버튼에 대한 사용자가 의도한 근접 터치 입력인지 또는 의도하지 않은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300)는 정전류 회로를 통해 센서(130b)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가 변경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면, ADC 전압이 정밀 제어되는 비트 수가 증가되도록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제2 ADC 전압을 다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2 ADC 전압이 일정 범위에서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whether or not a specific button is touch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bits for which the ADC voltage is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ntended proximity touch input to a specific button and/or an adjacent button or an unintended operation.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300 performs analog-to-digital conversion so that the number of bits at which the ADC voltage is precisely controlled is increased when the rate at which the current intensity generated by the sensor 130b is changed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2 ADC voltage can be detected again.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0 generates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cond ADC voltage has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second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a certain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It can be judged a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과 연관된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과 연관된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터치가 인식되기 이전에 다른 인접한 버튼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검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a method of determining a proximity touch input for a specific button related to an elevato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that an unintended operation of another adjacent button is not detected before a proximity touch to a specific button associated with an elevator operation is recogniz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와 관련하여,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의 닫힘/열립 버튼 및 업/다운 버튼을 나타낸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가 도달하는 층에 대응하는 숫자 버튼을 나타낸다. In this regard, Fig. 7A shows a close/open button and an up/down button of an elevator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FIG. 7B shows numeric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floors to which the elevator reache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1) 닫힘버튼을 한번 누르면 닫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2) 열림버튼을 한번 누르면 열림 동작이 수행되고 열림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열림 상태가 유지된다. 3) 업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승강 동작이 수행되고, UP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4) 다운 버튼을 한 번 누르면 하강 동작이 수행되고 계속 누르고 있으면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5) 숫자버튼을 한 번 누르면 해당 숫자에 대응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한 번 더 누르면 해당 층으로의 이동이 취소된다.7A and 7B, 1) a clo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closing button once. 2) If you press the open button once, the open operation is performed, and if you keep pressing the open button, the open state is maintained. 3) If the UP button is pressed onc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f the UP button is kept pressed, the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4) If you press the down button once, the descent operation is performed, and if you keep pressing it, the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5) If you press the number button once, the elevator moves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if you press it again, the movement to the floor is canceled.

이와 관련하여, 1) 엘리베이터 버튼은 버튼들이 인접해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층수 버튼을 (손가락이나 물체로) 누를 때 다른 층 버튼이 눌려지는 문제점이 잇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 적외선 센서 출력이 1초 동안 LOW 상태이면, 적외선 센서 출력을 0.1초 ON(100ms)이후 바로 OFF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이 OFF된 적외선 센서에 대응하는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란 광으로부터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중에 다른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1) elevator button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desired floor number button (with a finger or an object) because the butt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other floor button is pressed. To solve this problem, 2) If the infrared sensor output is in a low state for 1 second, the infrared sensor output can be turned off immediately after 0.1 second ON (100 m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infrared sensor whose output is turned off from being pressed, and also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from disturbing ligh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buttons from being pressed dur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button has a proximity touc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특정 버튼에 인접한 인접 버튼 눌림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비접촉 방식 엘리베이터 버튼은 버튼들이 인접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층수 버튼을 누를 때(손가락이나 물체에 의해) 다른 버튼이 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누를 때 사람마다 버튼을 누르는 습관 및 형태가 달라 아래 및 옆 버튼이 눌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좁은 엘리베이터 공간 내에 많은 사람들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버튼에 너무 가까이 있어 의도하지 않는 버튼이 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a method for preventing pressing of adjacent buttons adjacent to a specific butt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reg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ther buttons are pressed when the user presses the desired floor number button (by a finger or an object) because buttons are adjacent to the elevator button of the non-contact type. For example, when pressing a button with a finger, the habit and form of pressing a button are different for each person, so that the lower and the side buttons may be press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many people in a narrow elevator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too close to the button and an unintended button is pres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접촉 엘리베이터 버튼의 인접 거리(1-2cm)에서 손 또는 물체를 가까이 근접시키면, 해당 버튼을 바로 동작하지 않고 일정 시간 (0.1초-1초)동안 대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인접 거리에서 특정 버튼을 가까이 대고 있으면 동작하고, 만약 숫자버튼이 2초 이상 눌려져 사람이 가까이에 있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버튼 눌림 인식 과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 하편, 열림, 업 및 다운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해당 버튼에 따라 동작하고 일정시간 이후에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인접 버튼 눌림 방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접 버튼 눌림 방지 방법은 제어 변수 설정 과정(S210), 적외선 출력 초기화 과정(S220), 출력 시간 판단 과정(S230, S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 버튼 눌림 방지 방법은 제1 및 제2 제어 동작 과정(S250a, 250b) 및 눌림 방지 제어 동작 과정(S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hand or an object is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t a distance (1-2cm) of the non-contact elevator button, it is necessary to wa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0.1 second -1 second) without operating the button immediately. In this case, it operates when a specific button is placed close to each other at a nearby distance, and if a number button is pressed for 2 seconds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s nearby and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button press recognition process can be initialized. If you press and hold the lower, open, up and down buttons,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itial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is regard, FIG. 8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pressing of an adjacent button in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adjacent button from being pressed may include a control variable setting process (S210), an infrared output initialization process (S220), and an output time determination process (S230, S240). In addition, the method of preventing pressing of an adjacent button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ntrol operation processes S250a and 250b and a depression prevention control operation process S260.

