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184B1 -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 Google Patents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6184B1 KR102256184B1 KR1020190081317A KR20190081317A KR102256184B1 KR 102256184 B1 KR102256184 B1 KR 102256184B1 KR 1020190081317 A KR1020190081317 A KR 1020190081317A KR 20190081317 A KR20190081317 A KR 20190081317A KR 102256184 B1 KR102256184 B1 KR 102256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container
- storage table
- additives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blister, a capsule or like seal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의 입구에 결합되어 섭취 시 음료에 혼합되는 이종의 첨가물(5)을 분리 보관하는 음료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용기(1) 입구의 내·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이중 관형의 연결대(10); 위 연결대(10)의 중앙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고, 내부에 음료와 반응하여 용해 가능한 첨가물(5)을 저장하는 보관대(20); 위 보관대(20)내에 첨가물(5)의 상단으로 적층되고,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5)을 용기(1)내로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30); 위 연결대(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보관대(20)와 음료를 격리하고, 위 보관대(20)의 유동에 따라 절개되어 음료와 연통시키는 내부커버(40); 위 보관대(20)의 상단에 용기(1)의 입구를 개폐시켜 음료를 섭취하거나 보관되게 탈·부착되는 외부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료용 마개는 섭취 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첨가물이 혼합되게 용기를 개방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부력체가 첨가물을 강제 이동시킴에 따라 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첨가물과 음료를 신속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맛과 영양을 보장하여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opper that separates and stores heterogeneous additives 5 that ar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1 to be mixed with the beverage when ingested, and is coupled to at leas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tainer 1 inlet. A tubular connecting rod 10; A storage table 20 which is interpos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table 10 so as to flow up and down, and stores an additive 5 that can be dissolved by reacting with a beverage therein; A buoyancy body 30 that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additive 5 in the upper storage table 20 and reacts with the beverage to forcibly move the additive 5 into the container 1; An inner cover 40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able 10 to isolate the storage table 20 from the beverage, and is incis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age table 20 to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 outer cover 50 that is detachable to ingest or store beverages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1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2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by opening the container so that the additives are mixed only by pressing when ingesting the stopper for beverages, and even when the container is lying on its side or in an upside down position as the buoyant body forcibly moves the additives. By allowing the additives and beverages to be quickly mix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as a whole by guaranteeing taste and nutr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섭취 시 음료에 혼합되는 이종의 첨가물을 분리 보관하는 음료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가 세워진 자세는 물론,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음료와 혼합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음료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opper that separates and stores heterogeneous additives that are mixed with the beverage when ingested by being coupled to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separation from the container in an upright position as well as lying on its side or upside down. It relates to a beverage stopp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stored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are mixed with the beverage.
현재 유통 및 판매되어지고 있는 음료용 용기는 대부분 단일의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만을 수용하여 보관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음료에 첨가물을 혼합시키게 될 경우 다른 용기로부터 첨가물을 보관해야만 하므로, 두 물질의 별도포장 및 용기제작으로 인한 자원의 낭비 등을 야기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Most of the beverage containers currently distributed and sold are to hold only one type of beverage in a single container, and if an additive is mixed with such a beverage, the additive must be stored from another container. There was a disadvantage of causing waste of resources due to packaging and container manufacturing.
더구나 정량의 혼합이 아닌 임의적 혼합으로 인하여 식음료에 있어서는 맛의 변화 및 변질, 약품 및 화학약품에 있어서는 물질효능의 불완전한 용해 및 변화 작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와 더불어 별도의 두 용기를 취급하여야만 하는데서 오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 등의 문제가 있었다.Moreover, due to random mixing rather than quantitative mixing, taste changes and deterioration in food and beverages, and incomplete dissolution and change of substance efficacy in drugs and chemicals may occur, as well as the need to handle two separate container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discomfort and hassle.
