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4695B1 -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695B1
KR102244695B1 KR1020200023642A KR20200023642A KR102244695B1 KR 102244695 B1 KR102244695 B1 KR 102244695B1 KR 1020200023642 A KR1020200023642 A KR 1020200023642A KR 20200023642 A KR20200023642 A KR 20200023642A KR 102244695 B1 KR102244695 B1 KR 10224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unctional
composition
weight
m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표
이지원
신한재
김숙희
김홍표
인창현
박지영
장은정
Original Assignee
김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표 filed Critical 김경표
Priority to KR102020002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정제수, 혼합 기능성 성분 및 제1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혼합 기능성 성분은 보습 기능성 성분,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기능성 성분과 다른 하나의 제2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Functional mixed cosmetic composition and user-customized fuuntional cosmetic k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 조성물,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몇 가지의 피부 유형에 맞게 대량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연령이나 몸 상태, 체질, 계절 변화 등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으로, 화장품의 선택이나 손질 방법의 선택은 그 때마다, 피부의 상태를 정밀하게 판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행해져야 한다. 피부를 정상적으로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과 영양 섭취, 적절한 휴식, 자신의 피부에 맞는 피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피부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같은 연령, 같은 피부 유형이라도 개개인이 처한 내적, 외적인 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 예로, 음주, 식습관, 흡연, 오염된 환경의 노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노출, 각종 스트레스 및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피부 기능이 저하되고 심지어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 상태를 호전 혹은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화장품에 첨가되는 기능성 유효성분들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성되거나, 기능성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 변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화장료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한 보존제를 첨가한다. 이와 같은 보존제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알러지 반응이나 염증반응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보존제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유효성분이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기능성 성분의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의 제공이 가능하면서도,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707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의 제공이 가능하면서도,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정제수, 혼합 기능성 성분 및 제1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혼합 기능성 성분은 보습 기능성 성분,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기능성 성분과 다른 하나의 제2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이 1:1.5~2:1.5~2:2~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이 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입자 혼합물은 금나노입자, 자성나노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하되, 상기 금나노입자의 일부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되고, 잔부는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되고, 상기 자성나노입자의 일부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되고, 잔부는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습 기능성 성분은 글리세린, 하이드롤라이즈드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 히알루론산, 프로폴리스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장뇌삼추출물, 황기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보리지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클라리세이지추출물, 히아신스추출물 및 하수오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은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콜라겐추출물, 마카뿌리추출물, 원지추출물, 길경추출물, 병풀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포도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추출물, 가지추출물, 및 캐비어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미백 기능성 성분은 소듐 한련 추출물(Tropaeolum majus extract), 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타잔틴,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페퍼민트 잎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및 상동나무잎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은 유백피추출물, 감초추출물, 산자나무추출물, 백복령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글리세릴리놀리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리독신, 비오틴, 사이아노코발라민,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및 레티닐팔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은 마로니에씨추출물(Aesculus hippocastanum (horse chestnut) extract), 티트리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고삼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티트리하이드로졸, 병풀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 오일, 및 위치하젤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은 렌즈콩추출물(Lens esculenta (lentil) seed extract), 녹차추출물, 후박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포도추출물, 율피추출물, 홍화추출물, 산초나무잎추출물, 커피추출물, 호장근추출물,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및 캐모마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Carbomer), 잔탄검(Xanthan Gum)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화제는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제2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첨가제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이소펜틸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베테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판테놀,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베타글루칸, 알부틴, 비타민 C, 레티놀, 엘라스틴, 콜라겐, 코엔자임 Q10, 이펙틴, 프로폴리스, 트레할로오스, 알란토인, 피토스탄, 인프라산 및 항산화제 비타민 E(천연 토코페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첨가제 및 상기 제2 보조 첨가제의 각각은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1,2-헥산다이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 제1 복합 천연추출물 1 내지 5 중량%, 오일 10 내지 30 중량%, 증점제 3 내지 8 중량%, 계면 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베이스 첨가제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기능성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1 기능성 성분 5 내지 10 중량%, 제2 기능성 5 내지 10 중량%, 및 제1 보조 