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571B1 - Bed - Google Patents
B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571B1 KR102248571B1 KR1020200179863A KR20200179863A KR102248571B1 KR 102248571 B1 KR102248571 B1 KR 102248571B1 KR 1020200179863 A KR1020200179863 A KR 1020200179863A KR 20200179863 A KR20200179863 A KR 20200179863A KR 102248571 B1 KR102248571 B1 KR 102248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ing means
- support
- bed
- support part
- lif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foot-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10—Fluid mattresse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메트리스에 사용자가 천장을 바라보고 누울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여 잠결에 옆으로 돌아눕거나 굴러다니가 바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신체가 수용되는 수용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는 메트리스부; 상기 수용수단에 위치한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수용수단의 하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수용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and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a mattress in which a user can lie down while looking at the ceiling, and prevents the user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moving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turning sideways or rolling to the floor while sleeping. It aims to be able to prevent.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 mattress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ncluding at least on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body;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body located in the receiving means; And an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withdrawn to a lower side of the receiving means o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트리스에 인체와 동일한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천장을 보고 바른 자세로 수면을 취하도록 할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d capable of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the same shape as a human body in a mattress so that a user can sleep in a correct posture while looking at the ceiling.
사람은 하루 24시간 중 1/4 ~ 1/3을 수면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 수면자세 또한 깨어있을 때 못지않게 중요하게 된다.Since a person sleeps 1/4 to 1/3 of 24 hours a day, the sleeping posture becomes as important as when awake.
따라서, 많은 가정에서 침대를 편안한 수면을 취하기 위해 침대를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many homes use a bed to get a comfortable sleep.
이러한 침대는 침대틀과, 침대틀에 올리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Such a bed consists of a bed frame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attress placed on the bed frame.
수면자세는 똑바로 천장을 보고 자는 자세(이하, "정자세"라 함), 옆으로 자는 자세(이하, " 옆자세"라 함), 엎드려 자는 자세(이하, "엎자세"라 함) 등 다양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게 된다.Sleeping posture is a variety of postures, such as sleeping with an upright cei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rtical posture"), sleeping sidew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de posture"), and sleeping on your stoma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right posture"). You get to sleep.
엎자세는 목통증을 유발시키거나 허리에 많은 무리를 주어 허리디스크와 같은 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장 애를 일으키거나 얼굴을 붓게 만들기도 하며, 유아의 경우 호흡곤란으로 종종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Upside down poses cause neck pain or puts a lot of pressure on the lower back, causing diseases such as herniated discs, as well as causing blood circulation problems or swelling of the face.In infants, breathing difficulties often cause serious problems. It is also possible.
또한, 수면자세는 수면 후의 기분이나 숙면도에 강한 영향을 주게 되며 수면자세가 나쁘면 피로가 풀리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sleep posture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mood and sleep level after sleep, and if the sleep posture is bad, fatigue will not be relieved.
즉 수면 중 자세가 부자연스럽게 되면 수면자세의 불편함 때문에 뒤척임이 증가하여 얕은 잠만이 지속 되어 다음날 피로하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posture becomes unnatural during sleep, the torsion increases due to the discomfort of the sleep posture, and only shallow sleep continues, leading to fatigue the next day.
따라서 바른(정자세) 수면이 숙면에 중요하게 되며, 이러한 바른 수면자세는 일과 중에 어긋난 몸의 일그러짐을 교정해 주어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Therefore, proper (fixed posture) sleep becomes important for a good night's sleep, and this proper sleep posture is known to help recover from fatigue by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the body that is displaced during the day.
그러나, 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순 있지만 수면 상태에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옆자세, 엎자세 등으로 바꾸게 되어, 수면 중에 정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누구에게나 빈번하게 발생된다.However, it is possible to sleep while in a static posture, but in the sleep state, regardless of one's own will, it is changed to a side posture, upside-down posture, etc., and thus, a case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posture during sleep occurs frequently in everyone.