제어 변수 설정 과정(S210)에서,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다른 버튼들이 눌려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주기인 CYCLE_TIME 값 및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주기인 CHECK COUN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CYCLE_TIME 값 =100ms, CHECK COUNT 값 = 10ms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출력 초기화 과정(S220)에서, 복수의 버튼들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출력 = 0(초기화)이 되도록 설정하고, 적외선 출력 Count = 0(초기화)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e control variable setting process (S210), when a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a CYCLE_TIME value, which is a period for controlling other buttons to be pressed, and a CHECK COUNT value, which is a period for detecting sensor output, may be set. For example, a CYCLE_TIME value = 100ms, a CHECK COUNT value = 10ms may be se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infrared output initialization process (S220), the sensor output for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be initialized to be zero. For example, it may be set so that infrared output = 0 (initialization), and infrared output Count = 0 (initialization).

출력 시간 판단 과정(S230)에서,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제2 소정 시간, 예컨대 1초 동안 유지되는 경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S260)할 수 있다. 일 예로, CYCLE_TIME 값이 경과하면 상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S260)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put time (S230), when the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held in the LOW state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the other button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S260). For example, when the CYCLE_TIME value elapses,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prevent the other button from being pressed (S260).

출력 시간 판단 과정(S240)에서,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제2 소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의 유지가 제2 소정 시간 미만이면, 제1 제어 동작 과정(S250a)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동작 과정(S250a)에서, 센서 출력의 LOW 상태가 1초 이상 또는 초과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전달하고,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S220)하고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S230)할 수 있다. 반면에,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의 유지가 제2 소정 시간 미만이면, 제2제어 동작 과정(S250b)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제어 동작 과정(S250b)에서, 센서 출력의 LOW 상태가 1초 미만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전달하고,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S220)하고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S230)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put time (S24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the LOW state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When the maintenance of the sensor output in the LOW stat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control operation process S250a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control operation process (S250a),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W state of the sensor output is 1 second or longer or exceeds is output/transmitted, and the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initialized to 0 (S220), and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Whether or not it may be determined again (S2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tenance of the sensor output in the LOW stat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process S250b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control operation process (S250b),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W state of the sensor output is less than 1 second is output/transmitted, and the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initialized to be 0 (S220), and whether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is determined. It can be determined again (S230).

전술한 기술적 특징과 관련하여, 도 2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다른 버튼들이 눌려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주기인 CYCLE_TIME 값 및 상기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주기인 CHECK COUN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복수의 버튼들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Regard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 referring to FIGS. 2A to 8, the controller 300 may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s. When the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the controller 300 may set a CYCLE_TIME value, which is a period for controlling other buttons not to be pressed, and a CHECK COUNT value, which is a period for detecting the sensor output.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0 may initialize so that sensor outputs for a plurality of buttons become 0.

한편,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가 소정 시간보다 적은 제2 소정 시간동안 유지되어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CYCLE_TIME 값이 경과하면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is maintain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or output to the specific button is in the LOW state,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o prevent other buttons from being pressed. For example, when the sensor output for a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o prevent other buttons from being pressed when the CYCLE_TIME value elapses.