첨가제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2 복합 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 수용성 규소 1 내지 5 중량%, 나노입자 혼합물 1 내지 5 중량%, 중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제2 보조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는 베이스 조성물을 저장하는 베이스 용기;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 및 부스터 조성물을 저장하는 부스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은 보습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미백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색소침착용 기능성 조성물,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기능성 조성물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지 또는 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유용한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가 증대되어 화장료의 기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천연 보존제로서 기능하는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 조성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기능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대시키는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화장료의 기능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이 별도의 용기에 담겨 저장되고,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고민에 맞추어 기능성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의 제공이 가능하면서도,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조성물,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조성물,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부스터 조성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 베이스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활력을 부여하고, 피부장벽을 강화함과 더불어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베이스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천연 보존제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피부영양공급, 피부보습효과 및 피부 활력증대의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콩과식물에 속하는 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회화나무는 수피가 회색이거나 짙은 회색을 띄고 내수피는 황색으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 잎은 호생한다. 회화나무의 꽃에는 루틴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혈압 강화, 고혈압 예방, 고지혈증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화나무 열매는 간의 열을 낮춰 간 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회화나무의 씨앗에는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이 있어 출혈이 있는 경우 씨앗을 갈아 마시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회화나무에는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성분으로 여성 갱년기에 호르몬 대체 요법에 적용할 경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회화나무의 소포리코사이드 성분은 갱년기 여성의 체지방을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회화나무 열매에는 폴리페놀이 다른 식품 종류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폴리페놀의 항산화 기능과 활성산소 배출 기능을 통한 노화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쇠비름의 학명은 Portulaca Oleracea이고, 쇠비름과의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菜), 마치현(馬齒)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 위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는 흰색이지만 손으로 훑으면 원줄기와 같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활용되며,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서 ADHD, 자폐증, 뇌졸증,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며, 강력한 천연항산화제인 비타민A 함량이 매우 높아 피부와 점막 등을 보호하고 돌연변이 세포를 억제해 폐암과 구강암 예방에 탁월하며 위장보호 효과도 인정받은바 있다. 또한 철분과 구리 성분 함유로 인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손상된 세포를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도 있다.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스푸루리나)는 에티오피아 원산이며 클로렐라 등과 함께 미래의 단백질원으로 주목되고 있다. 청록색으로 나선형이며 길이 300~500㎛, 나비 8㎛이다. 약 30종이 알려져 있으며, 열대 지방의 염호에 자생한다. 사이아노박테리아의 일종으로 해수와 염도가 높고 강한 알칼리성을 지닌 열대지방의 더운 물에서 번식한다. 식물과 동물의 혼합형태이다. 구성 성분은 단백질 60~70%, 지질 6~9%, 탄수화물 15~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 카로티노이드, 클로로필, 피코사이아닌 등의 색소가 들어 있다.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 감마리놀렌산도 풍부하다. 또한 소화 흡수율이 95%이상으로 소화가 잘 되는 것이 장점이다.
석류는 석류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안석류, 산석류, 감석류 등으로도 불리운다. 석류에는 비타민, 에스트로겐이 많아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며, 주근깨 기미 등을 없애주고 피부에 생기를 부여, 균형을 유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의 각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상기 추출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각각의 천연물의 껍질, 뿌리, 잎, 꽃, 줄기 또는 열매 등이 될 수 있으며, 추출 부위가 특정의 부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복합 천연추출물에서, 회화나무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은 항균, 소염, 항산화 및 진정 효과의 증대를 위해 사용되며,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성분과 피부 필수 영양성분인 단백질, 인, 지방 및 미네랄을 포함한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활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석류 추출물은 피부 트러블 완화, 보습, 피부 탄력, 피부 진정 및 혈액 순환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이 1:1.5~2:1.5~2:2~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제1 복합 천연출물이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 제조됨에 따라 상술한 추출물의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회화나무의 차가운 성질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제1 복합 천연 추출물이 1 중량 % 미만인 경우,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의 기능성이 미미하고, 5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 상승 비율이 크지 않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오일은 유분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합성 오일, 에스테르 오일 등과 같이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오일은 라벤더 오일, 달맞이꽃 오일,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호호바유, 로즈힙 오일, 피마자유, 잇꽃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티트리 오일,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미국개암씨오일, 산자나무오일, 동백오일, 행인오일, 기름야자오일, 해바리기씨오일 및 바자오일 등과 같은 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동물성 오일은 마유, 밍크오일, 난황유, 스쿠알란, 스쿠알렌 등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네랄 오일은 유동파라핀, 페트롤라툼 등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 오일로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세틸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아모디메치콘, 메칠트리메치콘, 피씨에이디메치콘, 트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 