또한, 메트리스는 받침프레임에 지지되어 실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워져 있기 때문에 수면중에 굴러 다는 등 잠버릇이 심한 사람의 경우 바닥으로 낙하하는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mattress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and is flo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indoor floor, accidents such as falling to the floor frequently occur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a severe sleeping habit, such as rolling while sleeping.
따라서, 수면중에 옆자세, 엎자세 등으로 전환하지 못하고 정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낙하사고를 방지해 줄 수 있는 침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bed that can prevent a fall accident while maintaining a standing position without being able to switch to a side position or upside position while sleep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트리스에 사용자가 천장을 바라보고 누울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여 잠결에 옆으로 돌아눕거나 굴러다니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forms a receiving space in the mattress in which the user can lie down while looking at the ceiling, and the user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is inhibited from moving so that the user turns sideways in sleep.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ed that can prevent falling or falling to the floor.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신체가 수용되는 수용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는 메트리스부; 상기 수용수단에 위치한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수용수단의 하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수용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지지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승강판; 상기 메트리스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에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를 포함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과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디스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메트리부의 저부에서 신축작용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다.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 mattress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ncluding at least on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body;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body located in the receiving means; And an elevating part for elevat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support part is pulled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means o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ans,
The elevating part, a guide rail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 lifting plate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ing a slide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ail; A rotation guid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ttress; A rotating rod disposed under the elevator plate, coupled to the rotating guide so as to be rotatable in plac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including a lever; And a lifting disk that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rod, and lifting or lowering the lifting plate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은 신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이다.In addition, the receiving means is a hole formed in a body shape.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신체를 지지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 및 쿠션부는 상기 수용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base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a cush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upporting the body, wherein the base plate and the cushion par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ceiv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의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통풍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또한, 상기 수용수단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며 신체의 테두리를 감싸는 에어튜브; 및 상기 에어튜브 내의 에어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튜브의 부피를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n air tube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and surrounding an edge of the body; And a variable part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air tube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tube.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메트리스에 사용자가 천장을 바라보고 누울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여 잠결에 옆으로 돌아눕거나 굴러다니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on the mattress in which the user can lie down while looking at the ceiling, and prevents the user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moving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turning sideways or rolling and falling to the floor while sleep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된 지지부가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모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된 승강부가 유압 실린더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에어튜브 및 가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pplied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by the lifting unit.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tor is applied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fting unit applied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hydraulic cylinder.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ir tube and a variable part are applied to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된 지지부가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모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된 승강부가 유압 실린더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upport applied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by the lifting unit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a motor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fting unit applied to the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움직임을 최소화 해주어 정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받침프레임(10), 메트리스부(20), 지지부(30) 및 승강부(40a,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받침프레임(10)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 및 일측과 타측이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에 각각 볼팅 결합되는 측면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0 includes a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 및 측면프레임(13)은 평면에서 바라본 기준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 및 측면프레임(13)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트리스부(20)를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워 지지한다. 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면프레임(12)은 2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13)은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때, 후면프레임(12)이 2개로 적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측면프레임(13)에는 후술되는 회전봉(45a)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wo
메트리스부(20)는 받침프레임(10)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메트리스부(20)는 외피를 형성하는 포켓, 포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부(32)재 및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포켓은 일면이 개방되되, 이 개방된 부위가 지퍼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pocket is open, and this open are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쿠션부(32)재는 외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 스펀지 또는 솜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포켓, 쿠션 및 코일스프링은 메트리스 분야에서 상용화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se pockets, cushions, and coil spring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field of mattresses,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메트리스부(20)에는 신체가 수용되는 수용수단(21)이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means 21 in which the body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수용수단(21)은 신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The
수용수단(21)은 목, 팔, 몸통, 다리 등 신체 부위 전체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The receiving
구체적으로, 수용수단(21)은 머리가 수용되는 제1 홀(21a), 목 부분이 수용되는 제2 홀(21b), 몸통이 수용되는 제3 홀(21c), 양팔이 수용되는 한 쌍의 제4 홀(21d), 양 다리가 수용되는 한 쌍의 제5 홀(21e)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수용수단(21)의 내벽면(22)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홈(2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러한 메트리스부(20)는 싱글 사이즈, 더블 사이즈 및 퀀 사이즈 등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The
나아가 더블 사이즈 및 퀀 사이즈로 제작되는 경우 수용수단(21)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being manufactured in double size and quen size, at least one receiving means 21 may be applied.