물론, 한 종류의 음료에 첨가물을 실시간 혼합시키기 않고 미리 첨가시켜 혼합한 물질을 단일의 용기에 수용한다면, 지적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단일의 용기에 이미 혼합물로 수용된 물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질의 효능의 감소나 변질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첨가물에 따라서 부유물 및 침전 등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Of course, if an additive is not mixed in real time to one type of beverage, but is added in advance and the mixed substance is accommodated in a single container, the pointed out problem can be solved. However, the substance already contained in a single container as a mixture is a substance over time.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it may cause a decrease in the efficacy or deterioration of the effect, and floating matter and precipita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additiv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8759호 (발명의 명칭: 용기 마개)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내부에 이종물질이 수용된 마개부를 회전시켜 손쉬운 동작으로 용기 내용물에 이종물질을 혼합할 수 있으며, 이종물질을 자외선, 습기, 산화로부터 보호하여 이종물질을 미리 섞어 유통하는 제품보다 활용도가 향상되도록 하였다.Recently,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38759 (name of the invention: container closure)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proposed literature, dissimilar substances can be mixed in the container contents with an easy operation by rotating the stopper containing dissimilar substances inside, and by protecting the dissimilar substances from ultraviolet rays, moisture, and oxidation, compared to products that mix and distribute dissimilar substances in advance. The utilization was improved.
그러나 음료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올바르게 세워진 자세에서 첨가제가 자유낙하로 첨가 및 혼합되는 구조임에 따라 첨가제가 자유낙하를 할 수 없는 자세에서는 첨가제의 혼합이 올바르게 작용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음료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는 첨가제의 혼합이 느리게 작용되어 첨가물의 섭취량이 현저히 낮아 결과적으로 맛과 영양을 충족시키지 못할뿐더러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ixing of the additives does not work properly in the posture where the additives cannot freely fall as the additives are added and mixed in free fall while the beverage container is correctly erected from the floor. That is,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lying on its side or upside down, the mixing of the additives is slow, and the intake of the additives is significantly low, resulting in a problem of not satisfying taste and nutrition, as well as wasting costs.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종의 첨가물을 음료로부터 분리 보관함과 함께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를 구성하여 용기가 세워진 자세는 물론, 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첨가물과 음료를 신속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ontainer is constructed to separate and store heterogeneous additives from beverages and to forcibly move the additives by reacting with the beverages, so that the container is erected, as well as the contain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everage stopper that mixes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that can satisfy the overall consumer's needs by allowing the additives and beverages to be quickly mixed even when lying on their side or upside down. There is a purpose.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위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섭취 시 음료에 혼합되는 이종의 첨가물을 분리 보관하는 음료용 마개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 입구의 내·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이중 관형의 연결대; 위 연결대의 중앙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고, 내부에 음료와 반응하여 용해 가능한 첨가물을 저장하는 보관대; 위 보관대내에 첨가물의 상단으로 적층되고,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을 용기내로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 위 연결대의 하단에 부착되어 보관대와 음료를 격리하고, 위 보관대의 유동에 따라 절개되어 음료와 연통시키는 내부커버; 위 보관대의 상단에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켜 음료를 섭취하거나 보관되게 탈·부착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bove is combined with the mouth of the container to separate and store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mixed in the drink when ingested: at least inside the container inlet ·Double tubular connecting rod that wraps around the outer surface and is joined; A storage stand that is interpos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rod so as to flow up and down, and stores an additive that can be dissolved by reacting with a beverage therein; A buoyancy body that is stacked on top of the additive in the upper storage table and reacts with the beverage to forcibly move the additive into the container; An inner cove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to isolate the storage rack and the beverag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by being incis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age ra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 outer cover that is attached and detached to ingest or store beverages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위 연결대와 보관대는 내·외면에 서로 맞물려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와 안내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위 안내슬롯은 연결대로부터 보관대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길이로 절개되며, 상하 유동으로 분리를 차단하는 지그재그 폐쇄경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rod and the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and a guide slot that engage with each oth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o induce the coupling so as to flow up and down, and the guide slot limits the flow distance of the storage table from the connection table. It is cut into length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zigzag closed path that blocks separation by vertical flow.