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릴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C12-15알킬벤조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인, 콜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디(C12-13)알킬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릴린, 디에톡시에칠석시네이트 및 트리카프릴린 등과 같은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은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오일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보호와 유분감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증점제는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카보머(Carbomer), 잔탄검(Xanthan Gum)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는 베이스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 내지 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가 3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점도가 형성되지 않아서 크림과 같은 제형을 얻지 못할 수 있고, 8 중량%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사용시 고분자들이 뭉쳐서 석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카보머(Carbomer) 4 내지 6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5 내지 0.3 중량%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1 내지 0.1 중량%가 증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베이스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유화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5 중량%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베이스 첨가제는 베이스 조성물의 베이스제로서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이소펜틸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베테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판테놀,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베타글루칸, 알부틴, 비타민 C, 레티놀, 엘라스틴, 콜라겐, 코엔자임 Q10, 이펙틴, 프로폴리스, 트레할로오스, 알란토인, 피토스탄, 인프라산 및 항산화제 비타민 E(천연 토코페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첨가제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이소펜틸디올,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베테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판테놀, 트레할로오스 및 알란토인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베이스 조성물은 세럼 또는 크림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오일 및/또는 증점제의 함량에 따라 토너, 로션, 에센스, 세럼, 크림, 팩, 샴푸, 클렌징폼, 트리트먼트, 미용액, 파운데이션, 립글로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요컨대,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 제1 복합 천연추출물 1 내지 5 중량%, 오일 10 내지 30 중량%, 증점제 3 내지 8 중량%, 계면 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베이스 첨가제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혼합 기능성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라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혼합 기능성 조성물은 정제수, 혼합 기능성 성분 및 제1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기능성 성분은 보습 기능성 성분,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중 서로 다른 2종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혼합 기능성 성분에 포함되는 2종의 기능성 성분은 각각 제1 기능성 성분 및 제2 기능성 성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습 기능성 성분은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사용감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리세린, 하이드롤라이즈드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 히알루론산, 프로폴리스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장뇌삼추출물, 황기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보리지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클라리세이지추출물, 히아신스추출물 및 하수오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의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과 항노화를 위한 것으로서,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콜라겐추출물, 마카뿌리추출물, 원지추출물, 길경추출물, 병풀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포도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추출물, 가지추출물, 및 캐비어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백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의 피부미백과 항산화를 위한 것으로서, 소듐 한련 추출물(Tropaeolum majus extract), 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타잔틴,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페퍼민트 잎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및 상동나무잎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의 피부 색소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백피추출물, 감초추출물, 산자나무추출물, 백복령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글리세릴리놀리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리독신, 비오틴, 사이아노코발라민,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및 레티닐팔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의 피부 진정과 트러블 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마로니에씨추출물(Aesculus hippocastanum (horse chestnut) extract), 티트리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고삼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티트리하이드로졸, 병풀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 오일, 및 위치하젤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의 피지 억제와 모공 축소를 위한 것으로서, 렌즈콩추출물(Lens esculenta (lentil) seed extract), 녹차추출물, 후박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포도추출물, 율피추출물, 홍화추출물, 산초나무잎추출물, 커피추출물, 호장근추출물,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및 캐모마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첨가제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1,2-헥산다이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기능성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1 기능성 성분 5 내지 10 중량%, 제2 기능성 5 내지 10 중량%, 및 제1 보조 첨가제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성 성분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기능성 성분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 상승 비율이 크지 않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혼합 기능성 조성물의 제1 보조 첨가제는 생략될 수 있다.
부스터 조성물은 혼합 기능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하는 부스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화장료의 기능성을 강화함은 물론, 혼합 기능성 조성물의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Com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그 열매는 길이 1.5cm 내외의 중추원형의 모양이며, 신맛이 두드러져 촉산초라고도 불리며, 자양강장 효과를 가진 천연식품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산수유 과육에는 결정성 유기산, 몰식자산, 사과산, 포도주산 등이 있으며, 모르로니시드, 로가닌 등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알려져 있고, 민간에 알려진 효능으로는 이뇨작용, 혈압강화작용, 항균작용, 간보호 작용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자양강장, 수렴약으로 콩팥을 보하며, 땀을 자주 흐리고, 오줌이 조금씩 자주 나올 때 사용되고 있다.
