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52B1 -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 Google Patents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652B1 KR102247652B1 KR1020200149652A KR20200149652A KR102247652B1 KR 102247652 B1 KR102247652 B1 KR 102247652B1 KR 1020200149652 A KR1020200149652 A KR 1020200149652A KR 20200149652 A KR20200149652 A KR 20200149652A KR 102247652 B1 KR102247652 B1 KR 102247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ing
- water
- valve
- manual pump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내부에 중공의 실린더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물에 침지되는 흡입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토수관; 상기 몸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반복되는 펌핑작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공간을 상하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공간을 통하여 상기 토수관으로 상기 물을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유동벨브;를 가지는 수동펌프 및;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의 펌핑 보조공간을 가지는 펌핑 보조몸체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몸체로 상기 펌핑 보조공간을 통하여 상기 물이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펌핑 보조벨브를 구비하는 펌핑 보조기;를 포함한다.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disclosed includes a water tank for receiving water; A body having a hollow cylinder space therein; A suction pipe extending downwardly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wer end immersed in the water; A discharge pipe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side of the body; A lev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A piston moving upwardly in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repeated pumping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flow valve that opens and closes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 only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umping auxiliary body installed on the suction pipe and having a hollow pumping auxiliary space therein, and a pumping opening and closing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 only through the pumping auxiliary space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It includes; a pumping aid having an auxiliary valve.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은,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수시설을 이용하여 항상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탱크와 수동펌프를 결합하여, 지하수가 없는 곳에서도 인력(人力)을 이용하는 수동펌프로 양수작동이 가능하고, 상수시설로부터 상시 물 공급이 가능한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relates to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Specifically, by combining a water tank and a manual pump that can always supply water using a water supply facility, manpower is used even in places where there is no groundwater. It relates to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capable of pumping operation with a manual pump and supplying water at all times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known technology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명 작두 펌프로 알려진 수동 펌프는, 주사기와 같은 원리와 유사하다. The manual pump, also known as the small head pump, is similar in principle to the syringe.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실린더 기능을 하는 몸체의 내부에서 피스톤의 상하 왕복이동함에 따라 흡입관의 압력을 낮추는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흡입관이 침지된 지하수를 지상으로 용출시킨다.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suction pipe as the piston moves vertically and reciprocating inside the body that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unctions as a cylinder, the suction pipe immersed groundwater is eluted to the ground.
사용자는 레버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상하 왕복이동시킨다. The user moves the piston up and down using a lever.
이러한 수동 펌프는, 과거 상수도 시설이 보급되지 않았던 시기 또는 인구 밀집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 소규모 거주지역등지에서 사용되었다. These hand pumps were used in times when water supply was not available or in small residential areas far from populated areas.
상수도 시설이 거의 모든 거주지역까지 보급됨에 따라 인력(人力)을 이용하는 수동 펌프는, 현대의 실생활에서는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특히 지하수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도심지는 물론이고 농촌지역에서도, 실생활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water supply facilities are spreading to almost all residential areas, manual pumps that use manpower have almost disappeared in modern real life. In particular,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ground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t in real life,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in rural areas.
이렇듯, 편의성이나 설치의 문제점으로 사라진 수동펌프는, 최근 정원용 실외 조경물로 사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As such, manual pumps, which have disappeared due to convenience or installation problem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outdoor landscaping materials for gardens.
실제로 수동펌프를 사용해보지 못한 사람들도, 다양한 영상 매체를 통하여, 그 사용법을 한번쯤은 봄직하기 때문에, 새로운 빈티지 조경물로 각광 받고 있다.Even people who have never actually used a manual pump are getting the spotlight as a new vintage landscape, because they can see how to use it at least once through various video media.
그런데, 이렇게 조경용으로 설치된 수동펌프를 실제로 작동가능하게 한다면, 사람들로 하여금 단순한 심미감 외에,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if the manual pump installed for landscaping is actually operable, it can induce fun and curiosity to people in addition to simple aesthetics.
