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4449B1 -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49B1
KR102254449B1 KR1020190049594A KR20190049594A KR102254449B1 KR 102254449 B1 KR102254449 B1 KR 102254449B1 KR 1020190049594 A KR1020190049594 A KR 1020190049594A KR 20190049594 A KR20190049594 A KR 20190049594A KR 102254449 B1 KR102254449 B1 KR 10225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ctor
data
heat treatment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080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피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피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피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9004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준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 및 설비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예측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운용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예측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자료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처리설비를 운용하는 현장에 최적의 생산관리의 운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운용 인자들에 대하여 등록된 기준 정보와 운용설비로부터의 수집된 현장 운용 정보를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운용 서버; 및 상기 중앙 운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중앙 운용 서버에서 비교 분석된 분석 정보를 상기 중앙 운용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 운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PRODUCTION MANAGEMENT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NG OPTIMUM MANAGEMENT CONDITION}
본 발명은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준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 및 설비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예측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운용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예측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자료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MES)은 제조회사 내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공정진행 상태 관리, 제조실적 관리 및 품질 관리 등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샵 플로어(Shop Floor)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물류 및 작업내역 추적 관리, 상태파악, 불량관리 등에 초점을 맞춘 현장 시스템이다.
기존의 ERP 시스템이 Middle-Up-Down 방식으로 계획에 의한 생산과 이에 필요한 자재수급으로 기업활동을 파악하는데 반하여, MES 시스템은 Bottom-Up 방식으로 생산에 필요한 스케쥴링과 이를 위한 계획 및 자재수급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MES 시스템의 기능을 살펴보면, 공정진행 정보 Monitoring 및 Control, 설비제어 및 Monitoring, 품질정보 Tracking 및 Control, 실적정보 집계, 창고운영 관리, 재고품 관리, 자재투입 관리, 인력 관리, 공무관리 등 생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3-0098584(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호에 따르면, 생산관리시스템은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식별자처리부, 상기 부재의 이미지나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정합부 및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3-0126775(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선박 건조 시에 필요한 자재의 생산관리 업무를 모바일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재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재 기본 정보, 자재 실적처리 정보 및 자재 후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DB 그룹; 상기 DB 그룹의 저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모듈을 탑재한 모바일단말; 및 상기 DB 그룹의 저장 정보에 대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 모듈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생산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5-0012762(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호에 따르면, 바코드(Bar Code)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접수된 업무에 대한 작업지시번호를 할당하고 작업지시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도록 바코드 생성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판독되는 정보를 서버에 기록하는 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산관리시스템은 불량 및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경험칙이나 메뉴얼에 따른 오류 수정의 한계로 인해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생산관리시스템은 업체의 특성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공정 순서를 달리하여 생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해당 공정의 순서에 맞게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며, 비용 부담으로 인해 영세업체에서는 쉽게 프로그램 변경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71146(2007.01.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2933(2018.07.3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98584(2013.09.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26775(2013.11.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12762(2015.02.04.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준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 및 현장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예측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운용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예측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자료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 데이터 및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장 사용자가 현장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공정 프로세스를 변경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열처리설비를 운용하는 현장에 최적의 생산관리의 운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운용 인자들에 대하여 등록된 기준 정보와 운용설비로부터의 수집된 현장 운용 정보를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운용 서버; 및 상기 중앙 운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중앙 운용 서버에서 비교 분석된 분석 정보를 상기 중앙 운용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 운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운용 서버는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기준 데이터 및 기준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기준운용인자를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 열처리 설비에서 운용되고 있는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현장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 상기 기준운용인자와 상기 현장운용인자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운용인자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운용인자 비교분석부; 및 상기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피드백하는 최적운용인자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운용 서버는 상기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에 업데이트하는 기준운용인자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는, 상기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에 수집된 현장운용인자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부, 및 상기 빅데이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새로운 운용인자를 생성하는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의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규 운용인자를 공정 프로세스별 또는 운용환경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프로세스나 운용환경을 갖는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피드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는 상기 기준운용인자와 현장운용인자를 비교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대한 오류운용인자를 추출하는 