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578B1 -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578B1 KR102248578B1 KR1020190051971A KR20190051971A KR102248578B1 KR 102248578 B1 KR102248578 B1 KR 102248578B1 KR 1020190051971 A KR1020190051971 A KR 1020190051971A KR 20190051971 A KR20190051971 A KR 20190051971A KR 102248578 B1 KR102248578 B1 KR 102248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wall
- contents
- fixture
- contents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8—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provision for sieves or shaping parts for sticks e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내벽과 외벽이 형성된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에 결합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망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 시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구가 내용물용기의 외벽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inside and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formed therein; A fixture coupled to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discharge net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discharge ne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pressurization, wherein the fixture to which the discharge net is bonded and the contents container are combined I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ing net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while the fixture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하단에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벽과 외벽이 형성된 내용물용기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고정구가 외벽에 고정 결합되어 토출망이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고정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in more detail, by coupling a fixture to which a discharge net is bonded at the lower end to a content container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the discharge net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that is fixed while the fixture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so that the discharge net is held taut.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각양각색의 색채를 갖는 화장용품 및 화장도구를 사용하여 화장(化粧)을 하고 있다.In today's modern society, according to the rapidly diversifying trend of the times, both men and women of all ages use cosmetics as needed. In particular, for women, various types of cosmetics and makeup products and make-ups with various colors are used. I am applying makeup using tools.
이러한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 따라 분말, 액상, 겔상, 고형 화장품으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 사용된다.These cosmetics can be classified into basic cosmetics, makeup cosmetics, functional cosmetics, and hair cosmetics, etc., depending on their function, and are classified into powder, liquid, gel, and solid cosmetics depending on their condition, and are stored and used in containers suitable for each condition. .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akeup cosmetics are divided into base makeup used to make the skin color uniform and cover flaws, and point makeup that partially enhances three-dimensional effect such as lips, eyes, and nails.The base makeup consists of a makeup base, foundation, powder, etc. The point makeup consists of lipstick, eyeliner, and mascara.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 중에서 베이스 메이크업에 해당하는 파운데이션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겔상 파운데이션으로 나뉘는데, 상기 고형 파운데이션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수정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액상 파운데이션의 경우 밀착감은 좋으나 지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Among the makeup cosmetics, foundations corresponding to base makeup are divided into solid foundations, liquid foundations, and gel found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cosmetic composition.The solid foundation has a high coverage, but has a disadvantage of lumping during corrective makeup, and the liquid foundation has a tight fit. Is good, but it has a disadvantage of weak persistence.
따라서. 최근에는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겔상 파운데이션의 사용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use of a gel-like foundation that gives a light feeling and a moist hydration feeling, showing a fresh feeling of use, is increasing.
하지만, 상기 겔상 파운데이션을 일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겔상 파운데이션을 손 또는 퍼프에 덜어내거나 짜내어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겔상 파운데이션을 동일한 양으로 덜어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겔상 파운데이션이 퍼프 전체에 골고루 묻지 않고 일부분에만 묻게 되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gel-like foundation was filled in a general container and used, the gel-like foundation was used in a way that the user applied it to the skin by applying or squeezing the gel-like foundation on a hand or puff, and thus the gel-like foundation could not be used with the same amou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use because the gel-like foundation is not evenly spread over the puff, but only a part of the puff.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7628호로 함침부재가 내장된 콤팩트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발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함침부재에 겔상 화장료를 함침시켜 퍼프로 상기 함침부재를 직접 가압하면서 사용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mpact container with an impregnating member was disclosed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7628, and the prior art impregnates a gel-like cosmetic material into an impregnating member made of urethane foam to directly press the impregnating member with a puff. It is used while doing.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부재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을 퍼프에 묻혀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이므로, 반복된 퍼프의 접촉에 의해 함침부재가 오염되거나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directly presses the impregnating member using a puff, the contents are buried in the puff and applied to the skin,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regnating member is contaminated or broken due to repeated contact of the puff.