즉, 수동펌프 자체가 가지는 인테리어 효과에, 실제 양수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동적 느낌을 부가하고, 나아가 상시 사용할 수 있는 상수관로의 상수 배출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써, 눈으로 보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경험할 수 있는 조경 소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terior effect of the manual pump itself is provided with an actual pumping function, adding a dynamic feeling, and furthermore, by installing it as a means of discharging the water supply line that can be used at all times, it can be experienced without staying with the eyes. It can be used as a landscaping prop.
또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수동펌프의 작동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교육용 소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manual pump that is not currently used,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prop.
본 발명(Disclosure)은, 지하수가 없는 곳에 조경용으로 설치되고 양수작동이 가능하여 흥미로운 체험을 가능하게하며, 상수관로를 이용한 급수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is installed for landscaping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groundwater, and a pumping operation is possible, enabling an interesting experien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that can be used as a water supply means using a water supply pipe.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내부에 중공의 실린더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물에 침지되는 흡입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토수관; 상기 몸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반복되는 펌핑작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공간을 상하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공간을 통하여 상기 토수관으로 상기 물을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유동벨브;를 가지는 수동펌프 및; 상기 흡입관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의 펌핑 보조공간을 가지는 펌핑 보조몸체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몸체로 상기 펌핑 보조공간을 통하여 상기 물이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펌핑 보조벨브를 구비하는 펌핑 보조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y one of the various aspect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for receiving water; A body having a hollow cylinder space therein; A suction pipe extending downwardly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wer end immersed in the water; A discharge pipe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side of the body; A lev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A piston moving upwardly in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repeated pumping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flow valve that opens and closes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 only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umping auxiliary body installed on the suction pipe and having a hollow pumping auxiliary space therein, and a pumping opening and closing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 only through the pumping auxiliary space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It includes; a pumping aid having an auxiliary valv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유동벨브는,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피스톤 벨브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 벨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valve may include a piston valve formed on the piston and a body valv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suction pip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몸체 내면의 둘레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프렌지와 상기 벨브 프렌지 하측의 상기 펌핑 보조몸체의 내면상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보조벨브는, T 자형상으로, 하측 돌출부가 상기 벨브 거치대를 하방으로 관통결합할 수 있다.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ing ai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umping auxiliary body under the valve flange and the valve flang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umping auxiliary body. The valve holder is formed; and the pumping auxiliary valve has a T-shape, and a lower protrusion may penetrate through the valve holder downward.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벨브의 하측 돌출부와 상기 벨브 거치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Pumping apparatus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ing ai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pumping auxiliary valve and the valve holde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벨브 상측에 형성되고 상수관로로부터 상기 펌핑 보조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폐할 수 있는 상수 벨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umping apparatus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ing ai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mping auxiliary valve, and a branch pipe and the branch pipe capable of supplying the water to the pumping auxiliary space from a water supply pipe. It is formed in the can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stant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branch pip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상수관로로부터 상기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from a water supply pipe to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기; 및 상기 수위 감지기가 측정한 상기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유닛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급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ater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흡입관, 및 상기 펌핑 보조기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the suction pipe, and the pumping ai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detachabl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물탱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ipe may be coupled to the water tank to be detachabl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상기 물탱크는,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형성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누수된 상기 물이 상기 물탱크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recessed downwardly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The water leak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may fall into the water tank.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되어 상수관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물탱크의 상측에 수동펌프를 설치함으로써, 조경용으로 설치된 수동펌프를 이용하여 양수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manual pump on the upper side of a water tank buried underground to receive and receive water from a water supply pip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 pumping action using a manual pump installed for landscaping.