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안내슬롯은 최상단과 최하단 유동지점에 안내돌기와 맞물려 연결대로부터 보관대의 유동위치를 안내하며 위치가 유지되게 고정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guide s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rotrusions are formed to guide the flow position of the storage table from the connecting rod by engaging with the guide protrusions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flow points, and fix the position to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보관대는 내면에 음료가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beverages are intro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보관대는 상단에 부력체가 음료를 따라 외부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필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is formed at the top to prevent the buoyant body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bever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보관대는 하단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상향 경사진 절개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부력체는 보관대내에 헐거움 끼움 또는 억지끼움 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음료로부터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기를 포용하는 공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ircular or angular size and shape that is loosely fitted or forced into the storage table, and has a void that embraces air inside so as to have buoyancy from at least a bever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부력체는 음료와 반응으로 기포를 발생하며 첨가물의 용해를 가속하는 발포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oya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foaming component that generates bubbles by reaction with the beverage and accelerates the dissolution of the additiv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부력체는 공극을 가지며 첨가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하거나, 동일한 성분이 내층과 외층으로 분할 형성하되, 위 내·외층의 표면이 공극에 의해 서로 대비되는 거칠기와 경도로 형성하여 음료와의 반응속도를 상이하게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id and is formed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additive, or the same component is divided into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but the surfaces of the upper inner and outer layers are formed with a roughness and hardness tha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the void. Th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tion rate with the beverage acts different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외부커버는 보관대의 상단과 맞물려 체결되어 노브타입, 보관대의 상단에 압입 되는 끼움타입, 보관대의 상단에 부착되는 시트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a knob type, a fitting type that is press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and a sheet typ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by engaging and fastening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보관대에 이종의 첨가물을 음료로부터 격리 보관하고, 섭취 시 보관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격리 보관된 첨가물을 음료와 혼합되게 용기로 개방함에 따라 전반적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convenience of use by keeping the additives of different kinds in the storage table in isolation from beverages, and opening the separately stored additives to the container to be mixed with the beverage just by pressing the storage table when ingested.
둘째, 보관대에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를 구성하여 용기가 세워진 자세는 물론, 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첨가물과 음료를 신속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맛과 영양을 보장할 수가 있다.Second, by configuring a buoyant body to forcibly move additives by reacting with drinks on the storage table, taste and nutrition are ensured by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quickly mixed in an upright position as well as when the container is lying on its side or upside down. I can do it.
셋째, 보관대에 음료가 유입되는 별도의 통로가 마련되어 음료와 부력체와의 반응성 향상과 함께 섭취 시 첨가물이나 부력체가 입구에 난입되어도 음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Third, a separate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flows into the storage table is provided to improve the reactivity between the beverage and the buoyant body, and smooth discharge of the beverage even if an additive or buoyant body enters the entrance when ingested.
넷째, 필터가 부력체나 미 용해된 첨가물의 배출을 가로막아 음료만을 여과함에 따라 안전한 섭취를 보장함과 함께 날카로운 절개면 으로 인해 내부커버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절개할 수가 있다.Fourth, the filter blocks the discharge of buoyant bodies or undissolved additives to ensure safe intake as only the beverage is filtered, and the inner cover can be cut quickly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due to the sharp cut surface.
다섯째, 부력체에 발포성분이 함유됨에 따라 음료와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포가 첨가물의 용해를 가속시켜 신속한 혼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부력체를 첨가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섭취에 따라 첨가물질이 보충되어 맛과 영양을 유지할 수가 있다.Fifth, as the buoyancy body contains foaming components, bubbles generated by reaction with beverages accelerate the dissolution of the additives, so that rapid mixing can be expected. By forming the buoyancy body with the same ingredients as the additives, the additives are supplemented according to intake and taste. And can maintain nutrition.
