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03B1 -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 Google Patents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6003B1 KR102246003B1 KR1020190031887A KR20190031887A KR102246003B1 KR 102246003 B1 KR102246003 B1 KR 102246003B1 KR 1020190031887 A KR1020190031887 A KR 1020190031887A KR 20190031887 A KR20190031887 A KR 20190031887A KR 102246003 B1 KR102246003 B1 KR 102246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ult section
- unit
- fault
- blocking
- open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7—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for parallel lines and wi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0—Pin insulators
- H01B17/22—Fastening of conductors to insul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9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with timing means
-
- H02J13/007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protection elements, arrang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분기선로에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고정구간 자동 개방 장치(FID : Fault Isolat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선로에서 고장 전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고장 발생 횟수를 기억하여, 설정된 횟수만큼 고장전류가 감지되거나 처음 고장이 발생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함에서 무선 방식으로 고정구간 자동 개방 장치를 제어하여 3상으로 연결된 분기선로를 동시에 차단함으로서 한 개의 상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삼상수용가의 설비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시간 정전 시에는 이를 카운터나 시간만 기억하여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어서 고정구간 자동 개방 장치의 개방으로 인한 장시간 정전을 방지하고, 자동적으로 재투입하는 재폐로 차단기가 동작함으로서 순간적인 정전만을 발생하도록 전기 공급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기 제어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한 고장구간 개방장치는, 배전선로의 3상 분기 선로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과전류 발생 시 과전류를 감지하고 후방에 설치된 차단기가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분기선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과전류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애자부와, 상기 절연 애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를 통전시키다가 과전류 발생 시 전기가 통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고장구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개방장치 및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를 일정 횟수 이상 이상전류 발생 시 또는 최초 고장전류를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section automatic opening device (FID: Fault Isola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 fault section from a three-phase branch line and automatically shutting it off,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a fault current in a branch line in real time. By memoriz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failure, the control box controls the automatic opening of the fixed section in a wireless manner when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as many times as the set number of times or the 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failure occurs, thereby simultaneously blocking the branch lines connected in three ph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facility damage or breakdown of three-phase customers that may occur due to the blockage of only one phase, and in the event of a short power outage, it is possible to remember only the counter or time so that it is not immediately blocked. It relates to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that can efficiently operate an electricity supply line so that only a momentary power outage occurs by operating a reclosed circuit breaker that prevents a power outage for a long time and automatically re-enters it. .
To this end,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by electric control by apply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vidually installed on a three-phase branch line of a distribution line to detect an overcurrent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to the rear. It detects that the installed circuit breaker is cut off and blocks the branch line.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insulator part and an insulating insulator part that prevents overcurrent from being communicated, and blocks electricity so that it is not energiz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including a fault section separating unit and a control section controlling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to be shut off when an abnormal current occur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detecting the initial fault curr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3상 분기선로에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고정구간 자동 개방 장치(FID : Fault Isolat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선로에서 고장 전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고장 발생 횟수를 기억하여, 설정된 횟수만큼 고장전류가 감지되거나 처음 고장이 발생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함에서 무선 방식으로 고정구간 자동 개방 장치를 제어하여 3상으로 연결된 분기선로를 동시에 차단함으로서 한 개의 상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삼상수용가의 설비손상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시간 정전 시에는 이를 카운터나 시간만 기억하여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어서 고장구간 자동 개방 장치의 개방으로 인한 장시간 정전을 방지하고, 자동적으로 재투입하는 재폐로 차단기가 동작함으로서 순간적인 정전만을 발생하도록 전기 공급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section automatic opening device (FID: Fault Isola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 fault section from a three-phase branch line and automatically shutting it off,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a fault current in a branch line in real time. By memoriz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failure, the control box controls the automatic opening of the fixed section in a wireless manner when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as many times as the set number of times or the 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failure occurs, and blocks the branch lines connected to three phase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equipment damage or breakdown of three-phase customers that may occur when only one phase is blocked, and in the case of a short power outage, it is possible to remember only the counter or time so that it is not immediately blocked. It relates to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that can efficiently operate an electricity supply line so that only a momentary power outage occurs by operating a reclosed circuit breaker that prevents a power outage for a long time and automatically re-enters it. .
