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4838B1 -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38B1
KR102244838B1 KR1020140051004A KR20140051004A KR102244838B1 KR 102244838 B1 KR102244838 B1 KR 102244838B1 KR 1020140051004 A KR1020140051004 A KR 1020140051004A KR 20140051004 A KR20140051004 A KR 20140051004A KR 102244838 B1 KR102244838 B1 KR 10224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substrate
etching step
type regio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4292A (en
Inventor
이경수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38B1/en
Publication of KR2015012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3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일면 위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타면 위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형성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위치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a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an uneven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steps.

Description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A solar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as existing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coal are expected to be depleted,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to replace them is increasing. Among them, solar cells are in the spotlight as next-generation cells that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이러한 태양 전지에서는 다양한 층 및 전극을 설계에 따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층 및 전극의 설계에 따라 태양 전지 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 태양 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낮은 효율을 극복하여야 하는바, 다양한 층 및 전극이 태양 전지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요구된다.In such a solar cell, it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various layers and electrodes according to design. However, solar cell efficienc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se various layers and electrodes. In order to commercialize a solar cell, it is necessary to overcome low efficiency, and various layers and electrodes are required to be design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본 발명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ar cell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일면 위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타면 위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형성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위치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a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an uneven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step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베이스 영역과, 상기 베이스 영역의 일면 위에 위치하며 제1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제1 도전형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베이스 영역의 타면 위에 형성되는 터널링층; 상기 터널링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며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제2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전형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타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부가 위치한다.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including a base region and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doped with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and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region; A tunneling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region;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on the tunneling layer and having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doped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nd an electrod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n uneven portion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형 영역은 반도체 기판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형성된 도핑 영역으로 구성하고, 제2 도전형 영역은 반도체 기판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층으로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서의 광의 입사 방해를 최소화하고, 반도체 기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도전형 영역에서의 재결합 특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의 특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is formed of a doped region formed by dop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is formed of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crystal structure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ligh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inimize deterioration of recombin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is can greatly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위치한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와 반도체 기판에 작은 크기의 요철부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가 동일한 반응성 이온 식각 장치에서 인-시츄 공정에 의하여 다른 공정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원하는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제1 식각 단계가 습식 식각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2 식각 단계가 반응성 이온 식각에 의하여 수행되어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원하는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a small-sized uneven portion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re different by an in-situ process in the same reactive ion etching device. It can be carried out under process conditions. Accordingly, a solar cell having a desired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while simplifying the process. Alternatively, the first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wet etching and the second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reactive ion etching, so that a solar cell having a desired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I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H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width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clarify the description. However,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other part is not excluded and other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Further,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When a part such as a layer, a film, a region, or a plate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no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반도체 기판과 전극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 In FIG. 2,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n electrode are mainly illustra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100)는, 베이스 영역(10)과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도전형 영역(또는 에미터 영역)(20)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10)과, 반도체 기판(110) 위에 형성되며 반도체 기판(110)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며 제2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영역(30)과, 제1 도전형 영역(20)에 연결되는 제1 전극(42)과, 제2 도전형 영역(30)에 연결되는 제2 전극(44)을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 전지(100)는 터널링층(또는 제2 터널링층)(54), 패시베이션막(22, 32), 반사 방지막(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olar c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region 10 and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or emitter region) 20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 110),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having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42 and a second electrode 44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n addition, the solar cell 100 may further include a tunneling layer (or second tunneling layer) 54, passivation layers 22 and 32, and an anti-reflection layer 24.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반도체 기판(110)은 결정질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도체 기판(110)은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기판(110)은 단결정 반도체(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이 단결정 반도체(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로 구성되면, 태양 전지(100)가 단결정 반도체 태양 전지(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성이 높아 결함이 적은 결정질 반도체로 구성되는 반도체 기판(110)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 전지(100)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a crystalline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for example,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In particular,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eg,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wafer, more specifically,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In this way, whe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composed of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eg, single crystal silicon), the solar cell 100 constitutes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solar cell (eg, a single crystal silicon solar cell). The solar cell 100 bas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de of a crystalline semiconductor having high crystallinity and low defects may have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은 텍스쳐링(texturing)되어 요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은 텍스쳐링(texturing)에 의하여 형성된 요철(112, 114)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쳐링에 의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요철(112, 114)이 형성되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반사도를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영역(10)과 제1 도전형 영역(20)에 의하여 형성된 pn 접합(일 예로, pn 터널 접합)에 도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and/or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textured to have irregularitie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and/or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have irregularities 112 and 114 formed by texturing. When the irregularities 112 and 114 are formed on the front and/or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y such texturing, the reflectivity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front and/or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reduced.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pn junction (for example, a pn tunnel junction) formed by the base region 10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can be increased, thereby minimizing light loss.

좀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112, 114)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또는 전면 쪽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요철(112)과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후면 쪽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요철(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반사를 모두 방지할 수 있어, 본 실시예와 같은 양면 수광형(bi-facial)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100)에서의 광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요철(112) 및 제2 요철(114)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irregularities 112 and 114 are the first irregularities 1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rear surface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may include a second irregularities 114 formed i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both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light loss in the solar cell 100 having a bi-facial structure as in this embodiment. Can decrea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one of the first irregularities 112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114 may be formed.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요철(112)은 광학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 요철부(112a) 및 제2 요철부(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철부(112b)는 제1 요철부(112a) 위에, 좀더 상세하게는, 제1 요철부(112a)를 구성하는 외면 위에 형성되며 해당 제1 요철부(112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요철부(112b)의 평균 크기는 제1 요철부(112a)의 평균 크기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요철부(112b)는 제1 요철부(112a)를 구성하는 각각의 외면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요철부(112a)와 제2 요철부(112b)는 서로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unevenness 112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include a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a second uneven portion 112b to minimize optical loss.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formed o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ore specifically, on the outer surface constituting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may have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have. Accordingly,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smaller than the average siz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on each outer surface constituting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t least one or more, for example, may be located in plurality.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ormed by different methods.

제1 요철부(112a)의 외면은 특정한 결정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철부(112a)는 (111)면인 4개의 외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략적인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be formed of specific crystal surfaces. For example,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have an approximate pyramid shape formed by four outer surfaces that are (111) surfaces.

제1 요철부(112a)의 평균 크기(일 예로, 제1 요철부(112a)의 높이의 평균 값)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예를 들어, 1um 내지 1mm)일 수 있는데, 일 예로, 대략 10um 내지 30um일 수 있다. 평균 크기가 10um 미만인 제1 요철부(112a)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제1 요철부(112a)의 평균 크기를 30um 이하로 형성하면 반사 방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요철부(112a)의 크기의 편차는 상대적으로 큰 제1 편차를 가질 수 있다. The average siz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height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be in the micrometer level (for example, 1 um to 1 mm), for example, about 10 um to It can be 30um.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having an average size of less than 10 μm, and when the average siz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is formed to be 30 μm or less, the anti-reflection effect may be improved. In addition, a variation in the siz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have a relatively large first variation.

이와 같은 제1 요철부(112a)는 습식 식각에 의한 비등방 식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습식 식각에 의하여 제1 요철부(112a)를 형성하면,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짧은 시간 내에 제1 요철부(112a)를 형성할 수 있다. 습식 식각에 의하여 제1 요철부(112a)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상술한 제1 요철부(112a)의 형상, 평균 크기, 크기 편차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요철부(112a)의 형상, 평균 크기, 크기 편차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be formed by anisotropic etching by wet etching. Whe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is formed by wet etching,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can be formed in a short time by a simple process.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by wet etch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verage size, and size variat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average size, and size variat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may be variously modified.

제2 요철부(112b)는 제1 요철부(112a)의 외면(예를 들어, (111) 면) 상에 미세한 크기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철부(112b)은 뾰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요철부(112b)가 라운드진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ormed while having a fine size on the outer surface (eg, (111) surfac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have a pointed en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have a rounded end.

