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6327B1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27B1
KR102256327B1 KR1020150100156A KR20150100156A KR102256327B1 KR 102256327 B1 KR102256327 B1 KR 102256327B1 KR 1020150100156 A KR1020150100156 A KR 1020150100156A KR 20150100156 A KR20150100156 A KR 20150100156A KR 102256327 B1 KR102256327 B1 KR 10225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member
shell
plug connector
plug
fa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955A (ko
Inventor
김형준
카즈노리 이치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되어, 각각 플러그 단자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제1 쉘 부재 및 제2 쉘 부재; 및 제1 쉘 부재와 제2 쉘 부재를 연결하는 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쉘 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제1 쉘 부재는, 제1 쉘 부재 상에, 제2 쉘 부재와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쉘 부재의 변형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접속단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금속 소재의 쉘(shell)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단자들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보유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상기 쉘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64625호는 절연체의 단자 지지부에 배열되는 제1 접점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시한다.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 내로 플러그 커넥터가 특정한 방향을 가지고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들은 접점의 위치를 확인한 후 삽입해야 함으로써 그 접촉 동작이 매우 번거롭다.
한편. 커넥터는 금속 부재의 쉘 부재를 사용하여, 내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접속단자들 및 인슐레이터를 보호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비교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는 쉘 영역과 미삽입되는 쉘 영역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수시로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삽입과 이탈이 반복되므로, 삽입되는 쉘 영역과 미삽입되는 쉘 영역간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에 배치된 인슐레이터는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접속단자들은 배열이 흐트러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커넥터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삽입 방항과 상관없이 양방향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반복적인 삽입과 이탈 후에도, 쉘 부재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되어, 각각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제1 쉘 부재 및 제2 쉘 부재; 및 상기 제1 쉘 부재와 제2 쉘 부재를 연결하는 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 상에, 상기 제2 쉘 부재와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와 상기 대향면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쉘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쉘 연결 부재가 배치된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각각은 상기 상면 및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는, 상기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및 하면은 평면이고, 상기 측면은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쉘 부재, 상기 쉘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제1 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몰드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제2 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몰드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몰드는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쉘 부재와 상기 쉘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복수 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자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체결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각각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몰드체; 상기 제1 몰드체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제1 쉘 부재; 상기 제2 몰드체를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싸되, 상기 제2 몰드체의 하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쉘 부재; 상기 제1 쉘 부재와 제2 쉘 부재를 연결하는 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 상에, 상기 제2 몰드체와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체와 상기 대향면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몰드체와 상기 제2 몰드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쉘 부재와 상기 쉘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쉘 부재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삽입 방향과 상관없이 양방향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들의 신속한 접촉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쉘 부재의 변형 방지 구조를 포함하므로, 반복적인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삽입과 이탈 후에도, 쉘 부재의 뒤틀림을 포함하는 변형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 영역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 영역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면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은 제1 쉘 부재(10), 쉘 연결 부재(20) 및 제2 쉘 부재(30)를 포함한다.