일반적으로 특고압 배전선로에는 선로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전류에 의해서 휴즈가 용단되면 자동적으로 개방이 되는 CUT OUT FUSED SWITCH (이하 "COS"라 함)를 설치 운전하면 COS가 설치된 장소의 부하측 구간에서 고장이 발생할 때 고장으로 인한 과전류에 의하여 COS의 휴즈가 자동적으로 용단되어 고장으로 인한 정전을 COS가 설치된 전원측 구간으로 정전이 파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general, when a line breakdown occurs in a special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a CUT OUT FUSED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S")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fuse is blown by a fault current is installed and operated, it breaks in the load side section of the place where the COS is installed. When this occurs, the fuse of the COS is automatically blown by the overcurrent due to the failure, and the power failure due to the failure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to the power side section where the COS is installed.
그러나 3상배전선로에는 3대의 COS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상에만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한 하나의 상만 휴즈용단으로 개방되어 COS가 설치된 부하측에서 있는 3상수용가는 1개상이 결상됨으로서 3상 모터는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기기 소손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ree COSs are installed on the three-phase distribution line, and if only one phase fails, only one phase in which the failure occurs is opened to the fuse fuse end, and the three-phase receiver at the load side where the COS is installed is one phase, which results in a three-phase mo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is burned out due to overloading.
이러한 COS는 내부에 퓨즈가 내장되어 상부 접속캡을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면 퓨즈가 용단됨에 따라 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고장구간 분리부가 아래쪽으로 회동 개방되어 고장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is COS has a built-in fuse, and when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cap, power is cut off as the fuse is blown, and at the same time, the breakdown section is rotated and opened downward, so that a failure can be visually checked.
상기와 같이 퓨즈가 내장된 COS의 경우 분기선 중 하나의 선에 과전류가 유입되면 하나의 COS만이 차단되어 일부만 정전됨에 따라 사고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고, 용단된 퓨즈는 다시 교체하여야 하며 휴즈 교체 시에도 FUSE HOLDER를 지상으로 철거하여 COS FUSE를 교체 후에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In the case of a COS with a built-in fuse as above, if overcurrent flows into one of the branch lines, only one COS is blocked and only a part of the line is cut off, resulting in a high accident rate.The blown fuse must be replaced again, and even when replacing the fuse, the fuse hold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install the COS FUSE after removing it to the ground and replacing the COS FUSE comes with 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801039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서는 전류 감지기에서 전류를 감지하면 전자석을 이용해 통전을 차단하는 것으로, 서로 전기가 흐르는 2개의 자성체를 서로 다른 극끼리 마주보게 하여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를 흐르게 하다가 과전류가 감지되면 두 자성체의 마주보는 극을 같은 극으로 변환시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두 자성체가 이격되면 이격된 틈 사이로 절연 유체가 흘러들어가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ior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10-1801039 cut-out switch system) uses an electromagnet to cut off current when a current sensor detects a current.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the opposite poles of the two magnetic bodies are converted into the same pole to prevent electricity from flowing.When the two magnetic bodies are separated, the insulating fluid flows through the gap. A configuration capable of cutting off electricity is disclosed.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절연 유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자성체의 구동이 가능해야 하고, 장기간 사용 시 절연 유체가 변질되어 절연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Prior Document 1 requires an insulating fluid to be able to drive the magnetic body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side, and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insulating fluid is deteriorat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insulating effect cannot be exhibited.
또한, 감시패널에 의존하여 고정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고장이 발생해도 디스플레이부에 고장이 발생한 상태를 확인하거나 원격으로 운전 상태를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ly on the monitoring panel to check whether or not it is fixed, and even if a failure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failure on the display unit or to remotely monitor the operation condi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퓨즈 방식과 동일한 구조에서 퓨즈를 제거하고 퓨즈가 설치되는 위치에 전자석에 의해 고장구간 분리부가 기구적으로 작동 되도록 함에 따라 과전류 시 퓨즈가 용단되며 고장구간 분리부가 하부로 회동되어 분리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기존과 동일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3상의 분기선로에 적용함에 있어서, 3개의 고장구간 분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제어부에서 감지되는 선로 고장 감지 횟수에 따라 일정 횟수 이상 고장 감지 횟수가 누적되거나, 최초 고장전류 감지 후 정전된 시간이 지나면 3상을 동시에 차단시켜 일부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되는 고장이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무선 제어가 가능한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use is remov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fuse method, and the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is mechanically operated by an electromagnet at the location where the fuse is installed. It is melted and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separation part of the fault section is rotated to the lower part, and by this operation, the same visual confirmation as before is possible, and in applying to the commonly applied three-phase branch line, there are three failures. Occurs when the number of failure detections is accumulated over a certain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ne failure detection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or when the power failure time passes after the initial failure current is detected, three phases are simultaneously cut off and only a part is cut off.