여섯째, 부력체를 첨가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하면서도 음료와의 반응속도가 다르게 작용하는 이중층으로 형성하여 부력이 작용되는 시점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한다.Sixth, the buoyancy body is formed of the same ingredients as the additives and is formed as a double layer that acts differently at the reaction rate with the beverage, so that the point at which the buoyancy is applied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ereby providing compatibility to apply various additiv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용기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내지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적용된 용기가 뒤집힌 자세에서첨가물을 음료에 혼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혼합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Figure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and the container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views showing by separating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y cutting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mixed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mixing an additive into a beverage in an upside down position in the container to which the stopp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tion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도 1처럼 용기(1)의 입구에 결합되어 섭취 시 음료에 혼합되는 이종의 첨가물(5)을 분리 보관하는 음료용 마개와 관련되며, 도 2와 같이 연결대(10), 보관대(20), 부력체(30), 내부커버(40), 외부커버(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opper that separates and stores the
본 발명의 음료용 마개는 섭취 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첨가물이 혼합되게 용기를 개방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부력체가 첨가물을 강제 이동시킴에 따라 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첨가물과 음료를 신속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맛과 영양을 보장하여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The beverag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by opening the container so that the additives are mixed only by pressing when ingesting, and as the buoyant body forcibly moves the additives, the container is lying on its side or in an upside down position. The main point is to ensure the taste and nutrition by allowing the beverage to be mixed quickly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s a whole.
연결대(10)는 도 2처럼 용기(1)의 입구에 결합을 유도하는 어댑터이다. 이러한 연결대(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용기(1) 입구의 내면과 외면을 감싸는 내부 관과 외부 관이 상단으로 이웃하게 형성된다.The connecting
여기서 외부 관의 내면에는 도 5와 같이 용기(1)의 입구(머리)와 체결되는 나선(15)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 관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보관대(20)의 안내슬롯(21)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11)가 형성된다. 안내돌기(11)는 연결대(10)로부터 보관대(20)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을 유도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안내슬롯(21)과 함께 재설명하겠다.Here, a
보관대(20)는 도 1 및 도 2처럼 연결대(10)의 중앙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고, 내부에 음료와 반응하여 용해 가능한 첨가물(5)을 저장한다. 이러한 보관대(20)는 도 3 및 도 4처럼 첨가물(5)을 수용하는 중공형의 관으로써, 내부 관(10b)과 함께 용기(1)의 내외부에 통과된 상태로 위치한다.The storage table 20 is interposed so as to flow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table 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stores an
여기서 보관대(20)는 외면에 서로 맞물려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슬롯(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슬롯(21)은 도 6과 같이 연결대(10)로부터 보관대(20)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길이로 절개되고, 상하 유동으로 분리를 차단하는 지그재그 폐쇄경로로 형성된다.Here, the storage table 20 is formed with one or
즉, 보관대(20)가 연결대(10)의 상하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안내돌기(11)와 안내슬롯(21)이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고, 이 과정에서 보관대(20)를 안내슬롯(21)의 경로를 따라 좌우로 회전하며 하강시키면, 안내돌기(21)가 장형의 유효 안내슬롯(21)에 위치한다.That is, the
