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3541B1 - 침대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침대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541B1
KR102253541B1 KR1020210034591A KR20210034591A KR102253541B1 KR 102253541 B1 KR102253541 B1 KR 102253541B1 KR 1020210034591 A KR1020210034591 A KR 1020210034591A KR 20210034591 A KR20210034591 A KR 20210034591A KR 102253541 B1 KR102253541 B1 KR 10225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ower frames
portions
vertical direction
bed matt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국
Original Assignee
신동국
주식회사 젠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국, 주식회사 젠티스 filed Critical 신동국
Priority to KR102021003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5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직사각형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이 열을 맞춰 배열되고 하나로 엮인 본넬스프링부;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다층의 외피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각각 결합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서로 겹쳐진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과,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의 중앙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여, 매트리스 주변에 하중이 장시간 가해져도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 매트리스{A bed Mattress}
본 발명은 침대 매트리스(Mattres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을 열에 맞춰 배열하고, 이들을 하나로 엮은 본넬스프링이 적용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실내 바닥이나 침대 프레임 위에 깔아서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직물외피 내에 외부 하중을 완충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정렬 배치되어 취침시 스프링이 신체를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침대 매트리스는 다수의 스프링이 종?횡의 다수 열로 배열되어, 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주며, 스프링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부직포, 스펀지 등의 쿠션부재를 적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침대 매트리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본넬스프링이 적용된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의 침대 매트리스(a)는 본넬스프링(b)에 의하여 상하 간격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c)과, 이러한 상부 및 하부프레임(c)을 둘러싸는 외피물들(d)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매트리스(a)는 외피물(d)의 압력 및 사용상 집중되는 하중 등에 의하여 특히 가장자리나 모서리의 처짐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근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로 연장 연결되는 연결구(e)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연결구(e)는 장시간 사용으로 하중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그 탄성력을 잃어 제대로 복원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프레임(c)과의 결합이 단일의 지점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가장자리에 걸터앉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연결구(e)가 상부 및 하부프레임(c)로부터 분리되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본넬스프링(b)은 복수 개의 스프링(S)을 열에 맞춰 배열하고, 이들을 하나로 엮어서 만든다. 이러한 본넬스프링(b)을 구성하는 각각의 스프링(S)은 상하로 이격 배치된 원형의 탄성체(S1,S2)에 각각 매듭(n)을 형성하고, 이들 매듭(n) 사이를 나선형의 탄성체(S3)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S)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n)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의 상하 높이(h1)가 매듭(n)이 형성된 부분의 상하 높이(h2) 보다 큰 구조로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원형의 탄성체(S1,S2)가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넬스프링(b)은, 그 제조 공정에서 일렬로 배열된 스프링들(S)의 매듭(n)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은 나선형의 탄성체(S3)가 연결된 매듭(n)이 형성된 부분으로 집중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원형의 탄성체(S1,S2)가 경사진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스프링(S)이 반복적인 외부 하중으로 인하여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매듭(n)이 형성된 방향으로 무너져 기울어진 상태로 변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스프링(S)이 기울어진 상태로 장시간 외부 하중에 받게 되면, 상기 본넬스프링(b)은 수평상태(H)를 유지하지 못하고, 매듭(n)이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처진상태(h)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16171호(2000.12.28)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장치를 구비하여, 매트리스 주변에 하중이 장시간 가해져도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직사각형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이 열을 맞춰 배열되고 하나로 엮인 본넬스프링부;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다층의 외피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각각 결합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서로 겹쳐진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과,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의 중앙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상부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상부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상부연결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서로 겹쳐지는 제1 및 제2중부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하부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부연결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하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부려서 인접하는 결합대상물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클립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하부결합부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를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는 용접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더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스프링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봉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과 각각 걸림동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걸림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에 의하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서로 겹쳐진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에 의해 'X'형태를 이루는 처짐방지장치가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주변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다점 지지하여, 매트리스 주변에 하중이 장시간 가해져도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때문에 매트리스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본넬스프링이 적용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침대 매트리스의 처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처짐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넬스프링부에서 처짐방지장치를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서로 겹쳐진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에 의해 'X'형태를 이루는 처짐방지장치가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주변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다점 지지한다. 이 때문에 매트리스 주변에 하중이 장시간 가해져도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처짐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넬스프링부에서 처짐방지장치를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1)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20)과, 본넬스프링부(30)와, 외피부(40)와, 처짐방지장치(1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상부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은 통상의 스프링 매트리스 프레임과 같이 직사각의 형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 각각의 모서리는 둥글게 라운드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매트리스(1)의 상측 변 및 하측 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 내부 공간에는 복수 개의 스프링(S)이 구비된 본넬스프링부(30)가 배치된다.
