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205B1 -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 Google Patents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6205B1 KR102246205B1 KR1020190065683A KR20190065683A KR102246205B1 KR 102246205 B1 KR102246205 B1 KR 102246205B1 KR 1020190065683 A KR1020190065683 A KR 1020190065683A KR 20190065683 A KR20190065683 A KR 20190065683A KR 102246205 B1 KR102246205 B1 KR 102246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mulation
- muscle
- pad
- positive pressure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or musc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by a force applied to the chest;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담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기도에 양압 및 음압을 차례로 제공하여 기침을 유도시키며, 사용자의 기도에 음압을 제공할 때 양압 생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기침 보조기; 기침 보조기에서 생성된 양압 생성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자극 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및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생성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흡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 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coughing by sequentially providing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s in order to discharge sputum, and a cough aid provided to generate a positive pressure generation signal when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s;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stimulate the exhaled muscle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ve pressure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ugh brac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genera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respiratory muscles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It provides a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출원은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객담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객담 제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sputum removal assisting device that can more easily remove sputum from a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객담이란, 기관지나 폐에서 유래되어 기침이나 헛기침으로 객출된 기도점막으로부터의 분비물이다.Sputum is a secretion from the airway mucosa derived from the bronchi or lungs and exuded by coughing or flatulence.
이러한 객담은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매우 흔한 증상이며, 발열, 호흡곤란 때로는 기도폐쇄로 인한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증상 중 하나이다.Such sputum is a very common symptom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and is one of the serious symptoms that can lead to death due to fever, shortness of breath and sometimes airway obstruction.
이러한 객담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석션 튜브(suction tube)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무균적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객담 해위 자체가 균을 옮기는 역할을 하게 되는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suction tube was used to remove such sputum, but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many side effects occur, such as when the aseptic treatment is not performed, the sputum sea itself plays a role of transferring bacteria. .
이로 인해 기침 보조 장치(cough assist)와 같이 압력을 이용해 객담을 제거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기침 보조 장치는, 음압과 양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자 또는 사용자의 기침을 유도시켜 객담을 배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For this reason, a method of removing sputum using pressure, such as a cough assist, was devised. The cough assisting device is a method of inducing a patient or a user to cough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a negative pressure and a positive pressure to discharge sputum.
하지만, 건강한 사람의 경우 객담 배출 시 복근 등의 호기 근육을 추가로 이용하지만, 기침 보조 장치의 경우 복압을 높여 객담을 배출하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기침 보조 장치는, 기침 시 복근 등 호기 근육의 기능을 배제한 방법으로 기침보조장치 사용시 추가적으로 호기 근육을 이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객담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healthy person, exhalation muscles such as abs are additionally used when discharging sputum,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discharging sputum by increasing abdominal pressure in the case of a cough assist device. That is, the cough assist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more efficient sputum discharge can be achieved when the cough assist device is additionally used when the cough assist device is used in a way that excludes functions of exhaled muscles such as abdominal muscles.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객담을 보다 쉽게 제거하기 위해, 비침습적이고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객담제거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istive device for removing sputum that is non-invasive, easy to carry, and that a user can use by themselves more easily in order to more easily remove sputum from a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객담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기도에 양압 및 음압을 차례로 제공하여 기침을 유도시키며, 사용자의 기도에 음압을 제공할 때 음압 시작 시점에 이에 대응하는 양압 시작 신호를 생성시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기침 보조기;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및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user's airways in order to discharge sputum to induce coughing, and when negative pressure is provided to the user's airways,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negative pressure. A cough aid provided to be delivered by wire or wirelessly;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brac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It provides a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또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기침 보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및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sputum removal ai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ugh aid and wirelessly or by wire, comprising: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ai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It provides a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또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객담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기도에 