한편,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제2 소정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면,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300)는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제2 소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면,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면서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제2 소정 시간을 초과하고 CHECK COUNT 값에 해당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a LOW state for less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oximity state to a specific button, the control unit 300 initializes the sensor output to be 0 and whether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Can be judged again. On the other hand, if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the LOW state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to a specific button, the controller 300 may re-determine whether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while preventing other buttons from being pressed. I can. In this case, when the sensor output exceeds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n the LOW state and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CHECK COUNT value elapses, the controller 300 initializes the sensor output to 0 for a specific button and presses the specific button. You can judge again whether or not.

도 2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버튼들 중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인 눌려지면 제1 자외선 LED 및 제2 자외선 LED가 각각 구동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300)는 제1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인접한 버튼에 대한 인식 과정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300)는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면, 인접한 버튼에 대한 버튼에 대한 인식 과정은 비활성화하면서도 자외선 LED를 구동할 수는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1 자외선 LED에 가장 인접한 제3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to 8, it may be assumed that when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re pressed, the first ultraviolet LED and the second ultraviolet LED are respectively driven. In this reg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utton is pressed, the controller 300 may perform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using the first ultraviolet LED. The control unit 300 may deactivate a process of recognizing an adjacent button dur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ltraviolet LED. However,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V LED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during UV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V LED, the control unit 300 can drive the UV LED while deactiv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button for an adjacent button.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V LED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he UV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o be per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button by driving the third UV LED closest to the first UV LED. .

또한, 제어부(300)는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고, 제1 버튼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제4 버튼 주변으로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이를 고려하여 외선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고, 제1 버튼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제4 버튼 주변으로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제4 버튼에 대응하는 제4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dur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ltraviolet LED, and a touch operation is received around the fourth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utton, the controller 300 takes this into account. Extern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00 drives the fourth ultraviolet LED corresponding to the fourth button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a touch operation is received around the fourth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utton.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performed in an area around the first button.

이상에서는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using a non-contact 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Looking at the techn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 비접촉 스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인접한 경우 특정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at a specific button is selected when a user is adjacent to a non-contact switch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out directly pressing a specific butt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버튼만을 인식하고 인접한 다른 버튼에 대한 선택이 제한되는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in which only a specific button to be selected by a user is recognized and selection of other adjacent buttons is restricted.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및 파라미터 최적화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not only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design and parameter optimization for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oftware module.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with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and executed by a controller or a processor.

Claims (10)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패널;
상기 조작 패널과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패널의 복수의 버튼들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들과 연관된 센서 및 다이오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지 및 도어 개폐와 연관된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특정 버튼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물체가 근접하여 입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송신부의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정전류 회로를 통해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하고,
수신부의 상기 다이오드와 저항이 연결된 지점에서의 ADC 전압을 소정 비트 수 이상으로 제어하여, 상기 센서에서의 전류 세기 편차를 제어하고,
상기 ADC 전압이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수신부의 상기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의 하한보다 낮거나 상기 일정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상기 ADC 전압이 상기 하한 또는 상기 상한에서 벗어남을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된 지점에서의 ADC 전압이 다시 검출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In the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An operation panel configured to control stopping of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utside or inside the elevator;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operable with the operation panel and configured to control sensors and diodes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buttons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operation panel; And
In accordance with a result determined based on the user input,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erforms driving control associated with stopping the elevat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control unit,
When the input voltage is changed due to the proximity of an o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a specific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the intensity of current generated by the sensor is controlled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a constant current circuit connected to the sensor of the transmitter,
By controlling the ADC voltage at the point where the diode and the resistor are connected to the receiver to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the current intensity deviation in the sensor is controlled,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button has been pressed,
When the ADC voltage at the connected point of the receiver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predetermined range or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predetermined range, a firs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C voltage deviates from the lower limit or the upper limit is generated, and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o control the receiver so that the ADC voltage at the connected point is detected agai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C voltage has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is genera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button has been pressed,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unit based 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해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류 세기가 변경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면, 상기 ADC 전압이 정밀 제어되는 비트 수가 증가되도록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제2 ADC 전압을 다시 검출하고,
상기 제2 ADC 전압이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임계 전압이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ADC 전압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rate at which the current intensity generated by the sensor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is chang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tio, analog-to-digital conversion is performed so that the number of bits at which the ADC voltage is precisely controlled is increased, and the second ADC voltage is detected again,
When the second ADC voltage is maintained above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 secon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cond ADC voltage has reached the threshold voltage is genera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button has been pressed. ,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unit based 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다른 버튼들이 눌려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주기인 CYCLE_TIME 값 및 상기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주기인 CHECK COUNT 값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or output for the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set a CYCLE_TIME value, which is a period for controlling other buttons not to be pressed, and a CHECK COUNT value, which is a period for detecting the sensor output,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hat initializes so that sensor outputs for the plurality of buttons become zero.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가 상기 소정 시간보다 적은 제2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상기 CYCLE_TIME 값이 경과하면 상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is maintain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or output to the specific button is in a LOW state, when the CYCLE_TIME value elapses, the other button is controlled to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상기 제2 소정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a LOW state for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hat initializes so that the sensor output for the specific button becomes 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agai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근접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 출력이 LOW 상태로 상기 제2 소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면,
상기 CYCLE_TIME 값에 따라 상기 다른 버튼의 눌려짐이 방지되고 상기 CHECK COUNT 값에 해당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센서 출력이 0이 되도록 초기화하고 상기 특정 버튼에 대한 눌림 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or output is kept in a LOW state for more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to the specific button,
When the other button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according to the CYCLE_TIME value and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CHECK COUNT value elapses, the sensor output for the specific button is initialized to 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pecific button is pressed again. ,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인 눌려지면 제1 자외선 LED 및 제2 자외선 LED가 각각 구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상기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가장 인접한 제3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re pressed, the first ultraviolet LED and the second ultraviolet LED are respectively driven,
The control unit,
Dur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ltraviolet LED,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third ultraviolet LED closest to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driven to sterilize ultraviolet light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button, and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to control disinfec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외선 LED에 의해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중 상기 제1 자외선 LED의 광량이 임계치 이하이고,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제4 버튼 주변으로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제4 버튼에 대응하는 제4 자외선 LED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버튼의 주변 영역으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비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Dur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the first ultraviolet LED, when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ultraviolet L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nd a touch operation is received around a fourth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button A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a non-contact switch for controll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o be perform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button by driving a fourth ultraviolet LED.