이 상태에서는 보관대(20)가 도 10 및 도 11처럼 연결대(10)로부터 안내슬롯(21)을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밖에 없는 폐쇄경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안내슬롯(21)은 보관대(20)의 내·외면을 관통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면에만 함몰된 홈 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storage table 20 has a closed path that cannot but flow up and down along the
여기서 안내슬롯(21)은 도 7과 같이 보관대(20)의 최상단과 최하단 유동지점에 보조돌기(21a)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조돌기(21a)는 상하로 유동하는 안내돌기(11)와 맞물려 연결대(10)로부터 보관대(20)의 유동위치를 안내하며 위치가 유지되게 고정해준다.Here, the
즉, 보관대(20)를 최하부로 하강되는 과정에서 최상단과 최하단 보조돌기(21a)가 안내돌기(11)로 저항을 유발시켜 위치를 느끼게 안내한다. 그리고 최하단 보조돌기(21a)가 안내돌기(11)와 맞물리며 용기(1)의 유동에도 보관대(20)의 하강 위치를 유지시켜 준다.That is,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storage table 20 to the lowermost par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이때, 보관대(20)는 도 6 및 도 7처럼 내면에 음료가 유입되는 통로(22a)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22)은 도 9와 같이 내부에 보관되는 첨가물(5)과 함께 후술하는 부력체(30)를 보관대(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켜준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torage table 20 has one or
따라서 첨가물(5)과 부력체(30)가 도 13와 같이 음료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신속한 반응을 유발한다. 더구나 첨가물(5)과 부력체(30)가 저장 및 난입된 상태더라도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22a)가 확보됨으로써 원활한 섭취가 가능하다.Therefore,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dditive 5 and the
또한, 보관대(20)는 도 6 및 도 7처럼 상단에 부력체(30)가 음료를 따라 외부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필터(23)가 형성되고, 하단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상향 경사진 절개면(25)이 일체로 형성된다. 필터(23)는 망형으로 배열되어 음료로부터 부력체(30)와 첨가물(5) 내지 불포화된 첨가물(5)의 조각들을 걸러준다. 그리고 절개면(25)은 일단이 날카롭게 형성됨에 따라 도 9 및 10과 같이 적은 힘으로도 내부커버(40)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절개시킨다.In addition, the storage table 20 is formed with a
부력체(3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보관대(20)내에 첨가물(5)의 상단으로 적층되어 음료와 반응하여 부력에 의해 첨가물(5)을 용기(1)내로 강제 이동시킨다. 이러한 부력체(30)는 보관대(20)내에 헐거움 끼움 또는 억지끼움 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음료로부터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기를 포용하는 공극을 가진다.The
즉, 부력체(30)는 도 8a처럼 수지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밀폐되게 수용하는 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8b 및 도 8c와 같이 내부에 미세 다공질이 형성된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이때, 부력체(30)는 도 8b와 같이 공극을 가지면서 첨가물(5)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첨가물(5)을 부력에 의해 음료로 강제 이동시킴과 함께 음료에 용해되게 함으로써 섭취에 따라 첨가물질이 보충되어 맛과 영양을 유지시켜 준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부력체(30)는 도 8c처럼 첨가물(5)과 동일한 성분이 내층(31)과 외층(35)으로 분할 형성되면서 내·외층(31)(35)의 표면이 공극에 의해 서로 대비되는 거칠기와 경도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내층(31)에는 표면이 치밀하고 딱딱하게 형성하고, 외층(35)에는 표면이 거칠고 부드럽게 형성하여 음료와 반응 시 내층(31)과 외층(35)의 용해속도를 상이하게 작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부력이 작용되는 시점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적용할 수가 있다.Here, the
또한, 부력체(30)는 음료와 반응으로 기포를 발생하며 첨가물(5)의 용해를 가속하는 발포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발포성분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적용할 수 있는데, 탄산수소나트륨은 음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이산화탄소는 밀도가 낮아서 기포와 함께 음료 위로 떠오르며 외부로 소멸된다. 이러한 부력체(30)는 첨가물(5)을 용액으로 강제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통해 첨가물의 용해를 가속시켜준다.Carbon dioxide has a low density, so it rises above the beverage with air bubbles and disappears to the outside. This
내부커버(40)와 외부커버(5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연결대(10)와 보관대(20)에 각각 부착되는 뚜껑으로 용기(1)의 입구를 개폐시킨다. 즉, 도 9처럼 내부커버(40)는 연결대(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보관대(20)와 음료를 격리하고, 외부커버(50)는 보관대(20)의 상단에 탈·부착되어 음료를 섭취하거나 보관되게 용기(1)의 입구를 개폐한다.The
이러한 내부커버(40)는 은박지나 코팅종이 따위의 시트타입으로 구성된다. 즉, 도 10과 같이 보관대(20)의 하강에 의해 절개되어 보관대(20)와 음료의 격리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외부커버(50)는 보관대(20)의 상단과 맞물려 체결되어 노브타입, 보관대(20)의 상단에 압입 되는 끼움타입, 보관대(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시트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is