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phase type automatic failure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three-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capable of wireless control as well as preventing failures or accident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는, 배전선로(10)의 3상 분기 선로(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과전류 발생 시 개방되면서 분기선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과전류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애자부(110)와, 상기 절연 애자부(110)의 일측에 회동되게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 시 전기가 통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회동 개방되는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개방장치(100); 및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100)를 일정 횟수 이상 이상전류 발생 시 또는 최초고장 발생후 설정된 시간에 3상이 동시에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three-
여기서, 상기 절연 애자부(110)는, 분기 선로(20)에서 전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분기 선로(20)로부터 전기를 인가받는 상부 접속 단자(111)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로 유입되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하부 접속 단자(112)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 측으로 전기를 통전시키는 상부 접촉 금구(113)와, 상기 하부 접속 단자(112)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접촉 금구(114)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 금구(114)의 하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항시 아래쪽으로 회동되게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 시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동작에 의해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분기 선로(20)에서 이탈시키는 차단 브라켓(11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이때,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는 분기 선로(20)에 설치되어 전기를 통전시키는 도전 튜브(121)와, 상기 도전 튜브(121) 내측에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 시 상기 도전 튜브(121)를 분기 선로(20)에서 분리시켜 전기가 통전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차단부(122)와, 상기 차단부(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단부(122)를 보호하면서 차단부(122)를 동작시키는 하우징(123)과, 상기 도전 튜브(1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통전되는 전기를 도전 튜브(121)를 통해 통전시키는 상부 접촉캡(124)과, 상기 상부 접촉캡(124)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 접촉캡(124)으로 유입되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하부 접촉 단자(125)와, 상기 하우징(12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122)가 동작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지(126) 및 상기 충전지(126)와 차단부(122)에 연결되어 충전지(126)의 전력을 차단부(122)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차단부(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ault
여기서, 상기 차단부(122)는 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3)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 기판(127)의 제어에 따라 극성을 바꿀 수 있는 고정 접촉자(122a) 및 상기 고정 접촉자(122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122a)의 극성에 따라 고정 접촉자(122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정 접촉자(122a)의 극성이 바뀌면 고정 접촉자(122a)과 이격되는 유동 접촉자(122b)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 접촉자(122b)은 하부가 상기 차단 브라켓(114a)과 연결되어, 고정 접촉자(122a)과 유동 접촉자(122b)의 극성이 서로 다를 때에는 상기 차단 브라켓(114a)을 당겨주어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 결합된 상태로 전기를 통전되도록 유지하다가 과전류 발생 시 고정 접촉자(122a)과 유동 접촉자(122b)의 극성이 서로 같아지면 유동 접촉자(122b)은 고정 접촉자와 이격되면서 차단 브라켓(114a)을 해제하여 차단 브라켓(114a)이 스프링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면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서 이탈되면서 통전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고장구간 개방장치(100)에서 감지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면서 일정 횟수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통신부(210)와, 상기 통신부(210)에 의해 수집된 이상전류 발생 횟수를 기억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메모리부(220)에서 설정된 횟수만큼 이상전류가 감지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도록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부(230) 및 상기 메모리부(220)에 기억되는 횟수를 설정하거나, 이상 전류에 의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었다가 다시 설치되면 기억된 횟수를 초기화 할 수 있으며, 감지되는 이상 전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조작 패널(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개방되면 다시 차단부(122)로 전원을 공급하여, 고정 접촉자(122a)와 유동 접촉자(122b)가 다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퓨즈를 교체할 필요 없이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다시 통전 위치로 연결함에 따라 통전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aul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기존 퓨즈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되어 육안으로 고장구간의 개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operates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fuse metho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fault section is opened with the naked eye.
둘째, 전자석 방식으로 고장 구간의 분리가 가능하여 기존의 퓨즈를 교체함에 따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failure section can be separated by an electromagnet method, so that inconvenience caused by replacing an existing fuse can be solved, and cost can be reduced.
셋째, 개방된 고장구간 개방장치(FID)는 전자석 구조로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에서 자력을 해제함에 따라 개방시킨 후 다시 전원을 투입함에 따라 전자석의 자중에 의해 퓨즈 교체 없이 운전을 재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 open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has an electromagnet structure, which temporarily cuts off the power and releases the magnetic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to open it and then turn on the power again to resume operation without replacing the fuse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electromagn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넷째, 3상의 분기선로를 동시에 차단하여 기구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서, 특정 분기선로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비의 고장이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since the three-phase branch lines can be simultaneously blocked and controlled to open mechanical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equipment failure or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only specific branch lines are blocked.