KR1020200115367A 2020-09-09 2020-09-09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Active KR102258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67A KR102258436B1 (en) 2020-09-09 2020-09-09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PCT/KR2021/001295 WO2022055052A1 (en) 2020-09-09 2021-02-01 Elevator operating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67A KR102258436B1 (en) 2020-09-09 2020-09-09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436B1 true KR102258436B1 (en) 2021-05-28

Family

ID=7614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67A Active KR102258436B1 (en) 2020-09-09 2020-09-09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8436B1 (en)
WO (1) WO2022055052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764A (en) * 2010-03-25 2011-10-04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oximity Sensor Using Light Sensor
KR20170136176A (en) * 2016-06-01 2017-12-11 이원준 Non contact Sensor for Elevator butt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157U (en) * 2007-05-02 2008-11-06 이찬봉 Button sterilizer
KR20110076679A (en) * 2009-12-29 2011-07-06 (주)서우기전 Non-Contact Switch for Elevator
JP7151032B2 (en) * 2020-05-29 2022-10-1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764A (en) * 2010-03-25 2011-10-04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oximity Sensor Using Light Sensor
KR20170136176A (en) * 2016-06-01 2017-12-11 이원준 Non contact Sensor for Elevator bu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52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40758A1 (e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6161655A (en) Non-contact elevator call button
CN100401216C (en) electrical instrument
KR102258436B1 (en) Elevator oper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switch
CN112093603A (en) Call disinfection device based on non-contact elevator
KR20080005157U (en) Button sterilizer
KR20110076679A (en) Non-Contact Switch for Elevator
US11464880B2 (en) Door handle disinfection system
US96714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proximity detection with multiple field of views
KR200494735Y1 (en) Sensor lamp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KR20220142116A (en) Button device that can use both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simultaneously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102301283B1 (en) UV steriliz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2707231B1 (en)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and method
KR20100116314A (en) Capacitive touch sensor use in proximity sensor
KR102715835B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KR102293931B1 (en) Button device that can use both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simultaneously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20220132953A (en) Non-contact button for elevator
KR102369650B1 (en) Non-contact button
US12005151B2 (en) Antimicrobial smartphone flashlight
KR20230020317A (en) Non-contact switch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CN113896064A (en) Touch-free elevator controls
JP2006338930A (en) Proximity switch device and lighting control system
KR102275322B1 (en) Hand door having sterilizing functions
EP4029525A1 (en) Use of at least one color radiation source in a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