양압 및 음압을 차례로 제공하여 기침을 유도시키며, 사용자의 기도에 음압을 제공할 때 음압 시작 시점에 이에 대응하는 양압 시작 신호를 생성시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기침 보조기;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및 자극 패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호흡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패드;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ischarge sputum,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user's airways to induce coughing, and when negative pressure is provided to the user's airways, the positive pressure corresponding thereto at the beginning of the negative pressure A cough aid provided to generate a start signal and transmit it by wire or wirelessly;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brace;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s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And at least one sensing pad configur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by measuring a degree of contraction of the respiratory mus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imulation pad operates normally. It provides a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예시적인 본 발명의 호흡 훈련 장치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환자 스스로 사용할 수 있어 자가 호흡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by the patient at home or in the office, so that self-breathing training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또한, 호흡훈련모드를 통해 자극의 강도, 시간, 주기, 횟수 등을 조절할 수 있어, 환자 개개인의 호흡기능에 맞는 호흡 훈련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nsity, time, cycle, and frequency of stimulation through the breathing training mod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reathing trai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function of each pati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담제거 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 패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uxiliary device for removing sput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ember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re exaggerated or reduced.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객담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객담 제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담제거 보조장치(10)는 기침 보조기(100), 자극 패드(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utum removal assisting device that can more easily remove sputum from a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Referring to FIG. 1, the sputum
구체적으로, 상기 기침 보조기(100)는 객담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기도에 양압 및 음압을 차례로 제공하여 기침을 유도시키며, 사용자의 기도에 음압을 제공할 때 양압 시작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자극 패드(200)는, 기침 보조기(100)에서 생성된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자극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자극 패드(200)는,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시켜 자극 할 수 있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자극 패드(200)는 일 예로, 신경근육 전기 자극기(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일 수 있다.Here, the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기침 보조기(100)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 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호흡 근육은 흡기근육과 호기근육으로 나누어지는데, 흡기근육에는 주 흡기근인 횡경막 외에도 부근육으로 표면 근육인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등세모근, 척추세움근 등을 포함하여 사용되며, 호기근육에는 내늑간근, 배곧은근(복직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가로근(복횡근) 등을 포함하여 사용된다.Here, the respiratory muscles are divided into inspiratory muscles and exhaled muscles.In addition to the diaphragm, which is the main inspiratory muscle, the inspiratory muscles are used including the large pectoral muscles, the small pectoral muscles, the vertebrae, and the vertebral pectoral muscles, which are superficial muscles as nearby muscles. The expiratory muscles include the internal intercostal muscles, the abdominal rectus muscle (abdominal rectus muscle), the abdominal external oblique muscle (external rectus muscle), the abdominal oblique muscle (in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the abdominal oblique muscl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상기 자극 패드(20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기 근육의 각 부위에 미리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자극 패드(200)는 복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 또는 벨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상기 자극 패드(200)는 일 예로, 소정의 폭을 갖고, 복부를 감싸도록 즉, 복부를 둘러싸며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복부 즉 복근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양압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복근을 전체적으로 눌러주어 보다 용이하게 객담 제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자극 패드(200)는, 공기가 충진 가능한 에어 튜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예를 들어, 내부에 소정의 공기압이 주입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전체적인 복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by being provided to inject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inside, it may be formed to pressurize the entire abdominal muscles.
즉, 부분적으로 복근에 자극을 주는 것인 아닌 전체적인 복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담 제거 배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making it possible to pressurize the entire abdominal muscle rather than partially stimulating the abdominal muscl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sputum and discharge.
또한, 상기 에어 튜브는 내부 공기량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tube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amount of internal air.
따라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에어 튜브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객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sputum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air tube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상기와 같이 공기압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너무 높은 압력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구토를 유발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air pressure cannot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when too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vomiting of the user.
