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714B1 - Hemostasis valve - Google Patents
Hemostasis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5714B1 KR102245714B1 KR1020180152607A KR20180152607A KR102245714B1 KR 102245714 B1 KR102245714 B1 KR 102245714B1 KR 1020180152607 A KR1020180152607 A KR 1020180152607A KR 20180152607 A KR20180152607 A KR 20180152607A KR 102245714 B1 KR102245714 B1 KR 102245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connector
- disposed
- channel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439 hemo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367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72 contrast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1526 Air embol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1 Cerebr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83 ang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87 coronary angioplast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2—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used with a cathe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3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the seal being a passive seal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with or without an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61M2039/205—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comprising air ve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a valve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wherein the connector communicates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mostatic valve device including a hole, and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closing part disposed on the connect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hole.
Description
실시예는 지혈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hemostatic valve device.
지혈 밸브 장치는,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타(이하, 카테타류)를 혈관내에 도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혈 밸브 장치는, 심혈관 조영술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등을 시술 할 때, 카테타류가 경피 동맥이나 정맥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지혈 밸브 장치는 경피 동맥이나 정맥을 통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에 따라 지혈 밸브 장치를 통해, 약제를 주입할 수 있다.The hemostatic valve device is a device for introducing a conduit, a guide wire, or a catheter (hereinafter, catheters) into a blood vessel. The hemostatic valve device guides the catheter to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percutaneous artery or vein when performing cardiovascular angiography or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y. In addition, the hemostatic valve device prevents backflow of blood through the percutaneous artery or vein. If necessary, a drug can be injected through a hemostatic valve device.
지혈 밸브 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2303호(2001.03.15.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캡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소되고 확장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문헌의 지혈 밸브 장치는 카테타류를 경피 동맥이나 정맥 내부로 삽입할 때, 또는 약제를 주입할 때, 혈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영제 자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조영제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혈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기포가 혈관을 막는 공기색전증(air embolism)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환자의 혈관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환자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기포가 심장으로 이어지는 혈관을 막거나 뇌혈관을 막는 경우, 심정지, 뇌출혈 등으로 환자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As a hemostatic valve devic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1-0022303 (published on 15 March 20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document) describes a configuration that is reduced and expand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p. However, the hemostatic valve device of this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blood vessel when catheter is inserted into a percutaneous artery or vein, or when a drug is injected. For example, air bubbles may occur in the contrast medium itself. Alternatively, i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injecting a contrast agent.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blood vessel, air bubbles can cause air embolism, which blocks the blood vessel. Likewise. If air enters the patient's blood vessel, it can be fatal to the patient's life. When air bubbles block blood vessels leading to the heart or block blood vessels in the brain, the patient may die due to cardiac arrest or cerebral hemorrhage.
따라서, 시술자는 카테타류를 경피 동맥이나 정맥 내부로 삽입하거나, 약제를 주입할 때, 혈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시술자의 피로도가 크고, 시술을 위해서 많은 훈련된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시술의 성공 확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should take great care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blood vessel when inserting catheters into a percutaneous artery or vein, or injecting a dru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s fatigue is large, and a lot of trained personnel are required for the procedure. Above 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the procedure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혈관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혈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mostatic valve device that prevents air from flowing into blood vesse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내부에 채널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 holder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a valve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and , The connector may provide a hemostasis valve device including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and an opening/closing part disposed in the connect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덮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홀과 연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disposed in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hole, and a first member disposed above the sealing member, The first member may protrude downward and include a tub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cutout, and the tube may communicate with the ho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out.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며,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ning/clos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unit and including a hole through which the tube passes, and the firs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so as to be movable vertically.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상면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과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연결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hole connecting the side surface and the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배치되며 상기 홀을 포함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재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홀과 연통되고, 상기 연통홀과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disposed in the degassing pipe and including the hole, a first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and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탈기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탈기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first part disposed inside the degassing pipe, and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and the second part comprises the It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탈기관의 외면에 회전 체결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외면에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is rotational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and the firs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배치되며 상기 홀을 포함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슬라이드 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disposed in the degassing pipe and including the hole, and a first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and the first The member is sli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탈기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guide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disposed with the evacuation pip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member includes a body in contact with the guide, and the body It may include a cover dispos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and positioned inside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includes a stopper, and the body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applied to the stop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탈기관에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홀을 덮을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member, and the first The first member may selectively cover the hole by rotating the degassing engine of the first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탈기관에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ling member may be selectively disposed inside the hole by rotation in the degassing engine of the first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관은 상기 홀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includes a hole, and the evacuation pipe may include a protrusion disposed in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여 상기 홀을 덮는 실링부재 및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덮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hole and a first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sealing member. And the first member may include a through hole exposing the seal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기관은, 상기 탈기관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탈기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gassing pipe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and the first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disposed. It includes a groove, and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hol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dis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탈기관 및 상기 실링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may contact the degassing pipe and the sealing member.