제2 요철부(112b)의 평균 크기(일 예로, 제2 요철부(112b)의 높이의 평균 값)는 나노미터 수준(즉, 1um 이하, 예를 들어, 1nm 내지 1um)일 수 있는데, 일 예로, 대략 100nm 내지 5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요철부(112a) 위에 이보다 작은 크기의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게 되면 반사 방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평균 크기가 100nm 미만인 제2 요철부(112b)는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제2 요철부(112b)의 평균 크기를 500nm 이하로 형성하면 반사 방지 효과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제2 요철부(112b)의 크기 편차는 제1 편차보다 작은 제2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2 요철부(112b)의 평균 크기가 더 작기 때문이기도 하며, 제2 요철부(112b)의 공정이 등방성 식각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고 미세한 제2 요철부(112b)가 제1 요철부(112a)의 외면 상에 형성된다.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height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in the nanometer level (i.e., 1 um or less, for example, 1 nm to 1 um). For example, it may have a size of approximately 100nm to 500nm. In this way, when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having a smaller size is formed o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the anti-reflection effect can be improve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having an average size of less than 100 nm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when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500 nm or less, the anti-reflection effect may be further improved. The size deviat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have a second deviation smaller than the first deviation. This is also because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smaller, and it is also because the process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performed based on isotropic etching.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uniform and fin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이와 같은 제2 요철부(112b)는 건식 식각에 의하여 등방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건식 식각으로는, 일 예로,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IRE)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 이온 식각에 의하면 제2 요철부(112b)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술한 제2 요철부(112b)의 형상, 평균 크기, 크기 편차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요철부(112b)의 형상, 평균 크기, 크기 편차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ormed by isotropic etching by dry etching. As the dry etching, for example, reactive ion etching (IRE) may be used. By reactive ion etch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inely and uniformly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verage size, and size variat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average size, and size variat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요철(114)은 제1 요철부(11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요철(114)의 제1 요철부(114a)에 대해서는 제1 요철(112)의 제1 요철부(112a)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제2 요철(114)이 제1 요철부(114a)만을 구비하여 제1 및 제2 요철부(112a, 112b)를 가지는 제1 요철(112)과 다른 형상을 가지면, 제1 요철(112)에 의하여 광의 입사량이 많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서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2 요철(114)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태양 전지(1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unevenness 11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include a first unevenness portion 114a. For the first uneven portion 114a of the second unevenness 114,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of the first unevenness 112 may be applied as it 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described above, if the second unevenness 114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has only the first unevenness portion 114a and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unevenness 112 having the first and second unevennesses 112a and 112b, , The first unevenness 112 can effectively prevent refl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with a large incident amount of light, and the second unevenness 114 has a simple structure to manufacture the solar cell 100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 요철(112)이 제1 요철부(112a)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고, 및/또는 제2 요철(114)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hat the first unevenness 1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does not have the first unevenness portion 112a, and/or the second unevenness 114 may not be forme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반도체 기판(110)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상대적으로 낮은 도핑 농도로 포함하여 제2 도전형을 가지는 베이스 영역(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영역(10)은 제1 도전형 영역(20)보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으로부터 좀더 멀리, 또는 후면에 좀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전형 영역(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위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영역(1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include a base region 10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by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t a relatively low doping concentration. For example, the base region 10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front surface or clos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a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base region 10 may be changed.

여기서, 베이스 영역(10)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영역(10)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영역(10)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단결정 반도체(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base region 10 may be formed of a crystalline semiconductor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For example, the base region 1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eg,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n particular, the base region 1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eg,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wafer, more specifically,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제2 도전형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베이스 영역(10)이 n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베이스 영역(10)이 5족 원소인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이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영역(10)이 p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베이스 영역(10)이 3족 원소인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이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may be n-type or p-type. When the base region 10 has an n-type, the base region 10 is a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doped with group 5 elements such as phosphorus (P), arsenic (As), bismuth (Bi), and antimony (Sb). Can be done. When the base region 10 has a p-type, the base region 10 is a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doped with Group III elements such as boron (B), aluminum (Al), gallium (Ga), and indium (In). Can be don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영역(10) 및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region 10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일 예로, 베이스 영역(10)은 n형일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 영역(10)과 pn 접합을 이루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p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pn 접합에 광이 조사되면 광전 효과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반도체 기판(110)의 제2 면(이하 "후면") 쪽으로 이동하여 제2 전극(44)에 의하여 수집되고, 정공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으로 이동하여 제1 전극(42)에 의하여 수집된다. 이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한다. 그러면, 전자보다 이동 속도가 느린 정공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이 아닌 전면으로 이동하여 변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영역(10) 및 제2 도전형 영역(30)이 p형을 가지고 제1 도전형 영역(20)이 n형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base region 10 may be n-type. Then,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forming the pn junction with the base region 10 has a p-type.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n junction, electrons generated by the photoelectric effect move toward the second surface (hereinafter,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are col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44, and holes are collected by the semiconductor substrate ( It moves toward the front side of 110) and is collected by the first electrode 42. This generates electrical energy. Then, holes, which have a slower movement speed than electrons, mov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rather than the rear surface, thereby improving conversion efficienc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region 10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may have a p-type and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may have an n-type.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는 베이스 영역(10)과 반대되는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영역(20)은 베이스 영역(10)과 pn 접합을 형성하여 광전 변환에 의하여 캐리어를 생성하는 에미터 영역을 구성한다.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opposite to the base region 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forms a pn junction with the base region 10 to form an emitter region that generates carriers through photoelectric conversion.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핑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이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도전형 영역(20)이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도전형 영역(20)은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단결정 반도체(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도전형 영역(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일부를 구성하면 베이스 영역(10)과의 접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formed of a doped reg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formed of a crystalline semiconductor includ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eg,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particular,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eg,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wafer, more specifically,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is way,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forms a par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bonding property with the base region 10 may be improved.

제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일 수 있다. 제1 도전형 영역(20)이 p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3족 원소인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이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전형 영역(20)이 n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5족 원소인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이 도핑된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이 제1 도전형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p-type or n-type. When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has a p-type,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is doped with Group III elements such as boron (B), aluminum (Al), gallium (Ga), and indium (In). It may be made of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When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has n-type,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is doped with group 5 elements such as phosphorus (P), arsenic (As), bismuth (Bi), and antimony (Sb). It may be made of single crystal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as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도전형 영역(20)이 광이 상대적으로 많이 입사되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위치하여 pn 접합에 도달하기 전에 광이 손실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면 쪽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이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entire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 whic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is inciden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loss before reaching the pn junction can be minimized. The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have a sufficient area.

또한, 제1 도전형 영역(20)을 도핑 영역으로 구성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이와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층이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반도체층은 광 투과도가 낮아 반도체 기판(110) 위에 반도체층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반도체층에 의하여 광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110) 내에 도핑 영역으로 구성된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반도체층이 위치할 경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configured as a doped region so that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crystal structure is no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has low light transmittance and the semiconductor layer is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light loss may occur due to the semiconductor lay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semiconductor layer is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prevented by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composed of a doped region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도핑 영역으로 구성되는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T1)가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또는 깊이)(T2)보다 클 수 있다. 확산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핑 영역으로 구성되는 제1 도전형 영역(20)은 쉽게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제1 전극(42)과의 접합 시 쇼트 문제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정션 깊이(junction depth)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T1)가 700nm 내지 1.5um일 수 있다.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T1)가 700nm 미만이면 충분한 정션 깊이를 가지지 않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T1)가 1.5um를 초과하면, 공정 시간이 길어지거나 높은 도핑 농도로 도핑하여 얕은 에미터(shallow emitter)를 구형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반도체 기판(110)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configured as the doped reg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r depth) T2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composed of a doped region formed by diffusion can be easily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In addition, a sufficient thicknes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secured to prevent a short-circuit problem from occurring when b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42 and to have a sufficient junction depth. For example,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700 nm to 1.5 μm. If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is less than 700 nm, it does not have a sufficient junction depth, and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exceeds 1.5 μm, the process time may be lengthened or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shallow emitter by doping with a high doping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may be degra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have various values.

도면에서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도핑 농도를 가지는 균일한 구조(homogeneous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형 영역(20)이 선택적 구조(selective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In the drawing,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s a homogeneous structure having a uniform doping concentration as a w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have a selective structure.

도 3을 참조하면, 선택적 구조를 가지는 제1 도전형 영역(20)은 제1 전극(42)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제1 전극(42)과 접촉 형성되는 제1 부분(20a)과, 제1 부분(20a)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부분(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0a)은 높은 도핑 농도를 가져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가지고, 제2 부분(20b)은 제1 부분(20a)보다 낮은 도핑 농도를 가져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분(20a)의 두께가 얇으면 제1 전극(42)이 제1 부분(20a)을 뚫고 베이스 영역(10)에 접촉하여 션트(shunt)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분(20a)의 두께를 제1 부분(20a)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20a)의 정션 깊이(junction depth)가 제2 부분(20b)의 정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ving an optional structure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42 to form a first portion 20a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42, and a first It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20b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20a. The first portion 20a may have a relatively low resistance due to a high doping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portion 20b may have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due to a lower doping concentration than the first portion 20a.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20a is thin, since the first electrode 42 may penetrate the first portion 20a and contact the base region 10 to cause a shunt, the first portion 20a ) May be thicker than the first portion 20a. That is, the junction depth of the first portion 20a may be greater than the junction depth of the second portion 20b.