우뭇가사리는 암수의 배우체가 따로 있고 유성생식으로 과포자를 만든다. 과포자는 발아하여 사분포자체(무성세대)가 되고 이것이 발아하여 다시 암수의 배우체가 되는 세대교번을 되풀이한다. 다년생이며 연중을 통하여 살고 있으나, 여름의 번식기가 지나면 본체의 상부는 녹아 없어지고 하부만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새싹이 자라난다. 동해안, 남해안과 황해의 바깥 도서에 분포하나 동해 남부 연안의 것이 품질도 좋고 가장 많이 생산된다. 저조선(썰물시의 물높이) 부근에서 점심대 20~30m 깊이의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바깥바다에 면하고 바닥이 모래로 된, 해수의 소통이 잘 되는 곳에 산다.
톳(Hijikia fusiforme Okamura)은 모자반과, 톳 속에 속하고, 갈조류로 분류되는 해조류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서해안 및 남해안과 제주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예로부터 식품으로 오래도록 섭취를 해왔다. 톳은 다량의 식이섬유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항혈전, 항바이러스, 항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1.5~3.5m, 너비 25~40cm이다. 큰 바닷말이며 2~4년생인 엽체는 포자세대로서 겉보기에는 줄기, 잎, 뿌리의 구분이 뚜렷하다. 잎은 띠 모양으로 길고 가운데 부분보다 약간 아래쪽이 가장 넓다. 다시마에는 카로틴류, 크산토필류, 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 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 비타민 B2,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다시마속 식물은 태평양 연안에 20 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10m 이상의 큰 종류도 있는데, 주요 종으로는 참다시마, 오호츠크다시마, 애기다시마 등이 있다. 옛날부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에서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의 각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각각의 추출물은 건조된 천연물의 기관(예컨대, 뿌리, 가지, 줄기, 잎, 꽃 또는 열매)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며, 추출 부위가 특정의 부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갈조식물의 추출물인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의 경우, 우뭇가사리, 톳 및 다시마의 건조물을 세절 후 건조 중량의 1 내지 80배 부피량의 용매, 즉,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와 정제수를 혼합한 후 상기 세절물에 부가하고 90~95℃에서 1~2시간 중탕 추출하여 우뭇가사리, 톳 및 다시마의 용매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산수유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예방, 경감,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은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산성조건 내에서도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액상, 크림,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될 수 있어 화장료의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우뭇가사리 추출물(Gelidium Cartilagineum Extract)은 피부가 탄력을 읽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유지해주는 동시에 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피부를 오염시키는 각종 유해물질, 노폐물 및 각질을 흡착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공 케어와 피부 보호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톳 추출물은 비타민 B1, B2, C, 나이아신 등이 많고, 비타민 A의 효력을 나타내는 베타카로틴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켜주고,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마 추출물은 다양한 활성기능을 가진 천연보습성분, 미네랄 성분 및 비타민 C, E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피부를 촉촉하게 해주고,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켜 수렴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의 각각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폴리페놀류 성분을 포함하며, 특히 이들의 활성 성분은 수용성 물질(예컨대, 수용성 폴리페놀)뿐만 아니라 지용성 물질(예컨대, 지용성 폴리페놀)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의 폴리페놀류 성분은 베이스 조성물 및 혼합 기능성 조성물과 혼합 시 용해도가 우수하여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혼합 기능성 조성물의 활성 성분(예컨대, 제1 기능성 성분 및 제2 기능성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즉, 부스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이 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제2 복합 천연출물이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 제조됨에 따라 상술한 추출물의 효과가 더욱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부스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제2 복합 천연 추출물이 5 중량 % 미만인 경우,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의 기능성이 미미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규소는 인체 조직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미네랄 성분으로써 피부 깊숙이 침투해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가 정상적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도와주고, 피부 속에 박테리아 등의 세균이 살지 못하도록 하는 살균 기능과 피부진정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던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알러지, 여드름, 각종 염증, 아토피 등의 트러블이 치료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규소는 민감성 피부에도 무리없이 적용이 가능하고, 자연스럽게 피부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주어 보습효과가 탁월하고, 피부의 죽은 세포(각질)와 노폐물을 제거하여 모공과 피부 세포가 청결해지고 피부의 기능이 활성화되며 미백 효과로 까지 이어질 수 있고, 피부에 침투하는 속도가 빨라 이상에서와 같은 효과가 매우 신속하게 나타난다는 장점과 물에 씻어도 씻겨나가지 않을 만큼 성분의 유지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규소는 강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피부노화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인 활성산소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활성산소가 우리 몸속에 침입했을 때는 정상세포 및 DNA가 공격당하게 되며 직, 간접적으로 연관된 질환으로는 암, 백혈병, 심장병, 동맥경화, 중풍, 협심증, 고혈압, 류머티즘, 아토피성 피부염, 비듬, 노화, 주름, 기미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규소는 살균 기능과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인체의 피부와 관련된 알러지, 여드름, 각종 염증, 아토피 등의 트러블의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규소는 부스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수용성 규소가 1 중량% 미만이면, 상술한 수용소 규소의 효능이 미미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 상승 비율이 크지 않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노입자 혼합물은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 그리고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 혼합물은 제2 복합 천연추출물과 마찬가지로 화장료의 기능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혼합 기능성 조성물의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금(Au)은 생체적합성을 지니고 있어, 동양의학 및 서양의학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순금이 체내에 흐르고 있는 미세한 전류의 이온밸런스를 유지시켜주며, 진정작용 및 노폐물 해독작용이 있고, 기의 흐름을 좋게 하며, 특히 피부에 바르는 금은 이온작용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금을 이용하면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주름생성을 방지하며, 해독 및 정화작용으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고, 신경 안정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금은 숙취를 제거하며, 동맥경화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와 항노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서양의학에서는 금을 천식이나 류마티즘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은 생체적합성 및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금을 이용한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CT 조영제 및 온열치료제로도 응용되고 있다.