노브타입 및 끼움타입은 개방과 폐쇄를 임의대로 실시할 수 있어 섭취와 보관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 밖에 누름 및 당김 방식으로 개폐하는 외부커버(50)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마개는 도 9와 같이 연결대(10)의 상단에 부착되어 보관대(20)를 보호하는 포장커버(60)를 더 구성하는 것이 좋다. 포장커버(60)는 용기(1)의 납품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보관대(20)의 상하 유동을 차단해준다.Knob type and fitting type can be opened and closed arbitrarily to facilitate intake and storage. In addition, it can also be configured with a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첨가물(5)을 음료에 혼합시키는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섭취자는 도 9와 같이 포장커버(60)를 제거한 다음, 도 10처럼 보관대(20)를 눌러 하강시킨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mixing the
이 과정에서 보관대(20)가 내부커버(40)를 절개시켜 음료와의 격리가 해제된다. 보관대(20)의 하강이 완료되면, 도 11과 같이 자중에 의해 첨가물(5)과 부력체(30)가 용기(1) 내부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낙하된 첨가물(5)은 성분에 따라 음료에 가라앉거나 떠오른 상태에서 용해된다.In this process, the storage table 20 cuts the
용해 도중 또는 용해가 완료되면, 외부커버(50)를 탈착시킨 뒤에 음료를 섭취하면 된다. 여기서 용해 도중 음료를 섭취하더라도 필터(23)에 의해 첨가물(5)이나 부력체(30)의 배출은 차단되고, 보관대(20)에 난입하더라도 격벽(22)에 의해 마련된 통로(22a)를 통해 음료는 원활하게 배출된다.During dissolution or when dissolution is complete, the beverage can be consumed after removing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적용된 용기가 뒤집힌 자세에서 첨가물을 음료에 혼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12와 같이 포장커버(60)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3처럼 보관대(20)를 눌러 상승시킨다.And looking at the process of mixing the additives into the beverage in the upside down position of the container to which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s follows. First, 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12, in a state where the
마찬가지로 보관대(20)가 내부커버(40)를 절개시켜 음료와의 격리가 해제된다. 내부커버(40)가 절개되는 즉시 음료가 보관대(20)의 통로(22a)로 유입된다. 유입된 음료와 반응하는 부력체(30)가 상승하며 첨가물(5)을 음료 상으로 강제 이동시킨다.Likewise, the storage table 20 cuts the
이 과정에서 부력체(30)가 발포성분을 함유할 경우 기포를 발생시켜 첨가물(5)의 용해를 가속시킨다. 이러한 첨가물(5)은 성분에 따라 음료에 가라앉거나 떠오른 상태에서 용해된다. 용해 도중 또는 용해가 완료되면, 외부커버(50)를 탈착시킨 뒤에 음료를 섭취하면 된다.In this process,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관대에 이종의 첨가물을 음료로부터 격리 보관하고, 섭취 시 보관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격리 보관된 첨가물을 음료와 혼합되게 용기로 개방함에 따라 전반적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보관대에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를 구성하여 용기가 세워진 자세는 물론, 용기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첨가물과 음료를 신속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맛과 영양을 보장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keep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in a storage table separately from beverages, and by simply pressing the storage table when ingested, the isolated additives are opened to the container to be mixed with the beverage, thereby improving overall convenience in use. In addition, by configuring a buoyant body that reacts with the beverage and forcibly moves the additives on the storage table, the taste and nutrition are ensured by allowing the additives and beverages to be quickly mixed not only in an upright position, but also when the container is lying on its side or upside down. There can be.
더불어 보관대에 음료가 유입되는 별도의 통로가 마련되어 음료와 부력체와의 반응성 향상과 함께 섭취 시 첨가물이나 부력체가 입구에 난입되어도 음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터가 부력체나 미 용해된 첨가물의 배출을 가로막아 음료만을 여과함에 따라 안전한 섭취를 보장함과 함께 날카로운 절개면 으로 인해 내부커버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절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flows into the storage table is provided to improve the reactivity between the beverage and the buoyant body, and smooth discharge of the beverage even if an additive or buoyant body enters the entrance when ingested. In addition, as the filter blocks the discharge of buoyant bodies or undissolved additives, it guarantees safe intake by filtering only the beverage, and the inner cover can be cut quickly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due to the sharp cut surface.