그러면, 광이 입사되는 제1 전극(42)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의 제2 부분(20b)를 형성하여 얕은 에미터(shallow emitter)를 구현한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전류 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전극(42)과 인접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의 제1 부분(20a)을 형성하여 제1 전극(42)과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 도전형 영역(20)은 선택적 구조를 가지면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도전형 영역(20)의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Then, a second part 20b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art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42 to which light is incident, thereby implementing a shallow emitter. Accordingly, the current density of the solar cell 10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portion 20a having a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42, contact resistance with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reduced. That is, i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s an optional structur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100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참조로, 도 3의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기 제1 및 제2 요철(도 1의 참조부호 112, 114)이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FIG. 3, first and second irregularities (reference numerals 112 and 114 of FIG. 1)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respectively.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에는 터널링층(54)이 형성될 수 있다. 터널링층(54)은 전자 및 정공에게 일종의 배리어(barrier)로 작용하여, 소수 캐리어(minority carrier)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고, 다수 캐리어(majority carrier)는 터널링층(54)에 인접한 부분에서 축적된 후에 일정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다수 캐리어만이 터널링층(54)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정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다수 캐리어는 터널링 효과에 의하여 쉽게 터널링층(54)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터널링층(54)은 도전형 영역(30)의 도펀트가 반도체 기판(110)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 배리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터널링층(54)은 다수 캐리어가 터널링 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산화물, 질화물, 반도체, 전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층(54)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 질화물, 진성 비정질 실리콘, 진성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널링층(54)은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패터닝 없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a tunneling layer 54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tunneling layer 54 acts as a kind of barrier to electrons and holes, preventing minority carriers from passing, and after the majority carriers are accumul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tunneling layer 54 Only a plurality of carriers having a certain energy or more can pass through the tunneling layer 54.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arriers having a certain energy or more can easily pass through the tunneling layer 54 by the tunneling effect. In addition, the tunneling layer 54 may serve as a diffusion barrier preventing diffusion of the dopant in the conductive region 30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tunneling layer 54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can be tunneled, and for example, may include oxides, nitrides, semiconductors, conductive polymer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unneling layer 54 may include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intrinsic amorphous silicon, intrinsic polycrystalline silicon,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unneling layer 54 may be entire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it can be easily formed without separate patterning.

터널링 효과를 충분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터널링층(54)의 두께는 패시베이션막(3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 터널링층(54)의 두께가 10nm 이하일 수 있고, 0.5nm 내지 10nm(좀더 구체적으로는, 0.5nm 내지 5nm, 일 예로, 1nm 내지 4nm)일 수 있다. 터널링층(54)의 두께가 10nm를 초과하면 터널링이 원할하게 일어나지 않아 태양 전지(100)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터널링층(54)의 두께가 0.5nm 미만이면 원하는 품질의 터널링층(54)을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터널링 효과를 좀더 향상하기 위해서는 터널링층(54)의 두께가 0.5nm 내지 5nm(좀더 구체적으로 1nm 내지 4n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널링층(54)의 두께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ssivation layer 32 so as to sufficiently implement the tunneling effect.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may be 10 nm or less, and may be 0.5 nm to 10 nm (more specifically, 0.5 nm to 5 nm, for example, 1 nm to 4 nm). If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exceeds 10 nm, tunneling does not occur smoothly and the solar cell 100 may not operate. If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is less than 0.5 nm, the tunneling layer 54 of a desired quality It may be difficult to form.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tunneling effect,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may be 0.5 nm to 5 nm (more specifically, 1 nm to 4 n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layer 54 may have various values.

제2 도전형 영역(30)은 후면 전계(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캐리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 전계 영역을 구성한다.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forms a back surface field to prevent loss of carriers due to recomb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ore precisely,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constitutes the rear electric field area.

이때, 제2 도전형 영역(30)은 베이스 영역(10)과 동일한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반도체(일례로, 실리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도전형 영역(30)이 반도체 기판(110) 위(좀더 명확하게는, 터널링층(54) 위)에서 반도체 기판(110)과 별개로 형성되며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도전형 영역(30)은 반도체 기판(110) 상에 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반도체 기판(110)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전형 영역(30)은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는 비정질 반도체, 미세 결정 반도체, 또는 다결정 반도체(일 예로, 비정질 실리콘, 미세 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 등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도펀트는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도체층에 함께 포함되거나, 또는,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에 열 확산법, 이온 주입법 등의 다양한 도핑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층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include a semiconductor (for example, silicon) including the sam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s the base region 1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ore specifically, on the tunneling layer 54),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s doped. It is composed of a semiconductor layer. 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so that it can be easi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an amorphous semiconductor, a microcrystalline semiconductor, or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for example, amorphous silicon, microcrystalline silicon, or polycrystalline silicon)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deposition. It may be formed by dop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back.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may be included in the semiconductor lay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miconductor layer, or may be included in the semiconductor layer by various doping methods such as thermal diffusion method and ion implantation method after forming the semiconductor layer.

이때, 제2 도전형 도펀트는 베이스 영역(10)과 동일한 도전형을 나타낼 수 있는 도펀트이면 족하다. 즉, 제2 도전형 도펀트가 n형일 경우에는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의 5족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도전형 도펀트가 p형일 경우에는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의 3족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s sufficient if it is a dopant capable of exhibiting the same conductivity type as the base region 10. That is, whe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dopant is n-type,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arsenic (As), bismuth (Bi), and antimony (Sb) may be used. Whe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dopant is p-type,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aluminum (Al), gallium (Ga), and indium (In)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도전형 영역(30)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의 터널링층(54) 위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도전형 영역(30)이 터널링층(54) 위에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110)에 형성되는 도핑 영역을 줄일 수 있으므로, 도핑 영역 형성 시 발생할 수 있는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 도핑 영역에 의한 표면 재결합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형 영역(30)이 전체적으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패터닝 공정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entirely formed on the tunneling layer 54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Sinc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on the tunneling layer 54 to reduce the doped region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damage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at may occur during the formation of the doped region, or damage to the doped region may occur.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crease in surface recombination due to. Accordingly, surface recombina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open-circuit voltage of the solar cell 100 can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as a whole, a separate patterning process or the like is not requir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T2)가 제1 도전형 영역(20)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반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제2 도전형 영역(30)의 패시베이션을 위한 수소 주입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T2)가 100nm 내지 500um일 수 있다.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T2)가 100nm 미만이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어 저항이 커지거나, 제2 전극(44) 형성 시 손상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T2)가 500nm를 초과하면, 제2 도전형 영역(30)의 형성 시 또는 형성 후에 제2 도전형 영역(30)의 패시베이션을 위하여 수소를 주입할 때 수소가 충분하게 주입되지 않아 제2 도전형 영역(30)의 패시베이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도전형 영역(30)의 두께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formed of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less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 can. This is becaus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formed of th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to be thick, the process time may be lengthened and the effect of hydrogen implantation for passiva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reduced. For example,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100 nm to 500 μm. If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less than 100 nm, electr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to increase resistance, or may be damaged when the second electrode 44 is formed.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exceeds 500 nm, when hydrogen is injected for passiva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at the time of formation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Since hydrogen is not sufficiently injected, the passi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deterio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have various values.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영역(20) 위에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이 차례로 형성되고, 제1 전극(42)이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관통하여(즉, 개구부(102)를 통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에 접촉하여 형성된다. A passivation film 22 and an antireflection film 24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ore precisely,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42 )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ie, through the opening 102)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은 제1 전극(42)에 대응하는 개구부(102)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2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4 may be formed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except for the opening 1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42.

패시베이션막(22)은 제1 도전형 영역(20)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제1 도전형 영역(20)의 표면 또는 벌크 내에 존재하는 결함을 부동화 시킨다. 이에 의하여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 사이트를 제거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Voc)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막(24)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낮추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 영역(10)과 제1 도전형 영역(20)에 의하여 형성된 pn 접합까지 도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100)의 단락 전류(Isc)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에 의해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과 단락 전류를 증가시켜 태양 전지(1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e passivation layer 22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to passivate defects present in the surface or bulk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Accordingly, the open-circuit voltage (Voc) of the solar cell 100 may be increased by removing the recombination sites of minority carriers. The antireflection layer 24 reduces reflectance of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pn junction formed by the base region 10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reflectance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short-circuit current Isc of the solar cell 100 may be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open circuit voltage and short circuit current of the solar cell 100 may be increased by the passivation layer 2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4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100.

패시베이션막(22)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시베이셔막(22)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패시베이션막(22)은, 제1 도전형 영역(20)이 n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 양전하를 가지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도전형 영역(20)이 p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 음전하를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2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s an example, the passivation film 22 is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containing hydrogen,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MgF 2 , ZnS, TiO 2 and any one single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O 2 or Two or more films may have a combined multilayer structure. As an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2 may include a silicon oxide layer, a silicon nitride layer, etc. having a fixed positive charge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s an n-type,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n the case of p-type, an aluminum oxide film or the like having a fixed negative charge may be included.

방사 방지막(24)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반사 방지막(24)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방지막(24)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film 24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s an example, the anti-reflection film 24 is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containing hydrogen,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MgF 2 , ZnS, TiO 2 and any one single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O 2 or 2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films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antireflection layer 24 may include silicon nitrid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이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 중 어느 하나가 반사 방지 역할 및 패시베이션 역할을 함께 수행하여 다른 하나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 이외의 다양한 막이 반도체 기판(110)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assivation layer 2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4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one of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performs the antireflection role and the passivation role together so that the other is not provided. Alternatively, various films other than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제1 전극(42)은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에 형성된 개구부(102)를 통하여(즉,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관통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전극(42)은 다양한 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2)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추후에 다시 설명한다. The first electrode 42 passes through the opening 102 formed in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that is, through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o have various shapes. Th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4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에, 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10) 위에 형성된 터널링층(54)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영역(30) 위에 패시베이션막(32)이 형성되고, 제2 전극(44)이 패시베이션막(32)을 관통하여(즉, 개구부(104)를 통하여) 제2 도전형 영역(30)에 연결된다. A passivation film 3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ore precisely,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formed on the tunneling layer 54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44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hrough the passivation film 32 (that is, through the opening 104).

