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0610B1 -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 Google Patents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610B1
KR102250610B1 KR1020190023675A KR20190023675A KR102250610B1 KR 102250610 B1 KR102250610 B1 KR 102250610B1 KR 1020190023675 A KR1020190023675 A KR 1020190023675A KR 20190023675 A KR20190023675 A KR 20190023675A KR 102250610 B1 KR102250610 B1 KR 10225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irect
floor
wall
stair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063A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6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6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각 층에 방화문(101)이 구비된 건축물의 아래 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계단실(10); 계단실(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계단실(10)을 구획하되, 최상단부에는 최상층 공간을 분할하는 막힘벽(201)을 구비한 내화벽(20);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1직통계단(30);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되, 상기 제1직통계단(30)에 의해 형성된 계단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여 제1, 2방화구역을 형성하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2직통계단(4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실을 내화벽으로 구획하여 단일 계단실에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2개의 독립적인 방화구역을 확보함으로써 각 방화구역 내에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직통계단을 구비함에 따라 단일의 계단실에 2개의 직통계단을 구비하여 관련 법규를 만족하면서 계단실 확보에 따른 공용면적 부분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전용면적을 더 넓게 확보하고, 건축비 절감 및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Two direct stairs structures separated by fire walls}
본 발명은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실을 내화벽으로 구획하여 단일 계단실에 내화구조와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2개의 직통계단을 구비함으로써 건축물의 전용면적을 확대할 수 있게 한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피난 계획은 수평적인 부분과 수직적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적 피난 계획은 복도 및 보행거리 등으로 규정되며, 수직적인 피난 계획을 담당하는 것이 계단이다.
건축계획에 있어서 수직 동선은 계단 외에도 엘리베이터가 있다. 그러나 전기 공급이 차단될 가능성이 있는 재난 상황에서, 고층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제외한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피난시설로 간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계단은 건축물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직 피난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서 사람들의 피난을 위한 대피 동선은 막힘없는 통로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축법」은 피난용 계단(경사로 포함)의 구조를 직통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직통계단(direct stairs)이란 도 1과 같이 건축물의 모든 층(피난층 제외)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을 말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아래 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만 된다면, 그 형태가 원형이거나 일직선의 계단이어도 무방하며, 계단의 위치가 내ㆍ외부 어디라도 좋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러나 여기서 조금 더 정확하게 이해해야 할 부분은 「건축법」에서 직통계단을 규정한 취지이다. 직통계단은 막힘없는 대피를 위한 통로를 마련해 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계단을 일방향으로 계획한 경우 실내의 다른 부분인 복도 및 거실 등을 거치지 않고 피난할 수 있는 계단이라면 직통계단으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일방향이라도 직통계단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아울러, 피난층은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및 피난안전구역을 말한다.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구가 있는 층은 대개 1층이지만 대지 상황에 따라 2개 이상인 경우도 있다.
「건축법」에서는 피난층을 피난안전구역까지 확장하고 있는 반면, 소방관련법에서는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으로만 규정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건축물의 규모나 용도는 건축물의 이용자 수와 관계되며, 이용자의 수가 많다는 것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자의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건축법」에서는 일정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반드시 최소 2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건축법」에서 피난규정 적용의 기준이 되는 바닥면적의 산정은 실제 거실로 사용하고 있는 면적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 말해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도, 계단, 화장실 등은 제외하고 산정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몰리는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장례식장 등의 경우는 거실 면적이 아닌 그 층의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규정을 좀 더 엄격하게 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건축법」에서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직통계단의 수가 최소 2개소 이상이다. 그러나 직통계단의 수는 보행거리와도 관련이 있다. 보행거리 규정은 사람들이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거리를 통제하여 원활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직통계단의 개수를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평면적으로 넓거나 길이가 긴 건축물의 경우는 보행거리 이내마다 직통계단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람들의 원활한 대피를 도모하기 위하여 직통계단은 ①거실과의 접근성을 유지(보행거리 규정)하여야 하며, ②각 직통계단의 출입구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대피자들의 동선을 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야 하고, ③직통계단 상호 간에는 각각 거실과 연결된 복도 등 통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건축물의 연면적에 따라 일정한 보행거리를 확보해야 하고, 보행거리에 따른 직통계단의 수를 만족해야 하며, 법규상의 내화구조를 만족하기 위하여 하나의 계단실에 하나의 직통계단만을 구비함으로써, 건축물의 연면적 및 보행거리에 따라 더 많은 계단실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공용면적의 확대로 인해 건축물의 전용면적이 축소되는 단점이 있다.
