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759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0759B1 KR102250759B1 KR1020130105005A KR20130105005A KR102250759B1 KR 102250759 B1 KR102250759 B1 KR 102250759B1 KR 1020130105005 A KR1020130105005 A KR 1020130105005A KR 20130105005 A KR20130105005 A KR 20130105005A KR 102250759 B1 KR102250759 B1 KR 102250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
- disposed
- display area
- substrate
- dam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08393 encaps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101000642431 Homo sapiens Pre-mRNA-splicing factor SPF27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36347 Pre-mRNA-splicing factor SPF2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100108883 Arabidopsis thaliana ANL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줄기부 및 상기 줄기부의 경계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댐들을 포함한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displaying an image are disposed and a non-display area disposed around the display area, i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and i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and And a plurality of dams including a stem portion extending in a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interface of the stem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riving reliability.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은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들은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한다.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는다. 화소들은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한다. 따라서, 영상이 표시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 gate driver that drives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pixels connected to the gate lines and the data lines. The gate lines receive gate signals from the gate driver. The data lines receive data voltages from the data driver. The pixels receive data voltages through data lines in response to gate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gate lines. The pixels display gray levels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s. Thus, an image is displayed.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riving reli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줄기부 및 상기 줄기부의 경계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댐들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displaying an image are disposed and a non-display area disposed around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And a plurality of dams disposed and including a stem portion extending in a row direction and a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interface of the stem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댐, 상기 제1 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2 댐, 상기 제1 및 제2 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댐들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displaying an image are disposed and a non-display area disposed around the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area. A first dam disposed to surround, a second dam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dam, and a plurality of third dam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ams.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구동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riving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댐들을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의 구조를 보여준다.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ams disposed in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4 to 6 are views showing structures of various d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show the structure of a d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와,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설명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와,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o enable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ci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Similar elements will be cited using similar reference number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ions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ar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ci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Similar elements will be cited using similar reference number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ions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described as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500)는 표시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구동 회로 기판(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PX11~PXnm)이 형성된 표시 영역(DA),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NDA),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포함한다.The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게이트 구동부(200)에 연결되어, 순차적인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할 수 있다.The gate lines GL1 to GLn are connected to the
화소들(PX11~PXnm)은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데이터 라인들(DL1~DLn)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화소들(PX11~PXnm)은 서로 교차하는 n 개의 행들 및 m 개의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 은 0보다 큰 정수이다.The pixels PX11 to PXnm ar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gate lines GL1 to GLn and the data lines DL1 to DLn intersect. Accordingly, the pixels PX11 to PXnm may be arranged in n rows and m columns intersecting each other. Here, n and m are integers greater than 0.
화소들(PX11~PXnm)은 각각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연결된다. 화소들(PX11~PXnm)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제공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는다. 화소들(PX11~PXnm)은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한다.게이트 구동부(200)는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게이트 구동부(200)는 표시 영역(DA)의 좌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ASG(Amorphous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The pixels PX11 to PXnm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gate lines GL1 to GLn and corresponding data lines DL1 to DLm, respectively. The pixels PX11 to PXnm receive a data volt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data lines DL1 to DLm in response to a gat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orresponding gate lines GL1 to GLn. The pixels PX11 to PXnm display gray levels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 The