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오랜기간 사용되어 함침부재에 겔상 화장료의 함침량이 감소되면, 겔상 화장료를 배출시키기 위해 퍼프로 함침부재를 누르는 압력이 커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해 함침부재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함침부재의 탄성력이 떨어져 형상이 변하면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hen the amount of the gel-like cosmetic material is reduced in the impregnating memb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ressure to press the impregnating member with a puff to discharge the gel-like cosmetic material has to be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impregnated member was changed due to a decrease in the elastic for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and the aesthetic feeling was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6194호로 스크린망을 포함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크릴 및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스크린망 및 상기 스크린망과 인접한 흡수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크린망에 의해 화장료가 퍼프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 화장료가 퍼프에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smetics including screen net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been disclosed a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116194, and the prior art is polyurethane, TPE (thermoplastic elastomer), polyester, polyether, By including one or more screen ne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s and olefins, and an absorbent material adjacent to the screen net,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ischarge of cosmetics to the puff while the cosmetics do not directly contact the puff by the screen net. have.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스크린망이 퍼프의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늘어지거나 변형되어 하측으로 쳐지게 되면서 심미감이 떨어지게 되고, 퍼프로 상기 스크린망을 가압할 때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the screen net is stretched or deformed by repeated pressing of the puff and struck downward, the aesthetic feeling is deterior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eeling of use is deteriorated when the screen net is pressed with the puff.
이와 같이 종래의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들은, 위생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심미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바,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화장품 용기를 고급화 및 사용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cosmetic containers that contain conventional liquid or gel cosmetics do not guarantee hygiene and have problems such as poor aesthetics.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ensure that they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은 하단에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벽과 외벽이 형성된 내용물용기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고정구가 외벽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망이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내용물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xing tool to which the discharge net is bonded at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contents container having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formed, the discharge net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and the fixing tool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in which the discharge net is not struck downward and is kept taut while being fix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ntents contai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내벽과 외벽이 형성된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에 결합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망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 시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구가 내용물용기의 외벽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inside and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formed therein; A fixture coupled to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discharge net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discharge ne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pressurization, wherein the fixture to which the discharge net is bonded and the contents container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net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while the fixture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의 일측에는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내용물용기뚜껑이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용기뚜껑의 하부면에 밀폐패킹이 형성되어 내용물용기의 외벽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ent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ents contain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sealing packin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ents container lid,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의 외벽 내주연에는 고정돌륜이 형성되고, 고정구의 외주연에는 고정환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ed dolphi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an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fixed r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tur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고정구가 내벽과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fixture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또한, 상기 고정구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수평 연장 형성된 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tur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and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the center.
또한, 상기 토출망은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된 상태로 내용물용기와 고정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net may be fitted between the contents container and the fixture while being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to be fixed.