패시베이션막(32)은 제2 전극(44)에 대응하는 개구부(104)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32 may be formed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except for the opening 10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44.

패시베이션막(32)은 제2 도전형 영역(30)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제2 도전형 영역(30)의 표면 또는 벌크 내에 존재하는 결함을 부동화 시킨다. 이에 의하여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 사이트를 제거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Voc)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passivation film 32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o passivate defects existing in the surface or bulk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Accordingly, the open-circuit voltage (Voc) of the solar cell 100 may be increased by removing the recombination sites of minority carriers.

패시베이션막(32)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시베이션막(32)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패시베이션막(32)은, 제2 도전형 영역(30)이 n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 양전하를 가지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도전형 영역(30)이 p형을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 음전하를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3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s an example, the passivation film 32 is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containing hydrogen,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MgF 2 , ZnS, TiO 2 and any one single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O 2 or 2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films are combined. As an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32 may include a silicon oxide layer or a silicon nitride layer having a fixed positive charge 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has an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In the case of p-type, an aluminum oxide film or the like having a fixed negative charge may be includ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시베이션막(32)이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패시베이션막(32) 이외의 다양한 막이 제2 도전형 영역(30)의 후면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assivation layer 32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Alternatively, various films other than the passivation film 3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제2 전극(44)은 패시베이션막(32)에 형성된 개구부(104)를 통하여 제2 도전형 영역(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극(44)은 다양한 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hrough the opening 104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32. The second electrode 44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o have various shapes.

도 2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전극(42, 44)의 평면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planar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핑거 전극(42a, 44a)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핑거 전극(42a, 44a)이 서로 평행하며 반도체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평행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핑거 전극들(42a, 44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핑거 전극(42a, 44a)을 연결하는 버스바 전극(42b, 4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 전극(42b, 44b)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전극(42a, 44a)의 피치보다 더 큰 피치를 가지면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핑거 전극(42a, 44a)의 폭보다 버스바 전극(42b, 44b)의 폭이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버스바 전극(42b, 44b)의 폭이 핑거 전극(42a, 44a)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having a constant pitch. In the drawings,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include busbar electrodes 42b and 44b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to connect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have. Only one busbar electrode 42b, 44b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busbar electrodes 42b and 44b may be provided while having a pitch greater than that of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widths of the busbar electrodes 42b and 44b may b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widths of the busbar electrodes 42b and 44b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s of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44a.

단면에서 볼 때,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 및 버스바 전극(42b)은 모두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개구부(102)가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개구 부분(102a) 및 버스바 전극(42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개구 부분(10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44a) 및 버스바 전극(44b)은 모두 패시베이션막(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개구부(104)가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44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개구 부분 및 버스바 전극(44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이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버스바 전극(42b)이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구부(102)가 핑거 전극(42a)에 대응하는 제1 개구 부분(102a)을 포함하고, 버스바 전극(42b)에 대응하는 제2 개구 부분(102b)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44a)이 패시베이션막(3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버스바 전극(44b)은 패시베이션막(3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구부(104)가 핑거 전극(44a)에 대응하는 제1 개구 부분을 포함하고, 버스바 전극(44b)에 대응하는 제2 개구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both the finger electrode 42a and the bus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form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2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4. That is, the first opening portion 102a in which the opening 102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nger electrode 42a of the first electrode 42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02b formed in response to the busbar electrode 42b It may include. In addition, both the finger electrode 44a and the bus bar electrode 44b of the second electrode 44 may be form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32. That is, the opening 104 may include a first opening port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nger electrode 44a of the second electrode 44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usbar electrode 44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finger electrode 42a of the first electrode 42 is formed through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and the busbar electrode 42b is formed by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 Can be formed above. In this case, the opening 102 may include the first opening portion 102a corresponding to the finger electrode 42a,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02b corresponding to the busbar electrode 42b may not be formed. In addition, the finger electrode 44a of the second electrode 44 may be form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32, and the busbar electrode 44b may be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32. In this case, the opening 104 may include a first op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nger electrode 44a,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usbar electrode 44b may not be formed.

도면에서는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4)이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 및 버스바 전극(42b)의 폭, 피치 등은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44a) 및 버스바 전극(44b)의 폭, 피치 등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4)의 평면 형상이 서로 다른 것도 가능하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drawing,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electrode 42 and the second electrode 44 have the same plan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dth and pitch of the finger electrode 42a and the bus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are determined by the finger electrode 44a and the busbar electrode of the second electrode 44. It may have different values such as the width and pitch of (44b).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42 and the second electrode 44 may have different planar shapes, and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100)의 제1 및 제2 전극(42, 44)이 일정한 패턴을 가져 태양 전지(100)가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는 양면 수광형(bi-facial) 구조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에서 사용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태양 전지(100)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극(44)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of the solar cell 100 have a constant pattern, so that the solar cell 100 may ent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has a bi-facial structure.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used in the solar cell 100 may be increas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44 is formed entirely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하며 에미터 영역을 구성하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도핑 영역으로 구성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에 위치하며 후면 전계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 영역(30)이 별도의 반도체층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별도의 반도체층을 형성하지 않아 이에 따른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광의 입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서는 제2 도전형 영역(30)을 도핑 영역이 아닌 별도의 반도체층으로 구성하여 도핑 영역 형성에 따른 재결합 등을 최소화하여 태양 전지(100)의 개방 전압을 향상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constituting the emitter region is composed of a doped region, an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constitutes a rear electric field regi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of a separate semiconductor layer. Accordingly, a separate semiconductor layer is no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reby preventing light loss,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 which light incident is relatively small. ) As a separate semiconductor layer instead of the doped reg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n-circuit voltage of the solar cell 100 by minimizing recombin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doped region.

이러한 구조의 태양 전지(100)는 반도체 기판(110)의 양면에 반도체층을 형성한 다음,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연속되는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균일하고 미세한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서의 광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면,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태양 전지(100)를 제조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10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by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on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n removing the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subsequent process, a uniform and fin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ight reflection from the light. Then, the solar cell 100 having excellent properties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e process.