게이트 구동부(200)는 구동 회로 기판(400)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미 도시됨)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신호들은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행 단위로 화소들(PX11~PXnm)에 제공된다. 그 결과 화소들(PX11~PXnm)은 행 단위로 구동될 수 있다.The
데이터 구동부(30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영상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화소들(PX11~PXnm)에 제공한다. The
데이터 구동부(300)는 복수의 소스 구동칩들(310_1~310_k)을 포함한다. k는 0보다 크고 m보다 작은 정수이다. 소스 구동칩들(310_1~310_k)은 대응하는 연성회로기판들(320_1~320_k) 상에 실장되어 구동 회로 기판(400)과 표시영역(DA)의 상부에 인접한 비 표시 영역(NDA)에 연결된다.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소스 구동칩들(310_1~310_k)은 연성회로기판들(320_1~320_k) 상에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 방식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소스 구동칩들(310_1~310_k)은 표시영역(DA)의 상부에 인접한 비 표시 영역(NDA)에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실장 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driving chips 310_1 to 310_k are exemplified by a tape carrier package (TCP) method mount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s 320_1 to 320_k. However, the source driving chips 310_1 to 310_k may be mounted in a non-display area NDA adjac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A in a chip on glass (COG) method.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댐들의 구성은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A plurality of dams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댐들을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ams disposed in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복수의 댐들(DAM1, DAM2, DAM3)을 포함한다. 댐들(DAM1, DAM2, DAM2)은 제1 댐(DAM1), 제2 댐(DAM2), 및 복수의 제3 댐들(DAM3)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에는 3개의 댐들(DAM1, DAM2, DAM3)이 도시되었으나, 댐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댐들(DAM1, DAM2, DAM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물질은 유기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댐(DAM1)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댐(DAM1)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2 댐(DAM2)은 표시 패널(100)의 경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DAM2)은 제1 댐(DAM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he first dam DAM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DA. The first dam DAM1 is disposed to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The second dam DAM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undary surface of the
제3 댐들(DAM3)은 제1 댐(DAM1) 및 제2 댐(DA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은 행 방향으로 장변 및 열 향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댐들(DAM3)은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들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The third dams Dam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am Dam1 and the second dam Dam2. As illustrated in FIG. 2, the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들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 제2, 및 제3 댐들(DAM1, DAM2, DAM2)은 행 방향 및 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고,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들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제2, 및 제3 댐들(DAM1, DAM2, DAM2)은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들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DA)에서 모서리들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꺽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non-display area NDA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액정층(LC), 및 제1 내지 제3 댐들(DAM1, DAM2, DAM3)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액정층(LC)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봉지재(130)에 의해 합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제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기판(110) 상에 화소들,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미 도시됨)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PE)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제공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는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데이터 전압을 화소 전극(PE)에 제공한다. The
제2 기판(120) 상에 공통 전극(CE)이 배치된다. 공통 전극(CE)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레벨 차이에 따라서,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된 전계의 의해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이 구동된다. 그 결과 액정층(LC)을 투과하는 광량이 변화되어 영상이 표시된다. The common electrode CE is disposed on the
제1 기판(CE)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공통 전압을 수신하는 공통 배선(CLC)이 배치된다. 공통 배선(CLC)은 봉지재(130)에 연결된다. 봉지재(130)는 도전 물질을 포함한다. 공통 전압은 데이터 구동부(300)를 경유하여 공통 배선(CLC) 및 봉지재(130)를 통해 공통 전극(CE)에 인가된다. A common line CLC for receiving a common voltage i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first substrate CE. The common wiring CLC is connected to the
액정층(LC)의 액정들이 표시 영역(DA)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되기 위해,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LN2)이 표시 영역(DA)에 배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이하: PI)로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align the liquid crystal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display area DA,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layers ALN1 and ALN2 may be aligned in the display area DA.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layers ALN may be implemented as polyimide (PI).
표시 장치(500)의 제조 시, 제1 기판(110) 상에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화소들이 형성된 후 제1 배향막(ALN1)이 형성된다. 제2 기판(120) 상에 공통 전극(CE)이 형성된 후 제2 배향막(ALN2)이 형성된다. 이후,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이 봉지재(130)에 의해 합착된다.When the
제1 배향막(ALN1)은 제1 기판(110)상에 화소 전극(PE)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배향막(ALN2)은 제2 기판(120)상에 공통 전극(CE)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LN2)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상에 러빙(Rubbing, 이하: RB)됨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lignment layer ALN1 is disposed on the