한편, 지지부(30)는 수용수단(21)의 하측에서 사용자를 지지하는 것으로, 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지지부(30)는 후술되는 승강판(42a)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31) 및 베이스판(31)의 상면에 형성되며 신체를 지지하는 쿠션부(3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때, 베이스판(31) 및 쿠션부(32)는 수용수단(21)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쿠션부(32)는 메트리스부(20)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피를 형성하는 부가 포켓, 부가 포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가 쿠션부(32)재 및 부가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쿠션부(32)는 수용수단(21)은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면(32a), 목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32b), 몸통을 지지하는 제3 지지면(32c), 양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4 지지면(32d), 양 다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5 지지면(32e)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이러한 수용수단(21) 및 지지부(30)로 인해 사용자는 수용수단(21)에 들어가면서 후두부, 등 부분, 허벅지 뒷 부분을 접촉시키는 형태로 누울 수 있다.Due to the receiving means 21 and the
따라서, 사용자가 수용수단(21)에 들어가 지지부(30)의 상면에 누웠을 때 천장을 바라보는 정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enters the accommodation means 21 and l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특히, 수용수단(21)의 내벽면(22)이 사용자의 머리, 목, 팔, 몸통, 다리 등을 감싸고 지지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면중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아 눕는 것을 억제하여 언제나 정자세로 수면을 취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나아가, 사용자가 메트리스부(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 중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urthermore, by preventing the user from roll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한편, 승강부(40a,40b)는 지지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용수단(21)의 하측으로 이탈시키거나 또는 수용수단(21)에 수용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units (40a, 40b)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means 21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a)는 가이드레일(41a), 승강판(42a), 회전가이드(43a), 회전가이드판(44a), 회전봉(45a), 승강디스크(46a)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levating
가이드레일(41a)은 전면프레임(1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승강판(42a)의 승강을 가이드한다.The guide rail (41a)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1) to guide the elevation of the elevator plate (42a).
승강판(42a)은 수용수단(21)의 하측에서 지지부(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단에서 하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일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그리고, 수직판에는 가이드레일(41a)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부(421a)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vertical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slide portion (421a) that is elevated along the guide rail (41a).
가이드레일(41a)은 대략 수직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양측면에 가이드홈(4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가이드레일(41a)은 전면이 슬라이드부(421a)와 마주하며, 후면은 전면프레임(11)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슬라이드부(421a)는 가이드레일(41a)의 전면 및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가이드홈(411a)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4211a)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slide portion (421a)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41a), both sides of the lifting bar (4211a) is integrally form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411a).