다섯째, 분기선로를 제어함에 있어서 메모리에 의해 특정 횟수의 이상전류가 감지될 경우 또는, 최초 고장전류 감지후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3상을 동시에 개방하여, 순간적으로 재폐로되는 경우와 같이 순간적인 정전고장에 대해서는 개방하지 않도록 운전함으로서 불필요한 정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instantaneous power failure such as when a certain number of abnormal currents are detected by the memory when controlling a branch line, or when three phases are simultaneously opened and reclosed momentarily after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initial fault current is detect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outages by operating so that it is not opened to failure.
여섯째, 기존 분기선로에 고장구간 개방장치(FID)에 간편하게 적용하여 COS FUSE HOLDER 대신에 고장구간 개방장치(FID)로 교체하여 운전하도록 할 수도 있어서 기존설비를 재사용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to an existing branch line and replace the COS fuse holder with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to operate, thereby reducing costs by reusing the existing facilitie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에서 고장구간 분리부만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에서 제어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가 전기를 통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가 이상전류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a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in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control unit in a single-phase automatic failure section open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s electricity.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by an abnormal current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선로의 3상 분기선로에 설치되어 고장 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FI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면서 무선 통신에 의해 3상의 분기 선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3상의 분기 선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기존 고장구간 개방장치(FID)에 적용할수도 있으며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FID installed on a three-phase branch line of a special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 faulty section. In particular, while being driven by an electromagnet, a three-phase branch line can be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al-time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collective control that can simultaneously detect an abnormal current and cut off the three-phase branch line at the same time,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existing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relates to a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자동 고장구간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gle-phase automatic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simultaneou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and FIG. 2 is a three-phase simultaneo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ingle-phase automatic failure section open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ngle-phase automatic failure section open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 three-phase collecti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FID(100)와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FID (100) and a control unit (200).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FID)(1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분기 선로(20)에서 전기가 통전되는 단자 사이를 지지하는 절연 애자부(110)와, 상기 절연 애자부(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 애자부에 의해 지지된 단자 사이에 전기가 통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평시에는 전기를 통전시키다가 과전류 등 이상 전류 발생 시 단자 사이에서 이탈되면서 통전을 차단하는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100 is made of an insulato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절연 애자부(110)는, 분기 선로(20)에서 전기가 통전되는 상부에 구비되어 전기가 유입되는 상부 접속 단자(111)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가 구비된 반대쪽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로 유입된 전기가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통과하여 가정이나 산업용 전기로 공급시키는 하부 접속 단자(112)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에서 고장구간 분리부(120) 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통전되는 전기를 통전시키면서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상단으로 통전되도록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지지하는 상부 접촉 금구(113)와, 상기 하부 접속 단자(112)에서 고장구간 분리부(120) 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 접촉 금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전기가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통전된 후 분기 선로(20)의 하부 전선 측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접촉 금구(114) 및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와 하부 접속 단자(112) 사이 중간에 구비되어 배전선로(10)나 전신주와 연결되어 고장구간 개방장치(FID)(100)를 고정 지지하는 설치 브라켓(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여기서 상기 하부 접촉 금구(114)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항시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정상적인 전기가 통전될 때에는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로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상부 접촉 금구(11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다가 과전류 등 이상 전류가 발생되어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차단 동작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상부 접촉 금구(113)에서 이탈되어 분리시킴에 따라 통전을 차단하는 차단 브라켓(114a)이 더 구비된다.Here, the