예시적으로, 러빙(RB)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표시 영역(DA)으로부터 비표시 영역(NDA)으로 배향액이 전달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크기가 소정의 영역 보다 클 경우, 배향액은 봉지재(130)를 벗어나지 않고, 봉지재(130)가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의 소정의 영역까지 전달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rubbing RB, the aligning agen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display area DA to the non-display area NDA. When the size of the non-display area NDA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area, the aligning agent may be deliver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non-display area NDA in which the
그러나, 최근, 표시 영역(DA)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비표시 영역(NDA)의 크기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경우, 배향액은 봉지재(130)가 배치되기 위한 제1 및 제2 기판들(110,120)의 비표시 영역(NDA)까지 전달될 수 있다. 절연막 역할을 하는 배향막(ALN)에 의해, 제1 기판(110)에서 공통 배선(CLC) 및 봉지재(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120)에서 봉지재(130) 및 공통 전극(CE)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전압이 공통 전극(CE)에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구동에 문제점이 발생되어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DA, the size of the non-display area NDA is decreasing. In this case, the aligning agent may be transferred to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first an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댐들(DAM1, DAM2, DAM3)은 배향액이 봉지재(130)가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들(110,120)의 비표시 영역(NDA)의 소정의 영역까지 전달 되도록 한다. The first to third dams DAM1, DAM2, and DAM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alignment agent in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first and
구체적으로, 제1 댐(DAM1)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하부 댐(111a) 및 제2 기판(120) 상에 배치된 제1 상부 댐(121a)을 포함한다. 제2 댐(DAM2)은 제1 기판(120) 상에 배치된 제2 하부 댐(111b)및 제2 기판(120) 상에 배치된 제2 상부 댐(121b)을 포함한다. 제3 댐(DAM3)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3 하부 댐(111c) 및 제2 기판(120) 상에 배치된 제3 상부 댐(121c)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dam DAM1 includes a first
제1 하부 및 상부 댐들(111a, 121a)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1 하부 댐(111a)은 제1 상부 댐(121a)보다 표시 영역(DA)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되지만, 이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1 상부 댐(121a)이 제1 하부 댐(111a)보다 표시 영역(DA)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역시, 제2 하부 및 상부 댐들(111b, 121b)도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제3 하부 및 상부 댐들(111c, 121c)도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and
봉지재(130)가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LN2)이 배치되지 않은 도전성 영역(Conductivity, 이하: C) 및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LN2)이 배치된 비도전성 영역(Non conductivity, 이하: NC)을 포함한다. 도전성 영역(C)에서 공통 배선(CLC)을 통해 제공된 공통 전압은 봉지재(130)를 경유하여 공통 전극(CE)에 제공된다.The non-display area NDA in which the
제1 하부 및 상부 댐들(111a, 121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LN2)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액이 표시 영역(DA)의 기판 상에 러빙(RB)되는 과정에서, 제1 하부 및 상부 댐들(111a, 121b)은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NDA)의 방향으로 배향액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1차 방지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lower and
제2 하부 및 상부 댐들(111b, 121b)은 봉지재(130)와 오버랩되도록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의 기판 상에 러빙(RB)되는 과정에서, 배향액이 제1 하부 및 상부 댐들(111a, 121a)을 넘칠 수 있다. 제3 하부 및 상부 댐들(111c, 121c)은 제1 하부 및 상부 댐들(111a, 121a)을 넘친 배향액이,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NDA)의 방향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2차 방지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cond lower and
제2 하부 댐(111b)은 도전성 영역(C)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댐(121b)은 비도전성 영역(NC)에 위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기판 상에 러빙(RB)되는 과정에서, 배향액이 제3 하부 및 상부 댐들(111c, 121c)을 넘칠 수 있다. 제2 하부 및 상부 댐들(111b, 121b)은 제3 하부 및 상부 댐들(111c, 121c)을 넘친 배향액이,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NDA)의 방향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3차 방지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댐들(DAM1, DAM2, DAM3)은 배향액이 표시 영역(DA)의 기판 상에 러빙(RB)되는 과정에서, 배향액이 도전성 영역(C)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향막들(ALN1, ANL2)이 도전성 영역(C)까지 형성되지 않으므로, 공통 전압이 봉지재(130)를 통해 정상적으로 공통 전극(CE)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third dams DAM1, DAM2, and DAM3, the aligning agent is not transferred to the conductive area C while the aligning agent is rubbed on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area DA. Do not.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layers ALN1 and ANL2 are not formed to the conductive region C, a common voltage may be normally provided to the common electrode CE through th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도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댐들(610, 620, 630)은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댐들(DAM1, DAM2, DAM3)일 수 있다. 4 to 6 are views showing structures of various d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를 참조하면, 댐(610)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줄기부(611) 및 줄기부(611)의 양측 경계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고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들(61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줄기부(611)는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부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줄기부를 포함한다. 제2 줄기부는 제1 줄기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돌출부들(61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들(612)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연장되므로, 러빙 공정 시, 배향액의 퍼짐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배향액이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NDA)으로 전달되다가, 가지들부(612)에 의해 퍼짐 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e
또한, 러빙(RB) 공정 시, 배향액이 댐에 접촉되는 표면적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4에 도시된 돌출부들(612)을 포함하는 댐(610)에서 더 넓어진다. 따라서,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4에 도시된 돌출부들(612)을 포함하는 댐(610)에 의해 배향액의 표면 장력이 커질 수 있다. 그 결과, 배향액의 퍼짐 속도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4에 도시된 댐(610)에서 늦춰질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the rubbing (RB) process, the surface area in which the aligning agent contacts the dam is wider in the