상술한 구조의 태양 전지(100)의 제조 방법을 도 4a 내지 도 4i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I.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4A to 4I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112a, 114a)를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110)을 준비한다. 일 예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제1 요철(112)의 제1 요철부(112a)가 구비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제2 요철(114)의 제1 요철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a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cluding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is prepared. For example,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of the first unevenness 11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first uneven portion 114a of the second unevenness 114 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May be provided.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요철부(112a, 114a)는 습식 식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습식 식각에 사용되는 식각 용액으로는 알칼리 용액(예를 들어, 수산화칼륨(KOH)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 식각에 의하면 짧은 시간 내에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제1 요철부(112a, 114a)를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식각 용액에 반도체 기판(110)을 침지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양면(전면 및 후면)을 함께 식각할 수 있는 침지(dipping)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제1 요철부(112a, 114a)를 한 번의 침지 공정에 의하여 함께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may be formed by wet etching. An alkali solution (eg, a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hydroxide (KOH)) may be used as an etching solution used for wet etching. According to such wet etching,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y a simple process within a short time. In this case, a dipping process in whic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immersed in the etching solution and both surface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re etched together may be used. Then, since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formed together through a single immersion process,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이와 같은 습식 식각에 의하면 제1 요철부(112a, 114a)의 반도체 기판(110)의 결정면에 따라 식각되므로, 제1 요철부(112a, 114a)의 외면이 일정한 결정면(예를 들어, (111)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요철부(112a, 114a)는 4개의 (111) 면을 가지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평균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크기 편차는 상대적으로 큰 제1 편차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요철부(112a, 114a)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 평균 크기, 크기 편차 등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wet etching, since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are etched according to the crystal plan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have a constant crystal surface (for example, (111)). Cotton). Accordingly,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may have a pyramid shape having four (111) planes, may have an average size of a micrometer level, and a size deviation may have a relatively large first deviation.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to have various shapes, average sizes, and size deviations.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요철부(112a, 114a)를 반도체 기판(110)의 양면에 각기 형성하여 양면 수광형 구조의 태양 전지(110)에서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제1 요철부(112a, 114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에 제1 요철부(112a, 114a)가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respectively, thereby minimizing light loss in the solar cell 110 having a double-sided light-receiving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lternatively, the first uneven portions 112a and 114a may not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 위에 전체적으로 터널링층(52, 54)을 형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제1 터널링층(52)을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에 제2 터널링층(54)을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제1 터널링층(52)과 제2 터널링층(54)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터널링층(52, 54)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터널링층(52) 및 제2 터널링층(54)이 반도체 기판(110)의 측면에 형성된 터널링층(52, 5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B, tunneling layers 52 and 54 are formed entirely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ore specifically, a first tunneling layer 5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a second tunneling layer 5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drawings illustrate that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ut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are formed not on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may be formed entire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In this case,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may have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unneling layers 52 and 54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터널링층(52, 54)은, 일례로, 열적 성장법, 증착법(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법(PECVD), 원자층 증착법(AL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터널링층(52, 54)이 형성될 수 있다.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 thermal growth method, a vapor deposition method (eg,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이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링층(52, 54) 위에 반도체층(302, 304)을 형성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터널링층(52, 54) 위에 제1 반도체층(302)을 형성하고, 제2 터널링층(54) 위에 제2 반도체층(304)을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제1 반도체층(302)과 제2 반도체층(304)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도체층(302, 304)이 터널링층(52, 54) 위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및 후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2 반도체층(304)이 반도체 기판(110)의 측면 쪽에 위치한 반도체층(302, 30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C,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may be formed on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More specifically, a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is formed on the first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is formed on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In the drawing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formed on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Not only the rear surface but also the s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 formed entirely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 this case,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may have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반도체층(302, 304)은, 일 예로, 증착법(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법(PECV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302, 304)은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도체 기판(110)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진성 반도체(비정질 진성 반도체, 미세 결정 진성 반도체, 다결정 진성 반도체, 예를 들어, 비정질 진성 실리콘, 미세 결정 진성 실리콘, 또는 다결정 진성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302, 304) 형성 시 또는 형성 후에 반도체층(302, 304)에 수소가 확산되도록 하여 반도체층(302, 304)을 패시베이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반도체층(302, 304)이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로 도핑된 상태로 증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 vapor deposition method (eg,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do not contain a first or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nd have an intrinsic semiconductor (amorphous intrinsic semiconductor, microcrystalline intrinsic semiconductor, polycrystalline intrinsic semiconductor, for example, a different crystal structure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Amorphous intrinsic silicon, microcrystalline intrinsic silicon, or polycrystalline intrinsic silicon). At this time,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may be passivated by allowing hydrogen to diffuse into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during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may be deposited in a state doped with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어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식각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터널링층(52) 및 제1 반도체층(302)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를 수행한다.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이 반도체 기판(110)의 측면 쪽에도 위치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110)의 측면에 위치한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의 부분이 제1 식각 단계에서 함께 식각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 식각 단계에서 제1 반도체층(302)과 함께 제1 터널링층(52)을 함께 식각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식각 단계에서 제1 터널링층(5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식각되지 않고 잔존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D,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y cross-sectional etching is performed. When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also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the semiconductor layer 302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304) may be etched together in the first etching step. In the drawing,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is etched together wit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in the first etching ste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or part of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may remain without being etched in the first etching step.

제1 식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4e에 도시한 공정에서 수행되는 제2 식각 단계를 설명할 때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irst etching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describing the second etching step performed in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4E.

이어서,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를 수행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E, a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는 동일한 장비 내에서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시츄(in-situ)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조건에 따라 제1 식각 단계에서는 단면 식각을 할 수 있으면서 제2 식각 단계에서는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할 수 있는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식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an in-situ process performed in a continuous process in the same equipment. Therefore, depending on the process conditions, the first and second etching steps may be performed using an etching method capable of forming a cross-section in the first etching step and form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n the second etching step. have.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는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에 의하여 수행되되, 그 공정 조건이 서로 다를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are performed by reactive ion etching (RIE), but process condi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반응성 이온 식각이라 함은 식각 가스(예를 들어, Cl2, SF6, NF3, HBr 등)을 공급 한 후에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식각하는 건식 식각 방법이다. 반응성 이온 식각은 단면 식각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 입자의 결정 방향 등을 고려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등방성으로 해당 물질을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식각 가스 등과 같은 공정 조건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일면을 식각하여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할 수도 있다. Reactive ion etching is a dry etching method in which an etching gas (eg, Cl 2 , SF 6 , NF 3 , HBr, etc.) is supplied and then plasma is generated and etched. Reactive ion etching can be applied to cross-sectional etching. In addition, the material can be etched in an isotropic manner without considering the crystal orientation of the crystal grains.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entirely removed according to process conditions such as an etching gas used, or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ormed by etching one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에서 식각 가스의 종류, 분압, 압력 등의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원하는 식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the desired etching is achieved by adjusting process conditions such as the type, partial pressure, and pressure of the etching gas.

일 예로, 제1 식각 단계에서는 육불화황 가스(SF6)와 산소 가스(O2)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육불화황 가스는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을 식각하는 역할을 한다. 산소 가스는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마스크와 유사하게 기능하여 식각 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 없이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을 식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육불화항 가스와 함께 산소 가스만을 이용하면 느린 식각 속도로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을 등방성 식각하므로, 결정성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110)과의 선택비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 없이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만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first etching step, a mixture of sulfur hexafluoride gas (SF 6 ) and oxygen gas (O 2 ) may be used. Here, the sulfur hexafluoride gas serves to et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Oxygen gas acts similar to a mask by forming an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to lower the etching rate. The 1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may be etched. As described above, if only oxygen gas is used together with the hexafluoride term ga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re isotropically etched at a slow etching rate. On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can be selectively etched without damag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due to the selectivity ratio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이때, 산소 가스보다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특히, 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sccm) 비율, 이하 동일)이 클 수 있다. 이는 육불화항 가스가 실제로 식각에 기여하는 가스이므로 충분한 양으로 주입하여 식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산소 가스에 대한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이 1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부피 비율이 10 미만이면, 육불화항 가스의 부피 비율이 적어 식각 속도가 크지 않아 공정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부피 비율이 50을 초과하면, 식각 속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과 반도체 기판(110)의 선택비가 작아져서 반도체 기판(110)이 함께 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비율이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gas (especially, the 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 (sccm) ratio, hereinafter the same) may be greater than the oxygen gas. Since hexafluoride gas is a gas that actually contributes to etching, it can be injected in a sufficient amount to facilitate etching. For example, a volume ratio of sulfur hexafluoride gas to oxygen gas may be 10 to 50. If the volume ratio is less than 10, since the volume ratio of the hexafluorinated gas is small, the etching rate is not high, and thus the process time may be increased. When the volume ratio exceeds 50, the etch rate becomes too large to reduce the selectivity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substrate 110 may be etched toge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atio may have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식각 단계의 압력이 0.1 torr 내지 1 torr일 수 있다. 압력이 0.1 torr 미만이면, 플라스마의 밀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압력이 1 torr를 초과하면, 플라스마 밀도가 증가하여 식각 속도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과 반도체 기판(110)의 선택비가 작아져서 반도체 기판(110)이 함께 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식각 단계가 다른 압력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in the first etching step may be 0.1 torr to 1 torr. If the pressure is less than 0.1 torr, the density of the plasma may become unstable. When the pressure exceeds 1 torr, the plasma density increases and the etching rate may be increased, whereb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ince the selectivity of (110) is small,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etched toge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etching step may have a different pressure.

제2 식각 단계에서는 육불화항 가스, 산소 가스와 함께 염소 가스(Cl2)를 더 혼합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육불화항 가스 및 산소 가스의 역할은 제1 식각 단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다. 염소 가스는 식각 속도를 증가시키고 이방성 식각을 유도하며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 요철부(112b)의 폭, 높이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2 식각 단계는 기본적으로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식각되면서 염소 가스에 의하여 이방성 식각이 일부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을 균일하고 미세하게 식각하여 제1 요철부(112a)보다 작은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econd etching step, a gas obtained by further mixing chlorine gas (Cl 2 ) with hexafluoride term gas and oxygen gas may be used. Here, the roles of the hexafluoride term gas and the oxygen gas are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tching step. The chlorine gas increases the etching rate, induces anisotropic etching, and control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while the second etching step is basically etched by isotropic etching, anisotropic etching may be partially induced by chlorine gas. Accordingly,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uniformly and finely etched to form a second uneven portion 112b smaller tha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이때,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이 산소 가스의 부피 비율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제2 식각 단계에서는 산소 가스에 대한 육불화항 가스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줄여도 염소 가스에 의하여 충분한 식각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산소 가스를 상대적으로 큰 부피 비율로 주입하여 마스크 효과가 충분하게 구현되도록 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산소 가스에 대한 육불화항 가스의 부피 비율이 1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부피 비율이 1 미만이면 제2 요철부(112b)의 폭이 좁아질 수 있고, 상기 부피 비율이 2를 초과하면 제2 요철부(112b)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어, 제2 요철부(112b)가 반사 방지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기 어렵거나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olume ratio of sulfur hexafluoride gas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ume ratio of oxygen gas. In the second etching step, even if the ratio of the hexafluoride term gas to the oxygen gas is relatively reduced, a sufficient etching rate may be obtained by the chlorine gas. Therefore, by injecting oxygen gas at a relatively large volume ratio, the mask effec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so that damage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or example, the volume ratio of the hexafluoride term gas to the oxygen gas may be 1 to 2. When the volume ratio is less than 1, the width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narrowed, and when the volume ratio exceeds 2, the height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reduced, so that the second uneven portion ( 112b) may be difficult to have a shape suitable for anti-reflection or may be difficult to be formed finely and uniformly.