상기 본넬스프링부(30)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20)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S)이 열을 맞춰 배열되면서 하나로 엮인 형태를 이룬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프링(S)은 상하로 이격 배치된 원형의 탄성체(S1,S2)에 각각 매듭(n)을 형성하고, 이들 매듭(n) 사이를 나선형의 탄성체(S3)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 원형의 탄성체(S1,S2)를 엮음스프링(S4;도 6 참조)으로 엮어서 본넬스프링부(30)를 완성한다.
상기 외피부(40)는, 도 3과 같이 통상의 매트리스 외피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외부를 감싸는 것으로, 각각 층을 이루는 부직포, 천, 스폰지, 메모리폼, 라텍스 등이 다양한 조합으로 적층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본넬스프링부(30)의 외부를 감싼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침대 매트리스(1)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에 결합하여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처짐방지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과, 제1결합수단(120)과, 제2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은 한 쌍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각각 결합하고,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은,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상부결합부(111;111a,111b)와, 제1 및 제2상부연결부(112;112a,112b)와, 제1 및 제2중부결합부(113;113a,113b)와, 제1 및 제2하부연결부(114;114a,114b)와, 제1 및 제2하부결합부(115;115a,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111;111a,111b)는, 상부프레임(10)과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상부연결부(112;112a,112b)는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111;111a,111b)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113;113a,113b)는 상기 제1 및 제2상부연결부(112;112a,112b)의 각 일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서로 겹쳐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하부연결부(114;114a,114b)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113;113a,113b)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하부결합부(115;115a,115b)는 상기 제1 및 제2하부연결부(114;114a,114b)의 각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과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하 방향(Z)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은 전체적인 형상이 'X'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결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주변 및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처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은 제1결합수단(120)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은 제2결합수단(130)을 이용하여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110;110a,110b)의 중앙부위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결합수단(120)(13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부려서 인접하는 결합대상물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클립(Clip)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111;111a,111b)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제1 및 제2하부결합부(115;115a,115b)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113;113a,113b)를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처짐방지장치(1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클립(제1 및 제2결합수단(120)(130))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을 다점 지지하므로, 장시간 사용 및 연속 반복되는 하중에도 상기 처짐방지장치(100)의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본넬스프링(30)의 처짐이 방지되어 매트리스(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2결합수단(13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113;113a,113b)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처짐방지장치(1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폭 방향(X)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짐방지장치(100)를 본넬스프링부(30)의 양 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스프링(S)의 매듭(n)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상태(H;도 2a 참조)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넬스프링부(30)의 양 측부에 각각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단수 또는 3개 이상의 처짐방지장치(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길이 방향(Y)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더 설치하여,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적 보강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처짐방지장치(1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폭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113;113a,113b)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폭 방향(X)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스프링들(S)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봉(141)과, 이러한 연결봉(14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걸림부(142a)(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142a)(142b)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폭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113;113a,113b)과 상기 연결봉(141)을 각각 걸림동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걸림부(142a)(14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113;113a,113b)과 걸림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고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원터치(One-touch)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113;113a,113b)가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걸림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40)의 길이(L)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폭(W)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처짐방지장치(100)의 측 방향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처짐방지장치(100)가 외부 하중의 반복 작용 등으로 인해 본넬스프링부(30)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잡아당겨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외피부(40)를 결합할 때 처짐방지장치(10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길이 방향(Y)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30)의 양 단부에 상기 처짐방지장치(100)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前述)한 연결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길이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113;113a,113b)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매트리스 10,20 : 상부 및 하부프레임