실시예는, 혈관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air from entering the blood vessel.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removing air bubbles through a simple operation.
실시예는, 시술자가, 단독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remove air bubbles alone.
실시예는. 기포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장치나, 시술이 필요없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Examples are.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vice or procedure for removing air bubble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지혈 밸브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와 개폐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실링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제1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제1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제1 부재의 저면도,
도 9는 도 3에서 도시한 제2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기포의 흐름을 도시한 커넥터와 개폐부의 측단면도,
도 11은 기포의 흐름을 도시한 커넥터와 개폐부의 정단면도,
도 12는 개폐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분해도,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측단면도,
도 15는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실링부재의 측면도,
도 17은 도 12의 개폐부에 의해 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2의 개폐부에 의해 홀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개폐부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분해도,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제1 부재의 정면도,
도 22는 도 19의 개폐부 및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23은 도 19의 개폐부에 의한 홀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개폐부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4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측단면도,
도 26은 도 24에서 도시한 개폐부에 의해 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개폐부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분해도,
도 29는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30은 실링부재의 저면도,
도 31은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의 측단면도,
도 32는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에 사용자의 도구(바늘)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hemostatic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par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member,
5 is a bottom view of the sealing memb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member based on AA of FIG. 6;
8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member,
9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member shown in FIG. 3;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ing the flow of air bubbles;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ing the flow of air bubbles;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 is an explod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12;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12;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member,
16 is a side view of the sealing member,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e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FIG. 12;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e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FIG. 12;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 is an explod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19;
21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20;
2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connector of FIG. 19;
23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a ho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FIG. 19;
2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24;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e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24;
27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8 is an explod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27;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member,
30 is a bottom view of the sealing member,
3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27;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27 is opened with a user's tool (needle).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지혈 밸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hemostatic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지혈 밸브 장치는, 커넥터(100)와, 홀더(200)와, 밸브부(300)와 개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커넥터(10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밸브부(300)는 커넥터(100)의 타단부에 배치된다. 개폐부(400)는 커넥터(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hemostatic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커넥터(100)는 관형부재이다. 커넥터(100)를 통해 카테터류(10) 또는 약제가 흐를 수 있다. 홀더(200)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홀더(200)는 호스와 커넥터(100)를 연결한다. 그리고 홀더(200)는 호스와 커넥터(100)를 연통시킨다. 홀더(200)는 커넥터(10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밸브부(300)는 카테터류(10)를 공급하는 곳이다. 밸브부(300)로 카테터류(10)가 삽입된다. 밸브부(300)로 삽입된 카테터류(10)는 커넥터(100)를 거쳐 홀더(200)를 관통하여 호스로 삽입된다. 