그리고 염소 가스의 부피 비율이 산소 가스의 부피 비율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염소 가스는 작은 양으로도 식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산소 가스에 대한 염소 가스의 부피 비율이 0.2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부피 비율이 0.2 미만이면 제2 요철부(112b)의 폭이 좁아질 수 있고 상기 부피 비율이 1을 초과하면 제2 요철부(112b)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어, 제2 요철부(112b)가 반사 방지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기 어렵거나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ratio of the chlorine gas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volume ratio of the oxygen gas. This is because chlorine gas can increase the etching rate even with a small amount. For example, a volume ratio of chlorine gas to oxygen gas may be 0.2 to 1. When the volume ratio is less than 0.2, the width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narrowed, and when the volume ratio exceeds 1, the height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reduced, so that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 May be difficult to have a shape suitable for anti-reflection, or may be difficult to form fine and uniformly.

그리고 제2 식각 단계의 압력이 제1 식각 단계의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 식각 단계에서는 마스크로 사용하기 위한 산소 가스를 큰 부피 비율로 사용하므로 압력이 높으면 부산물이 증가되어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제2 식각 단계의 압력이 0.1 torr 내지 0.8 torr일 수 있다. 압력이 0.1 torr 미만이면, 플라스마의 밀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압력이 0.8 torr를 초과하면,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서의 부산물이 증가하여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식각 단계가 다른 압력을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in the second etching step may be smaller than the pressure in the first etching step. This is because oxygen gas for use as a mask is used in a large volume ratio in the second etching step, so when the pressure is high, by-products in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second irregularities 112b. For example, the pressure in the second etching step may be 0.1 torr to 0.8 torr. If the pressure is less than 0.1 torr, the density of the plasma may become unstable. When the pressure exceeds 0.8 torr, by-products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etching step may have a different pressure.

제2 식각 단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요철(112)의 제2 요철부(112b)는 제1 요철부(112a)의 외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112)의 제1 요철부(112a)보다 작은 평균 크기를 가진다. 반응성 이온 식각은 결정 입자의 결정 방향에 관계없이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 미세하고 균일한 제2 요철부(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요철부(112b)는 뾰족한 상부 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나노미터 수준의 평균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크기 편차가 제1 편차보다 작은 제2 편차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 formed by the second etching ste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is greater tha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2. It has a small average size. Reactive ion etching may form fine and uniform second uneven portions 112b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regardless of the crystal direction of the crystal grains. In this case,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may be formed to have a pointed upper end, may have an average size of a nanometer level, and may have a second deviation having a size deviation smaller than the first devi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요철(112)의 제1 요철부(112a)에 이보다 작은 평균 크기를 가지는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사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form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having an average size smaller than this in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of the first unevenness 112, the reflectivity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reduced. Can be minimized.

이에 따라 제1 식각 단계에서는 반도체 기판(110)의 손상 없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302), 또는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을 쉽게 식각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irst etching step,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re formed without damag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can be easily etch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요철(112)만 제1 요철부(112a) 및 제2 요철부(112b)를 구비하고, 제2 요철(114)은 제1 요철부(114a)를 구비하고 제2 요철부(112b)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가 제1 반도체층(302)을 식각하는 제1 식각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제2 반도체층(304)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이 덮인 상태로 이루어지며, 제2 식각 단계가 단면 식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는 제2 요철부(112b)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2 요철부(112b)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면 광의 입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의 표면적을 최소화하고 반응성 이온 식각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여 패시베이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only the first uneven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the first uneven portion 112a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the second uneven portion 114 is provided with the first uneven portion 114a,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It does not have the part 112b. Since the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etching step of etch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formed by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It is made in a covered state, and a second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cross-sectional etching. Accordingly,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no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surface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 which the incident light is relatively small can be minimized, and damage caused by reactive ion etching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passivation characteristics.

이어서,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도체층(304)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또는 확산)하여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한다. 제2 반도체층(304)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주입법, 열 확산법, 레이저 도핑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제2 반도체층(304) 위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예를 들어, 인 실리케이트 유리(phosphorous silicate glass, PSG) 막)을 형성한 다음 열처리에 의하여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확산시킨 후에 도펀트막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온 주입법 또는 도펀트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단면 도핑에 유리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is doped (or diffused)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to for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a method of dop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For example, an ion implantation method, a thermal diffusion method, a laser doping method, or the like, or a dopant film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for example, phosphorous silicate glass , PSG) film), followed by diffus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by heat treatment, and then removing the dopant film. In particular, an ion implantation method or a method of forming a dopant film may be advantageous for cross-sectional dop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진성을 가지는 제2 반도체층(304)을 형성한 후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진성을 가지는 반도체층이 좀더 쉽게 식각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르면 제1 반도체층(304)을 식각할 때 제1 반도체층(304)을 좀더 쉽게 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반도체층(302, 304)을 형성할 때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가스(예를 들어, PH3 가스) 등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 반도체층(302, 304)이 제2 도전형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 반도체층(304)이 별도의 도핑 공정 없이 그대로 제2 도전형 영역(30)을 구성하게 되므로, 제2 반도체층(304)의 도핑을 위한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fter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having intrinsicity, do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s exemplified. Since the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can be etched more easily, according to this,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4 is etche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4 can be etched more easi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formed by using a gas contain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for example, a PH 3 gas).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en, sinc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forms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as it is without a separate dop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omitting the process for dop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have.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제2 도전형 도펀트의 도핑 후에는 제2 도전형 도펀트의 활성화(activation)을 위한 열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열처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도핑 방법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After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a heat treatment for activat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Such an activation heat treatment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a doping method or the like.

이어서, 도 4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또는 확산)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주입법, 열 확산법, 레이저 도핑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예를 들어, 보론 실리케이트 유리(boron silicate glass, BSG) 막)을 형성한 다음 열처리에 의하여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확산시킨 후에 도펀트막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온 주입법 또는 도펀트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단면 도핑에 유리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formed by doping (or diffusion) with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to the in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a method of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or example, an ion implantation method, a thermal diffusion method, a laser doping method, or the like, or a dopant film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or example, boron silicate glass , BSG) film) may be formed, and t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s diffused by heat treatment, and then the dopant film is removed. In particular, an ion implantation method or a method of forming a dopant film may be advantageous for cross-sectional doping.

제1 도전형 도펀트의 도핑 후에는 제1 도전형 도펀트의 활성화를 위한 열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열처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도핑 방법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After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a heat treatment for activ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Such an activation heat treatment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a doping method or the like.

일 예로,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을 형성한 후에 제1 도전형 영역(20)의 제1 도전형 도펀트와 제2 도전형 영역(30)의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동시-활성화(co-activation) 열처리에 의하여 함께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활성화 열처리의 온도가 850℃ 내지 950℃일 수 있다. 이는 제1 도전형 도펀트와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함께 활성화할 수 있는 온도로 결정된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처리 온도는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한 후에 활성화 열처리를 하고, 그 후에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한 후에 활성화 열처리를 하여,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의 활성화 열처리를 별개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fte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0 and 30,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are formed. They can be activated together by co-activation heat treatmen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activation heat treatment may be 850°C to 950°C. This is determined by a temperature at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can be activated toge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have various valu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after form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an activ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nd after that, after the form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an activ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0 and 3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activation heat treatment separately.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먼저 도핑하고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나중에 도핑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먼저 도핑하고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나중에 도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을 각기 도펀트막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막 및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막을 함께 형성한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을 함께 형성한 다음, 도펀트막을 제거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first and then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later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first and then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lat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are respectively formed by a dopant film, a dopant film for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are formed together by heat treatment while the dopant layer is formed together, and then the dopant layer may be remove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이어서,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차례로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패시베이션막(32)을 형성한다. 즉,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위에 제2 도전형 영역(30)을 덮도록 전체적으로 패시베이션막(32)을 형성한다. 패시베이션막(22, 32) 및 반사 방지막(24)은 진공 증착법, 화학 기상 증착법, 스핀 코팅, 스크린 인쇄 또는 스프레이 코팅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2, 32) 및 반사 방지막(26)의 형성 순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H, a passivation film 22 and an antireflection film 24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a passivation film 3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at is,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are formed entire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passivation film 32 as a whole to cover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o form. The passivation layers 22 and 3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4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vacuum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spin coating, screen printing, or spray coating. The order of formation of the passivation layers 22 and 3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26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어서, 도 4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형 영역(20) 및 제2 도전형 영역(30)에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I,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respectively, are formed.