제1 쉘 부재(10)은 제1 상면(11), 제1 측면(13), 제1 하면(15),제1 볼록부(40) 및 제1 전면부(10a) 및 제1 후면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11) 및 제1 하면(15)는 제1 측면(13)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면(11) 및 제1 하면(15)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측면(13)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상면(11), 제1 측면(13) 및 제1 하면(15)은 모두 평면을 포함하거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 부재(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바라보는 제1 전면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쉘 부재(10)는 제2 쉘 부재(30)를 바라보는 제1 후면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부(10a)와 상기 제1 후면부(10b)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부(10a)는 점선 A-A를 통해, 상하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점선 A-A는 상기 제1 전면부(10a)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쉘 부재(10)의 제1 전면부(10a)는 중심선(A-A)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선 대칭 또는 거울 대칭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하는 방향과 상관없이 체결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다는 의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11)이 상면인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이 가능한 경우는 물론, 제1 하면(15)이 상면이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이 가능한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쉘 부재(10)은 제1 볼록부(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록부(40)은 제3 방향(Z1)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볼록부(40)는 제2 쉘 부재(30과 마주보는 제1 대향면(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록부(40)가 포함하는 제1 대향면(40a)는 제1 쉘 부재(10)이 포함하는 제1 후면부(10b)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볼록부(40)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상면(1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11)의 제2 쉘 부재(30)와 가장 가까운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면부(10b)는 제1 대향면(4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쉘 부재(10)의 제1 상면(11)의 제1 후면부(10b)는 제1 대향면(40a)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대향면(40a)과 제2 쉘 부재(30)는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정 마진을 고려하여, 제1 대향면(40a)과 제2 쉘 부재(30)는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쉘 부재(10)는 제1 몰드체(1)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제1 몰드체(1)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상면(11)과 대응하는 상면, 제1 하면(15)과 대응하는 하면 및 제1 측면(13)과 대응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드체(1)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상에는 각각 이와 대응하는, 제1 상면(11), 제1 하면(15) 및 제1 측면(13)이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러그 커넥터(1) 내부에는 플러그 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는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는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측 말단과, PCB 기판과 접촉하는 타측 말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상기 일측 말단을 포함하는 전방 영역은 제1 쉘 부재(10)가 감쌀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단자의 상기 타측 말단을 포함하는 후방 영역은 제2 쉘 부재(30)가 감쌀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쉘 부재(30)은 제2 상면(31), 제2 측면(33) 및 제2 하면(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면(31)과 제2 하면(35)은 제2 측면(33)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쉘 부재(30)은 제1 쉘 부재(10)의 상기 제1 후면부(10b)와 마주보는 제2 전면부와 상기 제2 전면부와 대향하는 제1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쉘 부재(30)의 상기 제2 전면부는 상면 지지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지지부(31a)는 제1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면 지지부(31a)는 제1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와 접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정 마진을 고려하여, 상면 지지부(31a)는 제1 대향면(40a)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 지지부(31a)와 제1 대향면(40a)의 접촉을 이용하여,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쉘 부재(30)은 제2 몰드체(3)을 감쌀 수 있다. 제2 몰드체(3)은 제2 쉘 부재(30)의 제2 상면(31)과 대응하는 상면, 제2 하면(35)과 대응하는 하면 및 제2 측면(33)과 대응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몰드체(3)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상에는, 각각 이와 대응하는 제2 상면(31), 제2 하면(35) 및 제2 측면(3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쉘 부재(30) 및 제2 몰드체(3)은 상술한 플러그 단자의 상기 후방 영역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는 각각 상기 플러그 단자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감쌀 수 있다.
제1 몰드체(1) 및 제2 몰드체(3)는 모두 절연체일 수 있다.
한편,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은 제2 몰드체(3)와 마주볼 수 있으며, 제2 몰드체(3)와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은 쉘 연결 부재(2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쉘 연결 부재(20)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상면(11)에서 연장되어, 제2 쉘 부재(30)의 제2 상면(31)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쉘 연결 부재(20)는 다양한 지점에서 제1 쉘 부재(10)과 제2 쉘 부재(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쉘 연결 부재(20)는 볼록부(40)를 중심으로 우측에 배치된 제1 연결 부재와, 좌측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쉘 부재(10), 제2 쉘 부재(30) 및 쉘 연결 부재(20)는 제1 방향(X1)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쉘 부재(10), 제2 쉘 부재(30) 및 쉘 연결 부재(20)는 동일한 금속성 물질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쉘 부재(10), 제2 쉘 부재(30) 및 쉘 연결 부재(20)는 하나의 금속판을 이용한 프레싱 공정 및 벤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1)의 제1 쉘 부재(10)은 제1 하면(15) 상에 배치된 제2 볼록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록부(50)은 제3 방향(Z1)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볼록부(50)은 제2 대향면(5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대향면(50a)과 제2 쉘 부재(30)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볼록부(50)가 포함하는 제2 대향면(50a)는 제1 쉘 부재(10)이 포함하는 제1 