이로 인해 전기가 통전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전기를 통전시키다가 과전류 등 이상 전류 발생 시 물리적으로 통전 선로 자체를 차단시켜 과전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고장 발생 시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overcurrent by allowing normal electricity to be energiz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energized, but by phys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line itself when abnormal currents such as overcurrents occur, and in the event of a failure,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m with the naked eye.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기 제어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한 고장구간 개방장치(FID)에서 고장구간 분리부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a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in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by electric control by apply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고장구간 분리부(120)는 상기 상부 접촉 금구(113)와 하부 접촉 금구(114)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 접촉 금구(113)와 하부 접촉 금구(114) 사이에서 전기를 통전시키는 도전 튜브(121)와, 상기 도전 튜브(121)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면서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 시 제어부로부터 차단 명령이 전달되면 도전 튜브(121)를 상부 접촉 금구(113)와 하부 접촉 금구(114) 사이에서 이탈시켜 통전을 차단시키는 차단부(122)와, 상기 차단부(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단부(122)를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하우징(123)과, 상기 도전 튜브(121) 상단에 구비되어 도전 튜브(121)와 상부 접촉 금구(113) 사이가 통전되도록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상부 접촉캡(124)과, 상기 도전 튜브(121)의 하단에 구비되어 도전 튜브(121)와 하부 접촉 금구(114)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하부 접촉 단자(125)와, 상기 하우징(12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122)가 동작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지(126) 및 상기 하우징(123) 내부에 설치되어 충전지(126)와 차단부(122)를 연결하면서,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차단부(122)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ault
여기서 상기 차단부(122)는 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상부 접촉캡(124) 측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 기판(127)의 제어에 따라 극성을 바꿀 수 있는 고정 접촉자(122a) 및 상기 고정 접촉자(122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122a)와 다른 극성일 때에는 서로 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밀착되게 유지되다가 제어 기판(127)의 제어에 따라 고정 접촉자(122a)와 유동 접촉자(122b)의 마주보는 극성이 같은 극성으로 변환되면 서로 밀면서 이격된다.Here, the blocking
이때, 상기 유동 접촉자(122b)는 하부가 와이어 등의 수단에 의해 절연 애자부(110)의 하부 접촉 금구(114)에 설치되어있는 차단 브라켓(114a)과 연결되는데, 고정 접촉자(122a)와 유동 접촉자(122b)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밀착되도록 당기고 있을 때에는 상기 차단 브라켓(114a)이 고정구간 분리부(120)의 하부 접촉 단자(125) 측으로 밀착되도록 유지되어 통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어부(200)로부터 과전류 등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제어부(200)에서 설정된 횟수나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횟수로 이상 전류가 감지될 경우 고정 접촉자(122a)와 유동 접촉자(122b)의 극성을 바꾸어주어 유동 접촉자(122b)가 고정 접촉자(122a)에서 이격되면서 차단 브라켓(114a)을 해제하여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의 상부 접촉 금구(113)에서 이탈되면서, 하부 접촉 단자는 하부 접촉 금구(114)에 걸린 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이탈되면서 물리적으로 통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low contactor (122b)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bracket (114a) installed on the lower contact bracket (114) of the insulating insulator portion (110) by means such as a wire, the fixed contact (122a) and the flow When the
여기서 일정 횟수는 고장발생 횟수를 감지하여 정해진 시간 내의 횟수를 누적하여 1~ 4회 중 적정 횟수로 설정하여 설정된 횟수에 도달 시 즉시 개방하여 통전을 차단한다.Here, a certain number of times detects the number of failures, accumulates the number of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ets the appropriate number of 1 to 4 times, and immediately opens when the set number of times reaches the set number of times to block power.
그리고 설정된 시간은 고장을 최초로 감지한 후 5~180초 중 적정 시간으로 설정하여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즉시 개방하여 통전을 차단한다.In addition, the set time is set to an appropriate time from 5 to 180 seconds after the first detection of a fault, and when the time elapses, it is automatically opened immediately to cut off the power supply.
한편, 상기 제어부(200)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태양광 패널(300)이 더 구비된다.Meanwhile, a
상기 태양광 패널(300)은 주간에 태양광을 이용해 충전지(126)를 충전하여 직접적인 전력 공급과 별도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이로 인해 정상적인 전류가 통전될 때에는 통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다가 과전류 등 이상 전류가 제어부(200)를 통해 감지되면 일시적인 이상 전류의 발생은 카운터만 하다가 설정 횟수만큼의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이를 고장으로 판단하여 3상의 분기 선로(20)를 동시에 차단하여 일시적인 이상 전류에 의한 정전은 방지하면서 연속으로 이상 전류 발생 시 이상 전류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a normal current is applied, the current state is stably maintained, and when an abnormal current such as an overcurrent is detected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기 제어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한 고장구간 개방장치(FID)에서 제어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control unit in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by electric control by apply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와 실시간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감시 및 제어하는 통신부(210)와, 상기 통신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이상 전류를 기록하면서, 설정된 감지 횟수와 비교하여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상태를 저장 및 제어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메모리부(220)에 설정된 횟수만큼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이를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제어 기판(127) 측으로 전달하여 차단부(122)를 동작시킬 수 있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부(230) 및 상기 통신부(210)의 상태와 메모리부(220)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안내하면서 메모리부(220)에 기록된 이상전류 감지 횟수를 초기화 하거나 차단부(122)가 동작되기 위한 이상전류 감지 횟수를 설정하면서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조작 패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이로 인해, 관리자가 항시 감시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이상 전류의 발생 횟수, 빈도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에 따라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이를 관리자 측으로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always monito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ct the number and frequency of occurrence of abnormal current,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faul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기 제어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한 고장구간 개방장치(FID)가 전기를 통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by electric control by apply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s electricity.
