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3934B1 - 와이퍼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34B1
KR102253934B1 KR1020190082815A KR20190082815A KR102253934B1 KR 102253934 B1 KR102253934 B1 KR 102253934B1 KR 1020190082815 A KR1020190082815 A KR 1020190082815A KR 20190082815 A KR20190082815 A KR 20190082815A KR 102253934 B1 KR102253934 B1 KR 10225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ition wall
wiper device
leve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79A (ko
Inventor
김명연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9008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34B1/ko
Priority to CN202010607784.XA priority patent/CN112208484B/zh
Priority to US16/915,841 priority patent/US11577701B2/en
Publication of KR2021000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3Wiper blades equipped with removable cover or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와이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장치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장치로서,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커버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가압부재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와이퍼장치{Wiper device}
본 발명은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행 중인 자동차에서 대기 중의 먼지나 각종 이물질 또는 기상 상태로 인한 눈, 비로 유리창 면이 오염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계확보의 수단으로 유리창 면에 묻은 눈, 비나 이물질 따위를 닦아 내는 차량용 와이퍼장치가 설치된다. 와이퍼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 암에 연결되고, 와이퍼 암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와이퍼 장치에는 레버 등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부재가 사용된다. 그런데, 와이퍼 장치에서 커버부재는 작동 시에 충격에 의하여 종종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지되는 와이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장치로서,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커버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가압부재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와이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와 커버부재에 형성된 지지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커버부재는 강한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제1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제2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커버부재에서 결합홀이 형성된 구조를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장치로서, 밀착부재(10), 가압부재(20) 및 커버부재(30)를 포함한다.
밀착부재(10)는 윈도우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닦아내는 부분으로, 본 실시의 밀착부재(10)에는 고무재질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밀착부재(10)가 모두 포함된다. 밀착부재(10)에는 밀착부재(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20)는 밀착부재(10)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밀착부재(10)를 윈도우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압부재(20)는 복수의 레버가 와이퍼 암에서 밀착부재(10)로 다단계 구조로 연결되는 레버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와이퍼 암에 가장 인접한 레버가 최상부 레버가 되고, 여기에 복수의 하부 레버가 차례로 연결되어 밀착부재(10)를 향하여 레버의 구조가 확대되는 구조를 가진다.
레버 구조체는 어댑터(40)를 통하여 와이퍼 암(미도시)에 연결되어 와이퍼 암으로부터 누름압을 전달 받는다. 와이어 암으로부터 전달된 누름압은 연결된 각 레버로 전달되고, 레버에 전달된 누름압을 다시 밀착부재(10)로 전달되어서 밀착부재(10)를 차량 유리창의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레버 구조체는, 중심레버(22)와 중심레버(22)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 연장레버(2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레버 구조체는 중심에 배치된 중심레버(22) 및 중심레버(22)의 양단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 한 쌍의 연장레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레버(24)에는 요크(26)가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요크(26)의 단부는 밀착부재(10)를 잡아주는 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 구조체의 다단계 구조를 기준으로, 중심레버(22)가 최상위 레버이고, 요크(26)가 최하위 레버가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가압부재(20)는 커버부재(30)에 형성된 결합홀(35b, 36b)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23, 2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합부(23, 27)는, 결합홀(35b, 36b)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부(23a, 27a)와, 삽입부(23a, 27a)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홀(35b, 36b)이 형성된 격벽(35a, 36a)에 걸려서 지지되는 고정부(23b, 2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3, 27)는 가압부재(20)에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3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23, 27)가 레버 구조체의 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26)의 상면 및 중심레버(22)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제1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23, 27) 중에 하나인 제1 결합부(27)는, 복수의 레버 중 하나인 요크(26)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26)의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부(27)는, 요크(26)를 구성하는 상면의 일부를 절곡 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요크(26)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판의 일부를 자르고 굽혀서 요크(26)의 상판에 삽입부(27a)를 세우고, 세워진 삽입부(27a)를 다시 굽혀서 외측으로 