일례로,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에 개구부(102)를 형성하고 패시베이션막(32)에 개구부(104)를 형성한 다음, 개구부(102, 104) 내에 도금법, 증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forming the opening 102 in the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and forming the opening 104 in the passivation film 32, various plating methods, evaporation methods, etc. are formed in the openings 102 and 104.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be formed using a method.

다른 예로, 제1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제1 패시베이션막(22) 및 반사 방지막(24) 위에, 제2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제2 패시베이션막(32) 위에, 스크린 인쇄 등으로 도포한 후에 파이어 스루(fire through) 또는 레이저 소성 컨택(laser firing contact) 등에 의하여 개구부(102, 104)를 형성하면서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소성할 때 개구부(102, 104)가 형성되므로, 별도로 개구부(102, 104)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As another example, after applying the first electrode formation paste on the first passivation film 2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24, the second electrode formation paste on the second passivation film 32 by screen printing, etc., fire-through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while forming the openings 102 and 104 by fire through or laser firing contact.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s 102 and 104 are formed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fired,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separate step of forming the openings 102 and 10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식각 단계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1 도전형 영역(20)은 반도체 기판(110)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또는 확산)하여 형성된 도핑 영역으로 구성한다. 제2 도전형 영역(30)은 잔존하는 제2 반도체층(304)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또는 확산)하여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110)과 터널링층(54)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반도체 기판(110)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층으로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서의 광의 입사 방해를 최소화하고,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도전형 영역(30)에 의한 재결합 특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특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removed by the first etching step.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ncludes a doped region formed by doping (or diffus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by doping (or diffus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remaining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and is positioned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tunneling layer 54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composed of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interference of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minimized, and deterioration of recombin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100 can be greatly improved.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에서 동일한 반응성 이온 식각 장치의 내부에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식각 가스의 종류, 부피 비율, 압력 등의 공정 조건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물질을 원하는 특징을 가지도록 식각할 수 있다. 즉, 반응성 이온 식각 장치의 내부에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0)을 위치시키고 0.1 torr 내지 1 torr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면서 산소 가스 : 육불화항 가스를 1:10~50의 부피 비율로 공급하여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을 식각한다.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2)의 식각이 완료되면 0.1 torr 내지 0.8 torr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면서 산소 가스 : 육불화황 가스 : 염소 가스를 1: 1~2 : 0.2~1의 부피 비율로 공급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원하는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100)를 제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on which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formed is positioned inside the same reactive ion etching apparatus in the first and second etching steps. The material can be etched to have desired characteristics by controlling process conditions such as the type, volume ratio, and pressure of the etching gas. That is, by plac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on which the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the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formed inside the reactive ion etch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an internal pressure of 0.1 torr to 1 torr, oxygen gas: hexafluoride Anti-gas is supplied in a volume ratio of 1:10 to 50 to et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When the etching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is completed, while maintaining an internal pressure of 0.1 torr to 0.8 torr, oxygen gas: sulfur hexafluoride gas: chlorine gas 1: 1 to 2: By supplying in a volume ratio of 0.2 to 1,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solar cell 100 having a desired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while simplifying the process.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를 연속적인 인-시츄 공정이 아닌 공정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식각 단계와 제2 식각 단계를 제외한 다양한 공정들의 순서는 일 예로 제시한 것이므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in a process other than a continuous in-situ process. In addition, the order of various processes except for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us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에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 변형예 등은 다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contents as the above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mo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the like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they are.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5A to 5H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양면에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를 차례로 형성한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5A,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sequentially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 위치한 제2 반도체층(304) 위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306)을 형성한다. 일 예로, 제2 도전형 영역(30)이 p형일 경우에 도펀트막(306)은 보론 실리케이트 유리막일 수 있고, 제2 도전형 영역(30)이 n형일 경우에 도펀트막(306)은 인 실리케이트 유리막일 수 있다. 일 예로, 보론 실리케이트 유리막 또는 인 실리케이트 유리막은 증착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펀트막(306)의 물질, 제조 방법으로 다양한 물질,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B, a dopant layer 306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is p-type, the dopant film 306 may be a boron silicate glass film, and whe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is n-type, the dopant film 306 is phosphorus silicate. It can be a glass film. For example, a boron silicate glass film or a phosphorus silicate glass film may be formed by a vapor deposition method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may be used as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opant layer 306.

이어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터널링층(52) 및/또는 제1 반도체층(302)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110)이 후면 쪽에 위치한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을 덮는 도펀트막(306)을 마스크로 하여,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의 식각 없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위치한 제1 터널링층(52) 및/또는 제1 반도체층(302)만을 제거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dopant layer 306 cover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are used as a mask, and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second Without etching the semiconductor layer 304, only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and/o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removed.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식각 단계를 습식 식각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습식 식각은 도펀트막(306)은 식각하지 않으면서 제1 반도체층(302) 및/또는 제1 터널링층(54)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식각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식각 용액은 알칼리 용액(예를 들어, 수산화칼륨(KOH) 용액)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습식 식각을 사용하면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제1 식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제1 식각 단계에서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식각 단계가 습식 식각 이외의 다양한 식각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wet etching. In wet etching, an etching solution capable of selectively etch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or the first tunneling layer 54 may be used without etching the dopant layer 306. For example, the etching solution may be an alkali solution (eg, potassium hydroxide (KOH) solution). If wet etching is us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a simple process, and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may be protected in the first etching ste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various etching methods other than wet etching.

이어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식각 단계를 수행하여 제1 요철(112)의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한다. 이는 도 4e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 위치한 도펀트막(306)이 마스크로 기능하여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을 보호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D, a second etching step is performed to form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of the first uneven 112. This is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case, the dopant layer 306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function as a mask to protect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이어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도체층(304)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한다. 이는 도 4g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 위치한 도펀트막(306)이 마스크로 기능하여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이 제1 도전형 도펀트로 도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E,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formed by dop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with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G,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dopant layer 306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unctions as a mask to prevent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from being doped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 can.

이어서,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처리에 의하여 도펀트막(306) 내의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제2 반도체층(304) 내부로 확산시켜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도전형 영역(20) 내의 제1 도전형 도펀트가 함께 활성화 열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도전형 영역(20) 내의 제1 도전형 도펀트의 활성화 열처리를 별개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306 is diffused in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by heat treatment to for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subjected to activation heat treatment together. Accordingl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erform the activation heat treatmen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는,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할 때 도펀트막(306) 내의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제2 반도체층(304)의 내부로 확산시켜 제2 도전형 영역(3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도전형 영역(20)을 열 확산법에 의하여 형성하게 되면, 제1 도전형 도펀트의 열 확산을 위한 높은 온도(예를 들어, 850℃ 내지 950℃)에서 도펀트막(306) 내의 제2 도전형 도펀트가 쉽게 제2 반도체층(304)의 내부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확산하기 위한 별도의 열처리 없이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2 도전형 영역(3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306 is diffus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to form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ogether. I can.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formed by the heat diffusion method, the dopant layer 306 may be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850°C to 950°C) for heat diffus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easily diffuses in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Accordingly, in a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without a separate heat treatment for diffus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formed together.

이어서,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펀트막(306)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도펀트막(306)의 식각 방법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G, the dopant layer 306 is etched and removed.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etching the dopant layer 306.

이어서, 도 5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막(22, 32), 반사 방지막(24),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한다. 이는 도 4h 및 도 4i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H, passivation films 22 and 32, antireflection films 24,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formed.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H and 4I,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도전형 영역(30)의 도핑을 위한 도펀트막(306)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1 식각 단계를 습식 식각으로 수행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식각 공정, 도핑 공정 등에서 잔존하게 될 제2 터널링층(54) 및 제2 반도체층(304)의 손상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opant layer 306 for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used as a mask, and the first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wet etching,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maining in the etching process, the doping process, etc. Damage to the second tunneling layer 54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to be formed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반도체층(304) 위에 도펀트막(306)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반도체층(304) 위에 도펀트막(306) 대신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보호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반도체층(304)을 형성할 때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공정에서 제2 반도체층(304)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opant layer 306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but instead of the dopant layer 306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rotective layer that does not contain a dopant. . In the case of using a protective film that does not contain a dopant,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may be formed to include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may be subjected to a second conductivity in a separate process. Type dopants can also be dope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양면에 터널링층(52, 54) 및 반도체층(302, 304)를 차례로 형성한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6A, tunneling layers 52 and 54 and semiconductor layers 302 and 304 are sequentially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식각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반도체층(302) 및 제1 터널링층(52)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도 4d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B,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and the first tunneling layer 5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y cross-sectional etching is performed.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제2 요철부(112b)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도 4e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C, a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the second uneven portion 112b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s performed. This is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에 위치한 제1 반도체층(302) 위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308)을 형성한다. 일 예로, 제1 도전형 영역(20)이 n형일 경우에 도펀트막(308)은 인 실리케이트 유리막일 수 있고, 제1 도전형 영역(20)이 p형일 경우에 도펀트막(308)은 보론 실리케이트 유리막일 수 있다. 일 예로, 인 실리케이트 유리막 또는 보론 실리케이트 유리막은 증착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펀트막(308)의 물질, 제조 방법으로 다양한 물질,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E, a dopant layer 308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302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n-type, the dopant layer 308 may be a phosphorus silicate glass layer, and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p-type, the dopant layer 308 is boron silicate. It can be a glass film. For example, a phosphorus silicate glass film or a boron silicate glass film may be formed by a vapor deposition method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may be used as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opant layer 308.