또한, 부력체에 발포성분이 함유됨에 따라 음료와 반응으로 발생하는 기포가 첨가물의 용해를 가속시켜 신속한 혼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부력체를 첨가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섭취에 따라 첨가물질이 보충되어 맛과 영양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부력체를 첨가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하면서도 음료와의 반응속도가 다르게 작용하는 이중층으로 형성하여 부력이 작용되는 시점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the buoyancy body contains foaming components, bubbles generated by reaction with beverages accelerate the dissolution of the additives, so that rapid mixing can be expected. By forming the buoyancy body with the same ingredients as the additives, the additives are supplemented according to intake and taste. And can maintain nutrition. 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is formed of the same ingredient as the additive, but is formed as a double layer that acts differently at the reaction rate with the beverage, so that the point at which the buoyancy is applied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hereby providing compatibility to apply various additives.
1: 용기 5: 첨가물
10: 연결대 11: 안내돌기
15: 나선 20: 보관대
21: 안내슬롯 21a: 보조돌기
22: 격벽 22a: 통로
23: 필터 25: 절개면
30: 부력체 31: 내층
35: 외층 40: 내부커버
50: 외부커버 60: 포장커버1: container 5: additive
10: connecting rod 11: guide protrusion
15: spiral 20: shelf
21:
22:
23: filter 25: incision surface
30: buoyancy body 31: inner layer
35: outer layer 40: inner cover
50: outer cover 60: packaging cover
Claims (10)
적어도 용기(1) 입구의 내·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이중 관형의 연결대(10);
위 연결대(10)의 중앙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고, 내부에 음료와 반응하여 용해 가능한 첨가물(5)을 저장하는 보관대(20);
위 보관대(20)내에 첨가물(5)의 상단으로 적층되고, 음료와 반응하여 첨가물(5)을 용기(1)내로 강제 이동시키는 부력체(30);
위 연결대(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보관대(20)와 음료를 격리하고, 위 보관대(20)의 유동에 따라 절개되어 음료와 연통시키는 내부커버(40);
위 보관대(20)의 상단에 용기(1)의 입구를 개폐시켜 음료를 섭취하거나 보관되게 탈·부착되는 외부커버(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In the beverage stopper for separating the heterogeneous additives (5) that are combined with the inlet of the container (1) and mixed with the beverage when ingested:
At least the container (1) a double tubular connecting rod (10) that surround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let and is coupled;
A storage table 20 which is interpos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table 10 so as to flow up and down, and stores an additive 5 that can be dissolved by reacting with a beverage therein;
A buoyancy body 30 that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additive 5 in the upper storage table 20 and reacts with the beverage to forcibly move the additive 5 into the container 1;
An inner cover 40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able 10 to isolate the storage table 20 from the beverage, and is incis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age table 20 to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An outer cover 50 which is detached and attached to ingest or store beverages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1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20;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위 연결대(10)와 보관대(20)는 내·외면에 서로 맞물려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11)와 안내슬롯(21)이 각각 형성되고,
위 안내슬롯(21)은 연결대(10)로부터 보관대(20)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길이로 절개되며, 상하 유동으로 분리를 차단하는 지그재그 폐쇄경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rod 10 and the storage table 20 are each formed with one or more guide protrusions 11 and guide slots 21 that engage with each oth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o induce coupling so as to flow up and down,
The guide slot 21 is cut to a length limiting the flow distance of the storage table 20 from the connecting rod 10, and is formed in a zigzag closed path that blocks separation by vertical flow,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위 안내슬롯(21)은 최상단과 최하단 유동지점에 안내돌기(11)와 맞물려 연결대(10)로부터 보관대(20)의 유동위치를 안내하며 위치가 유지되게 고정하는 보조돌기(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guide slot 21 is formed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flow points with the guide protrusions 11 to guide the flow position of the storage table 20 from the connecting rod 10 and fix the position so that the auxiliary protrusions 21a are formed.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as characterized.
위 보관대(20)는 내면에 음료가 유입되는 통로(22a)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table 20 is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artition walls 2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provide a passage 22a through which beverages are introduced. .
위 보관대(20)는 상단에 부력체(30)가 음료를 따라 외부로 배출됨을 저지하는 필터(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storage table 20 is a beverage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23 is formed at the top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3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beverage Dragon stopper.