오류운용인자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오류운용인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류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에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알람 메세지가 생성되도록 피드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는 경고 알람과 함께 오류운용인자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 알람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에서 분석된 운용인자 중 프로세스에 대하여 복수의 단위별 프로세스를 하나의 프로세스패키지(package)로 하여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세스패키지는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각 단위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 변경이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다양한 기준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 및 현장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예측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현장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최적의 운용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예측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자료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분석 데이터 및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장 사용자가 현장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공정 프로세스를 변경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설비 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 운용 서버에 구성되는 구성부들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피드백부에 의해 제공되는 단위별 프로세스에 대하여 각 사용자 운용 서버에서 실행되는 공정 관리의 예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운용 서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출되는 하위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는 콘텐츠의 일 예(침탄 열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운용서버에서 단위별 프로세스가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에 의해 연동되는 구성을 도식화화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 운용 서버에 구성되는 구성부들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운용 인자들에 대하여 등록된 기준 정보와 운용설비로부터의 수집된 현장 운용 정보를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운용 서버(100); 및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에서 비교 분석된 분석 정보를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로부터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제공받는 사용자 운용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운용 정보를 제공받고 컨트롤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는 클라우드 기반의 인터넷 인프라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는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기준 데이터 및 기준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기준운용인자를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110)와, 열처리 설비에서 운용되고 있는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현장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120)와, 상기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110)의 기준운용인자와 상기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120)의 현장운용인자를 비교 분석한 최적 운용인자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 및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에서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200)로 피드백하는 최적운용인자 피드백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운용 서버(100)는 상기 최적운용인자 피드백부(140)에서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110)에 업데이트하는 기준운용인자 업데이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부(110 내지 150)는 프로그램 제작툴을 통해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이며, 상기 각 부(110 내지 150)에서 운용 인자들은 공정(프로세스), 공정 순서, 공정 환경(예를 들면, 설비 온도와 주변 습도 등의 환경값, 가스 등의 상태값, 공정 입력값 등)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 서비스 플랫폼(100)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버와 이에 연계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부(DB부)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하드웨어에 의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상기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110)에 등록관리되는 기준운용인자는 예를 들면 열처리, 가공 등의 협회나 학회의 표준자료 및 작업자의 현장 노하우를 참고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120)는 기본적으로 기준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며, 이에 더하여 기준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별개 현장데이터를 등록 관리하게 된다.
상기 운용데이터 비교분석부(130)는 상기 별개 현장운용인자를 기준운용인자와 연계시켜 분석운용인자를 도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별개 현장운용인자는 제외하고 기준운용인자에 상응하는 운용인자만을 통해 분석운용인자를 도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는 상기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120)에 수집된 현장운용인자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부(131), 및 상기 빅데이터부(131)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새로운 운용인자를 생성하는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13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의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132)에서 생성된 신규 운용인자를 공정 프로세스별 또는 운용환경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프로세스나 운용환경을 갖는 사용자 운용 서버(200)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피드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는 기준운용인자와 현장운용인자를 비교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운용인자를 추출하는 오류운용인자 추출부(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부(140)는 오류운용인자 추출부(133)에서 추출된 오류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200)에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알람 메세지가 생성되도록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200)는 경고 알람과 함께 오류운용인자를 제공받게 되면,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경고 알람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운용인자를 추출하여 해당 오류를 불량 발생 이전에 수정 가능하게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품질 관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피드백부(140)는 운용인자로서 공정 프로세스를 현장 운용 서버에서 작업자가 수정 변경할 수 있는 단위별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2와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피드백부에 의해 제공되는 단위별 프로세스에 대하여 각 사용자 운용 서버에서 실행되는 공정 관리의 예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운용 서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출되는 하위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는 콘텐츠의 일 예(침탄 열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운용서버에서 단위별 프로세스가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에 의해 연동되는 구성을 도식화화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 설명되는 단위별 프로세스라 함은 소정의 프로그램 제작툴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완성된 단위 공정을 의미함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운용인자 중 프로세스에 대하여 복수의 단위별 프로세스를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는 크게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P1), 상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프로세스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P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에서 입고, 검사, 적재, 열처리(예를 들면, 템퍼링), 장출, 검사 등은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P1)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P1)는 다시 세분화되어 복수 구성되는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P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P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해당 하위 프로세스에 대한 소정의 콘텐츠로 표출된다.