도 6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전류가 통전될 때에는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와 정확한 위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전기를 통전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a normal current is applied, the fault
이때, 도전 튜브(121)의 상부는 상부 접촉캡(124)에 의해 상부 접촉 금구(113)와 연결되어 전기가 유입되고, 하부는 하부 접촉 단자(125)에 의해 배전선로(10)와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이로 인해 안정적으로 전기의 통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n energized state of electricit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기 제어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한 고장구간 개방장치(FID)가 이상전류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FID) capable of collective control by electric control by apply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by an abnormal current.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00)에 설정된 횟수만큼 과전류 등의 이상전류가 감지되면 차단부(122)가 동작되면서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서 분리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an abnormal current such as an overcurrent is detected as many times as set in the
이때, 차단부(122)는 전자석의 동작에 의해 차단 브라켓(114a)이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지지하는 것을 해제하여 차단 브라켓(114a)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서 이탈되며 회동되어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200)에 의해 3상 분기 선로(20)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3상의 분기 선로(20)가 동시에 차단됨에 따라 일부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이나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Such an operation is applied equally to the thre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산업 현장으로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서 3상 분기선로로부터 각각 전기를 인가받아 통전시켜 공급하면서 과전류 등 이상 전류 발생 시 3상 분기선로를 동시에 차단하여 기존의 문제점인 3상 분기선로 중 하나의 분기 선로만 차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비의 고장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분기선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일시적인 과전류나 이상전류는 감지하여 바로 차단시키지 않고 설정된 횟수만큼 감지될 경우에 3상의 분기선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어서, 사소한 이상전류로 인해 일시적인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 conventional problem by simultaneously blocking the three-phase branch line when an abnormal current such as overcurrent occurs while supplying electricity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each of the three-phase branch lines in supplying electricity to homes or industrial si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equipment failure or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as only one branch line among the three-phase branch lines is blocked, and while monitoring the electricity applied from the branch line in real time, it detects temporary overcurrent or abnormal current and cuts it off immediately. The three-phase branch line can be cut off at the same time when the three-phase branch line is detected for a set number of times, so that a temporary power failure due to a minor abnormal current can be prevented.
10 : 배전선로 20 : 분기 선로
100 : 고장구간 개방장치 110 : 절연 애자부
111 : 상부 접속 단자 112 : 하부 접속 단자
113 : 상부 접촉 금구 114 : 하부 접촉 금구
114a : 차단 브라켓 115 : 설치 브라켓
120 : 고장구간 분리부 121 : 도전 튜브
122 : 차단부 122a : 고정 접촉자
122b : 유동 접촉자 123 : 하우징
124 : 상부 접촉캡 125 : 하부 접촉 단자
126 : 충전지 127 : 제어 기판
200 : 제어부 210 : 통신부
220 : 메모리부 230 : 명령부
240 : 조작 패널 300 : 태양광 패널10: distribution line 20: branch line
100: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10: insulation insulator part
111: upper connection terminal 112: lower connection terminal
113: upper contact bracket 114: lower contact bracket
114a: blocking bracket 115: mounting bracket
120: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1: conductive tube
122: blocking
122b: floating contact 123: housing
124: upper contact cap 125: lower contact terminal
126: rechargeable battery 127: control board
200: control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memory unit 230: command unit
240: operation panel 300: solar panel
Claims (6)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100)를 일정 횟수 이상 이상전류 발생 시 또는 최초고장 발생후 설정된 시간에 3상이 동시에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절연 애자부(110)는, 분기 선로(20)에서 전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분기 선로(20)로부터 전기를 인가받는 상부 접속 단자(111)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로 유입되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하부 접속 단자(112)와, 상기 상부 접속 단자(1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 측으로 전기를 통전시키는 상부 접촉 금구(113)와, 상기 하부 접속 단자(112)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접촉 금구(114)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 금구(114)의 하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항시 아래쪽으로 회동되게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 시 고장구간 분리부(120)의 동작에 의해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분기 선로(20)에서 이탈시키는 차단 브라켓(114a)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구간 분리부(120)는 분기 선로(20)에 설치되어 전기를 통전시키는 도전 튜브(121)와, 상기 도전 튜브(121) 내측에 구비되어 과전류 발생 시 상기 도전 튜브(121)를 분기 선로(20)에서 분리시켜 전기가 통전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차단부(122)와, 상기 차단부(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단부(122)를 보호하면서 차단부(122)를 동작시키는 하우징(123)과, 상기 도전 튜브(1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통전되는 전기를 도전 튜브(121)를 통해 통전시키는 상부 접촉캡(124)과, 상기 상부 접촉캡(124)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 접촉캡(124)으로 유입되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하부 접촉 단자(125)와, 상기 하우징(12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122)가 동작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지(126) 및 상기 충전지(126)와 차단부(122)에 연결되어 충전지(126)의 전력을 차단부(122)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차단부(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127)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122)는 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3)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 기판(127)의 제어에 따라 극성을 바꿀 수 있는 고정 접촉자(122a) 및 상기 고정 접촉자(122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122a)의 극성에 따라 고정 