위 보관대(20)는 하단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상향 경사진 절개면(2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torage table 20 is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surface 25 inclined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위 부력체(30)는 보관대(20)내에 헐거움 끼움 또는 억지끼움 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음료로부터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기를 포용하는 공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buoyancy body 30 i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of a circular or angular shape that is loosely fitted or forced into the storage table 20, and has a void to embrace air inside so as to have buoyancy from at least a beverage. Beverage stopper that mixes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posture.
위 부력체(30)는 음료와 반응으로 기포를 발생하며 첨가물(5)의 용해를 가속하는 발포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buoyancy body 30 generates bubbles in reaction with the beverage and contains a foaming component that accelerates the dissolution of the additive 5, and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ition. .
위 부력체(30)는 공극을 가지며 첨가물(5)과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하거나, 동일한 성분이 내층(31)과 외층(35)으로 분할 형성하되, 위 내·외층(31)(35)의 표면이 공극에 의해 서로 대비되는 거칠기와 경도로 형성하여 음료와의 반응속도를 상이하게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buoyancy body 30 has a void and is formed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additive 5, or the same component is divided into an inner layer 31 and an outer layer 35, but the surface of the upper inner and outer layers 31 and 35 A beverage stopp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tion speed with the beverage is differently formed by forming the pores with contrasting roughness and hardness.
위 외부커버(50)는 보관대(20)의 상단과 맞물려 체결되어 노브타입, 보관대(20)의 상단에 압입 되는 끼움타입, 보관대(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시트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outer cover 5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20 and is fastened to consist of any one of a knob type, a fitting type that is press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20, and a sheet typ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ble 20 Beverage stopper that mixes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tored separately,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317A KR102256184B1 (en) | 2019-07-05 | 2019-07-05 |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317A KR102256184B1 (en) | 2019-07-05 | 2019-07-05 |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620A KR20210004620A (en) | 2021-01-13 |
KR102256184B1 true KR102256184B1 (en) | 2021-05-26 |
Family
ID=7414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317A Active KR102256184B1 (en) | 2019-07-05 | 2019-07-05 |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618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43101B1 (en) * | 2002-07-15 | 2005-09-23 | Oreal | DEVICE FOR PACKAGING AT LEAST ONE PRODUCT, ESPECIALLY COSMETIC |
KR100794167B1 (en) * | 2006-06-15 | 2008-01-14 | 강승주 | Bottle cap for dropping and mixing different materials |
KR20130000273A (en) * | 2011-06-22 | 2013-01-02 |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 Contents of two kinds of storage containers |
KR101538759B1 (en) | 2013-05-30 | 2015-07-24 | 김성훈 | Vessel cap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317A patent/KR10225618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620A (en) | 202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77772B1 (en) | Additive dispenser/hermetic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and/or jars | |
US9550622B2 (en) | Containers | |
TWI478850B (en) | Ingredient release spout | |
ES2212101T3 (en) | CLOSING PLUG PROVIDED WITH A VESICULAR PACKING THAT BREAKS WITH THE OPENING OF SUCH PLUG. | |
JP4970040B2 (en) | Two-component mixing container | |
US20090020495A1 (en) | Container cap with liquid-dissolvable additive | |
AU2014230156B2 (en) | Device for closing beverage containers and assembly of such a device and a beverage container | |
US20080121655A1 (en) |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materials | |
WO2009117461A1 (en) | Pouch dispenser | |
US20160249773A1 (en) | Liquid agitation container | |
US8857665B2 (en) |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 |
TW201210911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take of edible substances | |
KR102256184B1 (en) | A beverage stopper which mixes the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which are separated and stored regardless of the container posture | |
CN108137190A (en) | Container and closed system | |
JP2005224261A (en) | Drinking vessel | |
KR100593244B1 (en) | Container stopper | |
KR20160021543A (en) | Cap for container | |
JP2006089084A (en) | Two-agent mixing container | |
KR101391783B1 (en) | Double cup | |
CN210913388U (en) | Beverage box and beverage for mixed taste | |
JP2007015755A (en) | Drink container | |
JP2007276827A (en) | Capsule receptacle, capsule, and packaging unit for liquid receptacle with capsule | |
KR20130113842A (en) | Dissimilar Material Receiving Device with Straw Insertion Part | |
KR20010076431A (en) | A Receptacle with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