금나노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금나노입자는 염화금산(HAuCl4)을 정제수에 녹여 염화금산 용액을 제조하고, 환원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수득될 수 있다. 수득된 금나노입자는 50 내지 100 nm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자성나노입자는 자성물질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이를 분쇄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성나노입자는 철, 망간, 코발트 및 니켈,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자성물질을 이용하여 공지된 합성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합성 방법은 합성하고자 하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일정 환경 하에서 소결하는 소결법, 알칼리 수용액에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입자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침전물을 세척, 건조, 열처리하는 공침 소성법 또는 끓는 물의 높은 온도를 이용하는 수열 합성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합성된 자성나노입자는 비드 밀(bead mill), 믹서(mixer), 균질기 또는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분쇄될 수 있다. 분쇄된 자성나노입자는 50 내지 100 nm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는 각각이 또는 서로 혼합되어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이들 나노입자의 표면처리는 산성 용액 또는 염기성 용액에 첨가 후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수득된 금나노입자의 일부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되고, 잔부는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쇄된 자성나노입자의 일부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되고, 잔부는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될 수 있다. 표면처리에 이용되는 산성 용액은 예컨대, 염산(HCl), 아세트산(CH3COOH), 황산(H2SO4), 아황산(H2SO3), 질산(HNO3), 인산(H3PO4), 포름산(HCOOH), 아스코르브산(C6H8O6), 붕산(H3BO3) 및 규산(H2Si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염기성 용액은 암모니아(NH3),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마그네슘(Mg(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바륨(Ba(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철(Fe(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나트륨(NaCO), 탄산칼슘(CaCO3) 및 탄산칼륨(K2C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처리 된 이들 나노입자는 분리, 세척 및 건조 과정을 통해 각각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 및 표면처리 된 자성나노입자로 수득될 수 있다. 산성 용액 및 염기성 용액을 통한 표면처리를 통해, 금나노입자 및 자성나노입자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고 분산도가 증가될 수 있다.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를 분산제에 첨가하여 나노입자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분산제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분산제가 이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물, 친수성 알콜계 용매, 알데히드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및 케톤계 용매 중 적어도 하나의 용매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아스파트산, 알긴산, 키토산, 히알루론산,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는 항산화, 피부재생 및 피부노화방지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 된 자성나노입자는 피부 조직 내에서 활성 성분의 이동도를 증대시켜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 및 흡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는 1 : 1.2 내지 1.5의 중량비로 나노입자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가 사용됨에 따라, 상술한 나노입자 혼합물의 효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 혼합물은 부스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나노입자 혼합물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상술한 나노입자 혼합물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제형의 안정화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화제는 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된 증점제를 중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알칼리성 중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알칼리성 중화제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디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피롤리딘, 피페리딘, 모폴린,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퀴누클리딘, 피리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KOH),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메틸글루카민(methylglucamine), 아르기닌(arginine), 라이신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이 이용될 수 있다. 중화제는 필요에 따라 부스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부스터 조성물은 제2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첨가제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1,2-헥산다이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2 복합 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 수용성 규소 1 내지 5 중량%, 나노입자 혼합물 1 내지 5 중량%, 중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제2 보조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조성물,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부스터 조성물이 1:0.1~0.4:0.1~0.