향하는(가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외측) "ㄱ"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27a)의 단부에는 양측으로 고정부(27b)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7b)는, 외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또는 쐐기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27b)의 형상이 본 실시예의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35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가압부재에서 제2 결합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도 4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23, 27) 중에 하나인 제2 결합부(23)는, 복수의 레버 중 하나인 중심레버(22)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레버(24)가 연결된 중심레버(22)의 힌지에서, 제2 결합부(23)는 연장레버(24)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부(23)가 한 쌍의 중심레버(22)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3)의 삽입부(23a)는 중심레버(22) 단부에서 연장레버(24)를 향하여 연장되고, 고정부(23b)는 삽입부(23a)의 측면에서 밀착부재(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3b)는, 하측으로 향하는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23b)의 형상이 본 실시예의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36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레버(22), 연장레버(24) 및 요크(26)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 구조체의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부재도 레버 구조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버부재(30)는 가압부재(20)를 덮어서 보호한다. 커버부재(30)는 공기의 힘을 받아 레버 구조체에 추가로 누름압을 제공하는 스포일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에는 결합홀(35b, 36b)이 형성된 지지부(35, 36)를 구비하여, 가압부재(20)의 결합부(23, 27)가 결합홀(35b, 36b)에 삽입되어 지지부(35, 3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30)는, 중심레버(22)의 가운데를 커버하는 중심커버(32)와, 중심레버(22)에서 요크(26)까지 커버하는 한 쌍의 연장커버(3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커버부재에서 결합홀(35b, 36b)이 형성된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D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30)에는 복수의 지지부(35, 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커버(34)에는 상술한 가압부재의 제1 결합부(27) 및 제2 결합부(23)가 각각 결합되는 제1 지지부(35) 및 제2 지지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35)는 결합홀(35b)이 형성된 격벽(35a)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5a)은 연장커버(34)의 몸체(34a)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홀(35b)은 격벽(35a)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격벽(35a)을 보강하기 위하여 격벽(35a)에는 보강부재(35c)가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35c)는 격벽(35a)의 일측에 결합된 보강 바(bar)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35c)의 형상이 본 실시예의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35a)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결합홀(35b)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27)의 삽입부(27a)가 결합홀(35b)을 통과하게 되고, 삽입부(27a)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부(27b)가 격벽(35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격벽(35a)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부(27)에서 고정부(27b)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결합홀(35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7b)는 격벽(35a)이 탄성 변형되어 결합홀(35b)이 넓어질 때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7b)까지 결합홀(35b)을 통과한 후에 격벽(35a)이 원상태로 복원되면, 고정부(27b)는 격벽(35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결합부(27)의 고정부(27b)가 외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또는 쐐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고정부(27b)에서 격벽(35a)을 향하는 부분(즉, 안쪽을 향하는 부분)은 뾰족하게 되어서 고정부(27b)는 앵커와 같은 형태로 격벽(35a)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가 지지부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서, 커버부재가 가압부재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36)도 결합홀(36b)이 형성된 격벽(36a)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a)은 연장커버의 몸체에서 안쪽 면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6b)은 격벽(36a)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격벽(36a)을 보강하기 위하여 격벽(36a)에는 보강부재(36c)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지지부(36)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연장커버(34) 몸체(34a)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격벽(36a)과 보강부재(36c)가 결합되어 강성이 높은 기둥구조로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홀(36b)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23)의 삽입부(23a)가 결합홀(36b)을 통과하게 되고, 삽입부(23a)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부(23b)가 격벽(36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제2 결합부(23)의 고정부(23b)가 하측으로 향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고정부(23b)는 갈고리와 같은 형태로 격벽(36a)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가 지지부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서, 커버부재가 가압부재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26) 상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27) 및 중심레버(22)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부(23)에 의하여, 커버부재는 가압부재에 3점 결합되므로 강한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40)는 와이퍼 암에서 힘을 받아서 레버 구조체에 전달한다. 어댑터(40)는 가압부재(20)에 결합되고, 와이퍼 암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어댑터(40)는 가압부재(20)에 형성된 연결홀, 연결축 등에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버 구조체에 형성된 연결홀에 어댑터(40)의 일부가 끼워져서, 어댑터(40)가 레버 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밀착부재