도 5를 참조하면, 댐(620)은 줄기부(621) 및 줄기부(621)의 양측 경계면에서 꺽임 형상을 갖고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들(62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줄기부(621)는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부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줄기부를 포함한다. 제2 줄기부는 제1 줄기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돌출부들(622)은 줄기부(621)의 양측 경계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고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들(622)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끝단에서, 다시 소정의 각도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 The
러빙(RB) 공정 시, 배향액이 댐에 접촉되는 표면적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5에 도시된 돌출부들(622)을 포함하는 댐(620)에서 더 넓어진다. 특히, 배향액의 퍼짐 방향은 돌출부들(622)의 꺽임 형상을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돌출부들(622)은 두 번의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연장된 거리들을 포함함으로써, 배향액의 표면 장력을 더욱 커질 수 있다. 그 결과, 배향액의 퍼짐 속도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5에 도시된 댐(620)에서 늦춰질 수 있다. During the rubbing (RB) process, the surface area in which the aligning agent contacts the dam is wider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댐(630)은 줄기부(631) 및 줄기부(632)의 양측 경계면에서 반원형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63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줄기부(631)는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부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줄기부를 포함한다. 제2 줄기부는 제1 줄기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들(63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The
러빙(RB) 공정 시, 배향액의 퍼짐 방향은 돌출부들(632)에 의해 변경 변경될 수 있다. 배향액이 댐에 접촉되는 표면적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6에 도시된 돌출부들(632)을 포함하는 댐(630)에서 더 넓어진다. 따라서,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6에 도시된 돌출부들(632)을 포함하는 댐(630)에 의해 배향액의 표면 장력이 커질 수 있다. 그 결과, 배향액의 퍼짐 속도가 줄기부만 있는 댐보다 도 6에 도시된 댐(630)에서 늦춰질 수 있다. During the rubbing (RB) process, the spreading direction of the aligning agent may be changed by the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 구조를 보여준다. 도 7 및 8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댐들은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댐들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 및 8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댐들 역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댐 및 하부 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내지 도 8에는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비표시 영역에서 댐들(700, 800)의 형상이 도시되었다7 and 8 show a dam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dams shown in FIGS. 7 and 8 may be the first to third dams shown in FIG. 2. That is,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dam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may also include an upper dam and a lower dam, respectively, as illustrated in FIG. 3.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hapes of dams 700 and 800 in a non-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댐(700)은 제1 댐(710), 제2 댐(720), 및 복수의 제3 댐들(730)을 포함한다. 제1 댐(710)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되, 제1, 제2, 및 3 댐들(710, 720, 730) 중 표시 영역(DA) 가장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댐(720)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되, 제1, 제2, 및 3 댐들(710, 720, 730) 중 표시 영역(DA)과 가장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3 댐들(730)은 제1 및 제2 댐들(710, 720) 사이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7, the dam 700 includes a
표시 장치(100)의 장변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제3 댐들(730)은, 행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열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두 개의 행들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표시 장치(100)의 단변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제3 댐들(730)은, 열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행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두 개의 열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서로 다른 행들 및 서로 다른 열들에 배치된 제3 댐들(730)의 장변의 양측의 소정의 영역들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제3 댐들(730)이 두 개의 행들 및 두 개의 열들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 보다 많은 행들 및 열들에 제3 댐들(730)이 배치될 수 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도 8을 참조하면, 댐(800)은 제1 댐(810), 제2 댐(820), 및 복수의 제3 댐들(830)을 포함한다. 제1 댐(810) 및 제2 댐(820)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제1 댐(710) 및 제2 댐(8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1 댐(810) 및 제2 댐(82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8, the dam 800 includes a
제3 댐들(830)은 제1 댐(810) 및 제2(820)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댐들(830)은 각각 꺽임 형상을 갖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표시 패널
200: 게이트 구동부
300: 데이터 구동부
400: 연성회로기판100: display panel
200: gate driver
300: data driver
400: flexible circuit board
Claims (15)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도전성 영역 및 상기 도전성 영역보다 상기 표시 영역에 더 인접한 비도전성 영역을 정의한 봉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댐, 상기 제1 댐을 둘러싸는 제2 댐, 및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2 댐 사이에 배치된 제3 댐을 포함하는 복수의 댐들;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3 댐에 전체적으로 중첩한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댐은 상기 봉지재에 중첩하는 표시장치.A first substrate defin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 encapsulant overlapping the non-display area,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defining a conductive area and a non-conductive area closer to the display area than the conductive area; And
A first dam overlapping the non-display area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in a plan view, a second dam surrounding the first dam, and the first dam, and A plurality of dams including a third dam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ams;
An alignment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entirely overlapping the first dam and the third dam on the plane,
On the plane, the second dam overlaps the encapsulant.