밸브부(300)는 카테터류(10)를 커넥터(100)로 공급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카테터류(10)가 유입되는 입구를 조여, 커넥터(100)의 채널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사용자가 채널의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커넥터(10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카테터류(10)를 커넥터(100)로 공급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카테터류(10)가 유입되는 입구를 조이는 밸브부(30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300)는 바디(310)와 핸들(320)로 구분될 수 있다. 바디(310)는 커넥터(100)와 연결된다. 핸들(320)은 바디(3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바디(310)는 커넥터(10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바디(310)의 내부에는 카테터류(1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배치된 실링부재 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핸들(320)이 상하 이동하거나, 바디(310)가 회전하면, 실링부재들이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되면서, 실링부재들이 변형되어, 카테터류(1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확장되거나 축소된다. While supplying the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100)와 개폐부(400)의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바디(110)와 제1 단부(110a)와 제2 단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110a)는 바디(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단부(110b)는 바디(110)의 타측에 배치된다. 밸브부(300)는 제1 단부(110a)에 연결된다. 홀더(200)는 제2 단부(110b)에 연결된다. 바디(110)는 내부에 채널(120)을 포함한다. 채널(120)을 통해 카테터류(10) 또는 약제가 흐를 수 있다. 바디(110)는 탈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탈기관(130)은 홀(140)을 포함한다. 홀(140)은 바디(110)의 채널(120)과 연통된다. 홀(140)은 채널(120)에서 분기될 수 있다. 탈기관(130)은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탈기관(130)은 바디(110)에서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개폐부(400)는 탈기관(130)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홀(140)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개폐부(400)가 홀(140)을 개방시키면,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는 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채널(120)의 압력, 특히, 환자의 혈관과 연결된 제2 단부(110b)측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는 제2 단부(110b) 측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홀(140)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개폐부(400)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밀거나 당기거나 돌리는 등의 동작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지혈 밸브 장치의 개폐부(400)의 작동은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작동된다. 이는 시술 과정에서 기포를 제거 과정의 반복성, 용이성을 크게 높인다. The opening/
개폐부(400)는 작동방식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opening/
도 3은 개폐부(400)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일례로서, 개폐부(400)는 사용자의 누름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개폐부(400)는, 실링부재(410)와, 제1 부재(420)와, 제2 부재(430)와, 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410)는 탈기관(1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10)는 홀(140)을 덮는다. 제1 부재(420)는 실링부재(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430)는 제1 부재(420)와 실링부재(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제1 부재(420)와 제2 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2 and 3, the opening and closing
도 4는 실링부재(4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링부재(410)의 저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부재(410)는 홀(140)을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41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실링부재(410)의 상면에는 오목한 홈(411)이 배치될 수 있다. 홈(411)은 원추형 일 수 있다. 실링부재(410)는 절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412)의 형상을 일자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개부(412)는 십자 형상, 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갖도록 실시될 수 있다. 원추형 홈(411)은 절개부(412)의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절개부(412)는 홈(411)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10)의 하면의 중심에는 절개부(412)의 확장영역(414)이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10)의 상면에는 환형의 제1 홈(413)이 배치될 수 있다. 환형의 제1 홈(413)은 제2 부재(43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홈(413)은 제2 부재(430)과 실링부재(410)의 결합성과 밀착성을 높인다.4 and 5, the sealing
실링부재(410)의 하면에는 환형의 제2 홈(415)이 배치될 수 있다. 환형의 제2 홈(415)은 탈기관(130)의 상면과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홈(415)은 탈기관(130)과 실링부재(410)의 결합성과 밀착성을 높인다.An annular
실링부재(410)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실링부재(410)에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된다. 실링부재(410)가 변형되면, 절개부(412)는 확장되거나, 축소된다. 절개부(412)가 확장되면, 홀(140)은 개방된다. 반대로 절개부(412)가 축소되면, 홀(140)은 폐쇄된다. 절개부(412)가 확장되면, 홀(140)에 존재하는 기포는 탈기관(130)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412)의 확장영역(414)은 실링부재(410)의 변형 시, 절개부(412)보다 크게 확장되어, 홀(140)의 기포가 보다 용이하게 실링부재(4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e sealing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제1 부재(42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제1 부재(42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제1 부재(420)의 저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부재(420)는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누름 버튼과 같은 부재이다. 제1 부재(42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부재(420)는 상면(421)과 측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20)는 하측이 개방된 부재일 수 있다. 상면(421)은 사용에 의해 눌리는 부분이다. 제1 부재(420)는 튜브(42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423)는 제1 부재(420)의 내측에 배치된다. 튜브(423)는 제1 부재(420)의 내측면에서 하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튜브(423)는 제1 부재(420)가 하향 이동하면, 실링부재(410)를 가압한다. 측면(422)의 내측면으로 연결홀(424)이 배치된다. 연결홀(424)은 튜브(423)와 연통된다. 또한 측면(422)에는 슬롯(425)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420)는 가이드(4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426)는 측면(422)의 내측면(422)에 배치된다. 가이드(42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슬롯(425)과 가이드(426)는 제1 부재(420)와 제2 부재(430)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것이다.6 to 8, the