또한, 상기 토출망은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되어 고정구의 상부와 이격되어 있다가, 내용물용기와 고정구의 결합 시 확장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벽 상부를 감싸는 동시에, 상기 고정구의 내주연과 상부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net is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expands when the contents container and the fixture are combined to surround the upper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it It can be t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단에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벽과 외벽이 형성된 내용물용기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고정구가 외벽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망이 퍼프의 반복적인 가압에도 늘어지거나 쳐짐 없이 팽팽한 상태로 심미감 및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xture with the discharge net bonded at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contents container having the inner and outer walls, the discharge net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discharge net to maintain the aesthetic feeling and feeling of use in a taut state without sagging or sagging even when repeatedly pressing the puf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토출망을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된 상태로 고정구의 내주연과 내용물용기의 내벽 사이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토출망이 고정구와 내용물용기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net is tightly fitted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ture and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while the discharge net is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so that the discharge net does not easily come out from the fixture and the contents container. It can be use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용물용기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상기 토출망을 손쉽게 확장하면서 고정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ing net can be easily extended and fixed by simply combining the fixture to which the discharging net is bonded to the contents container,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and reducing assembly defects,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Has the effect of be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에 토출망을 접합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용물용기에 결합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퍼프로 토출망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에 보조링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joined to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ture to which a discharge net is bonded is coupled to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panded outward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pressed with a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panded outward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ring is coupled to a fix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tended to the outside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llustrated as examples of the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nough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if appropriately describ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taking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onsidera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 및 토출망(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내용물용기(10)의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저장되는데, 상기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은 파운데이션, 선크림, 파우더, 비비크림, 로션, 크림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으며, 스펀지와 같은 함침재에 함침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별도의 수용 수단에 담겨 내용물용기(10) 내부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수용 수단 없이 내용물 자체가 내용물용기(10) 내부에 담겨질 수도 있다.Liquid or gel contents are stored inside the
상기 내용물용기(10)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내벽(12)과, 상기 내벽(12)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13) 및 상기 연결부(1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외벽(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적절하다. 즉, 내벽(12)의 외주연이 밑으로 갈수록 외벽(14)을 향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과 외벽(14) 사이에 고정구(20)가 타이트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it is appropriate that the
그리고 상기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 내주연에는 고정구(20)를 내용물용기(1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돌륜(14a)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한편, 내용물용기(10) 일측에는 내용기용기뚜껑(20)과 힌지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16)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브라켓(16)은 용기본체(30)의 힌지브라켓 수용홈(36)에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10)의 일측에는 내용물용기(10)를 개폐하는 내용물용기뚜껑(20)이 힌지 결합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 내용물용기뚜껑(20)의 상부에는 퍼프(P)를 보관할 수 있는 퍼프 수용홈(22)이 형성되고, 내용물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내용물용기뚜껑(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뚜껑손잡이(2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한편, 상기 내용물용기뚜껑(20)의 뚜껑손잡이(24) 맞은편에는 제2힌지브라켓(26)이 형성되어 내용물용기(10)의 제1힌지브라켓(16)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16)과 함께 용기본체(10)의 힌지브라켓 수용홈(36)에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내용물용기뚜껑(20)의 하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밀폐패킹(28)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패킹(28)은 내용물용기뚜껑(20)을 닫았을 때,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내용물용기(10)를 밀폐시킨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sealing packing 28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xtends downwardly at the lower part of the
여기서, 상기 밀폐패킹(28)은 내용물용기뚜껑(20)의 하부면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용기(10) 내부의 밀폐력 향상을 위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NBR(nitrile-butadiene rubber),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밀폐패킹(28)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aling packing 28 may be insert-injected or double-injec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내용물용기(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30)의 일측에는 용기뚜껑(40)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30)를 개폐할 수 있다.The
상기 용기본체(30)의 전면에는 버튼(3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32)의 상측에는 걸림돌기(32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뚜껑(40)의 전면에는 돌기 형상의 후크(42)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32)의 걸림돌기(32a)와 체결된다.A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30)의 일측에는 내용물용기(10)의 제1힌지브라켓(16)과 내용물용기뚜껑(20)의 제2힌지브라켓(26)이 삽입되는 힌지브라켓 수용홈(36)이 형성될 수 있다.And at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용기뚜껑(4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거울(44)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고정구(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에 결합되어 토출망(60)을 고정시키게 된다.The