또한,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P1)는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의 하나로서 각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가 연동될 수 있는 공통의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는 소정 로직을 갖는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연계시켜 연동되도록 함에 있어 설정된 연계 정보를 갖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연계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로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는 상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각각에 부여된 설정 연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간을 연계시켜 연동되도록 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로직을 갖고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및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는 사용자 운용 서버(2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블록화된 콘텐츠로 표출되는 템플릿 형태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템플릿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는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운용 서버(20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원하는 공정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체 A에 제공되는 생산관리 프로세스 패키지는 입고, 검사, 적재, 열처리의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고, 업체 B에 제공되는 생산관리 프로세스 패키지는 입고, 열처리, 장출, 검사의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는 그 공정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공정 순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P3)에 의하여 각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P1)는 충돌없이 원활하게 연계되어 연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및/또는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는 블록화된 콘텐츠로 표출되며 업체별 또는 사용자별로 원하는 명칭이나 입력정보로 변경가능하게 이루어지되, 해당 블록화 콘텐츠(단위별 프로세스)는 디폴트 정보(default information) 또는 표준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디폴트 정보 또는 표준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블록화된 콘텐츠는 사용자 운용 서버(2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업체 또는 사용자(현장 관리자)가 원하는 명칭으로 변경하더라도, 디폴트 정보 또는 표준 정보에 의하여 해당 프로세스인 것으로 정의되어 유지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블록화된 콘텐츠의 명칭을 변경하더라도 디폴트 정보 또는 표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별 프로세스는 유지되면서 변경되며, 또한 변경된 내용은 정확한 데이터를 갖고 리포팅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기준 데이터와 업데이트 데이터 및 현장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예측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현장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적의 운용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예측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 자료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분석 데이터 및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장 사용자가 현장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공정 프로세스를 변경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설비 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열처리 설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운용 설비의 생산관리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앙 운용 서버
110: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
120: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
130: 운용인자 비교분석부
131: 빅테이터부
132: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
133: 오류운용인자 추출부
140: 최적운용인자 피드백부
150: 기준운용인자 업데이트부
200: 사용자 운용서버
300: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7)

  1. 열처리설비를 운용하는 현장에 최적의 생산관리의 운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운용 인자들에 대하여 등록된 기준 정보와 운용설비로부터의 수집된 현장 운용 정보를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운용 서버; 및
    상기 중앙 운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중앙 운용 서버에서 비교 분석된 분석 정보를 상기 중앙 운용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 운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운용 서버는, 열처리 설비에 운용되는 기준 데이터 및 기준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기준운용인자를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와, 열처리 설비에서 운용되고 있는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현장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와, 상기 기준운용인자와 상기 현장운용인자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운용인자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운용인자 비교분석부, 및 상기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피드백하는 최적운용인자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는, 상기 현장운용인자 등록관리부에 수집된 현장운용인자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부, 및 상기 빅데이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새로운 운용인자를 생성하는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에서 분석된 운용인자 중 프로세스에 대하여 복수의 단위별 프로세스를 하나의 프로세스패키지(package)로 하여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의 신규 운용인자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규 운용인자를 공정 프로세스별 또는 운용환경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프로세스나 운용환경을 갖는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로 피드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및 상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는, 하위 단위별 프로세스의 하나로서 