도 9는 도 3에서 도시한 제2 부재(430)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부재(430)는 실링부재(410)를 탈기관(130)에 고정시킨다. 제2 부재(430)의 내측면은 실링부재(410)와 접촉한다. 그리고 제2 부재(430)는 제1 부재(4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제2 부재(43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2 부재(430)는 상면(432)과 측면(4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430)는 하측이 개방된 부재일 수 있다. 제2 부재(430)의 중심에는 관통홀(431a)이 배치될 수 있다. 튜브(423)는 관통홀(431a)을 관통한다. 관통홀(431a)은 실링부재(410)의 절개부(412)와 정렬된다. 튜브(423)는 관통홀(431a)을 관통하여 절개부(412)와 맞닿는다. 측면(431)에는 돌기(43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430)는 제1 부재(4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돌기(433)는 슬롯(425)에 배치된다. 돌기(433)가 슬롯(425)의 측벽에 걸리면, 제1 부재(42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측면(431)에는 가이드홈(43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430)는 제1 부재(4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가이드홈(434)에는 가이드(426)가 배치된다. 가이드홈(434)은 제1 부재(4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제2 부재(430)는 상면(432)에는 보스부(435)가 돌출될 수 있다. 보스부(435)는 탄성부재(440)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3 and 9, the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440)는 상하 방향으로, 제1 부재(420)와 제2 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압축시 복원력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44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도 2를 참조하면, 외력이 없는 경우, 홀(140)은 실링부재(41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슬롯(425)의 하단에 걸릴 때까지, 제1 부재(420)는 제2 부재(430)와 떨어져 배치된다. 이때, 튜브(423)는 실링부재(410)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도 10은 기포의 흐름을 도시한 커넥터(100)와 개폐부(400)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기포의 흐름을 도시한 커넥터(100)와 개폐부(400)의 정단면도이다.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시술 중, 채널(120) 내부에 기포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부재(420)를 누른다. 제1 부재(420)가 눌리면, 튜브(423)가 하향 이동하면서, 절개부(412)를 가압한다. 이후, 실링부재(410)가 변형되면서, 절개부(412)가 확장되고, 홀(140)과 튜브(423)가 연통된다. 튜브(423)는 연결홀(424)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 상태이므로 대기압 상태이다. 홀(140)과 튜브(423)가 연통되면, 채널(120)의 압력이 튜브(423)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v)는 홀(140)로 유입된다, 홀(140)로 유입된 기포(v)는 튜브(423)와 연결홀(424)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제1 부재(420)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부재(420)가 상승 이동하고, 제1 부재(420)가 상승 이동하면, 튜브(423)가 상승 이동하여, 실링부재(41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가압이 해제되면, 실링부재(410)의 형상이 복원되면서, 절개부(412)가 축소되어 홀(140)은 다시 폐쇄된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when air bubbles inside the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부분은 제1 부재(420)의 상면(도 7의 421)이다. 그리고 연결홀(424)이 배치된 부분은 제1 부재(420)의 측면(422)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제1 부재(420)의 접촉영역과 기포(v)의 배출영역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기포(v)가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ortion pressed by the user is the upper surface (421 of FIG. 7) of the
실시예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카테타류(10)를 혈관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동작만으로 기포(v)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포(v)를 제거하기 때문에, 기포(v)가 혈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시술의 성공률을 크게 높이는 것이다. 또한, 시술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로도를 크게 낮추는 이점이 있다.Using the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또한, 사용자는 카테타류(10)를 밀어 넣으면서도, 기포(v)가 확인된 경우, 바로 개폐부(400)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기포(v)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v)를 제거하는 별도의 시술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독으로 기포(v)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포(v) 제거를 위한 보조 인력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속한 시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move the bubbles (v) by simply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기포(v) 제거 작업의 반복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포(v)가 혈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에게 요구되는 숙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인력의 확보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repeat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bubbles (v),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ubbles (v) from flowing into the blood vessel.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kill level required of a practitio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secure a surgical manpower.