접촉자(122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정 접촉자(122a)의 극성이 바뀌면 고정 접촉자(122a)과 이격되는 유동 접촉자(122b)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 접촉자(122b)은 하부가 상기 차단 브라켓(114a)과 연결되어, 고정 접촉자(122a)과 유동 접촉자(122b)의 극성이 서로 다를 때에는 상기 차단 브라켓(114a)을 당겨주어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 결합된 상태로 전기를 통전되도록 유지하다가 과전류 발생 시 고정 접촉자(122a)과 유동 접촉자(122b)의 극성이 서로 같아지면 유동 접촉자(122b)은 고정 접촉자와 이격되면서 차단 브라켓(114a)을 해제하여 차단 브라켓(114a)이 스프링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면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절연 애자부(110)에서 이탈되면서 통전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고장구간 개방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고장구간 개방장치(100)에서 감지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면서 일정 횟수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통신부(210)와, 상기 통신부(210)에 의해 수집된 이상전류 발생 횟수를 기억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메모리부(220)에서 설정된 횟수만큼 이상전류가 감지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도록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부(230) 및 상기 메모리부(220)에 기억되는 횟수를 설정하거나, 이상 전류에 의해 고장구간 개방장치(100)가 차단되었다가 다시 설치되면 기억된 횟수를 초기화 할 수 있으며, 감지되는 이상 전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조작 패널(2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태양광 패널(3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태양광 패널(300)은 주간에 태양광을 이용해 충전지(126)를 충전하여 직접적인 전력 공급과 별도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는 고장구간 분리부(120)가 개방되면 다시 차단부(122)로 전원을 공급하여, 고정 접촉자(122a)와 유동 접촉자(122b)가 다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퓨즈를 교체할 필요 없이 고장구간 분리부(120)를 다시 통전 위치로 연결함에 따라 통전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동시 일괄제어가 가능한 단상형 고장구간 자동 개방 장치.
Each of the three-phase branch lines 20 of the distribution line 10 is individually installed to open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blocks the branch line, and an insulating insulator part 110 that prevents overcurrent from being communicated, and the insulating insulator part A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including a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0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ed on one side of 110 and is rotated and opened while blocking electricity from being energiz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to simultaneously shut off three phases when an abnormal current occur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at a set time after the initial fault occurs,
The insulating insulator part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electricity is introduced from the branch line 20 to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branch line 20, and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and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are fixed. A lower connection terminal 112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flowing into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and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are integrally provi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0 An upper contact bracket 113 that conducts electricity to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part 120 while supporting, and a lower contact tha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connection terminal 112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part 120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bracket 114, the lower contact bracket 114 is provided to be rotated downward at all times by a spring, so that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section 120 by the operation of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section 120 when an overcurrent occurs. It includes a blocking bracket (114a) for separating from the branch line (20),
The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0 is provided on the branch line 20 to conduct electricity, and is provided inside the conductive tube 121 to connect the conductive tube 121 to the branch line when an overcurrent occurs. A blocking unit 122 that separates from 20 to block electricity from being energized, and a housing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locking unit 122 to operate the blocking unit 122 while protecting the blocking unit 122 123, an upper contact cap 124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ductive tube 121 to conduct electricity from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conductive tube 121, and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tact cap 124 A lower contact terminal 125 configured to conduct electricity flowing into the upper contact cap 124, a rechargeable battery 126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23 to provide power to operate the blocking unit 122, and the It includes a control board 127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26 and the blocking unit 122 to selectively transmit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26 to the blocking unit 122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122,
The blocking part 122 is operated by an electromagnet,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housing 123 to change the polarit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board 127 and the fixed contactor 122a and the fixed contactor ( A fluid contactor 122b provided below 122a) to maintain a contact state with the fixed contactor 122a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fixed contactor 122a,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or 122a when the polarity of the fixed contactor 122a is changed. ),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contactor 122b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bracket 114a, and when the polarities of the fixed contactor 122a and the flow contactor 12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locking bracket 114a is pulled. When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insulating insulator unit 110 and maintains electricity to be energized, and when an overcurrent occurs, when the polarities of the fixed contactor 122a and the floating contactor 122b are the same, the floating contactor 122b When the blocking bracket 114a is relea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or and the blocking bracket 114a is rotated downward by a spring, the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0 is separated from the insulating insulator unit 110 to block electricity,