상기 배향막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배향막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커버된 화소 전극들;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배향막에 의해 커버된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lignment layer includes a first alignment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alignment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Pixel electrode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covered by the first alignment layer;
A common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and covered by the second alignment layer;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제1 내지 제3 댐들 각각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부 댐 및 제2 기판상에 배치되는 상부 댐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댐의 상기 하부 댐은 상기 도전성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댐의 상기 상부 댐은 상기 비도전성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first to third dams includes a lower dam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n upper dam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The lower dam of the third dam is disposed in the conductive area, and the upper dam of the third dam is disposed in the non-conductive area.
상기 제1 배향막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3 댐의 상기 하부 댐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제2 배향막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3 댐의 상기 상부 댐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lignment layer i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nd entirely covers the lower dam of the third dam in the non-display area,
The second alignment layer i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nd entirely covers the upper dam of the third dam in the non-display area.
상기 제1 기판은 행 방향으로 장변 및 열 방향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댐들 각각은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으로 연장된 줄기부 및 상기 줄기부의 경계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줄기부는,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부; 및
상기 제1 줄기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줄기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bstrate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in a row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 a column direction,
Each of the dams includes a stem portion extending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undary surface of the stem portion,
The stem part,
A first stem extending in the row direc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stem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stem and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줄기부의 양측 경계면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각각 배치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boundary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tem.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줄기부의 양측 경계면에서 꺽임 형상을 갖고 연장된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s extend to have a bent shape at the boundary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tem.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줄기부의 양측 경계면에 반원 형태로 돌출된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in a semicircular shape on both boundary surfaces of the stem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005A KR102250759B1 (en) | 2013-09-02 | 2013-09-02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005A KR102250759B1 (en) | 2013-09-02 | 2013-09-02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407A KR20150027407A (en) | 2015-03-12 |
KR102250759B1 true KR102250759B1 (en) | 2021-05-12 |
Family
ID=5302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5005A Active KR102250759B1 (en) | 2013-09-02 | 2013-09-02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07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3616B1 (en) | 2015-07-29 | 2017-08-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2430302B1 (en) * | 2015-08-25 | 2022-08-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102436650B1 (en) * | 2015-11-02 | 2022-08-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463309B1 (en) * | 2016-01-08 | 2022-1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522858B1 (en) * | 2016-02-17 | 2023-04-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610024B1 (en) | 2016-06-16 | 2023-12-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668184B1 (en) * | 2016-07-25 | 2024-05-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671040B1 (en) * | 2016-10-10 | 2024-06-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465435B1 (en) | 2017-12-28 | 2022-11-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810223B1 (en) | 2020-10-16 | 2025-05-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1452A (en) * | 2001-04-13 | 2002-10-23 | Citizen Watch Co Ltd | Liquid crystal device |
KR100672649B1 (en) | 2004-12-29 | 2007-01-2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9025355A (en) | 2007-07-17 | 2009-02-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300034B1 (en) | 2010-10-18 | 2013-08-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668B1 (en) * | 2003-10-06 | 2011-01-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C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0987678B1 (en) * | 2004-12-03 | 2010-10-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80060525A (en) * | 2006-12-27 | 2008-07-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C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791201B1 (en) * | 2010-12-28 | 2017-10-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856094B1 (en) * | 2011-09-01 | 2018-05-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
-
2013
- 2013-09-02 KR KR1020130105005A patent/KR1022507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1452A (en) * | 2001-04-13 | 2002-10-23 | Citizen Watch Co Ltd | Liquid crystal device |
KR100672649B1 (en) | 2004-12-29 | 2007-01-2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9025355A (en) | 2007-07-17 | 2009-02-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300034B1 (en) | 2010-10-18 | 2013-08-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407A (en) | 2015-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0759B1 (en) | Display device | |
US10510280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9140944B2 (en) | Nanocrystal display including black matrix between common electrode and data line in boundary between pixel areas | |
KR102534149B1 (en) | Displa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ulti display apparatus | |
KR102204976B1 (en) |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KR102283806B1 (en) | Display apparatus | |
US9778526B2 (en) | Display panel and pixel array thereof | |
CN105892179B (en) | display screen | |
US20140125910A1 (en) | Nanocrystal display | |
KR20170001790A (en) |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KR102608434B1 (en) | Display device | |
KR102810501B1 (en) | Display device | |
KR102244018B1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076841B1 (en) |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Having Additional Common Line | |
US9425222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88820B1 (en) | Display apparatus | |
US9298029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164339B2 (en) | Display apparatus | |
KR20090126764A (en) |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KR102219771B1 (en) |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500559B1 (en) |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312168B1 (en) |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024655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9869899B2 (en) |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force over directers of liquid crystals | |
US20150234242A1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