즉, 주택법상 전용면적은 소유자가 독점하여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하고, 공용면적은 불특정 다수인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하며,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합한 것을 공급면적이라 하는데, 동일한 공급면적에 대하여 공용면적이 클수록 전용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0878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실을 내화벽으로 구획하여 단일 계단실에 내화구조와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2개의 직통계단을 구비한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는, 건축물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각 층에 방화문(101)이 구비된 건축물의 아래 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계단실(10);
상기 계단실(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계단실(10)을 구획하되, 최상단부에는 최상층 공간을 분할하는 막힘벽(201)을 구비한 내화벽(20);
상기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1직통계단(30);
상기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되, 상기 제1직통계단(30)에 의해 형성된 계단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여 제1, 2방화구역을 형성하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2직통계단(40); 을 포함한다.
상기 내화벽(20)은, 콘트리트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화벽(20)은,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비상출입문(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출입문(50)은, 상기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의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방화문(101)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출입문(50)은, 상기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 양측 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케 하는 경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은 비상출입문(50)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스프링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실을 내화벽으로 구획하여 단일 계단실에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2개의 독립적인 방화구역을 확보함으로써 각 방화구역 내에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직통계단을 구비함에 따라 단일의 계단실에 2개의 직통계단을 구비함으로써 관련 법규를 만족하면서 계단실 확보에 따른 공용면적 부분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전용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연면적을 가진 건축물에 대하여 계단실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비 절감 및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통상의 계단실에 형성된 직통계단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직통계단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직통계단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출입문을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2개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직통계단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직통계단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는 계단실(10), 내화벽(20), 제1직통계단(30), 제2직통계단(40)을 포함한다.
상기 계단실(10)은 건축물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각 층에 방화문(101)이 구비된 건축물의 아래 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계단실(10)의 평면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통상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단실(10)을 구성하는 모든 벽체는 내화벽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화문(101)은 건축물의 각 층과 연결되는 계단실(10) 일측 벽체에 형성되되 피난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내화벽(20)은 계단실(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계단실(10)을 구획한다.
이때, 내화벽(20)의 최상단부에는 최상층 공간을 분리된 공간으로 분할하는 막힘벽(201)을 구비한다.
상기 막힘벽(201)은 내화벽(20)의 양측 단부에서 대칭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내화벽(20)과 막힘벽(201)은 콘트리트 구조체로 형성함으로써 법률상에서 규제하는 내화구조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직통계단(30)은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된다.
즉, 건축물의 각 층과 연결되는 계단실(10) 내부 일측벽(102)에는 제1층별계단참(301)이 형성되고, 계단실(10) 내부 타측벽(103)에는 제1층별계단참(30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층간계단참(3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직통계단(30)은 제1층별계단참(301)과 제1층간계단참(302)을 지그재그로 계단(303)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제1층별계단참(301)과 제1층간계단참(302)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계단(303)은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다
상기 제2직통계단(40)은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되, 제1직통계단(30)에 의해 형성된 계단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여 제1, 2방화구역을 형성하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된다.
즉, 건축물의 각 층과 연결되는 계단실(10) 내부 타측벽(103)에는 제2층별계단참(401)이 형성되고, 계단실(10) 내부 일측벽(102)에는 제2층별계단참(40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층간계단참(4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직통계단(40)은 제2층별계단참(401)과 제2층간계단참(402)을 지그재그로 계단(403)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제2층별계단참(401)과 제2층간계단참(402)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계단(403)은 계단실(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다.
아울러, 제2층별계단참(401)과 제2층간계단참(402)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계단은 제1직통계단(30)에 의해 형성된 계단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여 제1, 2방화구역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벽(20), 제1직통계단(30), 제2직통계단(40)에 의해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이 각각 독립되게 완전히 구획된다.
따라서 계단실(10)을 내화벽(20)으로 구획하여 단일 계단실(10)에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2개의 독립적인 방화구역을 확보함으로써 각 방화구역 내에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직통계단을 구비함에 따라 단일의 계단실(10)에 2개의 직통계단을 구비할 수 있게 되어 관련 법규를 만족하면서 계단실(10) 확보에 따른 공용면적 부분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전용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연면적을 가진 건축물에 대하여 보행거리를 만족하는 2개의 직통계단을 하나의 계단실(10) 내에 구성함으로써 대형 건축물의 경우 계단실(10)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비 절감 및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출입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화벽(20)은,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비상출입문(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상출입문(50)은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 양측 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하며 자동으로 닫히도록 스프링경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는 내화벽(20), 제1직통계단(30), 제2직통계단(40)에 의해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이 각각 독립되게 완전히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내화벽(20)에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비상출입문(50)이 더 구비함으로써 어느 한 방화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과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 내화벽(20)에 형성된 비상출입문(50)을 통해 또 다른 방화구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어느 한 방화구역에서 발생한 화염과 연기로부터 신속한 대피가 가능케 된다.