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즉,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조성물에,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당 혼합 기능성 조성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부스터 조성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 후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혼합 기능성 조성물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화장료의 기능성이 미미할 수 잇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부스터 조성물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부스터 기능이 미미할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 상승 비율이 크지 않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유용한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가 증대되어 화장료의 기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천연 보존제로서 기능하는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 조성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 기능성 조성물 및 기능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대시키는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화장료의 기능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는 상술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조성물들을 서로 다른 용기에 담아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는 베이스 용기, 부스터 용기 및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용기는 베이스 조성물을 저장하고, 부스터 용기는 부스터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 즉, 보습 기능성 성분,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은 보습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미백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색소침착용 기능성 조성물,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기능성 조성물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지 또는 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의 각각은 또한 정제수 및 제1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기능성 조성물들에서 각각의 기능성 성분은 10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며,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그리고 제1 보조 첨가제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 중 자신의 피부 고민에 따라 원하는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2종류의 기능성 용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2개의 기능성 용기들에 담긴 기능성 조성물들을, 제3 용기의 부스터 조성물과 함께 베이스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용기에 섞은 후 흔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조성물, 혼합 기능성 조성물(즉,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 주름 또는 탄력 개선 용 기능성 조성물,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색소침착 기능성 조성물, 피부진정 기능성 조성물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 및 부스터 조성물이 1:0.1~0.3:0.1~0.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각 조성물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각각의 용기에 담겨 있을 수 있다.
요컨대,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이 별도의 용기에 담겨 저장되고,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사용자의 피부 고민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고민에 맞추어 기능성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샘플 1-베이스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1:1.5:1.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제1 복합 천연추출물 - 5
오일 라벤더 오일, 달맞이꽃 오일 10
증점제 카보머 5
잔탄검 0.1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계면활성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비스-피이지-18메틸 에테르디메틸실란 1.5
베이스 첨가제 글리세린 1
프로판디올 3
이소펜틸디올 1
부틸렌글라이콜 3
1,2-헥산다이올 1
베테인 1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
판테놀 1
트레할로오스 1
알란토인 1
<샘플 2 내지 7-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2).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글리세린, 하이드롤라이즈드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하기 표 3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3).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펩타이드, 콜라겐추출물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하기 표 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4).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소듐 한련 추출물(Tropaeolum majus extract)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하기 표 5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색소침착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5).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색소침착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유백피추출물, 감초추출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하기 표 6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피부진정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6).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피부진정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마로니에씨추출물(Aesculus hippocastanum (horse chestnut) extract)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하기 표 7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피지 또는 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7).
구분 성분 조성비(중량%)
피지 또는 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 용제 정제수 잔량(to 100)
기능성 성분 렌즈콩추출물(Lens esculenta (lentil) seed extract) 10
제1 보조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5
프로판디올 5
1,2-헥산다이올 5
<샘플 8-부스터 조성물의 제조>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1:0.5:0.5: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상의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염화금산(HAuCl4)을 정제수에 녹여 제조한 염화금산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한 후 대략 50 내지 70nm의 입자크기를 갖는 금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나노입자의 일부는 일부는 아세트산(CH3COOH) 용액으로 표면처리하고, 나머지는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으로 표면처리 한 후 분리하여 표면처리 된 금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아이언(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CH3COCH=C(O-)CH3]3Fe)를 이용하여 자성 Fe3O4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50 nm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였다. 분쇄된 자성 Fe3O4 나노입자 중 일부는 아세트산(CH3COOH) 용액으로 표면처리하고, 나머지는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으로 표면처리 한 후 분리하여 표면처리 된 자성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이 후, 수득된 금나노입자와 자성나노입자를 1:1.5의 중량비로, 수용성 용매인 DIW에 수용성 분산제인 폴리비닐알코올이 1wt%로 첨가된 용액 300ml에 첨가하여 나노입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제2 복합 천연추출물 5 중량%, 수용성 규소 1 중량%, 나노입자 혼합물 5 중량%, 트로메타민 5중량%, 프로판디올 3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 중량%, 1,2-헥산다이올 1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부스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샘플 9 내지 11의 제조>
상기 부스터 조성물의 제조에서,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9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9).