일례로서, 개폐부(400)는 사용자의 회전 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도 12는 개폐부(500)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도시한 개폐부(500)의 분해도이다.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일례로서, 개폐부(500)는 사용자의 회전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an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개폐부(500)는, 실링부재(510)와, 제1 부재(520)와, 제2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10)는 탈기관(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520)는 탈기관(13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제2 부재(530)는 제1 부재(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12 and 13, the opening/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개폐부(500)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실링부재(510)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실링부재(510)의 측면도이다.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실링부재(510)는 제1 부재(520)와 탈기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실링부재(51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실링부재(510)는 제1 파트(511)와 제2 파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512)의 외경은 제1 파트(51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파트(511)는 탈기관(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파트(512)는 탈기관(130)의 상면(13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512)는 탈기관(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파트(512)의 하면은 탈기관(130)의 상면(131)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파트(512)의 상면은 제1 부재(5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링부재(510)의 중심에는 홀(140)이 배치된다. 홀(140)은 채널(120)과 연통된다. 홀(140)은 실링부재(510)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 파트(511)의 하면과 홀(140)의 경계는 곡면(도 16의 51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511a)은 채널(120)의 기포(v)가 홀(140)을 향해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13 to 15, the sealing
제1 부재(520)는 탈기관(13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재(52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탈기관(130)의 외측에는 제1 부재(520)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520)는 외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52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22)는 제품 생산시 제품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1 부재(520)는 배출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521)은 제1 부재(5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The
제2 부재(530)는 제1 부재(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부재(530)의 상부는 노브로 구성된다. 제2 부재(530)의 하부는 제1 부재(5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530)의 하부에는 연결홀(531)이 배치된다. 연결홀(531)은 실링부재(510)의 홀(140)과 연통된다. 제2 부재(530)의 회전에 따라, 연결홀(531)과 배출홀(521)은 정렬되어 연통되거나, 어긋나 연결홀(531)이 제1 부재(520)에 의해 막힌다.The
도 17은 도 12의 개폐부(500)에 의해 홀(14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7을 참조하면, 시술 중, 채널(120) 내부에 기포(v)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제2 부재(530)를 돌린다. 제2 부재(530)를 더 이상 돌지 않을 때가지 돌리면, 연결홀(531)과 배출홀(521)이 정렬된다. 연결홀(531)과 배출홀(521)이 정렬되면, 채널(120)의 압력이 연결홀(531)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는 홀(140)로 유입된다, 홀(140)로 유입된 기포는 연결홀(531) 및 배출홀(52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17, during the procedure, when a bubble (v) inside the
도 18은 도 12의 개폐부(500)에 의해 홀(140)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부재(530)를 반대로 돌리면, 연결홀(531)과 배출홀(521)이 어긋나, 연결홀(531)이 폐쇄된다. 연결홀(531)이 폐쇄되면, 홀(140)이 폐쇄된다.Referring to FIG. 18, when the user turns the
제2 부재(530)에 대한 회전 조작은 시술자 단독으로 가능한 매우 간단한 조작이다. 반복성과 용이성이 커, 시술 중에 즉각적으로 기포 제거가 가능하다. Rotation operation for the
도 19는 개폐부(600)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한 개폐부(600)의 분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제1 부재(620)의 정면도이다.19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일례로서, 개폐부(600)는 사용자의 밀고 당기는 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러한 개폐부(600)는, 실링부재(610)와, 제1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610)는 탈기관(13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610)의 중심에는 홀(140)이 배치된다. 홀(140)은 채널(120)과 연통된다. 제1 부재(620)는 커넥터(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한 쌍의 가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50)는 커넥터(100)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150)는 탈기관(1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620)는 가이드(150)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1 부재(620)가 이동함에 따라 실링부재(610)에 배치된 홀(140)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19 and 20, the opening/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부재(620)는 바디(621)와 커버(6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21)와 커버(622)는 그 기능과 형상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뿐,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바디(621)는 가이드(1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커버(622)는 바디(62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622)의 하면에는 제1 돌기(622a)가 돌출되어 배치된다. 제1 돌기(622a)는 실링부재(610)의 홀(140)을 덮는다. 바디(621)의 측면(431)의 하단에는 레일(621a)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621a)은 가이드(150)에 배치된 홈 또는 돌기 접촉하여 제1 부재(6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바디(621)의 후단에는 제2 돌기(621b)가 배치된다. 제2 돌기(621b)는 스토퍼(152)에 걸린다.19 to 21, the
가이드(150)는 스토퍼(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2)는 제1 부재(6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스토퍼(152)는 가이드(150)의 연장부(15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The
바디(621)의 상단에는 리브(623)가 돌출될 수 있다. 리브(623)는 사용자의 미는 동작 또는 당기는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A