회전가이드(43a)는 메트리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단에서 하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일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수직판에는 후술되는 회전봉(45a)의 제자리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회전가이드홀(431b)이 형성된다.A first rotation guide hole 431b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회전가이드(43a)의 수직판에는 후술되는 회전봉(45a)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31a)가 형성된다.A
회전가이드판(44a)은 측면프레임(13)에 결합되며 수직판과 대향된다.The
회전가이드판(44a)에도 회전봉(45a)의 제자리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회전가이드홀(441a)이 형성된다.The
물론, 제2 회전가이드홀(441a)은 제1 회전가이드홀(431b)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Of course, the second
따라서, 회전봉(45a)은 일측이 제1 회전가이드홀(431b)에 수용되고 타측은 제2 회전가이드홀(441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회전봉(45a)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회전봉(45a)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레버(451a)가 형성된다.A
이때, 레버(451a)는 회전붕의 일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가이드(43a)부의 외측으로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레버(451a)는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시 스토퍼(431a)의 상면에 걸리게 됨으로, 회전봉(45a)의 회전이 정지된다.When the
승강디스크(46a)는 회전봉(45a)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승강판(42a) 및 지지부(30)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The
이를 위해 승강디스크(46a)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 부분이 회전봉(45a)의 대략 중앙부분에 결합된다.To this end, the
즉, 승강디스크(46a)는 회전봉(45a)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51a)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디스크(46a)가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승강판(42a) 및 지지부(30)가 하강되고 회전봉(45a)이 승강판(42a)을 지지한다.That is, the
이때, 지지부(30)는 하강 시 그 상면이 수용수단(21)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At this time, the
이로 인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가 수용수단(21)의 하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수단(21)에 들어가 지지부(30)에 정자세로 누워 수면을 취하면 된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그리고, 수용수단(21)을 이용하지 아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451a)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스토퍼(431a)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지면을 향하고 있던 승강디스크(46a)가 상측으로 약 180도 각도로 회전되면서 승강판(42a)을 상승시킬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not using the receiving means 21, when the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가 상승되어 수용수단(21)에 인입된다. 이와 같이 상승된 지지부(30)는 수용수단(21)을 메꾼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이때, 지지부(30)는 수용수단(21)에 인입 시 그 상면이 메트리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At this time, the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45a)을 기 설정된 각도로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받침프레임(10) 또는 메트리스부(20)에 배치되며 모터(M)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M)의 축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 방향 회전버튼 및 모터(M)의 축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 방향 회전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forward rotation button and a motor (M) arranged on the support frame 10 or the
이때, 모터(M)는 회전봉(45a)을 회전시키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디스크(46a)가 지면을 향하거나 또는 상측으로 180도 각도로만 회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M rotates the
따라서, 정 방향 회전버튼을 누르면 승강디스크(46a)가 승강판(42a)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역 방향 회전버튼을 누르면 승강디스크(46a)가 승강판(42a)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orward rotation button is pressed, th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모터(M)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리모콘에는 전술한 정 방향 회전버튼 및 역 방향 회전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정 방향 회전버튼 및 역 방향 회전버튼 이 각각 포함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may include a forward rotation button and a reverse rotation button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forward rotation button and the reverse rotation button described above.
따라서, 사용자는 쿠션부(32)에 누운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수용수단(21)의 기능을 편안하게 사용하면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functions of the receiving means 21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while lying on the
한편,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b)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lifting
유압실린더는 받침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실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10 and may be fixed to the indoor floor surface.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은 지지부(30)의 저면에 고정된다.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이 하강되면 지지부(30)가 하강되어 수용수단(21)에서 인출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이 상승되면 지지부(30)가 상승되어 수용수단(21)에 인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lowered, the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지지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may be applied to stably support the
유압실린더를 복수개로 적용할 경우 지지부(30)에 고루게 분포되는 형태로 이격 배치하면 된다.When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are applied, they may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받침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401b), 받침프레임(10) 또는 메트리스부(20)에 배치되며 유압탱크(40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상승버튼 및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하강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일 예로, 상승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상승되어 지지부(30)를 상승시키고, 하강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하강되어 지지부(30)를 하강시키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rising button is pressed, the piston is raised to raise th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유압탱크(401b)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리모콘에는 전술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각각 포함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may include a rising button and a falling button that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rising button and falling button.
따라서, 사용자는 쿠션부(32)에 누운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수용수단(21)의 기능을 편안하게 사용하면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functions of the receiving means 21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while lying on the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에 적용된 에어튜브(50) 및 가변부(60)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에어튜브 및 가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ir tube and a variable part are applied to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에어튜브(50)는 수용수단(21)의 내벽면(22)을 따라 배치된다.The
따라서, 에어튜브(50)는 신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물론, 수용공간은 수용수단(21) 상에 위치된다.Of course, the receiving space is located on the receiving means (21).