30 : 본넬스프링부 40 : 외피부
100 : 처짐방지장치 110,110a,110b : 처짐방지유닛
111,111a,111b : 제1 및 제2상부결합부
112,112a,112b : 제1 및 제2상부연결부
113,113a,113b : 제1 및 제2중부결합부
114,114a,114b : 제1 및 제2하부연결부
115,115a,115b : 제1 및 제2하부결합부
120 : 제1결합수단 130: 제2결합수단
140: 연결부 141: 연결봉
142a,142b : 제1 및 제2걸림부 S : 스프링
n : 매듭

Claims (12)

  1.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직사각형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이 열을 맞춰 배열되고 하나로 엮인 본넬스프링부;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다층의 외피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복수개의 처짐방지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상부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상부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상부연결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서로 겹쳐지는 제1 및 제2중부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하부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부연결부의 각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된 제1 및 제2하부결합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과,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처짐방지유닛의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그 길이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침대 매트리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부려서 인접하는 결합대상물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클립인 침대 매트리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부려서 인접하는 결합대상물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클립인 침대 매트리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상부결합부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하부결합부를 각각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침대 매트리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를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침대 매트리스.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중부연결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는 용접부인 침대 매트리스.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더 설치된 침대 매트리스.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본넬스프링부의 스프링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봉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중부결합부들과 각각 걸림동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
  12. 삭제
KR1020210034591A 2021-03-17 2021-03-17 침대 매트리스 Active KR10225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91A KR102253541B1 (ko) 2021-03-17 2021-03-17 침대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91A KR102253541B1 (ko) 2021-03-17 2021-03-17 침대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541B1 true KR102253541B1 (ko) 2021-05-18

Family

ID=7615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591A Active KR102253541B1 (ko) 2021-03-17 2021-03-17 침대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5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336A (ja) * 1994-02-18 1995-08-29 Tokyo Spring Kogyo Kk ベッドマットレス補強材
KR0140455B1 (ko) * 1994-08-17 1999-02-18 오재호 매트리스의 보강스프링
KR200360223Y1 (ko) * 2004-05-20 2004-08-30 원인희 침대 매트리스의 스프링 처짐 방지구조
KR20090006854U (ko) * 2008-01-02 2009-07-07 최용석 조립구조를 개선 시킨 침대 매트리스용 보조스프링
KR101466877B1 (ko) * 2013-10-28 2014-12-04 주식회사 플러스 침대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스프링
KR20170072746A (ko) * 2015-12-17 2017-06-27 홍성종 사각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 보조 스프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336A (ja) * 1994-02-18 1995-08-29 Tokyo Spring Kogyo Kk ベッドマットレス補強材
KR0140455B1 (ko) * 1994-08-17 1999-02-18 오재호 매트리스의 보강스프링
KR200360223Y1 (ko) * 2004-05-20 2004-08-30 원인희 침대 매트리스의 스프링 처짐 방지구조
KR20090006854U (ko) * 2008-01-02 2009-07-07 최용석 조립구조를 개선 시킨 침대 매트리스용 보조스프링
KR101466877B1 (ko) * 2013-10-28 2014-12-04 주식회사 플러스 침대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스프링
KR20170072746A (ko) * 2015-12-17 2017-06-27 홍성종 사각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 보조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590A (en) Mattress with compressible support members
TWI753213B (zh) 彈簧構造連結體、床墊及椅子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KR20120039814A (ko) 매트리스용 포켓 스프링
US20250024959A1 (en) Elastic support module, elastic pad, and furniture
US7063309B2 (en) Mattress spring structure
US4519107A (en) Boxspring having coil compression stops
US3638254A (en) Spring
US20240315464A1 (en) Elastic unit, elastic assembly, and elastic mattress
KR102253541B1 (ko) 침대 매트리스
KR101901889B1 (ko) 방염 및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JP2009112601A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JP5308905B2 (ja) 折り畳み式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
KR200479160Y1 (ko) 퍼즐 조립식 매트리스
KR20170139718A (ko)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KR102812766B1 (ko)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옵셋스프링용 매트리스
US3426371A (en) Spring assembly
KR20190005338A (ko) 침대매트리스
KR200234624Y1 (ko)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침대스프링
KR200234625Y1 (ko) 이중 침대스프링
JP7079875B1 (ja) マットレス
KR102681266B1 (ko) 침대용 코일스프링 매트리스
US3012742A (en) Wire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