상기 부스터 조성물의 제조에서, 나노입자 혼합물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0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10).
상기 부스터 조성물의 제조에서, 제2 복합 천연추출물 및 나노입자 혼합물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샘플 11).
<실시예 및 비교예>
샘플 1 내지 샘플 11을 하기 표 8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의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샘플 1 70중량% 70중량% 70중량% 80중량% 70중량% 70중량% 70중량%
샘플 2 10중량% - - 10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샘플 3 10중량% - - 10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샘플 4 - 10중량% - - - - -
샘플 5 - 10중량% - - - - -
샘플 6 - - 10중량% - - - -
샘플 7     10중량%        
샘플 8 10중량% 10중량% 10중량% - - - -
샘플 9 - - - - 10중량% - -
샘플 10 - - - - - 10중량% -
샘플 11 - - - - - - 10중량%
<실험예 -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9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3주간 주 3회 얼굴에 바르고 보습력, 피부탄력, 미백, 색소침착, 피부진정, 피지억제 및 선호도에 관한 느낌을 9점 척도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보습력 피부탄력 미백 색소침착 피부진정 피지억제 선호도
실시예 1 7.4 7.2 6.6 6.7 6.8 6.2 7.3
실시예 2 6.6 6.4 6.9 7 6.6 6.4 7
실시예 3 6.5 6.7 6.4 6.9 7.1 6.9 6.9
비교예 1 5.5 5.6 5.4 5.7 5.9 5.2 5.4
비교예 2 6.1 6.2 5.8 5.7 6 5.4 5.9
비교예 3 5.8 5.7 5.7 5.9 6.1 5.6 5.8
비교예 4 5.6 5.5 5.2 5.5 5.8 5.5 5.5
상기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보습력, 피부탄력, 미백, 색소침착, 피부진정, 피지억제 및 선호도에 대한 특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보습력과 피부탄력의 효가가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2의 경우 미백 및 색소침착의 효과가, 그리고 실시예 3의 경우 피부진정 및 피지억제의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스터 조성물의 함유에 따라 기능성 성분의 효능이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조성물;
    정제수, 혼합 기능성 성분 및 제1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 기능성 조성물 ; 및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부스터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이 1:1.5~2:1.5~2:2~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이 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나노입자 혼합물은 금나노입자, 자성나노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기능성 성분은 보습 기능성 성분,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기능성 성분과 다른 하나의 제2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입자 및 상기 자성나노입자는 산성 용액 또는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기능성 성분은 글리세린, 하이드롤라이즈드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 히알루론산, 프로폴리스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장뇌삼추출물, 황기추출물, 당귀추출물, 천궁추출물, 보리지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클라리세이지추출물, 히아신스추출물 및 하수오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은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콜라겐추출물, 마카뿌리추출물, 원지추출물, 길경추출물, 병풀추출물, 삼색제비꽃추출물, 포도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추출물, 가지추출물, 및 캐비어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미백 기능성 성분은 소듐 한련 추출물(Tropaeolum majus extract), 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타잔틴,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페퍼민트 잎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및 상동나무잎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은 유백피추출물, 감초추출물, 산자나무추출물, 백복령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글리세릴리놀리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리독신, 비오틴, 사이아노코발라민,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및 레티닐팔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은 마로니에씨추출물(Aesculus hippocastanum (horse chestnut) extract), 티트리추출물, 라벤더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고삼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티트리하이드로졸, 병풀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 오일, 및 위치하젤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은 렌즈콩추출물(Lens esculenta (lentil) seed extract), 녹차추출물, 후박추출물, 동백나무잎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황백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포도추출물, 율피추출물, 홍화추출물, 산초나무잎추출물, 커피추출물, 호장근추출물, 병풀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및 캐모마일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Carbomer), 잔탄검(Xanthan Gum)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화제는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제2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첨가제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이소펜틸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베테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판테놀,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베타글루칸, 알부틴, 비타민 C, 레티놀, 엘라스틴, 콜라겐, 코엔자임 Q10, 이펙틴, 프로폴리스, 트레할로오스, 알란토인, 피토스탄, 인프라산 및 항산화제 비타민 E(천연 토코페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첨가제 및 상기 제2 보조 첨가제의 각각은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1,2-헥산다이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 제1 복합 천연추출물 1 내지 5 중량%, 오일 10 내지 30 중량%, 증점제 3 내지 8 중량%, 계면 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베이스 첨가제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기능성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1 기능성 성분 5 내지 10 중량%, 제2 기능성 5 내지 10 중량%, 및 제1 보조 첨가제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 제2 복합 천연추출물 5 내지 10 중량%, 수용성 규소 1 내지 5 중량%, 나노입자 혼합물 1 내지 5 중량%, 중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제2 보조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8. 베이스 조성물을 저장하는 베이스 용기;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기능성 용기들; 및