20: 가압부재
22: 중심레버
23: 제2 결합부
23a, 27a: 삽입부
23b, 27b: 고정부
24: 연장레버
26: 요크
27: 제1 결합부
30: 커버부재
35: 제1 지지부
35a, 36a: 격벽
35b, 36b: 결합홀
35c, 36c: 보강부재
36: 제2 지지부
40: 어댑터

Claims (6)

  1.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장치로서,
    상기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홀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인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금속재질이며, 상기 결합홀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앵커와 같은 형태로 상기 격벽에 걸려서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중심레버, 상기 중심레버의 양단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 한 쌍의 연장레버 및 상기 연장레버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요크의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부에 외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을 구비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격벽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결합홀이 넓어질 때 삽입되고,
    상기 격벽이 복원되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격벽에 걸려서 지지되는 와이퍼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심레버의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 단부의 측면에서 한 쌍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KR1020190082815A 2019-07-09 2019-07-09 와이퍼장치 Active KR10225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15A KR102253934B1 (ko) 2019-07-09 2019-07-09 와이퍼장치
CN202010607784.XA CN112208484B (zh) 2019-07-09 2020-06-29 雨刮器装置
US16/915,841 US11577701B2 (en) 2019-07-09 2020-06-29 Wip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15A KR102253934B1 (ko) 2019-07-09 2019-07-09 와이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79A KR20210006779A (ko) 2021-01-19
KR102253934B1 true KR102253934B1 (ko) 2021-05-20

Family

ID=7405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815A Active KR102253934B1 (ko) 2019-07-09 2019-07-09 와이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7701B2 (ko)
KR (1) KR102253934B1 (ko)
CN (1) CN11220848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1650A (ja) * 2004-07-08 2006-01-2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824A (ja) * 2003-03-27 2004-10-21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TWM287269U (en) * 2005-09-15 2006-02-11 Great Performance Ind Co Ltd Fixing structure of wiper spoiler
KR200442554Y1 (ko) * 2007-03-08 2008-11-19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CN102582583B (zh) * 2011-01-14 2014-08-27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
KR101299689B1 (ko) * 2011-07-01 2013-08-28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KR101715204B1 (ko) * 2011-11-30 2017-03-22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JP5596107B2 (ja) * 2012-11-14 2014-09-24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US9260083B2 (en) * 2013-01-10 2016-02-16 Scan Top Enterprise Co., Ltd. Automobile wiper flatly engagable with glass surface
FR3037903B1 (fr) * 2015-06-26 2017-07-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1650A (ja) * 2004-07-08 2006-01-2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08484B (zh) 2024-03-22
KR20210006779A (ko) 2021-01-19
CN112208484A (zh) 2021-01-12
US20210009082A1 (en) 2021-01-14
US11577701B2 (en)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800B2 (ja)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
US8327500B2 (en) Wiper blade
KR101196174B1 (ko) 지지 프레임, 내부 스파인 및 링크 요소를 구비하는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
US7028368B2 (en) Wiper blade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101261224B1 (ko) 와이퍼장치
KR10073269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2013505879A (ja) 自動車ワイパー用マルチアダプタ
US4446589A (en) Wiper blade and lateral connector
CN101638085A (zh) 风挡刮水器装置
US5729861A (en) Motor vehicle screen wiper having means for transversely guiding the screen wiper blade with respect to the wiper arm
US10196046B2 (en) Support element, wiper blade and windscreen wiper of a motor vehicle
KR101212283B1 (ko)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KR102253934B1 (ko) 와이퍼장치
CN104691510B (zh) 用于将流体循环管紧固至车辆风挡擦拭器的驱动臂的夹具
EP1201515B1 (en) Windshield wiper
CN105705386A (zh) 玻璃刮水装置
EP3517375A1 (en) Wiper system including washer fluid spray member
CN110936921B (zh) 雨刮装置
KR102076111B1 (ko) 와이퍼장치
EP3514024A1 (en) Chattering prevention structure and wiper including the same
KR100586054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1457394B1 (ko) 와이퍼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형 이격 디바이스
KR101888488B1 (ko) 와이퍼장치
KR200417311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암 연결장치
EP3481681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