본 발명에 따르면 마중물을 사용의 필요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수동펌프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essity of using a pick-up objec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providing a manual pump with improved 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력(人力)을 이용한 수동펌프와 상수관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use a manual pump and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user's manpower.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배송이 용이하고, 실내에서 설치 및 설치후 이동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gistics and delivery are easy, and it is easy to install indoors and move after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mplementing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However, the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ven below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is revealed that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above is encompassed by a range that can be easily proposed by a method of substitution or modifica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grasping the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is appropriately interpreted as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 1.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물탱크(200), 수동펌프(100) 및 펌핑 보조기(400)를 포함한다.1 to 2,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물탱크(200)는 물을 수용하고, 후술하는 수동펌프(100)로 물을 공급한다.The
수동펌프(100)는, 몸체(110), 흡입관(130), 토수관(150), 레버(120) 피스톤(160) 및, 유동벨브(140)를 가진다.The
몸체(110)는 그 내부에 중공인 실린더 공간(a1)을 가진다.The
흡입관(130)은, 몸체(11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 끝단이 물탱크(200)에 수용되는 물의 수면아래로 침지된다.The
토수관(150)은,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흡입관(130) 및 실린더 공간(a1)을 통하여 양수된 물이 토출된다.The
레버(120)는, 몸체(1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된다.The
피스톤(160)은 레버(120)의 반복되는 펌핑작동에 따라 몸체(110) 내부의 실린더 공간(a1)을 상하이동한다.The
따라서 레버(120)와 피스톤(160)은 힌지수단을 포함한 연결수단(121)으로 체결됨은 물론이다.Therefore, of course, the
유동벨브(140)는, 피스톤(160)의 상하이동에 따라 흡입관(130)으로부터 실린더 공간(a1)을 통하여 토수관(150)으로 물을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된다.The
유동벨브(140)는, 피스톤(160)에 형성되는 피스톤 벨브(141) 및 몸체(110)와 흡입관(130)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 벨브(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펌핑 보조기(400)는, 흡입관(130)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의 펌핑 보조공간(a2)을 가지는 펌핑 보조몸체(401) 및 펌핑 보조벨브(410)를 구비한다.The pumping
펌핑 보조벨브(410)는 피스톤(160)의 상하이동에 따라 흡입관(130)으로부터 펌핑 보조공간(a2)을 통하여 몸체(110)로 물이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된다.The pumping
펌핑 보조벨브(410)는, 바람직하게는 T 자형상으로, 하측 돌출부가 후술하는 벨브 거치대(420)를 하방으로 관통결합한다.The pumping
이때, 펌핑 보조기(400)는, 펌핑 보조몸체(401) 내면의 둘레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프렌지(430)와 벨브 프렌지(430) 하측의 펌핑 보조몸체(401)의 내면상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거치대(420)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pumping aid 400, a
유동벨브(140) 및 펌핑 보조벨브(410)는, 물을 상방으로만 유동시키고, 하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개폐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The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종래의 수동펌프가 가지는 종래의 펌핑높이(h1)를 유효하게 감소시킨, 개선된 펌핑높이(h2)를 가진다.Accordingly,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mproved pumping height h2 by effectively reducing the conventional pumping height h1 of the conventional manual pump.
종래의 펌핑높이(h1)는, 물탱크(200)의 수면에서 몸체(110) 하단부까지에 해당하며, 레버(120)를 이용하여 여러번 피스톤(160)을 상하이동시켜야 한다. The conventional pumping height h1 corresponds to the lower end of the
종래의 수동펌프에서는, 피스톤(160)이 상승할 때 피스톤 벨브(141)는 닫히고 몸체 벨브(142)가 상방으로 열림으로써, 실린더 공간(a1) 및 흡입관(130)의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의 공기압보다 낮아진다. 낮아진 공기압과 외부 공기압의 차이만큼 흡입관(130) 내부로 물이 상승한다.In a conventional manual pump, when the
이를 수차례 반복하여 마침내, 흡입관(130) 및 실린더 공간(a1)을 통하여 피스톤 벨브(141)를 통하여 피스톤(160) 상측으로 양수되고 결국 토수관(150)으로 토출된다. This is repeated several times and finally, through the
한편 피스톤(160)이 하강하는 동안에는, 몸체 벨브(142)가 닫힘으로써, 피스톤(160)이 상승할 때, 올라온 물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그러나, 이때 물의 수위기 유지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water level at this time, two requirements are required.