    부스터 조성물을 저장하는 부스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조성물은 정제수, 제1 복합 천연추출물, 오일, 증점제,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천연추출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이 1:1.5~2:1.5~2:2~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복수의 기능성 조성물들은 보습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보습용 기능성 조성물, 주름 또는 탄력 개선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미백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색소침착용 기능성 조성물,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기능성 조성물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지 또는모공관리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 조성물은 정제수, 제2 복합 천연추출물, 수용성 규소, 나노입자 혼합물 및 중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복합 천연추출물은 산수유 추출물, 우무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이 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나노입자 혼합물은 금나노입자, 자성나노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1020200023642A 2020-02-26 2020-02-26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Active KR10224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42A KR102244695B1 (ko) 2020-02-26 2020-02-26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42A KR102244695B1 (ko) 2020-02-26 2020-02-26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695B1 true KR102244695B1 (ko) 2021-04-27

Family

ID=7572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642A Active KR102244695B1 (ko) 2020-02-26 2020-02-26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6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25B1 (ko) * 2021-10-15 2022-03-04 주식회사 엔에스엘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203B1 (ko) * 2021-07-01 2022-11-09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3022288A1 (ko) * 2021-08-18 2023-02-23 천약선 주식회사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5990127A (zh) * 2022-12-08 2023-04-21 麦吉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缩毛孔和光滑皮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045579A (zh) * 2023-09-12 2023-11-14 广州茵绢漫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保湿抗皱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631008B1 (ko) * 2023-12-27 2024-01-30 이하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13018B1 (ko) 2024-04-17 2024-10-04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유산균 미립자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50001569A (ko) 2023-06-29 2025-01-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화장품 소량 맞춤형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47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썬테라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756A (ko) * 2016-12-01 2018-06-11 (주)골드파파스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910A (ko) * 2018-04-27 2019-11-06 주은희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KR20200127731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에이치비엘글로벌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혼합물을 함유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47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썬테라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756A (ko) * 2016-12-01 2018-06-11 (주)골드파파스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910A (ko) * 2018-04-27 2019-11-06 주은희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KR20200127731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에이치비엘글로벌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혼합물을 함유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203B1 (ko) * 2021-07-01 2022-11-09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3022288A1 (ko) * 2021-08-18 2023-02-23 천약선 주식회사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70225B1 (ko) * 2021-10-15 2022-03-04 주식회사 엔에스엘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990127A (zh) * 2022-12-08 2023-04-21 麦吉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缩毛孔和光滑皮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50001569A (ko) 2023-06-29 2025-01-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화장품 소량 맞춤형 제조방법
CN117045579A (zh) * 2023-09-12 2023-11-14 广州茵绢漫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保湿抗皱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7045579B (zh) * 2023-09-12 2024-04-09 百特威(上海)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保湿抗皱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631008B1 (ko) * 2023-12-27 2024-01-30 이하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13018B1 (ko) 2024-04-17 2024-10-04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유산균 미립자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695B1 (ko)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307B1 (ko)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1099547B (zh) 具有生物活性的水溶性蜂胶提取物和浅色蜂胶提取物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197228B2 (ja) 多目的美容液
KR20120051216A (ko) 화장품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77644B1 (ko) 천연 방수 아이라이너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아이라이너 화장품 제조방법
KR102374994B1 (ko)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