상기 고정구(50)는 링 형상이며, 결합부(52)와 상기 결합부(52)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수평 연장 형성된 수평연장부(54)로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결합부(52)의 외주연에는 고정환홈(52a)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환홈(52a)은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돌륜(14a)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50)를 내용물용기(10)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된다.Here, a fixed ring groove (52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portion (52), the fixed ring groove (52a) is coupled with a fixed dolphin (14a)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wall (14) of the contents container (10) The
또한, 상기 수평연장부(54)는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 상단을 덮으면서 상기 내벽(12)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테두리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평연장부(54)의 하부면에는 토출망(60)이 밀착된다.In addition, the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0)의 결합부(54)는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의 체결력을 보조하기 위해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과 외벽(14) 사이에 타이트 하게 끼워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drawing of FIG. 3, the
상기 토출망(60)은 고정구(50)의 하단에 접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퍼프(P)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The
상기 토출망(60)은 내용물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퍼프(P)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퍼프(P)의 세균 및 노폐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망(60)은 촘촘하게 짜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토출망(60)을 가압하기 전에는 내용물용기(10) 내에 저장된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화장품 용기의 위생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즉, 상기 토출망(6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퍼프(P)와 같은 화장도구로 가압하게 되면, 토출망(60)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늘어나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날실과 씨실 사이의 토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내용물용기(10)로부터 토출된 내용물만 퍼프(P)의 도포면에 묻게 되고, 상기 내용물용기(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에는 퍼프(P)가 접촉되지 않아 내용물용기(10) 내의 내용물이 상기 퍼프(P)에 있는 세균 및 노폐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된다.That is, when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여기서, 상기 토출망(60)은 합성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특히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 탄성을 갖는 합성 화합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구(50)의 하단에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 또는 열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토출망(60)에 형성된 토출구멍의 크기는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점도(粘度)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점도(粘度)가 낮을 경우 토출망(60)에 형성된 토출구멍은 더 작게 형성하고, 반대로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점도(粘度)가 높을 경우 토출망(60)에 형성된 토출구멍은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에 토출망을 접합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내용물용기에 결합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bonded to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of coupling a fixture to which a discharge net is bonded to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panded outward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10)에 고정구(50)가 결합될 때, 상기 내용물용기(10)에 의해 토출망(60)이 확장되는 동시에, 상기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에 고정구(50)가 결합된다.As shown, when the
즉, 종래의 메시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토출망에 함침되는 내용물의 무게와 내용물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표면 장력 및 사용자의 반복되는 가압에 의해 토출망이 팽팽함을 유지하지 못하고 내용물용기 안쪽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That is, if a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mesh net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ischarging net cannot be kept taut due to the weight of the contents impregnated in the discharging net,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container, and repeated pressure by the user. There is a phenomenon of sagging inside the contents contain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구(50)의 하단에 토출망(60)을 접합하여 상기 고정구(50)의 수평연장부(54)와 토출망(60)이 결합부(54)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하고, 이렇게 토출망(60)이 접합된 고정구(50)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한다. 이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망(60)이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에 의해 상부로 밀어 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구(50)가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망(60)이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내용물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다시 말해, 상기 토출망(60)은 고정구(50)의 하단에 접합되어 고정구(50)의 상부와 이격되어 있다가,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의 결합 시 확장되면서 고정구(50)의 결합부(52) 내주연과 상부연장부(54)의 하부면에 밀착된다.In other word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토출망(60)이 퍼프(P)의 반복적인 가압에도 늘어지거나 쳐짐 없이 팽팽한 상태가 되어, 심미감 및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면서 조립 불량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토출망(60)은 고정구(50)의 하단에 접합된 상태로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6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망(60)의 테두리 부분이 고정구(50)의 하단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토출망(60)이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 외주연과 고정구(50)의 결합부(52) 내주연 사이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동시에, 내용물용기(10)의 상단과 고정구(50)의 수평연장부(54) 하부면 사이에 타이트하게 끼워지고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토출망(60)이 여러 번 반복적으로 가압되더라도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drawing of FIG. 6,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에 보조링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에 의해 토출망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tended outward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auxiliary ring in a fix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being combined,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expanded outward by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 conten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고정구(50)의 상부 내측면 즉, 상부연장부(54)의 하부면에 토출망(60)의 처짐 또는 이탈 방지를 위해 끼움환홈(56)을 더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gging of the