첫째, 몸체 벨브(142)의 밀폐력이 완전해야 하며, 둘째, 높아진 수위 만큼의 물이 가지는 자중이 외부의 공기압이 수면을 가압하는 힘보다 작아야 한다.First, the sealing force of the
그러나, 몸체 벨브(142)의 밀폐력은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sealing force of the
또한, 종래의 펌핑높이(h1)는 개선된 펌핑높이(h2)에 비해 높기 때문에, 실지 피스톤(160)의 상하이동이 반복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압력 손실이 커지고, 따라서, 종래의 펌핑높이(h1)를 양수하는 것은, 레버의 펌핑 작동의 회수를 늘일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레버(120)의 펌핑 작동을 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umping height h1 is higher than the improved pumping height h2, the pressure loss generated during repeated vertical movement of the
이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펌핑 보조공간을 가지는 펌핑 보조기(400)를 흡입관(130) 상에 형성함으로써, 흡입관(130)을 통하여 양수되는 물의 유효한 펌핑높이를 개선된 펌핑높이(h2)로 감소시킨다.In contrast,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pumping height of the water pumped through the
펌핑 보조기(400) 펌핑 보조공간(a2)까지 상승한 물은, 펌핑 보조벨브(41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하지 못한다.The water that has risen to the pumping
따라서, 실질적인 펌핑높이는 종래의 펌핑높이(h1)를 개선된 펌핑높이(h2)로 유효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actual pumping height has an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he conventional pumping height h1 to an improved pumping height h2.
또한, 몸체 벨브(142) 및 펌핑 보조벨브(410)는, 그 상측으로 양수된 물의 압력으로 인해서 밀폐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몸체 벨브(142) 하나를 가지는 종래의 수동펌프에서는, 몸체 벨브(142)가 완전밀폐되지 않으면, 그 상측으로 양수된 물이 누수되고 다시 물탱크(200)로 내려간다.In the conventional manual pump having one
이에 따라, 다시 물탱크의 물을 양수하기 위해서는, 다시 종래의 펌핑높이(h1) 만큼 물을 양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pump water from the water tank aga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must be pumped again as much as the conventional pumping height h1.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는, 몸체 벨브(142)에서 누수된 물은 다시 펌핑 보조벨브(41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펌핑 보조공간(a2)에 수용된다. However, in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leaked from the
특히, 펌핑 보조벨브(410) 상측으로 양수된 물의 양은 몸체 벨브(142) 상측으로 양수된 물의 양을 포함하므로, 펌핑 보조벨브(410)의 밀폐력은 몸체 벨브(142)의 밀폐력보다 커지게 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amount of water pumped upward of the pumping
따라서, 한번 펌핑된 물의 수위가 내려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동펌프의 작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level once pumped from fall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pump.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물탱크(200)에 상수관로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급수유닛(300)은, 물탱크(20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20) 및 상수관로(10)와 급수관(320) 사이를 연결하고 개폐하는 급수 제어부(31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수동펌프(100)를 상시로 이용할 수 있고, 상수관로가 형성된 장소에는 지하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us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물탱크(20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기(330)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급수 제어부(310)는 수위 감지기(330)가 측정한 수위에 따라 급수유닛(3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이에 따라 물탱크(20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20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펌핑 보조기(400)에 의한 개선된 펌핑높이(h2)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level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급수관(320)은 물탱크(200)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상수관(10)로를 통하여 물이 공급될때, 물탱크(200) 내부에서 물이 낙하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한다.The
물이 낙하하는 소리는 그 자체가 소음이될 수 있으며 물탱크(200) 내부에서 공명하여 소리가 크게 증폭될 수도 있다.The sound of water falling may itself be a noise, and the sound may be greatly amplified by resonating inside the
특히 수동펌프(100)를 작동하여 물탱크(200) 내부의 물을 양수하여 물탱크(200) 내부의 물의 수위가 내려가고, 상수관로(10)를 통해 물이 공급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이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펌프(100) 사용한다는 빈티지 사용 느낌을 반감시킨다. In particula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따라서 급수관(320)을 물탱크(200)의 바닥에 인접하여 연결함으로서, 단순한 소음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작동하는 조경용 소품"으로써의 기능성도 재고할 수 있다. Therefore, by connecting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in FIG. 3.