이어서,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제2 반도체층(304)에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한다. 이는 도 4f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위치한 도펀트막(306)이 마스크로 기능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E,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by dop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with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F,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case, the dopant layer 306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functions as a mask, so that doping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fron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할 때 도펀트막(308) 내의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확산시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에 제1 도전형 영역(2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도전형 영역(30)을 열 확산법에 의하여 형성하게 되면, 제2 도전형 도펀트의 열 확산을 위한 높은 온도(예를 들어, 850℃ 내지 950℃)에서 도펀트막(308) 내의 제1 도전형 도펀트가 쉽게 반도체 기판(110)의 내부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확산하기 위한 별도의 열처리 없이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1 도전형 영역(2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도전형 영역(30)을 이온 주입법에 의하여 형성하게 되면, 제2 도전형 영역(30)의 활성화 열처리에 의하여 제1 도전형 도펀트가 확산되어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308 is diffused in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so tha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Regions 20 can be formed together. As an example, 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by the heat diffusion method, the dopant layer 308 is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850°C to 950°C) for heat diffus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s easily diffused in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in a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without a separate heat treatment for diffus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may be formed together.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is formed by the ion implantation metho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s diffused by the activation heat treatment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t can also be formed. Accordingly,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이어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펀트막(308)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도펀트막(308)의 식각 방법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F, the dopant layer 308 is etched to remove it.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etching the dopant layer 308.

이어서,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막(22, 32), 반사 방지막(24),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한다. 이는 도 4h 및 도 4i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G, passivation films 22 and 32, antireflection films 24,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formed. This is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H and 4I,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형 영역(20)의 도핑을 위한 도펀트막(308)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쪽에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0)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공정을 일정 온도 이상에서 수행하게 되면, 동시에 도펀트막(38) 내의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확산시켜 제1 도전형 영역(20)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by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while the dopant layer 308 for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is positione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oping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front side of ).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100 may be improved. In addition, if the process of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38 may be simultaneously diffused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together.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상술한 설명에서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도펀트막(308)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도체 기판(110) 위에 도펀트막(308) 대신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보호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하는 별도의 도핑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dopant layer 308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t is possible to form a protective layer not including a dopant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stead of the dopant layer 308. In the case of using a passivation layer that does not include a dopant, a separate doping process for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further performed.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h에서는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 위에 형성된 도펀트막(306)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고, 도 6a 내지 도 6g는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형성된 도펀트막(308)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다른 실시예로, 반도체 기판(110)의 후면 쪽 위에 형성된 도펀트막(306) 및 반도체 기판(110)의 전면 위에 형성된 도펀트막(308)을 모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식각 단계 이후에 도펀트막(306, 308)을 하나의 장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인-시츄(in-situ) 공정에 의하여 형성한 다음, 동시에 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반도체 기판(110)에 확산시켜 제1 도전형 영역(20)을 형성하면서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제2 반도체층(304)에 확산시켜 제2 도전형 영역(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공정의 크게 단순화할 수 있다. 5A to 5H described above illustrate the use of the dopant layer 306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FIGS. 6A to 6G illustrate the dopant layer 308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use was illustrated. In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both the dopant layer 306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the dopant layer 308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 this case, after the second etching step, the dopant layers 306 and 308 are formed by an in-situ process that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one equipment, and then heat treated at the same time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may be formed by diffus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n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4 while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by diffusing the dopant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en, the process can be greatly simplified.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태양 전지
110: 반도체 기판
112: 제1 요철
114: 제2 요철
112a, 114b: 제1 요철부
112b: 제2 요철부
20: 제1 도전형 영역
30: 제2 도전형 영역
42: 제1 전극
44: 제2 전극
100: solar cell
110: semiconductor substrate
112: first irregularities
114: second irregularities
112a, 114b: first uneven portion
112b: second uneven portion
20: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30: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42: first electrode
44: second electrode

Claims (20)

반도체 기판의 일면 위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타면 위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형성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위치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제거하는 제1 식각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제2 식각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과 서로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식각 단계 및 상기 제2 식각 단계가 인-시츄(in-situ)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etching step of remov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second etching step of forming an uneven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e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are performed by an in-situ proc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 및 상기 제2 식각 단계가 각기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1 식각 단계와 상기 제2 식각 단계의 공정 조건이 서로 다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are each performed by reactive ion etching (RI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process conditions of the first etching step and the second etching ste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에서 육불화황 가스 및 산소 가스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육불화황 가스, 산소 가스 및 염소 가스를 사용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Using sulfur hexafluoride gas and oxygen gas in the first etching ste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ing sulfur hexafluoride gas, oxygen gas, and chlorine gas in the second etching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에서 상기 육불화황의 부피 비율이 상기 산소 가스의 부피 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상기 육불화황의 부피 비율이 상기 산소 가스의 부피 비율과 같거나 그보다 크고, 상기 염소 가스의 부피 비율이 상기 산소 가스의 부피 비율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first etching step,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is greater than the volume ratio of the oxygen gas,
In the second etching step,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ume ratio of the oxygen gas, and the volume ratio of the chlorine ga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olume ratio of the oxygen ga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에서 상기 산소 가스에 대한 상기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이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상기 산소 가스에 대한 상기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보다 큰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gas to the oxygen gas in the first etching step is larger than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gas to the oxygen gas in the second etching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에서 상기 산소 가스에 대한 상기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이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상기 산소 가스에 대한 상기 육불화황 가스의 부피 비율이 1 내지 2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gas to the oxygen gas in the first etching step is 10 to 5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sulfur hexafluoride gas to the oxygen gas in the second etching step is 1 to 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상기 산소 가스에 대한 상기 염소 가스의 부피 비율이 0.2 내지 1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chlorine gas to the oxygen gas is 0.2 to 1 in the second etching ste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각 단계의 압력이 상기 제1 식각 단계의 압력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second etching step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etch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각 단계가 습식 식각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 식각 단계가 반응성 이온 식각에 의하여 수행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wet etch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second etching step is performed by reactive ion etc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 쪽에 상기 제1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상기 제1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상기 제2 도전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전형 영역과 상기 제2 도전형 영역을 동시 활성화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he conductive type region,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on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by dop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Simultaneous activation heat treatmen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 형성 단계와 상기 제1 식각 단계 사이에,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제2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에서 상기 도펀트막 내의 상기 제2 도전형 도펀트가 상기 제2 반도체층으로 확산하여 제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 dopant layer includ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between the forming of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etching step,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diffuses in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ity type region to form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각 단계와 상기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 위에 제1 도전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도펀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에서 상기 도펀트막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도펀트가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 확산하여 상기 제1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 dopant lay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between the second etching step and the conductive type region forming step,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dopant in the dopant layer diffuses in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n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ity type region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각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요철부의 크기가 100nm 내지 500nm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size of the uneven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etching step is 100 nm to 5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의 형성 단계 이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이 상기 요철부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또 다른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식각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요철부가 상기 또 다른 요철부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semiconductor layer, 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s another uneven por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uneven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the uneven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etching step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uneve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1004A 2014-04-28 2014-04-28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tive KR102244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04A KR102244838B1 (en) 2014-04-28 2014-04-28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04A KR102244838B1 (en) 2014-04-28 2014-04-28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92A KR20150124292A (en) 2015-11-05
KR102244838B1 true KR102244838B1 (en) 2021-04-26

Family

ID=546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04A Active KR102244838B1 (en) 2014-04-28 2014-04-28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5916B2 (en) * 2017-02-24 2020-05-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42267B1 (en) * 2017-02-24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KR20180119969A (en) * 2017-04-26 2018-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9855B1 (en) * 2018-05-03 2023-02-13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MEMS microphone, MEMS microphon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90467B1 (en) * 2019-10-15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1774B1 (en) * 2020-09-08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21200627A1 (en) * 2021-01-25 2022-08-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N113594295B (en) * 2021-07-23 2024-03-08 深圳黑晶光电技术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solar cell with double-sided passivation structure
CN116344672B (en) * 2023-03-10 2024-10-25 天合光能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tunneling oxide laye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19B1 (en) * 2012-01-27 2019-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facial solar cell
KR101855209B1 (en) * 2012-03-02 2018-05-04 주성엔지니어링(주) Method and System of manufacturing Solar Cell
KR20140011459A (en) * 2012-07-17 201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92A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970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9298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26119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44838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56182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59173B2 (en) Solar cell
KR102526398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66484B2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3649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955760A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43277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2740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utring the same
US1034039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KR1023205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KR102317141B1 (en) Solar cell
KR102053140B1 (en) Solar cell
KR102550458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49211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98671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2741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8523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288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KR102132739B1 (en) Solar cell
KR102024084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