The control unit 20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and detects an abnormal current detected by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in real time, and when a current is detect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A communication unit 210 capable of controlling the system to be blocked, a memory unit 220 that store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abnormal current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an abnormal current detected by the number of times set in the memory unit 220 If so, the command unit 230 for generating a command to shut off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ection 210 and the number of times stored in the memory section 220 are set, or the fault section opening device ( 100) is shut off and then reinstalled, the memorized number can be initialized, and the operation panel 240 can display the detected abnormal current in real time,
A solar panel 300 performing a power generation function using sunlight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unit 200,
The solar panel 300 may perform a charging function separately from direct power supply by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26 using sunlight during the day,
When the fault section separating unit 120 is opened, the control unit 200 supplies power to the blocking unit 122 again, so that the fixed contactor 122a and the floating contactor 122b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use is opened. A single-phase fault section automatic open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3-phase collectiv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sume power by connecting the fault section separation unit 120 back to the energized position without the need for replac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1887A KR102246003B1 (en) | 2019-03-20 | 2019-03-20 |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1887A KR102246003B1 (en) | 2019-03-20 | 2019-03-20 |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042A KR20200112042A (en) | 2020-10-05 |
KR102246003B1 true KR102246003B1 (en) | 2021-04-29 |
Family
ID=7280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1887A Active KR102246003B1 (en) | 2019-03-20 | 2019-03-20 |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60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11978B1 (en) * | 2021-06-24 | 2025-05-27 | 한국전력공사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ut-Out Switch |
KR102796071B1 (en) * | 2022-12-29 | 2025-04-23 | 한국전력공사 | Cut out switch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9652B1 (en) * | 2013-10-01 | 2015-03-18 | 제룡산업 주식회사 | Mounting structure of lighting arrester and COS for a pole transformer |
KR101801039B1 (en) * | 2016-08-01 | 2017-11-27 | 안성산업(주) | System for cut out switch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3327B2 (en) * | 1994-06-15 | 2002-06-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its device |
-
2019
- 2019-03-20 KR KR1020190031887A patent/KR1022460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9652B1 (en) * | 2013-10-01 | 2015-03-18 | 제룡산업 주식회사 | Mounting structure of lighting arrester and COS for a pole transformer |
KR101801039B1 (en) * | 2016-08-01 | 2017-11-27 | 안성산업(주) | System for cut out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042A (en) | 202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6712B1 (en) | Failure of power electric distribution lines between the automatic opening device | |
KR101441462B1 (en) | Control System for Separating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
KR20090037807A (en) | Load switch | |
EP3216042B1 (en) | Dc circuit breaker and disconnector | |
US20080179958A1 (en) |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Mod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 |
US7075767B2 (en) | Fault current limiting system and method | |
KR102246003B1 (en) | Automatic Fault Isolation Device System of 3 Phase Batch Open by electric control | |
CN201549868U (en) | Low-voltage switch intelligent controller | |
KR102035529B1 (en) | Monitoring Apparatus for Fault of Distribution Line | |
KR101869767B1 (en) | Control System for Separating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
KR102811978B1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ut-Out Switch | |
CN112289619B (en) | Control device for grounding switch | |
KR102506084B1 (en) | Vacuum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realtime monitoring and the monitoring method | |
KR101084058B1 (en) | Special high voltage power receiving equipment with automatic breaker control | |
CN104871389A (en) | Standby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s for isolating a local power distribution network from a superordinate power supply network | |
KR102004200B1 (en) | Automatic switchgear system | |
JP2007267534A (en) | Superconducting current limiter | |
KR101364565B1 (en) | Auto power-off system for distributing panel | |
KR101555280B1 (en) | System for separating fault section of power distribution line | |
JP2013132114A (en) | Automatic recovery device | |
KR100716897B1 (en) | Transmission Line Load Supply Circuit Breaker | |
KR100304252B1 (en) | Auto-Switching Control Apparatus of Interlock Air Circuit Breaker | |
KR102322177B1 (en) | Auto Detection System for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
KR102814124B1 (en) | Substation system with on-site real-time alarm function and work cut-off function | |
KR200382085Y1 (en) | A automatic revert apparatus of the fault current cut-off with intellig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