도 22는 개폐부(600) 및 커넥터(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개폐부(600)에 의한 홀(140)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도 22 내지 도 23의 (a)를 참조하면, 제1 부재(620)가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는 커버(622)가 홀(140)을 덮는다. 그리고 제1 돌기(622a)는 홀(140)에 삽입된다. 제1 돌기(622a)는 홀(140)을 막아 채널(120)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 22 내지 도 23의 (b) 참조하면, 시술 중, 채널(120) 내부에 기포(v)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부재(620)를 당긴다. 제1 부재(620)를 당기면, 커버(622)가 이동하고 제1 돌기(622a)가 홀(140)에서 이탈하면서 홀(140)이 개방된다. 홀(140)이 개방되면, 채널(120)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는 홀(140)로 유입된다, 홀(140)로 유입된 기포는 외부로 바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S. 22 to 23A, the
도 24는 개폐부(700)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도시한 개폐부(700)의 측단면도이다.2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일례로서, 개폐부(700)는 사용자의 여는 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and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이러한 개폐부(700)는, 실링부재(710)와, 제1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710)는 제1 부재(720)에 배치된다. 제1 부재(720)는 탈기관(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된다. 탈기관(130)은 홀(140)을 포함한다. 홀(140)은 채널(120)과 연통된다. 탈기관(130)은 힌지축(730)을 포함한다. 제1 부재(720)는 힌지축(73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1 부재(720)는 홀(140)을 덮는다. 제1 부재(720)의 하면에는 실링부재(710)가 배치된다. 제1 부재(720)가 홀(140)을 덮은 상태에서, 실링부재(710)는 홀(140)의 내측에 배치되어 홀(140)을 폐쇄한다.Referring to FIGS. 24 and 25, the opening/
제1 부재(720)는 측면홀(721)을 포함한다. 측면홀(721)은 제1 부재(7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탈기관(130)은 돌기(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720)가 홀(140)을 덮은 상태에서, 돌기(130a)는 측면홀(721)에 배치된다.The
도 26은 도 24에서 도시한 개폐부(700)에 의해 홀(14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26을 참조하면, 시술 중, 채널(120) 내부에 기포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부재(720)를 탈기관(130)에서 오픈시킨다. 제1 부재(720)를 회동시키면, 실링부재(710)가 홀(140)에서 이탈하면서 홀(140)이 개방된다. 홀(140)이 개방되면, 채널(120)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채널(120)에 존재하는 기포는 홀(140)로 유입된다, 홀(140)로 유입된 기포(v)는 외부로 바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26, when air bubbles inside the
도 27은 개폐부(800)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800)의 분해도이다.FIG. 27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opening/
일례로서, 개폐부(800)는 사용자의 도구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개폐부(800)는 항상 홀(140)을 밀폐한 상태이며. 사용자는 개폐부(800)에 시린지와 같은 간단한 도구를 주입하여,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이러한 개폐부(800)는, 실링부재(810)와, 제1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810)는 탈기관(130)에 배치된다. 탈기관(130)은 홀(140)을 포함한다. 홀(140)은 채널(120)과 연통된다. 실링부재(810)는 홀(140)을 덮는다. 제1 부재(820)는 실링부재(810)를 탈기관(130)에 고정시킨다. 제1 부재(820)는 실링부재(810)의 외측에 배치되며, 탈기관(130)에 결합한다. 제1 부재(820)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7 and 28, the opening/
도 29는 실링부재(810)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실링부재(810)의 저면도이다.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실링부재(810)는 제1 부재(820)와 탈기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실링부재(810)는 탈기관(13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810)는 홀(140)을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810)의 상면(812)에는 오목한 홈(813)이 배치될 수 있다. 홈(813)은 원추형 일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810)의 하면에는 환형의 제2 홈(817)이 배치될 수 있다. 환형의 제2 홈(817)은 탈기관(130)의 상면과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환형의 제2 홈(817)은 탈기관(130)과 실링부재(810)의 결합성과 밀착성을 높인다.28 to 30, the sealing
도 31은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800)의 측단면도이다.3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탈기관(130)은 제1 돌기(132)와 제2 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32)는 탈기관(130)의 측면에서 돌출된다. 제2 돌기(133)는 탈기관(130)의 상면에서 돌출된다. 제1 부재(820)는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홈(8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32)는 제1 홈(822)에 배치된다. 제2 돌기(133)는 제2 홈(817)에 배치된다.28 to 31, the
제1 부재(820)는 실링부재(810)와 접촉한 상태에서, 탈기관(130)에 결합하여, 실링부재(810)를 탈기관(130)에 고정시킨다. 제1 부재(820)의 중심에는 관통홀(821)이 배치된다. 제1 부재(820)가 탈기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홀(821)은 실링부재(810)의 홈(813) 또는 하면(816)과 정렬된다. 관통홀(821)은 실링부재(810)를 노출시킨다.The
도 32는 도 27에서 도시한 개폐부(800)에 사용자의 도구(바늘)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opened by a user's tool (needle) to the opening/
도 32를 참조하면, 시술 중, 채널(120) 내부에 기포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시린지의 바늘을 실링부재(810)에 주입시킨다. 바늘이 실링부재(810)를 관통하면 홀(140)과 연통된다. 사용자가 시린지의 플러저를 잡아 당기면, 홀(140)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바늘을 통해 시린지로 포집되어 제거된다. 실링부재(810)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실링부재(810)에서 바늘이 제거되면, 바늘에 의해 실링부재(810)의 천공된 영역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홀(140)이 밀폐된다.Referring to FIG. 32, when air bubbles inside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밸브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hemostasis valve devic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ooked at in detail.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all changes or deformable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커넥터
110: 바디
120: 채널
130: 탈기관
140: 홀
200: 홀더
300: 밸브부
400,500,600,700,800: 개폐부
410,510,610,710,810: 실링부재
420,520,620,720,820: 제1 부재
430,530: 제2 부재
440: 탄성부재100: connector
110: body
120: channel
130: degassing
140: hall
200: holder
300: valve part
400,500,600,700,800: opening and closing part
410,510,610,710,810: sealing member
420,520,620,720,820: first member
430,530: second member