이때, 에어튜브(50)는 외측면이 수용수단(21)의 내벽면(22)에 접착제, 밸크로드 테이프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에어튜브(50)에는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되는 출입구가 형성된다.The
가변부(60)는 에어튜브(50) 내의 에어량을 조절하여 에어튜브(50)의 부피를 가변하는 것으로, 에어펌프 또는 에어컴프레셔 등 에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용된다.The
가변부(60)는 에어튜브(50)의 출입구에 연결되는 주입호스(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받침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nd, it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10).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받침프레임(10) 또는 메트리스부(20)에 배치되며 가변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어튜브(5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는 주입버튼 및 에어튜브(50) 내부의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일 예로, 주입버튼을 누르면 가변부(60)가 에어튜브(5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고, 흡입버튼을 누르면 가변부(60)가 에어튜브(50)의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injection button is pressed, the
나아가, 전술한 리모콘에는 주입버튼 및 흡입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 may further include an injection button and a suction button.
따라서, 사용자는 쿠션부(32)에 누운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에어튜브(50)의 부피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면 된다.Accordingly, the user may expand or reduce the volume of the
즉, 에어튜브(50)는 수용공간에 위치한 신체와 내벽면(22)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메꿔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수용수단(21)에 들어가 지지부(30)에 누웠을 때,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할 경우 전술한 주입버튼을 눌러 에어튜브(50)를 신체에 밀착시키면 된다.That is, the
따라서, 사용자는 수면 중에 움직이지 아니하고 바른 정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leep in a correct posture without moving while sleeping.
그리고, 사용자가 수용수단(21)에 들어가 지지부(30)에 누웠을 때, 에어튜브(50)가 신체에 과도하게 밀착될 경우에는 흡입버튼을 눌러 에어튜브(50)의 부피를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축소시키면 된다.And, when the user enters the accommodation means 21 and lies down o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1 : 침대 10 : 받침프레임
11 : 전면프레임 12 : 후면프레임
13 : 측면프레임 20 : 메트리스부
21 : 수용수단 21a : 제1 홀
21b : 제2 홀 21c : 제3 홀
21d : 제4 홀 21e : 제5 홀
22 : 내벽면 22a : 통풍홈
30 : 지지부 31 : 베이스판
32 : 쿠션부 32a : 제1 지지면
32b : 제2 지지면 32c : 제3 지지면
32d : 제4 지지면 32e : 제5 지지면
40a, 40b : 승강부 41a : 가이드레일
411a : 가이드홈 42a : 승강판
421a : 슬라이드부 4211a : 승강바
43a : 회전가이드 431a : 스토퍼
431b : 제1 회전가이드홀 44a : 회전가이드판
441a : 제2 회전가이드홀 45a : 회전봉
451a : 레버 46a : 승강디스크
401b : 유압탱크 50 : 에어튜브
60 : 가변부 61 : 주입호스1: bed 10: base frame
11: front frame 12: rear frame
13: side frame 20: mattress
21: accommodation means 21a: first hole
21b:
21d:
22:
30: support portion 31: base plate
32:
32b:
32d:
40a, 40b: lifting
411a: guide
421a: slide
43a:
431b: first
441a: second
451a:
401b: hydraulic tank 50: air tube
60: variable part 61: injection hose
Claims (6)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신체가 수용되는 수용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는 메트리스부;
상기 수용수단에 위치한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수용수단의 하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수용수단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지지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승강판;
상기 메트리스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에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를 포함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회전봉과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디스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메트리스부의 저부에서 신축작용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침대.
