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35B1 - 크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크랙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935B1 KR102247935B1 KR1020190166620A KR20190166620A KR102247935B1 KR 102247935 B1 KR102247935 B1 KR 102247935B1 KR 1020190166620 A KR1020190166620 A KR 1020190166620A KR 20190166620 A KR20190166620 A KR 20190166620A KR 102247935 B1 KR102247935 B1 KR 102247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ck
- plate
- panel
- slit
- de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10: 제1 플레이트
111,112,113: 표시부
130: 제1 고정부
200: 제2 패널
210: 제2 플레이트
211: 슬릿
230: 제2 고정부
Claims (12)
-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부재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식별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식별부재가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2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이웃하는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에 배치된 식별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색상패턴을 갖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영역이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620A KR102247935B1 (ko) | 2019-12-13 | 2019-12-13 | 크랙 측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620A KR102247935B1 (ko) | 2019-12-13 | 2019-12-13 | 크랙 측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935B1 true KR102247935B1 (ko) | 2021-05-06 |
Family
ID=7591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6620A Active KR102247935B1 (ko) | 2019-12-13 | 2019-12-13 | 크랙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93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100430106B1 (ko) | 2001-12-31 | 2004-05-03 | (재)한국건설시험연구소 |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
KR200368329Y1 (ko) * | 2004-08-16 | 2004-11-20 | (주) 장맥엔지니어링 | 토사의 침식을 측정하는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
JP2008170407A (ja) * | 2007-01-15 | 2008-07-24 | Takashi Soma | 目盛読取方式 |
-
2019
- 2019-12-13 KR KR1020190166620A patent/KR1022479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100430106B1 (ko) | 2001-12-31 | 2004-05-03 | (재)한국건설시험연구소 |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
KR200368329Y1 (ko) * | 2004-08-16 | 2004-11-20 | (주) 장맥엔지니어링 | 토사의 침식을 측정하는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
JP2008170407A (ja) * | 2007-01-15 | 2008-07-24 | Takashi Soma | 目盛読取方式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165B1 (ko) |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 |
KR102230168B1 (ko) |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 |
KR102267076B1 (ko) |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 | |
Al‐Salih et al. | Application of a digital image correlation bridge inspection methodology on geometrically complex bifurcated distortion‐induced fatigue cracking | |
EP3457105B1 (en) | Optical fiber sensing method | |
KR102247935B1 (ko) | 크랙 측정장치 | |
CN114127533A (zh) | 边缘强度测试方法及设备 | |
CN103035567B (zh) | 用于显示装置的基板及其制造方法 | |
KR100904535B1 (ko) | 교량의 박스거더 내부 안전진단장치 | |
KR102291523B1 (ko) | 크랙 측정장치 | |
KR102391391B1 (ko) | 균열게이지를 이용한 건축물 균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
CN113112940B (zh) | 一种显示面板 | |
KR100430106B1 (ko) |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 |
JP4972278B2 (ja) | レチクル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20100035222A (ko) | 금속 재료의 이축 인장 변형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
Farahani et al. | A fracture study of slanted cracks using the stress dead‐zone hypothesis | |
JP2001056272A (ja) | 応力拡大係数の計測方法 | |
JP4370471B2 (ja) | ワイヤーロープの径計測装置 | |
CN112116770A (zh) | 火警逃生路线指示方法和装置 | |
JP7637552B2 (ja) | 板材の輪郭線の推定装置 | |
US10067665B2 (en) |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and display method of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 |
KR200413891Y1 (ko) | 수평게이지가 부착된 교량받침 | |
CN114216553A (zh) | 一种玻璃幕墙的安全监测装置 | |
KR102398241B1 (ko) | 원격 균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 |
KR200265796Y1 (ko) | 레이저 장치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점검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