도 3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펌핑 보조기(400)는, 펌핑 보조벨브(410)의 하측 돌출부와 벨브 거치대(42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40)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FIGS. 3 to 4, 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mping
탄성부재(440)는 펌핑 보조벨브(410)와 벨브 거치대 사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펌핑 보조벨브(410)의 밀폐력을 강화한다. The
이에 따라 상술한 개선된 펌핑높이(h2)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proved pumping height h2 described abov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에서, 펌핑 보조기(400)는, 분기관(460) 및 상수 벨브(45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mping
분기관(460)은, 펌핑 보조벨브(410) 상측에 형성되고 상수관로로부터 펌핑 보조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분기관(460)의 일단은 펌핑 보조몸체(401)에 연결되어 펌핑 보조공간(a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수관로(10) 또는 상술한 급수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또한, 상수 벨브(450)는, 분기관(460)에 형성되어 분기관을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수관로(10)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상수관로(10)의 급수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as a water supply means of the
사용자가 상수 벨브(450)를 개방하면, 상수관로(10) 또는 급수유닛(300)으로 부터 물이 공급되어 펌핑 보조공간(a2)으로 공급된다.When the user opens the
펌핑 보조공간(a2)으로 공급된 물은, 펌핑 보조벨브(410)에 의해 하방으로 유실되거나 누수되지 않는다. Water supplied to the pumping auxiliary space a2 is not lost or leaked downward by the pumping
사용자가 상수 벨브(450)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수관로 또는 급수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핑 보조공간(a2)을 채운 후, 그 압력으로 몸체 벨브(142)를 개방하여 실린더 공간(a1)을 채운다.When the user keeps the
실린더 공간(a1)채운 물은, 다시 피스톤 벨브(141)를 개방하며 그 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결국 토수관(150)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The water filled in the cylinder space a1 opens the
상술한 과정은 사용자가 수동펌프(100)의 레버(120)를 작동하여 물탱크(200)의 물을 양수할때, 몸체 벨브(142), 피스톤 벨브(141)의 작동과 동일하다.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이에 따라, 수동펌프(100)는 상수관로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수 벨브(450)를 개방하여 실린더 공간(a1), 펌핑 보조공간(a2) 및 피스톤(160) 상측이 물로 채워진 상태에서는, 마중물이 필요없이 상시 수동펌프(100)를 이용하여 물탱크(200)의 물을 양수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space (a1), the pumping auxiliary space (a2), and the
결론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인력(人力)으로 작동하는 수동펌프(100) 및 상수관로(10)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conclusion, in 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또한 상수관로(10)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받아 사용하게 되면, 마중물이 필요없는 수동펌프(100) 작동이 가능하여 수동펌프(100)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몸체(110), 흡입관(130), 및 펌핑 보조기(400)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몸체(110), 흡입관(130) 및 펌핑 보조기(400)를 개별적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Accordingly, by individually manufacturing the
특히 몸체(110), 흡입관(130) 및 펌핑 보조기(400)가 서로 분해됨으로써, 이들 모두를 하나의 소포장으로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원거리 배송이 용이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 흡입관(130) 및 펌핑 보조기(400)가 분해되어 물탱크(2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 이동과정에서 적재가 용이하고 이동 공간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수동 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흡입관(130)은 물탱크(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때, 급수유닛(300) 역시 물탱크(200)에 탈착 자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수동펌프(100)와, 물탱크(200) 및 펌핑 보조기(400)가 일체화됨으로써, 이동 및 배치가 용이하다. Accordingly, i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the
또한, 물탱크(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부(210) 및 거치부(21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는 회수공(220)을 더 가질 수 잇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have a mounting
거치부(210)는, 물탱크(200)의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형성된다. The mounting
회수공(220)은 거치부(210)의 상측에 누수된 물이 물탱크(200) 내부로 낙하할 수 있있다.Th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실내에 설치하여 조경용 또는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umping device using the manua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doors and used for landscape or ornamental purposes.