상기 고정구(50)가 내용물용기(10)의 상부에 결합할 때, 상기 끼움환홈(56)에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 상단이 끼워지면서 토출망(60)이 강하게 압박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토출망(60)이 내벽(12)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굴곡지면서 내용물용기(10)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토출망(60)이 내용물용기(10)와 고정구(5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When the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고정구(50)의 하부 내주연에 보조환홈(57)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환홈(57)에 보조링(58)을 더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환홈(57)에 결합홈(57a)이 형성되고, 보조링(58)에 결합돌기(58a)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상기 고정구(50)가 내용물용기(10)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구(50)의 하단에 접합된 토출망(60)이 상기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망(60)이 상측으로 과도하게 밀리면서 고정구(50)와 토출망(60)의 접합 부분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이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0)의 하단에 토출망(60)을 접합하고, 상기 고정구(50)의 하측으로 보조링(58)을 결합하여 상기 토출망(60)이 보조링(58)과 보조환홈(57)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고정구(50)를 내용물용기(10)에 결합할 때 상기 토출망(60)의 당겨지는 힘 상기 보조링(58)과 보조환홈(57)의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구(50)와 토출망(60)의 접합 부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50)와 토출망(60)의 접합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이하,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및 사용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FIGS. 4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nd us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reference thereto, a process of assembling and us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우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구(50)의 결합부(52) 하단에 토출망(60)을 접합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4, the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망(60)이 접합된 고정구(50)를 내용물용기(10)의 상부로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구(50)의 결합부(52)를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과 외벽(14) 사이로 삽입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이때, 상기 토출망(6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망(60)이 내용물용기(10)의 내벽(12)에 의해 상부로 밀어 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구(50)가 내용물용기(10)의 외벽(14)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망(60)이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내용물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마지막으로, 상기 내용물용기(10)의 일측에 내용물용기뚜껑(20)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내용물용기(10)를 일측에 용기뚜껑(40)이 힌지 결합된 용기본체(30)의 내측에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Finally,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퍼프로 토출망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net is pressed with a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조립된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본체(3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32)를 눌러 용기뚜껑(40)을 개방한 다음, 내용물용기뚜껑(20)의 상부에 안착된 퍼프(P)를 파지한 후, 내용물용기뚜껑(20)을 회전시켜 내용물용기(10)를 개방한다.In order to use the cosmetic container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first, open the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퍼프(P)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토출망(60)을 가압하면 상기 토출망(60)이 하측으로 눌리면서 내용물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망(60)에 형성된 토출구멍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퍼프(P)의 도포면 전체에 고르게 묻게 되고, 상기 토출망(60)의 가압이 해제되면 토출망(60)이 탄력적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팽팽하게 유지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7, when the
이후, 상기 퍼프(P)를 이용하여 화장을 한 다음, 화장이 끝난 후에는 내용물용기뚜껑(20)과 용기뚜껑(40)을 닫아 사용을 완료한다.Thereafter, makeup is applied using the puff (P), and after the makeup is finished, the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written, and all things having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10: 내용물용기 12: 내벽
14: 외벽 14a: 고정돌륜
20: 내용물용기뚜껑 30: 용기본체
40: 용기뚜껑 50: 고정구
52: 결합부 52a: 고정환홈
54: 수평연장부 56: 끼움환홈
57: 보조환홈 58: 보조링
60: 토출망 P: 퍼프10: contents container 12: inner wall
14:
20: contents container lid 30: container body
40: container lid 50: fixture
52:
54: horizontal extension 56: fitting ring groove
57: auxiliary ring groove 58: auxiliary ring
60: discharge net P: puff
Claims (7)
상기 내용물용기에 결합되고, 내용물용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수평 연장되어 내벽 상단을 덮으면서 상기 내벽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망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망이 접합된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 시 상기 토출망이 내용물용기의 내벽에 의해 밀어올려져 외측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구가 내용물용기의 외벽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토출망은 테두리 부분이 고정구의 하단에 접합된 상태로 고정구의 상부와 결합부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있다가 고정구와 내용물용기의 결합 시 확장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벽 외주연과 고정구의 결합부 내주연 사이에 끼워지며 내용물용기의 내벽 상부를 감싸는 동시에, 내용물용기의 상단과 고정구의 수평연장부 하부면 사이에 끼워지며 고정구의 내주연과 상부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내용물용기와 고정구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inside and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formed therein;
A fixture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tents container and fit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ward of the inner wall whil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the center and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and
It is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discharge ne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pressure,
When the fixing tool to which the discharge network is joined and the contents container are combined, the discharge network is pushed up by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expands to the outside, while the fixing tool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The discharge net is separated by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the coupling part with the edge part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nd then expands when the fixture and the contents container are combined,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the coupling part of the fixture.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tents container and wraps around the upper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top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of the fixture. Cosmetic container with a discharge net made of.