440: elastic member
Claims (17)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덮는 실링부재;및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홀과 연통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며,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혈 밸브 장치.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Includes; a valve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The connector includes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or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ealing member disposed in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hole; And
Including a firs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The first member includes a tube protruding downward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cutout,
The tub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ou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and including a hole through which the tube passes; And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The firs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first member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a hemostatic valve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상기 제1 부재는 상면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과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연결홀를 더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Hemostasis valv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hole connecting the side and the tube.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탈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
상기 탈기관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실링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지혈 밸브 장치. 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Includes; a valve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or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egassing pip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eal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degassing engine;
A first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gassing engine; And
Including a second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ember,
The first member includes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second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hole,
The connection hole communicates with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The hemostasis valve device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hole and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ember.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탈기관의 상기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상단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탈기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first part disposed inside the exhaust pipe, and a second part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art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탈기관의 외면에 회전 체결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외면에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ember is rotational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gassing engine,
The first member is a hemostatic valve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탈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의 내측에 삽입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슬라이드 되어 상기 탈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혈 밸브 장치.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Includes; a valve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or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egassing pip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egassing engine; And
Including a first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The first member is sli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egassing valve devic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탈기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guide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disposed with the evacuation pip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member,
A hemostasis valve device comprising a body in contact with the guide and a cover disposed in a cantilever shape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on the body.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9,
A hemostatic valve device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and located inside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가이드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guide includes a stopper,
The hemostasis valve device wherein the body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applied to the stopper.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의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홀을 덮는 지혈 밸브 장치.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Includes; a valve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The connector includes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or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firs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of the degassing engine; And
Including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The first member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to selectively cover the hol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sealing member is a hemostatic valve device selectively disposed inside the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ember.