각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가 연동되는 공통의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알고리즘 프로세스는 상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를 연계시켜 연동시키되, 상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각각에 부여된 설정 연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위 단위별 프로세스 간을 연계시켜 연동되도록 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 정보를 표출하는 로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세스패키지는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명칭변경 및 드래그 앤 드롭 가능하게 구성된 블록 콘텐츠로 표출되게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 콘텐츠는 명칭변경 또는 드래그 앤 드롭 시 해당 블록 콘텐츠의 단위별 프로세스가 유지되면서 변경되도록 하는 디폴트 정보 또는 표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운용 서버는 상기 도출된 최적 운용인자를 상기 기준운용인자 등록관리부에 업데이트하는 기준운용인자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인자 비교분석부는
    상기 기준운용인자와 현장운용인자를 비교하여 불량 및 오류율에 대한 오류운용인자를 추출하는 오류운용인자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오류운용인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류운용인자를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에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 운용서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알람 메세지가 생성되게 피드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는 경고 알람과 함께 오류운용인자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운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 알람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KR1020190049594A 2019-04-29 2019-04-29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Active KR10225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94A KR102254449B1 (ko) 2019-04-29 2019-04-29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94A KR102254449B1 (ko) 2019-04-29 2019-04-29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80A KR20200126080A (ko) 2020-11-06
KR102254449B1 true KR102254449B1 (ko) 2021-05-21

Family

ID=7357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594A Active KR102254449B1 (ko) 2019-04-29 2019-04-29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995A (ko) 2021-08-23 202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예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146B1 (ko) 2005-04-25 2007-01-1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 인터페이스 장치
KR20130061029A (ko) * 2011-11-30 2013-06-10 (주)한콘트롤스 열처리 설비장치의 지능형 관리 시스템
KR101399996B1 (ko) 2012-02-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20130126775A (ko) 2012-04-12 2013-1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
KR20150012762A (ko) 2013-07-26 2015-02-04 이순호 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1337B1 (ko) * 2015-08-25 2017-10-23 위즈코어 주식회사 생산공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845393B1 (ko) * 2016-01-28 2018-04-05 주식회사 아임클라우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분석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6900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에스씨티 프로세스마이닝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8-07-31 김재학 생산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80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39292B2 (en) Maintenance and commissioning
US10713307B2 (en) Dynamic search engine for an industrial environment
CN115617447A (zh) 数字工程虚拟机基础设施
CN106468910A (zh) 用于控制、监控和调节的系统和运行这种系统的方法
EP4152227A1 (en) Industrial machine monitoring path for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9007626B2 (en) Collecting data for a print service provider
KR20180036091A (ko) 클라우드 기반 물류 자동화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2354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perative intelligent HMIs for effective process operations
KR102254449B1 (ko)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CN110506270A (zh) 风险分析以识别和回顾网络安全威胁
KR20200137066A (ko)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adam et al. The Evolution of Smart Factories: Integrating IOT and Machine Learning in Supply Chain and Manufacturing
KR102221405B1 (ko)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80036090A (ko) 물류 자동화 장비 유지보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EP4468217A1 (en) Cloud mes with edge containerized service
EP4465216A1 (en) Manufacturing cloud system with applied ai
KR102713294B1 (ko) 자동화 부품의 재고 관리를 위한 수요 예측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US20240386372A1 (en) Industrial supply chain modeling
US20240394719A1 (en) Tokenized industrial data function service that includes specified data function service
EP4468171A1 (en) Multi-tenant database replication and sharding
US20240386016A1 (en) Industrial data access and query function
US20240393770A1 (en) Front end user interface for manufacturing cloud system
US20240394808A1 (en) Industrial iot data ingestion, redaction, and smoothing
US20240386511A1 (en) Industrial manufacturing smart contracts
Park et al. The Blanket Application Model of Reference Information for Effectiv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