후면부(10b)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을 참조하면, 제2 볼록부(50)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하면(15)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면(15)의 제2 쉘 부재(30)와 가장 가까운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면부(10b)는 제2 대향면(5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쉘 부재(10)의 제1 하면(15)의 제1 후면부(10b)는 제1 대향면(40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쉘 부재(30)이 포함하는 제2 하면(35)은 상기 제2 전면부에 하면 지지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향면(50a)과 하면 지지부(35a)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대향면(50a)과 하면 지지부(35a) 간의 접촉을 통하여, 제1 쉘 부재(10) 및 제2 쉘 부대(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제2 볼록부(50)는 복 수개 일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볼록부(50)는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어,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간의 좌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중심선 B-B 상에 제1 볼록부(40)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와 상면 지지부(31a)가 서로 바라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대향면(40a)과 상면 지지부(31a) 간의 접촉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대향면(40a)과 상면 지지부(31a)는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중심선 B-B를 기준으로, 두 개의 제2 볼록부(50)가 대칭되어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볼록부(50)의 제2 대향면(50a)와 하면 지지부(35a)가 서로 바라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대향면(50a)과 하면 지지부(35a) 간의 접촉이 발생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대향면(50a)과 하면 지지부(35a)는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좌우 방향의 변형(이하, 좌우 변형)이 일어난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5a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을 중심으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면을 중심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변형 각도 및 변형의 정도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쉘 부재(10)의 전면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좌우 변형이 일아나는 경우에, 제1 돌출부(40)가 제2 쉘 부재(30)과 접촉하여 좌우 변형을 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40)은 좌우 변형 시에, a 지점에서 제2 쉘 부재(3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40)는 제2 몰드체(3)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50)가 제2 쉘 부재(30과 접촉하여 좌우 변형을 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50)는 좌우 변형 시에, b 지점에서 제2 쉘 부재(3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50)는 제2 몰드체(3)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a와 도 5b에선,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의 정도가 서로 유사한 걸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b의 경우에 있어서, 제2 돌출부(50)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4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1 측면(13)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출부(50)는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 시에, 제1 돌출부(40)보다 먼저 제2 쉘 부재(30)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돌출부(50)는 좌우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하 방향의 변형(이하, 상하 변형)이 일어난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6a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 방향의 변형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6b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 방향의 변형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변형 각도 및 변형의 정도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쉘 부재(10)가 상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제1 쉘 부재(10)의 제1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과 상면 지지부(31a)가 접촉하여,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상하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볼록부(40)의 제1 대향면(40a)과 제2 몰드체(3)가 접촉하여,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상하 변형이 저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쉘 부재(10)가 하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제1 쉘 부재(10)의 제2 볼록부(50)의 제2 대향면(50a)과 하면 지지부(35a)가 접촉하여,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상하 변형은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볼록부(40)의 제2 대향면(50a)과 제2 몰드체(3)가 접촉하여,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상하 변형이 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상면(11)에 배치된 제1 볼록부(40)와 제1 하면(15) 상에 배치된 제2 볼록부(50)를 이용하여, 제1 쉘 부제(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및 상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및 상하 변형이 동시에 일어나는 뒤틀림 변형 역시 방지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비교하여, 제3 볼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는 제3 볼록부(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볼록부(60)은 제3 대향면(6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볼록부(60)는 제1 쉘 부재(10)의 제1 측면(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대향면(60a)은 제2 쉘 부재(30) 및/또는 제2 몰드체(3)와 마주 볼 수 있다. 