또한 거치부(210) 상에 화분등의 급수장치를 필요로 조경용 소품이나 수경 재배용 배지를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 landscaping prop or a hydroponic cultivation medium on the mounting
화분이나 수경재배용 배지를 통과한 물은 회수공(220)을 통하여 다시 물탱크(200)에 수용됨으로써, 순환 사용이 가능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t or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dium is again accommodated in the
또한, 도 5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는, 크기를 소형화 할 경우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수동펌프의 작동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용 소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실제 사용가능한 세면대와 수전이 일체화된 실내 인테리어 제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manufactured as an integral type as shown in FIG. 5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accessory that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manual pump that is not currently used when miniaturizing the size, and can be used in pract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terior product in which a sink and a faucet are integrated.
Claims (10)
내부에 중공의 실린더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 끝단이 상기 물에 침지되는 흡입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토수관; 상기 몸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반복되는 펌핑작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공간을 상하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공간을 통하여 상기 토수관으로 상기 물을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유동벨브;를 가지는 수동펌프 및;
상기 흡입관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의 펌핑 보조공간을 가지는 펌핑 보조몸체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몸체로 상기 펌핑 보조공간을 통하여 상기 물이 상방으로만 유동하도록 개폐되는 펌핑 보조벨브를 구비하는 펌핑 보조기;를 포함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water;
A body having a hollow cylinder space therein; A suction pipe extending downwardly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wer end immersed in the water; A discharge pipe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side of the body; A lev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A piston moving upwardly in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repeated pumping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flow valve that opens and closes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 only from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cylinder space through the cylinder space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umping auxiliary body disposed on the suction pipe and having a hollow pumping auxiliary space therein, and a pumping opening and closing so that the water flows only upward through the pumping auxiliary space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including; a pumping aid having an auxiliary valve.
상기 유동벨브는,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피스톤 벨브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 벨브를 포함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valve,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comprising a piston valve formed on the piston and a body valv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suction pipe.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몸체 내면의 둘레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프렌지와 상기 벨브 프렌지 하측의 상기 펌핑 보조몸체의 내면상에서 돌출형성되는 벨브 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보조벨브는,
T 자형상으로, 하측 돌출부가 상기 벨브 거치대를 하방으로 관통결합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umping aid,
A valve flang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umping auxiliary body and a valve hold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umping auxiliary body below the valve flange; and
The pumping auxiliary valve,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in a T-shape, and in which a lower protrusion penetrates the valve holder downward.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벨브의 하측 돌출부와 상기 벨브 거치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pumping aid,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pumping auxiliary valve and the valve holder.
상기 펌핑 보조기는,
상기 펌핑 보조벨브 상측에 형성되고 상수관로로부터 상기 펌핑 보조공간으로 상기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폐할 수 있는 상수 벨브를 더 구비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pumping aid,
Pumping using a manual pump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mping auxiliary valve and further comprising a branch pipe capable of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pumping auxiliary space, and a constant valve formed in the branch pipe to open and close the branch pipe Device.
상기 물탱크에 상수관로로부터 상기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upply unit using a manual pump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ter tank.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기; 및
상기 수위 감지기가 측정한 상기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유닛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급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of claim 6,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device using a manual pump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몸체와, 상기 흡입관, 및 상기 펌핑 보조기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the suction pipe, and the pumping aid is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흡입관은 상기 물탱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uction pipe is a pumping device using a manual pump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tank.