Support frame;
A mattress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ncluding at least on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body;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body located in the receiving means; And
Including; a lifting part for lift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support part is pulled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means o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ans,
The elevating part,
A guide rail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 lifting plate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ing a slide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ail;
A rotation guid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ttress;
A rotating rod disposed under the elevator plate, coupled to the rotating guide so as to be rotatable in plac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including a lever; And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rod, a lifting disk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or plate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or,
A bed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that lifts and lowers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at the bottom of the mattress part.
상기 수용수단은 신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로 형성되는 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on means is a bed formed of a hole formed in a body shap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신체를 지지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 및 쿠션부는 상기 수용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A base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art; And
Includes; a cush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upporting the body,
The base plate and the cushion part is a bed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ceiving means.
상기 수용수단의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통풍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침대.
The method of claim 1,
A bed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상기 수용수단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며 신체의 테두리를 감싸는 에어튜브; 및
상기 에어튜브 내의 에어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튜브의 부피를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The method of claim 1,
An air tube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and surrounding an edge of the body; And
The bed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portion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air tube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tub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9863A KR102248571B1 (en) | 2020-12-21 | 2020-12-21 | B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9863A KR102248571B1 (en) | 2020-12-21 | 2020-12-21 | B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8571B1 true KR102248571B1 (en) | 2021-05-06 |
Family
ID=7591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9863A Active KR102248571B1 (en) | 2020-12-21 | 2020-12-21 | B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57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3913A (en) * | 2022-09-28 | 2022-12-02 |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remot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double mattres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6013A (en) * | 2000-10-20 | 2002-05-08 | Keepu:Kk | Air mat device |
JP2017074333A (en) * | 2015-10-14 | 2017-04-20 | イースター株式会社 | mattress |
KR102008784B1 (en) | 2017-09-05 | 2019-10-2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bed system using grid form deployment of pressure sensors |
-
2020
- 2020-12-21 KR KR1020200179863A patent/KR1022485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6013A (en) * | 2000-10-20 | 2002-05-08 | Keepu:Kk | Air mat device |
JP2017074333A (en) * | 2015-10-14 | 2017-04-20 | イースター株式会社 | mattress |
KR102008784B1 (en) | 2017-09-05 | 2019-10-2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bed system using grid form deployment of pressure sensor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3913A (en) * | 2022-09-28 | 2022-12-02 |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remot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double mattress |
CN115413913B (en) * | 2022-09-28 | 2023-08-25 |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remot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double mattr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34158B2 (en) | Portable, adjustable, inflatable bed | |
US20100037397A1 (en) | Bed | |
KR101825882B1 (en) | Pillow | |
US8732876B2 (en) | Upper body support mechanism | |
US20210068561A1 (en) | Support utility cushion for head, neck, and body | |
US11439247B2 (en) | Bed frame for side sleeping | |
CN205659067U (en) | Intelligent bed | |
KR102248571B1 (en) | Bed | |
US20140130252A1 (en) | Pnuematic bed system with table | |
CN105853097A (en) | Intelligent bed | |
US5033138A (en) | Rest up apparatus for head rest | |
US20150282630A1 (en) | Mattress lift system | |
KR102435665B1 (en) | Smart pillow system interworking with motion bed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CN205358976U (en) | Baby mattress structure | |
US20160081481A1 (en) | Foldable cushioned seat | |
CN205306487U (en) | Intelligent electric sofa bed | |
KR102421928B1 (en) | Bed to improve sleep effect | |
US12329282B2 (en) | Bed frame for supporting a lateral sleeping position | |
KR102471213B1 (en) | Anti-gravity pillow | |
US6694551B1 (en) | Facial support device | |
CN204181350U (en) | Pillow neck brace head health pillow | |
KR102519950B1 (en) | Medical bed | |
US20210353080A1 (en) | Functional pillow | |
CN210124509U (en) | Physiotherapy pillow for treating insomnia for neurology | |
CN209269228U (en) | A kind of Inflatable cush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