상기 제1 부재는 측부에 형성된 측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관은 상기 측면홀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member includes a side hole formed on the side,
The degassing valve device comprising a protrusion disposed in the side hole.
상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는 홀더;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을 포함하는 탈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여 상기 홀을 덮는 실링부재;및
상기 탈기관에 결합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을 덮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관은, 상기 탈기관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탈기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지혈 밸브 장치.A connector including a channel therein;
A hold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Includes; a valve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The connector includes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nd the outside,
It is disposed on the connector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The connector includes a degassing pipe including the ho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hole; And
And a first member coupled to the degassing pipe to cover the outside of the sealing member,
The first member includes a through hole exposing the sealing member,
The degassing pipe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egassing pipe,
The first member includes a first groov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disposed,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second hol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disposed.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탈기관 및 상기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지혈 밸브 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member is a hemostasis valve device in contact with the degassing pipe and the seal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2607A KR102245714B1 (en) | 2018-11-30 | 2018-11-30 | Hemostasis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2607A KR102245714B1 (en) | 2018-11-30 | 2018-11-30 | Hemostasis val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790A KR20200065790A (en) | 2020-06-09 |
KR102245714B1 true KR102245714B1 (en) | 2021-04-28 |
Family
ID=7108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2607A KR102245714B1 (en) | 2018-11-30 | 2018-11-30 | Hemostasis val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571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472B1 (en) * | 2013-01-04 | 2013-04-03 | (주)휴바이오메드 | Hemostasis valve |
JP5451395B2 (en) * | 2006-10-05 | 2014-03-26 |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 Medica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335163T3 (en) | 1997-07-30 | 2010-03-22 | Cook Incorporated | FLOW CONTROL VALVE FOR MEDICAL FLUIDS.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2607A patent/KR1022457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51395B2 (en) * | 2006-10-05 | 2014-03-26 |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 Medical device |
KR101248472B1 (en) * | 2013-01-04 | 2013-04-03 | (주)휴바이오메드 | Hemostasis val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790A (en) | 2020-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08175A (en) |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 |
KR101248472B1 (en) | Hemostasis valve | |
US5176653A (en) | Improvements to implantable vascular access devices | |
US4714461A (en) | Catheter assembly with air purging feature | |
JP4906508B2 (en) | Indwelling needle assembly | |
JP5552427B2 (en) | Medical instruments | |
US4326541A (en) | Blood sample taking device | |
JPWO2007132732A1 (en) | Indwelling needle assembly | |
US647518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blunting safety catheter | |
JP2004530517A (en) | Guidewire insertion device for catheter | |
KR102246870B1 (en) | Hemostasis valve | |
JP4970430B2 (en) | Indwelling needle assembly | |
KR102245714B1 (en) | Hemostasis valve | |
US4440378A (en) | Flow control apparatus | |
JP2022518815A (en) | Obstructible venous catheter device | |
CN101837162B (en) | Medical Y-shaped connector | |
JP4723419B2 (en) | Indwelling needle assembly | |
KR102302553B1 (en) | Hemostasis valve | |
CN215231082U (en) | Drip cup capable of automatically stopping liquid and infusion apparatus adopting same | |
WO2007049563A1 (en) | Indwelling needle assembly | |
WO2022132639A1 (en) | Hemostasis valve device | |
JPH0639724Y2 (en) | Liquid distribution pipe connection member | |
CA1228273A (en) | Flow control apparatus | |
WO2006007604A1 (en) | Catheter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