상기 물탱크는,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형성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누수된 상기 물이 상기 물탱크 내부로 낙하할 수 있는 회수공이 형성되는 수동펌프를 이용한 양수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tank,
A mounting part that is recessed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and a manual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which is forme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nd has a recovery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leak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art can fall into the water tank. A pumping device using a pum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652A KR102247652B1 (en) | 2020-11-10 | 2020-11-10 |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652A KR102247652B1 (en) | 2020-11-10 | 2020-11-10 |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652B1 true KR102247652B1 (en) | 2021-05-03 |
Family
ID=7591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9652A Active KR102247652B1 (en) | 2020-11-10 | 2020-11-10 |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65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4023A (en) | 2022-07-04 | 2024-01-11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seesaw water pump game device |
KR20240098618A (en) | 2022-12-21 | 2024-06-28 | 이성현 | Lift Pump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9447A (en) * | 1997-04-07 | 1998-11-25 | 웨브너 리차드 씨 | Liquid Dispensing Pump with Watertight Member |
KR20110009590U (en) * | 2010-04-02 | 2011-10-10 | 오관철 | An interior architecture |
JP3178691U (en) * | 2012-07-13 | 2012-09-27 | おかもとポンプ株式会社 | Tandem hand pump |
KR101282395B1 (en) | 2005-12-28 | 2013-07-04 |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 Operation aid for manual pump |
JP2015218579A (en) * | 2014-05-13 | 2015-12-07 | 株式会社川本製作所 | Manual pump |
-
2020
- 2020-11-10 KR KR1020200149652A patent/KR1022476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9447A (en) * | 1997-04-07 | 1998-11-25 | 웨브너 리차드 씨 | Liquid Dispensing Pump with Watertight Member |
KR101282395B1 (en) | 2005-12-28 | 2013-07-04 |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 Operation aid for manual pump |
KR20110009590U (en) * | 2010-04-02 | 2011-10-10 | 오관철 | An interior architecture |
JP3178691U (en) * | 2012-07-13 | 2012-09-27 | おかもとポンプ株式会社 | Tandem hand pump |
JP2015218579A (en) * | 2014-05-13 | 2015-12-07 | 株式会社川本製作所 | Manual pump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4023A (en) | 2022-07-04 | 2024-01-11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seesaw water pump game device |
KR20240098618A (en) | 2022-12-21 | 2024-06-28 | 이성현 | Lift Pu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7652B1 (en) | Pumping Apparatus using Hand Pump | |
CN109083257A (en) | Buoyancy-type odour-proof floor drain | |
KR101220840B1 (en) | Vacuum generator and toilet which are driven by the pressure of supplementary water | |
US6595435B1 (en) | Waterfall apparatus | |
KR100835312B1 (en) | Humidifier and supplement water bucket for humidifier | |
GB2401090A (en) | Seabed anchor | |
KR20170002153U (en) | Water supply device used in trap and toilet bowl with a trap water supply device | |
RU2319372C2 (en) | Apparatus for irrigation of hothouses, greenhouses and garden plots | |
KR101675894B1 (en) | Manual type water pump | |
CN109853663A (en) | A kind of building full automatic water supply and sewerage system | |
KR20100091714A (en) | Grease filling machine | |
EP1832158B1 (en) | Plant culturing device | |
CN113047406B (en) |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device for landscape water body | |
KR101777460B1 (en) | A Air Seal Device of a Vacium Self-priming Pump | |
CN215122951U (en) | Hydroponic device with leak protection water structure | |
JPS585742Y2 (en) | Simple gray water system | |
CN2704211Y (en) | Automatic pressure stabilized micro infiltration irrigating apparatus | |
CN217722292U (en) | Afforestation curing means | |
JP2002242280A (en) | Automatic drain device | |
CN210664981U (en) | Hydrogeology diving well experimental apparatus that draws water | |
CN208701864U (en) | Buoyancy-type odour-proof floor drain | |
KR200246623Y1 (en) | Water tank for vaccum pump which is economy in water consumption and can use shut off the water supply. | |
CN106912435A (en) | Magnetcisuspension valve hydrocone type aquarium automatic water changer | |
CN207543890U (en) | Landscape irrigation system | |
KR101063659B1 (en) | Water drainage device inside granular water pipe using blowoff press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