또한, 제3 대향면(60a)은 제1 쉘 부재(10)의 상기 후면부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볼록부(60)은, 제3 볼록부(60)가 제1 쉘 부재(10)의 제1 측면(13) 상에 배치되었으므로,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사이에 발생하는 좌우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사이에 좌우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볼록부(60)의 제3 대향면(60a)은 제2 몰드체(3)과 접촉하여, 좌우 변형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대향면(60a)은 제2 몰드체(3)와 접촉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2 쉘 부재(30)의 형태 변경을 통하여, 제2 쉘 부재(30)와도 접촉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8a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싱기 플러그 커넥터의 연장부와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비교하여, 연장부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3)은 연장부(35b)와 삽입부(15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은 하면(15) 상에 삽입구(15a)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뷰(15a)는 제2 볼록부(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장부(35b)는 제2 쉘 부재(30)의 제2 하면(35)으로부터 연장되어, 삽입부(15a)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 시킬 수 있으면,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35b)와 삽입부(15a)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기술적 사상과 동일한 사상으로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상기 개수 및 배치 위치라면,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느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비교하여, 제2 돌출부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5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측면(13)과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쉘 부재(10)와 제2 쉘 부재(30) 간의 좌우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1 쉘 부재
20: 쉘 연결 부재
30: 제2 쉘 부재
40: 제1 볼록부
50: 제2 볼록부
60: 제3 볼록부

Claims (21)

  1.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일부 영역을 각각 감싸는 제1 쉘 부재 및 제2 쉘 부재; 및
    상기 제1 쉘 부재와 제2 쉘 부재를 연결하는 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 상에, 상기 제2 쉘 부재와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대향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와 상기 대향면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쉘 연결 부재가 연결된된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각각은 상기 상면 및 하면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는, 상기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및 하면은 평면이고, 상기 측면은 곡면인 플러그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쉘 부재, 상기 쉘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제1 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몰드와,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제2 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몰드는 서로 마주보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몰드는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는 서로 맞물리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쉘 부재와 상기 쉘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복수 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자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한 플러그 커넥터.
  15. 체결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단자;
    상기 플러그 단자를 감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각각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몰드체;
    상기 제1 몰드체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제1 쉘 부재;
    상기 제2 몰드체를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싸되, 상기 제2 몰드체의 하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쉘 부재;
    상기 제1 쉘 부재와 제2 쉘 부재를 연결하는 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 상에, 상기 제2 몰드체와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은 상기 대향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체와 상기 대향면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몰드체와 상기 제2 몰드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부재는 상기 제1 쉘 부재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쉘 부재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는 서로 맞물리는 플러그 커넥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쉘 부재와 상기 쉘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쉘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50100156A 2015-07-15 2015-07-15 플러그 커넥터 Active KR10225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56A KR102256327B1 (ko) 2015-07-15 2015-07-15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56A KR102256327B1 (ko) 2015-07-15 2015-07-15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55A KR20170008955A (ko) 2017-01-25
KR102256327B1 true KR102256327B1 (ko) 2021-05-27

Family

ID=5799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156A Active KR102256327B1 (ko) 2015-07-15 2015-07-15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81476U (zh) 2013-08-14 2014-03-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4361412U (zh) 2014-05-06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204391368U (zh) 2015-01-05 2015-06-1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424610U (zh) 2015-03-20 2015-06-24 东莞市扬明精密塑胶五金电子有限公司 USB 3.1 Type-C 插座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81476U (zh) 2013-08-14 2014-03-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4361412U (zh) 2014-05-06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204391368U (zh) 2015-01-05 2015-06-1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424610U (zh) 2015-03-20 2015-06-24 东莞市扬明精密塑胶五金电子有限公司 USB 3.1 Type-C 插座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55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7225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461378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tructure
CN104901086B (zh) 连接器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TWI438969B (zh) 電連接器
US7674134B2 (en) Shielded connector
TWI687002B (zh) 電連接器
JP6325262B2 (ja) コネクタ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1338249B1 (ko)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TW201324969A (zh) 交錯安裝的電連接器
US9059521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20200153141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4682137A (zh) 插头电连接器
KR101366944B1 (ko)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KR10232192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56327B1 (ko) 플러그 커넥터
US9812816B2 (en) Connector for use with a socket
KR20170014245A (ko) 리셉터클 커넥터
TWI544701B (zh) Plug the electrical connector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JP2023025615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