상기 자극 패드(200)는 전술한 호기 근육 상에 부착(장착) 시켜 설치 할 수 있으며,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호기 근육에 부착된 자극 패드에 자극이 인가되거나, 자극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에 부착된 자극 패드에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자극 패드(200)로 전달된 신호가 양압 시작 신호인 경우, 자극 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자극 패드(200)로 전달된 신호가 자극 신호인 경우,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즉, 제어부(300)는, 선택적으로 자극 패드(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객담 제거 보조 장치(10)는 사용자의 호기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호기 시작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센싱 패드(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putum
상기와 같이 센싱 패드(400)가 사용자의 호기 근육에 부착되는 경우, 기침 보조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담 제거 보조 장치(10)는, 센싱 패드(400), 자극 패드(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센싱 패드(400)는 사용자의 호기 근육 상에 부착되어 호기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상기 센싱 패드(400)는 사용자가 호기 시, 근육의 수축 정도의 측정을 통해 호기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자극 패드(20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user exhales, the
상기 호기 시작 신호는 사용자의 호흡 주기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호기 시작 시점에 센싱 패드(400)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의 호기 호흡 신호일 수 있다.The exhalation start signal may be a user's exhalation respi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상기 센싱 패드(40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기 근육에 하나 이상 부착되어 호기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여기서, 호기 근육은 배곧은근(복직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가로근(복횡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halation mus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ctus abdominis (abdominal rectus muscle), the external abdominal abdominis muscle (external rectus abdominis muscle), the abdominal oblique muscle (in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the abdominal transverse abdominal muscle.
또한, 상기 센싱 패드(400)는, 전술한 각각의 호흡 근육 상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 패드(400)에서 생성된 호기 시작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부(300)로 전달되어, 제어부(300)를 통해 자극 패드(20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halation start signal generated by the
다시 말해, 센싱 패드(400)에서 생성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300)는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300)는, 기침 보조기(100) 또는/및 센싱 패드(4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기침 보조기(100)의 양압 시작 신호에 따른 자극 강도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nsity of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of the
즉,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객담 제거를 위해 전달되는 근육 자극 강도를 예를 들어,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조절된 강도로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객담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the muscle stimulation intensity transmitted to remove sputum is selected from, for example, one of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muscles are contracted with a controlled strength,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remove sputu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자극 패드(2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호흡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패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감지 패드(500)는 센싱 패드(4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상기 감지 패드(50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패드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상기 감지 패드(500)는, 자극 패드(200)와 인접하게 부착되어 호기 근육의 수축 정도 및 자극 시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자극 패드(200)로 전달된 신호와 감지 패드(500)에서 전달된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전기 자극에 의한 근육의 수축 정도 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값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자극 패드의 비정상 작동상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어부(300)는, 유선통신모듈(예를 들어, 직렬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등) 또는 무선통신모듈(바람직하게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모듈, RF 통신모듈, 지그비통신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기침 보조기, 센싱 패드에서 생성된 각각의 신호를 자극전송신호로 변환(예를 들어, 인코딩 등)시키며 변환된 자극 전송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극 패드에게 전달해줄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담제거 보조장치(10)는,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고 있어 휴대가 용이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환자 스스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utum
10: 객담제거 보조장치
100: 기침 보조기
200: 자극 패드
300: 제어부
400: 센싱 패드
500: 감지 패드10: sputum removal aid
100: cough brace
200: stimulation pad
300: control unit
400: sensing pad
500: sensing pad
Claims (10)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및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며,
자극 패드는, 소정의 폭을 갖고, 복부를 감싸도록 복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 또는 벨트 형태로 마련되고, 자극 패드는 공기가 충진 가능한 에어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It is designed to induce coughing by sequentially providing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s to discharge sputum, and to generate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pressure start point when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 and transmit it by wire or wirelessly. Cough aid;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brac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Including,
The stimulation pad has a predetermined widt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or a belt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to be worn on the abdomen so as to surround the abdomen, and the stimulation pad further includes an air tube that can be filled with air.
제어부는, 자극 패드의 자극 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객담제거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adjust the stimulation intensity of the stimulation pad, a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호기 근육은, 내늑간근, 배곧은근(복직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가로근(복횡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Expiratory muscles, intercostal muscles, rectus abdominis muscle (abdominal rectus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ex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oblique oblique muscle (in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bdominal oblique muscl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putum removal aids.
에어 튜브는, 내부 공기량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객담 제거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tube is an auxiliary device for removing sputum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amount of internal air can be adjusted.
제어부는, 자극 패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호흡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nsing pad configured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by measuring a degree of contraction of a respiratory mus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imulation pad operates normally.