상기 내용물용기의 일측에는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내용물용기뚜껑이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용기뚜껑의 하부면에 밀폐패킹이 형성되어 내용물용기의 외벽 내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ents contain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sealing packin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ents container lid to closely adhere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
상기 내용물용기의 외벽 내주연에는 고정돌륜이 형성되고, 고정구의 외주연에는 고정환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dolphi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and a fixed 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고정구가 내벽과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of the contents container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fixture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1971A KR102248578B1 (en) | 2019-05-03 | 2019-05-03 |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1971A KR102248578B1 (en) | 2019-05-03 | 2019-05-03 |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7571A KR20200127571A (en) | 2020-11-11 |
KR102248578B1 true KR102248578B1 (en) | 2021-05-06 |
Family
ID=7345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1971A Active KR102248578B1 (en) | 2019-05-03 | 2019-05-03 |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5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4283B1 (en) | 2020-09-29 | 2025-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ount base for rearview mirr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1682B1 (en) * | 2015-03-26 | 2015-08-03 | 김진우 | Compact type of cosmetics container |
KR101803897B1 (en) | 2016-06-17 | 2017-12-01 | 주식회사 케이알 |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mesh scre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7628B1 (en) | 2011-03-24 | 2013-04-29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s compris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 urethane foam |
KR20130116194A (en) | 2012-04-13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s comprising screening n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101837945B1 (en) * | 2016-08-05 | 2018-03-13 | 김영호 | Middle cap of powder container combined with net by connection ring and lower c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180102736A (en) * | 2017-03-07 | 2018-09-18 | 펌텍코리아 (주) | Cosmetic container having double net with discharging net and elastic net |
-
2019
- 2019-05-03 KR KR1020190051971A patent/KR1022485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1682B1 (en) * | 2015-03-26 | 2015-08-03 | 김진우 | Compact type of cosmetics container |
KR101803897B1 (en) | 2016-06-17 | 2017-12-01 | 주식회사 케이알 |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mesh scre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7571A (en) | 2020-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708474B (en) | compact cosmetic container | |
CN210988722U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74794Y1 (en) | A compact case is which is easy to refill the contents | |
KR101775100B1 (en) | Dual applicator llip make up container | |
KR20170118595A (en) | Refill container using double injection molding | |
KR200483846Y1 (en) | Compact container for gel type cosmetic having a mesh net | |
KR20200145949A (en) |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sealing ability | |
JP2020508160A (en) | Cosmetic container with double net consisting of drainage net and elastic net | |
KR20180016283A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ing member with separating prevention part | |
KR20160002903U (en) | Double compact container with opening up and down | |
KR200494911Y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248578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discharge net | |
KR102123467B1 (en) | Compact container for liquid type with rubber cover | |
KR20200033182A (en) | Cosmetic leakage prevention device of compact cosmetic container | |
KR101804172B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multiple mesh network with air hole | |
KR102116224B1 (en) |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n air tight fun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remaining amount is prevented | |
KR101978870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726625B1 (en) | Cosmetic Containers for Lips | |
KR20210032807A (en) | Container for two-typed materials | |
KR102220835B1 (en) | The cosmetic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op of the mesh net and is supported elastically by mesh net | |
KR20240170861A (en) | Cosmetic container with frame airtight structure | |
KR101886139B1 (en) | Manicure container for easy to mix color | |
KR20170121722A (en) | Cosmetic having more impregnationmember with melted outside | |
KR101886145B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cosmetic tool on button | |
JP6332762B2 (en) | Compact container that accepts two cosme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