상기 비상출입문(50)은,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의 내화 구조를 만족하는 방화문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통상의 방화문은 피난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 구조이나, 상기 비상출입문(50)은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 양측 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함으로써 제1방화구역(A1)이나 제2방화구역(A2) 중 어느 방향으로 피난하던지 피난 방향으로 개폐 가능케 된다.
아울러 비상출입문(50)은 스프링경첩으로 설치됨으로써, 어느 일 방향으로 열린 후, 사용자가 직접 비상출입문(50)을 닫지 않더라도 스프링경첩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으로 인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출입문(50)은 스프링경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상출입문(50)이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 양측 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하며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의 경첩이나 힌지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건축물 10: 계단실
101: 방화문 102: 일측벽
103: 타측벽 20: 내화벽
201: 막힘벽 30: 제1직통계단
301: 제1층별계단참 302: 제1층간계단참
40: 제2직통계단 401: 제2층별계단참
402: 제2층간계단참 A1: 제1방화구역
A2: 제2방화구역 50: 비상출입문

Claims (5)

  1. 건축물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각 층에 방화문(101)이 구비된 건축물의 아래 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계단실(10);
    상기 계단실(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계단실(10)을 구획하되, 최상단부에는 최상층 공간을 분할하는 막힘벽(201)을 구비한 내화벽(20);
    상기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1직통계단(30);
    상기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되, 상기 제1직통계단(30)에 의해 형성된 계단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여 제1, 2방화구역을 형성하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2직통계단(40); 을 포함하고,
    상기 내화벽(20)은,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콘트리트 구조체로 되되,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을 연결하게 형성되는 비상출입문(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비상출입문(50)은,
    상기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의 내화구조를 만족하는 방화문(101)으로 형성되되, 내화벽(20)에 의해 구획된 제1방화구역(A1)과 제2방화구역(A2) 양측 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케 하는 경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직통계단(30)은,
    내화벽(20)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어지면서 각 층 및 층간에 형성되는 계단참을 연결하게 형성되되,
    계단실(10) 내부 일측벽(102)에는 제1층별계단참(301)이 형성되고,
    계단실(10) 내부 타측벽(103)에는 제1층별계단참(30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층간계단참(302)이 형성되어 제1층별계단참(301)과 제1층간계단참(302)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3675A 2019-02-28 2019-02-28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Active KR10225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75A KR102250610B1 (ko) 2019-02-28 2019-02-28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75A KR102250610B1 (ko) 2019-02-28 2019-02-28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63A KR20200105063A (ko) 2020-09-07
KR102250610B1 true KR102250610B1 (ko) 2021-05-11

Family

ID=7247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75A Active KR102250610B1 (ko) 2019-02-28 2019-02-28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6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7217B2 (ja) * 2009-10-16 2013-12-25 大成建設株式会社 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843A (ja) * 1991-12-16 1993-06-29 Taisei Corp 多層建造物
JPH0693742A (ja) * 1992-09-11 1994-04-05 Taisei Corp 高層建築物の避難階段構造
JPH11303528A (ja) * 1998-04-24 1999-11-02 Ohbayashi Corp 防火扉
KR101308789B1 (ko) 2013-03-28 2013-09-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법규 자동화 검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7217B2 (ja) * 2009-10-16 2013-12-25 大成建設株式会社 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63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610B1 (ko)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CN212053525U (zh) 加装电梯的旋转式消防通道
CN214531088U (zh) 一种具有立体避难设施的建筑
KR200427840Y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Bukowski et al. The basis for egress provisions in US building codes
JP5377217B2 (ja) 構造物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JP2907201B1 (ja) 中・高層の共同住宅
CN106978932A (zh) 一种防灾逃生间
CN112832369A (zh) 一种具有立体避难设施的建筑
JP6842278B2 (ja) 集合住宅
JP5280955B2 (ja) 中高層建築物用エレベータ
WO2013159651A1 (zh) 逆烟楼梯
KR100467994B1 (ko) 비상 탈출 구조
KR102440053B1 (ko)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CN112096166B (zh) 提升交通建筑配套地下商业设施防火安全性能的设计方法
KR20090129022A (ko) 탑상형 아파트의 중앙코어
JP2943023B2 (ja) 多層建築物
KR100746765B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Garg et al. Fire Safety
JP2002035154A (ja) 避難階段の区画システム
JP6650672B2 (ja) 建築物
CN208534155U (zh) 一种防灾逃生间
CN112942899A (zh) 在居住主体室外设置梯间和开敞式空中庭院的居住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