제어부는, 자극 패드로 전달된 신호에 따른 전기 자극과 감지 패드에서 전달된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전기 자극에 의한 호기 근육의 수축 정도 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값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자극 패드의 비정상 작동상태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compares the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pad with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pad, and when the value of the degree of contraction of the exhaled muscle due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detected as a value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the user may An auxiliary device for removing sputum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that provides an abnormal operating state alarm.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및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및
자극 패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호흡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패드;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In the sputum removal ai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gh aid and wirelessly or by wire,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brac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And
At least one sensing pad configur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by measuring a degree of contraction of a respiratory mus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imulation pad operates normally; Sputum remov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받은 양압 시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근육을 수축하도록 마련된 자극 패드;
기침 보조기로부터 전달된 양압 시작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자극 주기에 대응하여 호기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극 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및
자극 패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호흡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패드; 를 포함하는, 객담제거 보조장치.
It is designed to induce coughing by sequentially providing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s to discharge sputum, and to generate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pressure start point when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the user's airway and transmit it by wire or wirelessly. Cough aid;
A stimulation pad provided to contract a user's exhaled muscles according to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received from the cough brace;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imulation pad according to any one of a positive pressur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gh aid or a stimulation signal for stimulating the exhaled muscle in response to a preset stimulation cycle; And
At least one sensing pad configur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by measuring a degree of contraction of a respiratory mus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imulation pad operates normally; Containing, sputum removal ai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5683A KR102246205B1 (en) | 2019-06-04 | 2019-06-04 |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5683A KR102246205B1 (en) | 2019-06-04 | 2019-06-04 |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333A KR20200139333A (en) | 2020-12-14 |
KR102246205B1 true KR102246205B1 (en) | 2021-04-29 |
Family
ID=7377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5683A Active KR102246205B1 (en) | 2019-06-04 | 2019-06-04 |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620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2412A (en) * | 2021-08-31 | 2023-03-0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of cough hel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6626A (en) * | 2023-01-20 | 2024-07-3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Vest-type speaker, speaker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bronchial sputum from lung disease patients using vibration and sound wav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23413A (en) | 1987-05-27 | 1992-06-23 | Teijin Limited | Electric therapeutic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92968A (en) * | 1987-05-27 | 1988-11-30 | Teijin Ltd | Electric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sputum |
KR101123131B1 (en) * | 2009-02-13 | 2012-03-2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bdominal breathing guidance apparatus |
CN103933648B (en) * | 2014-03-26 | 2016-09-07 | 北京雅果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iaphram stimulates suction and discharge system |
-
2019
- 2019-06-04 KR KR1020190065683A patent/KR1022462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23413A (en) | 1987-05-27 | 1992-06-23 | Teijin Limited | Electric therapeutic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2412A (en) * | 2021-08-31 | 2023-03-0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of cough help |
KR102656923B1 (en) | 2021-08-31 | 2024-04-16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of cough hel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333A (en) | 2020-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6191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breathing | |
JP7608167B2 (en) | VENTILATOR AND METHOD FOR VENTILATING A PATIENT - Patent application | |
JP2022002732A5 (en) | ||
US5190036A (en) | Abdominal binder for effectuating cough stimulation | |
US9498627B2 (en) | Wireless closed-loop and system to detect and treat sleep apnea | |
CN206152033U (en) | Helping hand respiratory device | |
KR102222940B1 (en) |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 |
JP2014512197A5 (en) | ||
JP2002519121A (en) | Respiratory assist system | |
WO2009134459A2 (en) | Portable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s and software related thereto | |
KR101806743B1 (en) |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device | |
KR102246205B1 (en) | Sputum removal assist apparatus | |
CN114901354A (en) | Ventilation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
JP2010214024A (en) | Respiratory exercise support device | |
Guleria et al. | Central fatigue of the diaphragm and quadriceps during incremental loading | |
HK40045797A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sting breathing | |
CN118949357A (en) | A cardiac function conditioning and treatment system | |
HK1195275A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sting breath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